KR101164370B1 -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4370B1
KR101164370B1 KR1020110048905A KR20110048905A KR101164370B1 KR 101164370 B1 KR101164370 B1 KR 101164370B1 KR 1020110048905 A KR1020110048905 A KR 1020110048905A KR 20110048905 A KR20110048905 A KR 20110048905A KR 101164370 B1 KR101164370 B1 KR 101164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stration
party
location
mobile terminal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10048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4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3Protocols for remote procedure calls [R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감소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통신망 장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후속하는 1회 이상의 재등록 메시지가 순차 수신되면, 그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시마다 해당 위치 등록 및 제3자 등록을 수행하되, 기 설정된 생략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해당 제3자 등록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registering location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감소할 수 있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망으로써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과 같은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뿐만 아니라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 기반의 통신망이 존재하며, 특히 아이피(I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망이 사용되고 있다.
IMS 망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제안하는 통신망 표준에 따른 통신망으로, IP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주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시그널링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IMS 망에 가입된 단말은 파워 온(on)이 되면 IMS 망의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에 위치 등록을 요청하여 위치 등록기(예를 들어, HSS: Home Subscriber Server)에 위치 등록을 시도한다. CSCF는 IMS 망 내 교환기 기능을 담당하며 교환기의 일반적인 기본 기능 중에 하나인 IMS 망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등록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현재의 3GPP 및 3GPP2 규격에 따른 IMS 망에서의 가입자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IMS 망에서 단말(UE)은 일반적으로 SIP 프로토콜의 등록 메시지(Register)를 사용하여 CSCF로 등록을 요청하게 되고, 등록이 정상적으로 성공하면 CSCF와 AS 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 을 수행한다.
등록 메시지(Register)가 코아망(Core NW)으로 최초 인입되었을 때 처리해주는 장비는 P-CSCF이다. P-CSCF는 등록 메시지(Register)의 세부헤더를 검색하여 문제가 없는지 체크한 후 I-CSCF로 전송한다. I-CSCF는 HSS와 UAR/UAA 메시지와 같은 다이아미터(Diameter) 메시지를 주고받아(미도시) 해당 등록을 위해 가용한 S-CSCF를 찾은 후 등록 메시지(Register)를 전송한다. S-CSCF는 해당 단말의 인증을 위해 HSS와 MAR/MAA 메시지와 같은 다이아미터 메시지를 주고받아 인증벡터(nonce)를 수신하고, 401 UnAuthorized 메시지와 같은 SIP 프로토콜 응답을 사용하여 단말로 인증벡터(nonce)를 내려준다.
단말(UE)은 401 UnAuthorized 응답 메시지에서 내려온 인증벡터(nonce)를 이용하여 인증알고리즘을 사용한 인증벡터응답(response)을 생성한다. 단말은 인증벡터응답(response)을 포함하여 다시 한번 등록 메시지(Register)를 IMS 망으로 요청한다. S-CSCF는 수신한 인증벡터응답(response)에 오류가 없으면 가입자 프로파일을 수신하기 위해 HSS와 SAR/SAA 메시지와 같은 다이아미터 메시지를 주고받은 후 단말에게 200 OK 응답 메시지와 같은 SIP프로토콜 응답을 사용하여 등록이 성공했음을 알려준다. 이때 200 OK 응답 메시지에는 등록 만료 시간(Registration Expire time)(일반적으로 1시간)이 포함되어 있어 등록이 언제까지 유효한지 단말에게 알려준다.
단말의 등록이 정상적으로 성공한 후 S-CSCF는 IMS 서비스를 제공하는 AS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요청한다. 가입자가 등록한 서비스에 따라 수개의 AS 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IMS 단말은 등록을 유지하기 위해 동록 만료 시간의 1/2 정도의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재등록(re-Registration)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CSCF와 AS 간에는 재등록 요청 시마다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게 된다.
즉, 현재 제공되는 3GPP 및 3GPP2 규격에서는 IMS 망에서 가입자 등록 시 단말이 등록 메시지(Register)를 CSCF로 전송하면 CSCF는 해당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각 AS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항상 시도해야 한다. 따라서 많은 가입자에 대해 주기적으로 행해지는 등록 시 각 AS 별로도 해당 주기마다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이 발생하고, 이는 CSCF 및 AS에 과도한 부하를 유발한다.
결국, 기존에는 3GPP2 X.S0013-002와 3GPP2 X.S0013-003 규격의 IMS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 이동 단말이 IMS 망으로 위치 등록(Registration) 시도 시에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Register) 메시지를 받은 CSCF는 해당 서비스의 AS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항상 시도하기 때문에, CSCF와 각 AS간 트래픽(traffic)이 위치 등록 시마다 존재하여 과도한 트래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시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트래픽(특히, IMS 망의 호 세셔 제어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트래픽)을 최소화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은,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통신망 장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후속하는 1회 이상의 재등록 메시지가 순차 수신되면, 그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시마다 해당 위치 등록 및 제3자 등록을 수행하되, 기 설정된 생략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해당 제3자 등록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의 수행 후 상기 생략 횟수만큼 해당 제3자 등록을 생략하고 후속하는 1회는 다시 해당 제3자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고, 상기 단계 (a)에서의 상기 제3자 등록 시 및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제3자 등록 시, 상기 생략 횟수를 고려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는 상기 생략 횟수에 1을 더한 값에 기존 만료 시간을 곱하여 생성한 시간 정보일 수 있고, 상기 통신망 장치는 IMS 망의 호 세션 제어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호 세션 제어 장치는 CSCF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통신망 장치로써, 제3자 등록에 대한 생략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생략 횟수 설정부;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 시마다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 등록 수행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 또는 상기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 시마다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제3자 등록 수행부; 및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에서 상기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제3자 등록을 상기 생략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생략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생략하기 위한 제3자 등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설정된 생략 횟수를 고려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만료 시간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는 상기 생략 횟수에 1을 더한 값에 기존 만료 시간을 곱하여 생성한 시간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는 제3자 등록 시 상기 만료 시간 생성부에서 생성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제3자 등록 정보에 포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자 등록 제어부는 상기 생략 횟수만큼 제3자 등록을 생략하고 후속하는 1회는 다시 제3자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 장치는 IMS 망의 호 세션 제어 장치일 수 있고, 상기 호 세션 제어 장치는 CSCF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 등록 장치는 IMS 망의 HSS일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IMS 망과 같은 통신망에서 단말의 위치 등록 시에 CSCF와 같은 호 세션 제어 장치는 개별 가입자의 생략 횟수를 체크하여 망 운영자가 설정한 생략 횟수만큼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생략하고 서비스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제3자 등록만 수행하므로 호 세션 제어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트래픽이 감소되고, 이와 같은 트래픽 감소를 통해 전체 IMS 망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IMS 망에서의 주요 장비인 호 세션 제어 장치와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성능이 향상되어 망 투자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창출된다.
도 1은 현재의 3GPP 및 3GPP2 규격에 따른 IMS 망에서의 가입자 위치 등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2의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100)이 IMS 망(120)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네트워크(110), IP 기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S 망(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네트워크(110)는 이동 단말(100)이 IMS 망(120)에 접속할 수 있는 이동통신망으로, 예를 들어, 유선 인터넷 망,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를 포함하는 1x EV-DO망, 노드B, 무선망 제어기(RNC), SGSN, 및 GGSN을 포함하는 WCDMA(UMTS)망, RAS 및 ACR을 포함하는 와이브로 망 등일 수 있다.
IMS 망(120)은 접속 네트워크(110)와 연결된 게이트웨이(미도시), 세션 제어를 위한 호 세션 제어 장치(130), 위치 등록 장치로서의 가입자 정보 관리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150), 어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AS)(170) 및 미디어 처리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MS 망(120)의 호 세션 제어 장치(130)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일 수 있다. 물론, CSCF뿐만 아니라 호 세션을 제어하는 모든 장치가 세션 제어 장치로서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호 세션 제어 장치(130)가 CSCF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CSCF(130)는 가입된 이동 단말을 HSS(150)에 등록하고 SIP 시그널링을 적절한 서버에 라우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SCF(130)는 Proxy CSCF(P-CSCF), Serving CSCF(S-CSCF) 및 Interrogating CSCF(I-CSCF)를 포함할 수 있다.
P-CSCF는 SIP 프록시(Proxy) 서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SIP 메시지의 압축/해제, 베어러(bearer) 자원의 인증 및 QoS 측정, 단말로부터의 SIP 레지스터(register) 요청을 I-CSCF로 전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S-CSCF는 단말기에 대한 세션을 제어하며 서비스 유지를 위해 세션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CSCF는 SIP 요청을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S-CSCF로 라우팅하며, S-CSCF의 주소는 HSS로부터 취득한다. 즉, I-CSCF는 SIP 요청 및 응답을 S-CSCF로 전달하도록 한다.
CSCF(130)는 HSS(150)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정보에 포함된 연동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 필요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저장한다.
또한, CSCF(130)는 단말의 위치 등록 정보를 알아야 하는 연동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 등록 정보 및 위치 등록 삭제 정보를 알린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는 영상회의 통화서비스, 영상회의 통화 기반 기술 제공, 영상회의 통화 미디어 제어, 지능망 선불 과금 처리, 과금정보 전송, PTT(Push-To-Talk) 기능 수행시의 발언권 제어기능, 안내방송, 링백톤(Ring-back-tone) 기능 등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물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서 모든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으나,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서 각각의 기능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100)은 SIP 시그널링을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휴대폰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 등 IP 기반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통신기기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의 구성도로, 일 예로 도 2의 IMS 망(12)을 구성하는 통신망 장치로서의 호 세션 제어 장치(이하, CSCF라 칭함)(13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 횟수 설정부(131), 위치 등록 수행부(132), 제3자 등록 수행부(133), 제3자 등록 제어부(134), 및 만료 시간 정보 생성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생략 횟수 설정부(131)는 제3자 등록에 대한 생략 횟수(N)를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망 운영자는 생략 횟수 설정부(131)를 통해 생략 횟수 N을 1 이상의 자연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등록 수행부(132)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메시지의 수신 시마다 도 2의 HSS(150)와 같은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위치 등록 수행부(132)는 HSS(150)와 SAR(Server Assignment Request) 메시지 및 SAA(Server Assignment Answer) 메시지를 주고받아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자 등록 수행부(133)는 이동 단말(100)로부터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 시마다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3자 등록 수행부(133)는 위치 등록 수행부(132)에서 단말(100)의 등록이 정상적으로 성공한 후 가입자가 등록한 서비스에 따라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3자 등록 제어부(134)는 제3자 등록 수행부(133)에서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수행되는 제3자 등록을 생략 횟수 설정부(131)에서 설정된 생략 횟수(N)만큼 주기적으로 생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제3자 등록 제어부(134)는 기 설정된 생략 횟수(N)만큼 제3자 등록을 생략하고 후속하는 1회(또는 그 이상)는 제3자 등록을 수행하고 다시 후속하는 생략 횟수(N)만큼 제3자 등록을 생략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제3자 등록 수행부(133)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만료 시간 정보 생성부(135)는 일반적으로 1시간으로 정해져 있는 기존의 등록 만료 시간(Registration Expire time)을 새롭게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만료 시간 정보 생성부(135)는 생략 횟수 설정부(131)를 통해 설정된 생략 횟수(N)를 고려하여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T2)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T2)는 생략 횟수(N)에 적어도 1을 더한 값(N+1)에 기존 만료 시간(T1)을 곱하여 생성된 시간 정보 즉, T2=(N+1)*T1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자 등록 수행부(133)는 만료 시간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제3자 등록 수행 시 제3자 등록 정보(즉, 3rd Party Registration 메시지)에 포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3의 장치 즉, CSCF(130)에 적용되므로 그 CSCF(13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CSCF(130)의 생략 횟수 설정부(131)는 망 운영자의 조작에 따라 제3자 등록에 대한 생략 횟수(N)를 기 설정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 횟수 N=5로 설정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100)로부터 위치 등록을 위한 등록 메시지(Register)가 수신되면(S403), 위치 등록 수행부(132)는 그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근거하여 HSS(150)에 해당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403), 제3자 등록 수행부(132)는 그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한다(S405).
이어, 단계 S401에서 수신된 등록 메시지에 후속하여 재등록 메시지(re-Register)가 수신되면(S407), 제3자 등록 제어부(134)는 해당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횟수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된 수신 횟수가 생략 횟수 설정부(131)를 통해 기 설정된 생략 횟수(N=5)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409).
단계 S409에서의 판단 결과, 카운트된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횟수가 기 설정된 생략 횟수(N=5) 이하라면 즉, 카운트된 수신 횟수가 1회부터 5회까지인 경우에는, 각 수신 시 마다 위치 등록 수행부(132)를 통해 HSS(150)에 해당 위치 등록을 수행하되(S411), 제3자 등록 제어부(134)는 제3자 등록 수행부(132)를 제어하여 그 수신된 재등록 메시지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에 수행해야 하는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생략하도록 한다(S413). 즉, 본 실시예에서 제3자 등록 제어부(134)는 1회부터 5회까지의 재등록 메시지 수신 시 마다 위치 등록은 수행하되 제3자 등록은 수행하지 않고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 단계 S409에서의 판단 결과 카운트된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횟수가 기 설정된 생략 횟수(N=5)를 초과하여 N+1일 경우 즉, 제6회의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었는가 판단하고(S415), 그렇다면 수신된 제6회의 재등록 메시지에 근거하여 전술한 단계 S403 및 단계 S405와 같이 위치 등록 및 제3자 등록을 수행한 후(S403,405), 이제까지 카운트된 수신 횟수를 리셋하여 0으로 놓고 후속하여 수신되는 재등록 메지시에 대해 수신 횟수를 1부터 다시 카운트하여 단계 S407부터 반복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시스템에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방법을 적용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말(UE)(100)로부터 발신된 등록 메시지(Register)가 P-CSCF와 I-CSCF를 통해 S-CSCF(이하 CSCF로 통칭함)(130)에 수신되면(S501), CSCF(130)는 SAR/SAA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HSS(150)에 해당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503), 200 OK 메시지를 단말(100)로 내려주어 위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 다음(S505), 제3자 등록 메시지(3rd Party Registration)를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로 전송하여 제3자 등록을 수행하고(S507),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CSCF(130)로 전송한다(S509).
단계 S507에서 CSCF(130)는 제3자 등록 메시지(3rd Party Registration)에 새로 생성된 등록 만료 시간(Expire tim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등록 만료 시간은 T2=(N+1)*T1일 수 있고, 여기서 T1은 기존 만료 시간, T2는 새로 생성된 만료 시간 정보, N은 기 설정된 생략 횟수(Skip count)이며, 본 실시예에서 N=5로 설정된 것으로 설명한다.
다음, 단계 S501의 등록 메시지(Register)에 후속하여 단말(UE)(100)로부터 발신된 1회부터 5회까지의 재등록 메시지(re-Register)가 CSCF(130)에 순차 수신되면(S511), CSCF(130)는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시 마다 SAR/SAA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HSS(150)에 해당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513), 200 OK 메시지를 단말(100)로 내려주어 재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되(S515), 기 설정된 생략 횟수(N=5)에 따라 1회부터 5회까지 수신된 재등록 메시지(re-Register)에 대해 제3자 등록은 수행하지 않고 생략하도록 한다(S517).
이어, CSCF(130)는 단말(100)로부터 6번째의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S521), SAR/SAA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HSS(150)에 해당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S523), 200 OK 메시지를 단말(100)로 내려주어 위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 다음(S525), 제3자 등록 메시지(3rd Party Registration)를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로 전송하여 제3자 등록을 수행하고(S527),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170)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200 OK 메시지를 CSCF(130)로 전송한다(S529).
CSCF(130)는 단계 S521~S529와 같이 6회째 수신된 재등록 메시지에 대해서는 위치 등록과 제3자 등록을 모두 수행하고, 후속하여 수신되는 7회부터 11회까지 수신된 5번의 재등록 메시지(re-Register)에 대해서는 위치 등록은 정상적으로 수행하되 기 설정된 생략 횟수(N=5)에 따라 제3자 등록은 수행하지 않고 생략하도록 한다.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도록 한다.
CSCF(130) 와 AS(170) 간에 단말(100)로부터의 재등록(re-Registration) 요청 시마다 주기적으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게 되면, AS(170)뿐 아니라 CSCF(130)에서는 처리해야 하는 트랜젝션(Transaction)이 가입자 증가에 따라 몇 배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최초 등록(Registration) 시 및 N+1회차의 재등록 시에만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게 되면 가입자 증가에 따라 생성되는 과도한 트랜젝션 및 트래픽이 줄어든다.
본 실시예에서 CSCF(130)는 제3자 등록에 의한 트래픽을 줄이기 위하여 제3자 등록 생략 기능을 수행하고, 이를 위해 단말별로 등록 카운트(Registration Count)(또는, 제3자 등록 생략 횟수 카운트, 수신 횟수 카운트)를 관리한다.
CSCF(130)는 제3자 등록 생략 횟수 카운트(3rd Party Registration Skip Count)를 관리하고, 운영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영시스템에 명령어화 한다. 여기서 운영자가 설정한 생략 횟수(Skip Count)는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생략할 수 있는 횟수를 의미한다. 즉 운영자가 생략 횟수(Skip Count) N을 5로 설정해 놓았다면, 최초 등록 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고, 이후 5회의 재등록(re-Registration)에 대해서는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 수행이 생략된다. 6번째 재등록(re-Registration) 시에는 또다시 제3지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이 수행된다. 그리고 그 이후의 5회의 재등록(re-Registration)에 대해서는 또다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 수행이 생략된다.
제3자 등록 생략(3rd Party Registration Skip)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AS 에서 가입자 정보유지시간이 만료(Expire)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CSCF(130)는 최초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 또는 마지막 제3자 등록 생략(3rd Party Registration Skip) 후 그 다음의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의 처리시에 생략 횟수 N+1 만큼을 기존 만료 시간(Expire time)에 곱하여 생성된 새로운 만료 시간(Expire time)을 AS(170) 로 전송한다. 그러면 다음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 시도시까지 가입자 정보에 대한 만료(Expire)를 막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이동 단말
110: 접속 네트워크
120: IMS 망
130: CSCF
131: 생략 횟수 설정부
132: 위치 등록 수행부
133: 제3자 등록 수행부
134: 제3자 등록 제어부
135: 만료 시간 생성부
150: HSS
170: 어플리케이션 서버(AS)

Claims (15)

  1.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통신망 장치에서의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에 후속하는 1회 이상의 재등록 메시지가 순차 수신되면, 그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 시마다 해당 위치 등록 및 제3자 등록을 수행하되, 기 설정된 생략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해당 제3자 등록을 생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단계 (a)의 수행 후 상기 생략 횟수만큼 해당 제3자 등록을 생략하고 후속하는 1회는 다시 해당 제3자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에서의 상기 제3자 등록 시 및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제3자 등록 시, 상기 생략 횟수를 고려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는 상기 생략 횟수에 1을 더한 값에 기존 만료 시간을 곱하여 생성한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는 IMS 망의 호 세션 제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세션 제어 장치는 CSC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7.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에 따라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는 통신망 장치로써,
    제3자 등록에 대한 생략 횟수를 설정하기 위한 생략 횟수 설정부;
    이동 단말로부터 등록 메시지 또는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 시마다 위치 등록 장치에 위치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 등록 수행부;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등록 메시지 또는 상기 재등록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 시마다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3자 등록(3rd Party Registration)을 수행하기 위한 제3자 등록 수행부; 및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에서 상기 재등록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수행되는 상기 제3자 등록을 상기 생략 횟수 설정부에서 설정된 생략 횟수만큼 주기적으로 생략하기 위한 제3자 등록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생략 횟수를 고려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만료 시간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는 상기 생략 횟수에 1을 더한 값에 기존 만료 시간을 곱하여 생성한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는 제3자 등록 시 상기 만료 시간 생성부에서 생성된 새로운 만료 시간 정보를 제3자 등록 정보에 포함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자 등록 제어부는 상기 생략 횟수만큼 제3자 등록을 생략하고 후속하는 1회는 다시 제3자 등록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도록 상기 제3자 등록 수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 장치는 IMS 망의 호 세션 제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호 세션 제어 장치는 CSC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등록 장치는 IMS 망의 HS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장치.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10048905A 2011-05-24 2011-05-24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164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05A KR101164370B1 (ko) 2011-05-24 2011-05-24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905A KR101164370B1 (ko) 2011-05-24 2011-05-24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4370B1 true KR101164370B1 (ko) 2012-07-09

Family

ID=4671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905A KR101164370B1 (ko) 2011-05-24 2011-05-24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43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317A (ja) 2009-02-25 2010-09-09 Ntt Docomo Inc 登録要求システム、登録要求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登録要求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98317A (ja) 2009-02-25 2010-09-09 Ntt Docomo Inc 登録要求システム、登録要求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登録要求制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12562B (zh) 对于基于ims的移动卫星系统的呼叫建立优化
US8688129B2 (en) Grade of service (GoS) differenti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0499840C (zh) 一种移动通信系统中控制呼叫流量的方法、系统及设备
JP4538323B2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11228936B2 (en) Ser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2351101B1 (ko) Ims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이동성 이벤트들의 통신
US20190253931A1 (en) Ser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CN106101078B (zh) 一种ip多媒体子系统、终端及业务实现方法
EP1686752A1 (en) A method for achieving the multimedia priority services
CN112243291B (zh) 通信业务处理方法、系统、业务单元、终端和存储介质
CN107222846B (zh) 一种核心网设备及其集群通信方法
US9800626B2 (en) Selecting refresh periods in an IP network
CN101111003B (zh) 多媒体彩铃系统及其播放方法
KR101164370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US10666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nd-to-end accessibility in 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CN105072121B (zh) 一种ims终端自组网的方法及装置
KR101648894B1 (ko) 착신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Ko et al. SIP amplification attack analysis and detection in VoLTE service network
WO2017000617A1 (zh) 通信频度控制方法及装置
CN106685890A (zh) 一种呼叫VoLTE用户的优化方法、装置和系统
KR20150005408A (ko) 호처리 메시지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5023545A (ja) 通信システム、中継装置、制御情報中継プログラム及び通信方法
CN109257353B (zh) 会话管理方法、装置及系统
KR20160084516A (ko) VoLTE(Voice over 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 및 이 시스템에 포함되는 PGW(PDN Gateway) 및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과 그 제어방법
US20200220739A1 (en) Method of media state synchro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