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848B1 -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 - Google Patents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848B1
KR101162848B1 KR1020107006686A KR20107006686A KR101162848B1 KR 101162848 B1 KR101162848 B1 KR 101162848B1 KR 1020107006686 A KR1020107006686 A KR 1020107006686A KR 20107006686 A KR20107006686 A KR 20107006686A KR 101162848 B1 KR101162848 B1 KR 101162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wireless
client device
embedded agent
embe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915A (ko
Inventor
카필 수드
쥬니어-시안 트사이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5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8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 H04W52/029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changing the clock frequency of a controller in the equipment having a sub-controller with a low clock frequency switching on and off a main controller with a high clock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방법 및 장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에 무선 접속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은, 상기 장치가 정상 동작에서 실행되고 있는 동안에 무선 접속을 처리하는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상기 장치가 절전 동작으로 전환하고 호스트 OS가 슬립(sleep) 또는 스탠바이(standby)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에 무선 접속을 처리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절전 모드에서의 변경을 검출하여, 호스트 OS와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시스템이 절전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에는 호스트 OS로부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시스템이 절전 모드로부터 정상 동작으로 되돌아가는 경우에는 임베디드 에이전트로부터 호스트 OS로)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교환을 트리거한다. 또한, 시스템은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전달에 맞는 관리의 전환을 트리거한다.

Description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POWER SAVING OPERATION OF ALWAYS-CONNECTED WIRELESS ROAM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과 협력하면서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에 관한 것이다.
무선 모바일 장치는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무선 네트워크로의 접속은 일반적으로 무선 모바일 장치 내에서의 처리를 요구한다. 상기 처리는,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성하는 루틴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와의 세션의 확립 및/또는 유지에 관한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다. 그러나, 제한된 배터리 전위를 갖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특성은, 설계자가 장치의 배터리 수명을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된 단순히 남아있는 처리 및 오버헤드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상당한 양의 배터리 수명을 소비할 수 있다.
종래의 클라이언트 장치에 관련된 플랫폼이 갖는 제약은, 모바일 플랫폼이 인터넷에 상시 접속되는 접속성을 요구하는 경우에 전체 플랫폼 서브시스템(프로세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등)이 활성화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전체 서브시스템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필요성은,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통해서 메인 프로세서 상에 전체 무선 서브시스템(무선 하드웨어 드라이버, 서플리컨트(supplicant), 크레덴셜(credentials))을 로드하는 종래의 플랫폼 설계 때문에 발생한다. 메인 프로세서의 로딩은 배터리 수명에 비해 대량의 전력을 소비한다. 이러한 전력 소비는, 사용자가 로밍을 하고 플랫폼이 무선 네트워크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소비할 때마다 특히 현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은 동작의 절전 모드에서 플랫폼을 동작시키거나 또는 네트워크 접속성을 유지하는 사이에서 사용자가 트레이드오프하는 것을 요구한다. 종래에는, 무선 접속성을 유지하면서 절전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이 없었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현으로서 주어진 도면에 대해서 논의한다. 도면은 예로써 이해되어야 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한 참조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구현예에 포함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출현하는 "일실시예에서"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은 문구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구현예를 설명하는 것이고, 반드시 모두가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지 않는다. 그러나, 반드시 상호 배타적인 것도 아니다.
도 1은 무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2는 무선 세션 접속성을 관리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3은 무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요소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4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절전 모드에서 무선 접속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흐름도.
소정의 상세 및 구현예의 설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의 일부 또는 전부를 묘사할 수 있는 도면의 설명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발명적인 개념의 다른 잠재적 실시예 또는 구현예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해서 보다 상세한 설명에 의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시스템, 방법, 및 장치는, 로밍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접속을 유지하는 동안에 절전 모드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호스트 프로세서가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접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메인 호스트 프로세서와 접속하여 동작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 또는 호스트 프로세서는, 시스템의 메인 동작이 실행되는 프로세서 또는 처리 유닛(멀티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을 지칭한다.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은, 시스템에서의 동작의 흐름을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다수의 기술 중 어느 하나를 지칭할 수 있다. 통상,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호스트 OS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상의 개체를 지칭한다. 즉,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동작을 제어하지 않는다. 호스트 OS는 예를 들어 드라이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임베디드 에이전트와 통신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호스트 OS는 임베디드 에이전트와 상호 동작하거나 "참조"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예컨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서의 복수의 코어 중 전용 코어,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 내장된 별도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산타클라라의 인텔 주식회사의 액티브 관리 기술(AMT)),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회로 상의 마이크로 컨트롤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의 마이크로 컨트롤러에서 실행하는 코드, 가상 기계의 가상 파티션 등일 수 있다.
호스트 OS는 이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메인 무선 접속 관리를 실행한다. 무선 접속 구성요소(예를 들어, 서플리컨트, 키 모듈 등)는 호스트 OS를 통해서 메인 시스템 프로세서 상에 로드된다. 또한,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유지하고 상시 접속되는 이동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하나 이상의 접속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접속을 유지하는 것은, 서비스 품질(QoS) 및/또는 보안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라고 가정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Wi-Fi 및 WiMax 표준과 같은 표준에서 기술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Wi-Fi 표준은, 1999년 2월에 공개된 IEEE 802.11a-1999, 1999년 2월에 공개된 IEEE 802.11b-1999, 2003년 10월에 공개된 IEEE 802.11g-1999 및/또는 그 파생물을 포함하는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에 대한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그룹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WiMax 표준은, 2004년 10월에 공개된 IEEE 802.16-2004 또는 그 파생물을 포함하는 무선 메트로폴리탄 영역 네트워크(WMAN)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을 일반적으로 지칭한다.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와, 셀룰러 또는 무선 음성 채널 네트워크 사이의 차이점을 주의한다.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대역폭은 셀룰러 네트워크의 것보다 상당히 높다. 접속을 위한 메카니즘은, 2가지 형태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일부 유사성을 가질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에서의 클라이언트 장치로부터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의 클라이언트 장치(예를 들면, 랩탑, 휴대용 컴퓨터, PDA, 울트라 모바일 퍼스널 컴퓨터(UMPC) 등)는 일반적으로 선택이 힘든 반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절전은 비교적 잘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가 정상 상태에 있는 경우에, 메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호스트 OS를 통해서 메인 프로세서는 접속성 절차(예를 들면, 실행 알고리즘, 동작 프로토콜 등)를 관리한다. 접속성의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프로토콜, 드라이버, 모듈, 등은, "구성요소"라고 일반적으로 불릴 수 있다. 통상, 메인 프로세서는 완전한 세트 또는 종래의 시스템에서 공통으로 되는 대부분의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호스트 OS에서의 구성요소에 부가하여,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절전 동작에서의 접속성 절차를 관리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감소된 세트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IEEE 802.11r WLAN 고속 로밍(본 출원을 제출하는 작성 단계에서의 새로운 표준)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로밍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에 걸친 IEEE 802.16 또는 IEEE 802.21의 이종(heterogeneous) 로밍처럼, 다른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유사한 기술이 채택될 수 있다.
호스트 OS 상에서 실행중인 드라이버 및 프로토콜에 대한 의존도 때문에, 종래의 WiFi/WiMAX 장치는 생존할 완벽한 플랫폼을 필요로 하고, 이 플랫폼은 활성화된 작업 부하가 없는 경우에도 대략 18와트의 전력 정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의해 처리되는 절전 로밍에 의하면, 호스트 OS 및 메인 프로세서는 500mW의 적은 전력을 소비하는 스탠바이(또는 그에 상응하는) 모드에 있을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완벽한 호스트 플랫폼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보다 수십배 적다. 따라서, 종래의 시스템에 비해서 상당한(90% 이상) 절전이 가능하다.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활성화된 접속 콘텍스트가 유지된다. 호스트 OS로부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또는 그 반대로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전달하는 것은, 모든 활성화된 접속에 관한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보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별도의 세션 콘텍스트 정보는 상이한 도메인마다 유지될 수 있다. 별도의 도메인마다 별개의 컨텍스트와 입력 대상물(keying material)이 요구될 수 있지만, 관리면에서 독립적인 도메인 사이의 로밍은 여전히 가능하다. 예로서, 클라이언트 장치를 갖고서 T-MOBILE 핫스팟 및 AT&T 핫스팟을 로밍하는 사용자를 고려해보자. T-Mobile 및 AT&T의 각각은 소유자인 워싱톤 벨뷰의 T-Moblie USA 주식회사와, 텍사스 산안토니오의 AT&T 주식회사가 소유권을 갖고 있는 상표임을 유의한다. 여기서의 모든 상표는 단지 식별을 위해서 사용된다.
다른 도메인 시나리오는 클라이언트 장치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별개의 네트워킹 접속(예를 들면, 음성 애플리케이션(음성 패킷망(VOIP) 전화), 또는 스트리밍 비디오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시나리오이다. 다른 도메인 시나리오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802.11 WLAN과 802.16 WMAN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도메인 시나리오에서, 시스템은 별도의 세션 콘텍스트를 유지할 수 있고, 세션 콘텍스트는 절전 동작시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의해 유지될 것이다.
무선 로밍을 수행하기 위한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추가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동작이, 호스트 플랫폼 구성 또는 소프트웨어 스택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지 않음을 유의한다. 일실시예에서, 호스트 플랫폼에 대한 모든 변경은 저레벨 장치 드라이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장치용 드라이버를 갱신함으로써,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 보조의 로밍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구비한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시스템(100)은 AP(access points)(112-116) 및 인증기(120)를 포함하는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102)를 포함한다. AP(112-116)는, 클라이언트 장치(130)가 무선으로 네트워크 액세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접속 포인트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장치를 나타낸다. 복수의 AP(112-116)는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물리적 링크를 제공한다. 인증기(120)는 클라이언트(130)를 위해 보다 높은 레벨의 세션 관리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다 높은 레벨의 세션 관리는, 클라이언트(130)의 보안 크레덴셜(예를 들면, 액세스 키)을 검증하여 무선 세션을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클라이언트(130)는 액세스 링크 A를 통해서 AP(112)와 시큐어 802.11r 초기 연계(a secure 802.11r Initial Association)를 수행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130)는 AP(112)를 통해서 음성, 비디오,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액세스한다. 다음에 클라이언트(130)는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전환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절전 모드는 개시(initiate), 진입(enter), 또는 트리거(trigger)된다고 말할 수 있다. 절전 모드는 호스트 OS가 중지되고, 호스트 프로세서가 스탠바이 모드에 있는 동작 모드이다. 통상, 상태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휘발성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에 대한 전력은 유지된다. 또는, 상태를 유지하는데 플래시 메모리가 사용될 수 있다. 절전 모드가 플랫폼과 호스트 OS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절전 모드는 호스트 OS에 의해 트리거되는 관점에서 고려될 수 있다. 절전 모드가 호스트 OS에 의해 트리거되거나 개시되고 있다고 말하는 경우는, OS 자신이 절전 모드를 개시하거나, 혹은 호스트 OS의 실행 플랫폼 상에서 실행중인 소정의 소프트웨어를 개시하는 것이다.
절전 모드로의 전환(예를 들면, 중지 프로세스의 일부로서)과 관련하여, 아니면 절전 모드에 응답하여, 호스트 OS(132)는 임베디드 에이전트(134)에 대해 세션 콘텍스트(136)를 제공한다. 본 예에서의 세션 콘텍스트(136)는, 입력 정보(keying information)를 포함한, AP(112)와의 링크 A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30)가 절전 모드에 진입한 후에, 클라이언트 장치가 AP(112)의 영역 밖으로, 아니면 AP(114)의 영역으로 로밍한다고 고려한다(본 도면은 물리적이고 거리적인 측면의 예시가 아니라 논리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것임).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제공받아서, 무선 접속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적절한 통신 처리 구성요소는 임베디드 에이전트(134) 내에서 활성화된다.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호스트 OS(132)에 의해 동작되는 메인 서브 시스템보다 상당히 낮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대부분의 시간에 생존할(전원이 켜질)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메인 프로세서가 딥 슬립(deep sleep)함에 따라 무선 접속의 상태(접속성, 보안, QoS 등)를 유지하고, 클라이언트(130)가 AP(112)(현재의 AP)로부터 후속 AP(예를 들어 AP(114))로 이동함에 따라 무선 로밍 알고리즘 및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AP(114)를 검출하여, 그 AP로 접속하기 위한 로밍 절차를 실행한다. 이러한 로밍 절차는 예를 들어 802.11r FT(Fast Transition) Base and Reverse 메카니즘일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130)는 메인 프로세서 및 호스트 OS가 중지되더라도 접속을 유지한다. 호스트 OS가 절전에서 나올 때까지 클라이언트는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를 통해서 계속해서 로밍할 수 있다. 절전에서 나오는 이유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방해 또는 웨이크(wake) 메카니즘과 연관될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절전 동작 상태에서의 변경, 즉 절전으로부터 정상 동작으로의 변경을 검출한다. 상태 변경의 검출에 응답하여, 임베디드 에이전트(134)는 호스트 OS(132)에 대해 세션 콘텍스트(136)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130)가 절전 모드에서 나오는 경우에는, 세션 콘텍스트(136)가 본 예에서와는 상이해질 것임을 유의한다. 상기 변경은 적어도 클라이언트(130)가 이제 AP(112) 대신에 AP(114)로 접속되기 때문이다. 다른 변경이 이루어졌을 수도 있다. 호스트 OS(132)가 슬립(sleep)에서 나오면, 클라이언트는 이미 접속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절전하면서 접속 지연을 피한다. 애플리케이션은 방해되지 않는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도 2는 무선 세션 접속성을 관리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시스템(200)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소정의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일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1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CPU(210)는 멀티 코어 장치이다. 특히, CPU(210)는 코어(222-226)를 포함하는 4개의 처리 코어와, EA(embedded agent)(228)를 포함한다. 메인 호스트 서브시스템(218)은 코어(222-226), 호스트 OS(212),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214)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하나의 처리 코어는 다른 동작을 위한 것으로, 메인 호스트 서브시스템(218)에서는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호스트 OS(212)는 필연적으로 임베디드 에이전트(228)를 인지하지 못하여,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별도의 시스템의 일부인 것처럼 임베디드 에이전트(228)와 접속할 필요가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228)와 같이 하나의 전용 코어에 있어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무선 로밍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228)는 실행을 위해 별도의 캐시 및/또는 메모리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전용 코어 이외의 소정의 방식으로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마련하는 구현예에서는, 메인 호스트 서브시스템(218)이 4개의 코어 모두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VM(virtual machine) 파티션(216)으로서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브시스템(218)은 4번째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VM(216)은, 시스템(200) 상에서 하드웨어 리소스를 동시에 공유하는 병렬의 독립적인 동작 환경을 형성하는 가상 파티션을 나타낸다. VM(216)으로서의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동작은, 호스트 OS(212)가 절전 모드에 있는 동안에, 축소된 오퍼레이팅 환경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시스템(200)은 하드웨어 플랫폼 인터페이스(230)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플랫폼 인터페이스(230)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 구조에서 이른바 "노스 브리지(north bridge)"의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다. 하드웨어 플랫폼 인터페이스(23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인터페이스, 주변 인터페이스, 저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플랫폼 인터페이스(2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에 대한(예를 들어,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시스템(2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임베디드 에이전트로서 기능하는 독립형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EA(240)는 이러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EA(240)는 하드웨어 플랫폼 인터페이스(2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EA(240)는 CPU(210)의 동작을 감시할 수 있고, 예컨대, 절전 모드에 진입하기 위해 서브시스템(218)을 언제 트리거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EA(24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로의 접속을 포함하고, 이 접속은 EA(240)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를 관리하고 시스템(200)의 무선 접속성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 상에서 코드로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EA(252)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상의 코드 및/또는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복수의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시스템(200) 내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더라도, 시스템(200)은 통상적으로 단일의 임베디드 에이전트만을 포함함을 유의한다. 따라서, 보다 일반적인 실시예는 도시된 점선으로 표시된 임베디드 에이전트 중 하나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표시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는 호스트 OS(212)에 의해 사용되고, 어떤 임베디드 에이전트라도 로밍을 포함한 네트워크와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 시스템(200) 내에 존재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의 "메인" 접속과, 전용 또는 아웃오브밴드(out-of-band) 통신 채널을 가진다. 즉, 호스트 OS(212)와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무선 접속을 관리하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 상에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느 한쪽만이 하드웨어 상에서 구성되고, 그 구성된 것은 세션 콘텍스트 정보의 관리를 현재 제어중인 것이다. 그러나,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무선 접속을 관리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만으로는,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250)와의 하나 이상의 통신 채널 또는 기능을 액세스 또는 제어할 수 없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는다.
도 3은 무선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는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요소를 갖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의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OS(310), 임베디드 에이전트(370), 하드웨어 MAC/PHY(380)를 포함한다. 호스트 OS(31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예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호스트 OS를 나타낸다.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임의의 형태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하드웨어 MAC/PHY(380)는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MAC(media access control) 및/또는 PHY(physical)층 하드웨어를 나타낸다.
호스트 OS(310)는, 무선 접속성을 위한 호스트 OS 하에서, 메인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할 수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다른 목적의 그 밖의 구성요소도 실행될 수 있다. 호스트 OS(310)는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해 사용자 또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인증하는데 제공되는 인증(auth) 보안 크레덴셜(312)을 포함한다. 보안 크레덴셜은, 예컨대,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OS(310)는 절전 모드의 사용시에 사용자 또는 시스템 관리자 구성 옵션을 제공하는 절전 인에이블(314)을 포함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시스템이 콘텍스트 정보를 임베디드 에이전트에게 전달하도록 구성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클라이언트 장치를 항상 접속 상태로 유지하게 할 것인지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없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절전 인에이블(314)은, 소정의 절차/루틴이 사용될 것임을 장치 드라이버가 표시하도록 한 구성 파라미터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 드라이버는 모든 플랫폼 상에서 사용될 수 있고, 절전 인에이블은 절전 모드에서 무선 접속을 관리할 수 있는 적절한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갖는 플랫폼 상에서만 트리거될 수 있다.
QoS(quality of service) 애플리케이션(app)(316)은, 네트워크 액세스를 가질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예상되는 서비스 레벨을 규정하는 오퍼레이팅 파라미터도 특정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비디오, 음성, 메시징 또는 이메일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AP(access point) 목록(318)은 클라이언트 장치가 구성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의 목록을 제공한다. 따라서, AP 목록(318)은 "공지된" 네트워크 접속 포인트의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서플리컨트(330)는 네트워크와의 완벽한 클라이언트 인증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소정 형태의 클라이언트 보안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 통상, 서플리컨트(330)는 메인 OS 상에서 구성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모든 인증 방법을 구현한다. 일실시예에서, 네트워크로의 초기 접속은 완벽한 클라이언트 인증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인증은 보안 결정 포인트 및 규정 강화 포인트로의 네트워크까지(예를 들어 도 1의 인증기(120)) 키 및 보안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요구한다. 이후의 인증(로밍 인증)은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서플리컨트(330)는 EAP(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방법(332)을 포함할 수 있고, 이 EAP 방법은 보안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서 프로토콜 방법을 결정/규정한다. PMK-R0/R1(pairwise master key-roaming level 0/roaming level 1) 키 유도(334)는, 서플리컨트(330)가 세션 확립에 관한 통신을 위한 암호화 및/또는 인증 절차를 위해서 키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그러므로, 마스터 키를 사용함). 초기 인증(auth)(336)은 세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초기 802.11r Association EAP 인증을 제공한다.
호스트 OS(310)는, 고속 로밍 및 보안 이동성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보안 키를 저장하는 키 스토어(340)를 포함한다. 모든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동작시에 키 스토어(340)로부터 적절한 키를 액세스한다. 키의 예로는 PMK-R0 키(342), PTK(pairwise transition key)(344), 및 복수의 PMK-R1 키(346)를 포함한다. PMK-R0 키(342)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접속된 네트워크의 인증 권한을 이용하여 세션을 관리하는 키를 나타낸다. PMK-R1 키(346)는 각 AP로의 클라이언트 장치의 접속에 연관된 키를 나타낸다. PTK(344)는 AP끼리의 로밍에 연관된 키를 나타낸다.
호스트 OS(310)는 무선 장치 드라이버(350)를 포함하고 및/또는 관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장치 드라이버(350)는 IEEE 802.11r 고속 로밍 프로토콜 메카니즘과 호환가능한 구현예와 연관된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11r FT(fast transition) 초기(init) 연계(assoc)(352)는 세션 동안에 최초로 AP와 연계를 확립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낸다(이는 클라이언트가 AP에 접속되는 것이 최초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음). 11r FT 기반의 메카니즘(mech)(354)은 클라이언트 장치를 위한 네트워크에서 이미 확립된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의 천이 메카니즘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증은 장치를 위해 이미 존재하는 베이스 인증에 의존적이다. 11r FT 예약(resv) 메카니즘(356)은 고속의 로밍 예약을 제공한다.
장치 드라이버(350)는, 검출된 무선 신호가 공지된 AP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AP 리스트(318)에 액세스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나타내는 AP 선택기(358)를 포함한다. 신호가 공지된 AP와 연관되어 있으면, 장치 드라이버는 공지된 AP 중 어떤 것이 최상의 접속 옵션을 제공하는지를 결정하는 구성 루틴을 트리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AP 선택기(358)는 검출되는 복수의 AP 중 가능한 최상의 접속에 자동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PTK 유도(derive)(360)는 장치 드라이버(350)가 로밍 키를 유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모듈을 제공한다. QoS 스케쥴러(362)는 상이한 트래픽에 대한 요구조건에 따라 트래픽 할당을 스케쥴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스케쥴링은 클라이언트 장치의 절전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를 고려할 수 있다. QoS 파라미터(364)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QoS 요구조건에 따른 스케쥴링을 위한 구성 및 옵션을 제공한다. 드라이버 구성(config)(366)은 메인 드라이버 구성 옵션 및 현재의 세팅을 저장한다. 11r 세션 정보(info)(368)는 보안 크레덴셜, 키, 및 세션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보안 구성을 포함한다. 예컨대, 세션 정보는 PMK-R1 키를 유도할 수 있는 PMK-R0 키도 포함한다. 이러한 세션 정보는, 호스트 OS(310)가 절전 모드에 들어가면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로 전달되고, 또한 호스트 OS(310)가 정상 동작을 재개하면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로부터 복귀된다.
또한, 호스트 OS(310)는 슬립으로부터 기동(awake)하도록 호스트 OS를 트리거할 수 있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플랫폼 트리거(320)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리거는, 예외 또는 에러, 완전한 인증을 다시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에 의한 요청, 타이밍 메카니즘, 낮은 전력 상태로부터 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외부 명령, 또는 다른 메카니즘일 수 있다. 콘텍스트 교환 프로토콜(322)은 임베디드 에이전트(370)와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호스트 OS(31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링크 A는 세션 콘텍스트 전달을 나타낸다.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호스트 OS(310)와 동일한 다수의 기능적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의 구현은 호스트 OS(310)에서의 동일한 구성요소의 구현과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유의한다. 따라서, 임베디드 에이전트(370)에서 공통의 기능성을 갖는 구성요소는, 호스트 OS(310)에서 비교가능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번호로 라벨링된다. 그러나, 이러한 라벨링은 구성요소가 호스트 OS(310)와 임베디드 에이전트(370)에서 구현된 것과 정확히 일치한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절전 및/또는 구성 근거에 대해 이해하는 것을 제외하고, 구성요소들이 상이하게 구현된다는 요구 조건이 반드시 존재하지 않는다. 임베디드 에이전트의 모든 구현은 설명되는 구성요소의 각각을 반드시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클라이언트 장치가 접속할 수 있는 AP를 확인/검출하기 위해 AP 목록(318)을 포함한다.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PMK-R0 키(342), PTK(344), 복수의 PMK-R1 키(346)를 갖는 키 스토어(340)를 포함한다.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일반적으로 장치 드라이버(350)와 유사한 구성요소로 구현되지만 보다 적은 구성요소를 갖는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의 일반적인 구현예는 호스트 OS(310)의 장치 드라이버(350)에 비해서 보다 작고 보다 최적화된 장치 드라이버이다.
임베디드 에이전트(370)가 무선 접속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때,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는 로밍을 구현하고 무선 접속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는 11r FT 베이스 메카니즘(354), 11r FT 예약 메카니즘(356), PMK-R0/R1 키 유도(334)(R1 및/또는 R0 키를 유도하기 위해), AP 선택기(374), 및 QoS 파라미터(36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에 의하면,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는 로밍 알고리즘 및 IEEE 802.11r 고속 로밍 프로토콜 메카니즘을 구현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새로운 인증이 아니라 고속 천이 인증만을 구현한다. 새로운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 장치 드라이버는 복잡한 복수의 상호 인증 방법을 구현할 필요가 없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밍에 대한 책임을 전환하는 경우에, 호스트 OS(310)와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세션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한다. 이러한 교환은, 다른 드라이버가 독립적인 고속 로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수적인 특정한 정보에 대해, 호스트 장치 드라이버(350)가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와 동기화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는 장치 드라이버(350) 내의 유사한 블록과 비교할 수 있는 11r 세션 정보(368)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는 반드시 고정적이지 않고, 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시간적으로 다소 변경되는 것임을 유의한다.
세션 정보(368)는 드라이버 상태 변수, 구성, 옵션, 및 로밍 파라미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는 현재/소망되는 TSPEC(traffic specifications), TCLAS(traffic class) 요소, 현재 사용되는 주요한 계층 루트 키(hierarchy root keys), 클라이언트가 이동할 수 있는 도메인 내의 이동성, 및 클라이언트가 처음으로 루트 키를 확립한 주요한 홀더 식별자 등의 QoS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의 목록은 제한적이지 않고, 저장될 수 있는 정보의 예시적인 형태를 제공한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370)는 복잡한 AP 선택 알고리즘을 구현할 필요가 없지만, 로밍을 위한 잠재적인 후보 AP의 캐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AP 선택기(374)는 일반적으로 AP 선택기(358)보다 덜 복잡하다. 로밍 장치 드라이버(372) 구성요소는 주요한 계층으로부터 유도된 키의 목록을 유지하고, 고속 BSS(base station subsystem) 천이 프로토콜을 포함한 IEEE 802.11r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임베디드 에이전트(372)는 호스트 OS(310)와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할 수 있도록 콘텍스트 교환 프로토콜(322)을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OS(310)와 임베디드 에이전트(370)의 양쪽에 액세스할 수 있는 하드웨어 MAC/PHY(380)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MAC/PHY(380)은 호스트 OS(310)와의 통신 링크 B(예를 들면, PCI 버스 접속) 및 임베디드 에이전트(370)와의 통신 링크 C(예를 들면, 부속 장치 채널)를 포함한다. 메인 프로세서와 임베디드 에이전트 드라이버의 양쪽은 동일한 무선 드라이버 MAC 어드레스를 공유하고,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하드웨어에서 보안 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은 WLAN 하드웨어에서 WLAN 펌웨어 코드를 적절하게 구성하고 실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MAC/PHY(380)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PTK(382)는 PTK(344)에 관련되거나 동일할 수 있는 천이 키를 나타낸다. PTK 세트-키 멀티플렉서(mux)(384)는 상기 장치가 하드웨어 처리에 상기 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펌웨어(385)는 하드웨어를 위한 오퍼레이팅 로직을 제공한다. 절전 멀티플렉서 로직(386)은 절전 동작에서의 사용을 위해 상이한 로직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멀티플렉서(388)는 개방될 수 있는 상이한 접속 상에서 데이터의 멀티플렉싱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는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각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것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특수 목적의 하드웨어(예를 들면, 주문형 하드웨어,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등), 임베디드 제어기, 하드웨어 회로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콘텐츠(예를 들면, 데이터, 명령, 구성)는, 실행될 수 있는 명령을 나타내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 제조품을 통해서 제공될 수 있다. 콘텐츠는 기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능/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기계(예를 들면, 컴퓨팅 장치, 전자시스템 등)에 의해 액세스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제공하고(즉, 저장 및/또는 전송), 판독가능/판독불가능 매체(예를 들면,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등)와 같은 소정의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콘텐츠는 직접적으로 실행가능한("오브젝트" 또는 "실행가능한" 형태) 소스 코드, 또는 상이 코드("델타" 또는 "패치" 코드)일 수 있다. 또한,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저장소 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계 판독가능한 매체는 판매 또는 전달시에 그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갖는 장치 또는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된 콘텐츠를 갖는 장치를 전달하거나, 통신 매체를 통해서 다운로드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콘텐츠를 제조품에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절전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되는 흐름도는 다양한 프로세스 동작의 예시적인 순차를 제공한다. 특정한 순차 또는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정되어 있지 않으면, 동작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구현예는 예시로서만 이해되어야 하고, 안정한 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일부 동작은 병렬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동작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동작들이 모든 구현에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프로세스 흐름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장치는, 호스트 OS가 클라이언트의 무선 접속을 관리하는 정상 동작(402)에서 실행된다. 호스트 OS 또는 그 호스트 OS의 플랫폼 상의 구성요소는 절전 모드를 개시한다(404). 절전 모드의 개시는 호스트 OS 드라이버가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콘텍스트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406). 콘텍스트 정보의 전달과 관련하여, 무선 접속의 관리 또한 하드웨어 상에서 구성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는 절전 모드를 준비한다(408). NIC는 절전 모드에서 사용될 소정의 구성요소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NIC는 절전 동작에서의 사용을 위한 소정의 값 또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NIC는 호스트 OS로부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의 제어의 변경을 구성한다.
시스템은 절전 모드에 진입한다(410). 콘텍스트 다운로드는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완료되고,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WLAN NIC 상에서 실행가능하다(412). 다음에,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호스트가 절전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에 로밍을 제어한다(414).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무선 접속을 유지하고, 웨이크 업 이벤트(wake up event)를 감시한다(416). 따라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웨이크 업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정기적으로 또는 계속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다음의 하나 이상의 조건 하에서 메인 호스트 프로세서를 예외시킬 수 있다. 제 1 조건은, 클라이언트가 로밍 가능한 도메인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제 2 조건은,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로밍 프로토콜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현재의 콘텍스트, 키, 다른 요소를 가지지 않는 것이다. 제 3 조건은,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대상 무선 AP를 인증할 수 없는 것이다. 제 4 조건은, 무선 AP가 마스터 키 재키잉(re-keying)을 포함한 완벽하고 완전한 인증을 수행하는데 플랫폼을 요구하는 것이다. 제 5 조건은, 네트워크 패킷이 호스트 OS를 웨이크 업하도록 구성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의해 수신된 것이다(예를 들면, 착신 채트, 착신 메일/IM(instant message), 착신 음성 메일, 등). 이들 조건의 전부는 모든 구현예 하에서 예외가 없다. 또한, 다른 조건은 소정의 구현예에서 예외가 있을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상기 예외 중 하나 또는 일부의 다른 웨이크 업 이벤트(예를 들면, 클라이언트 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를 식별하지 못하면(418),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무선 로밍의 관리를 계속한다. 웨이크업 조건 또는 이벤트가 검출되면(418). 시스템은 이벤트에 대해 웨이크 업하여 재개된다(420).
시스템이 웨이크 업하여 재개되면, 메인 프로세서는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대해 무선 접속의 제어가 준비되었음을 나타낼 수 있다.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메인 무선 장치 드라이버로부터 웨이크 업 표시 및 준비 신호를 수신한다(422). 임베디드 에이전트 장치 드라이버는 호스트에 대해 WLAN 하드웨어의 제어를 포기하고(424), 변경을 포함한 전체 세션 콘텍스트를 메인 드라이버에 전달한다. 또한,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수신된 임의의 패킷을 호스트로 보낼 수 있다. 즉, 로밍 또는 웨이크 업 이벤트와 함께 수신될 수 있었던 임의의 패킷은, 임베디드 에이전트에 저장되고, 콘텍스트의 전달시에 호스트로 보내어질 수 있다. 다음에, 시스템은 정상 동작으로 되돌아간다(402).
본 명세세에서 설명되는 것 외에도,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 및 구현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그것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설명 및 예시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이하의 청구항을 참조해서 판단되어야 한다.

Claims (18)

  1.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에서의 방법으로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 내의 절전 동작 모드와 정상 동작 모드 사이의 동작 모드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모드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무선 네트워크와의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 세션을 정의하는 세션 콘텍스트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임베디드 에이전트(embedded agent) 사이에서 교환하는 단계와,
    상기 동작 모드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것과 함께,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로밍을 관리하기 위한 로밍 관리를 전환하는 단계?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상기 호스트 OS가 갖고 있을 때에는 상기 호스트 OS가 상기 로밍을 관리하고,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갖고 있을 때에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상기 로밍을 관리함?를 포함하되,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의 상기 호스트 OS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관리하고,
    상기 절전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호스트 OS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관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 변경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OS가 딥(deep) 절전 모드 후에 정상 동작을 재개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호스트 OS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가 상기 딥 절전 모드 후에 정상 동작을 재개하고 있는지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OS가 스탠바이(standby)로부터 기동(awake)하는지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는, 키잉(keying) 정보를 포함한, 오픈 네트워크 접속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는, 상기 호스트 OS와 독립적인 가상 기계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임베디드 펌웨어 에이전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호스트 OS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는,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의 임베디드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멀티 코어 처리 유닛의 전용 처리 코어 중의 어느 하나와 상기 호스트 OS 사이에서 상기 세션 콘텍스트를 교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와 관련한 상기 로밍 관리를 전환하는 단계는, IEEE 802.11r 표준과 호환가능한 로밍의 관리를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는 기계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를 구비하는 제조품으로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실행될 때, 기계로 하여금,
    무선 광대역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의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OS)에서 절전 동작 모드의 개시를 검출하는 동작과,
    상기 절전 동작 모드의 개시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 세션에 관한 세션 콘텍스트를,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 상의 상기 호스트 OS로부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전달하는 동작과,
    상기 호스트 OS가 상기 절전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에,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를 대신하여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로밍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되,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호스트 OS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관리하고,
    상기 절전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호스트 OS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가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를 관리하는
    제조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로부터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세션 콘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는, 무선 장치 드라이버를 통해서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세션 콘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조품.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OS로부터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 세션 콘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는, 상기 호스트 OS로부터, 상기 호스트 OS와 독립적인 가상 기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는 임베디드 펌웨어 에이전트,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의 임베디드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멀티 코어 처리 유닛의 전용 처리 코어 중의 하나로, 세션 콘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조품.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로밍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상기 콘텐츠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상에서 국부적으로 무선 접속 관리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을 제공하는 콘텐츠를 포함하는
    제조품.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기계로 하여금, 상기 절전 동작 모드로부터 정상 동작 모드로 동작을 전환하도록 상기 호스트 OS를 트리거(trigger)하는 이벤트를 위해 상기 무선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장치를 감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을 추가로 제공하는
    제조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기계로 하여금, 상기 정상 동작 모드로 전환하도록 상기 호스트 OS를 트리거하는 이벤트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호스트 OS로 갱신된 세션 콘텍스트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인스트럭션을 추가로 제공하는
    제조품.
  14.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을 실행하는 호스트 하드웨어 플랫폼 -상기 호스트 OS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여, 정상 동작 모드에서의 무선 접속을 관리함- 과,
    상기 호스트 OS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임베디드 에이전트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의 상기 무선 접속을 유지하고 상이한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 로밍하는 것을 포함하여, 상기 무선 접속을 상기 호스트 OS가 관리하지 않는 경우인 절전 동작 모드에서 상기 무선 접속을 관리함- 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의 상기 무선 접속의 관리를 전환하고, 상기 관리가 전환될 때, 상기 호스트 OS와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 사이에서 상기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네트워크 액세스 세션을 정의하는 세션 콘텍스트의 교환을 트리거하는 전달 로직과,
    상기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가 무선으로 접속중인 액세스 포인트로의 물리적 링크를 유지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프로세서 코어, 상기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하드웨어 플랫폼 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중 하나에서 실행되는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을 관리하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접속의 보안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을 관리하는 상기 임베디드 에이전트는, 상기 무선 접속의 QoS(Quality of Service) 파라미터를 유지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로직은 상기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의 복수의 세션에 대해 복수의 세션 콘텍스트의 교환을 트리거하는
    무선 클라이언트 장치.
KR1020107006686A 2007-09-28 2008-09-26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 KR101162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864,688 2007-09-28
US11/864,688 US8149747B2 (en) 2007-09-28 2007-09-28 Power saving operation of always-connected wireless roaming
PCT/US2008/077840 WO2009045890A2 (en) 2007-09-28 2008-09-26 Power saving operation of always-connected wireless roa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915A KR20100059915A (ko) 2010-06-04
KR101162848B1 true KR101162848B1 (ko) 2012-07-06

Family

ID=40508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6686A KR101162848B1 (ko) 2007-09-28 2008-09-26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149747B2 (ko)
EP (1) EP2193633A4 (ko)
JP (1) JP5043194B2 (ko)
KR (1) KR101162848B1 (ko)
CN (1) CN101809939B (ko)
TW (1) TWI392281B (ko)
WO (1) WO20090458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8091B1 (en) 2002-02-01 2003-12-02 @Security Broadband Corp. LIfestyle multimedia security system
US10444964B2 (en) 2007-06-12 2019-10-15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343380B2 (en) 2004-03-16 2022-05-2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automation
US10156959B2 (en) 2005-03-16 2018-12-1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7711796B2 (en) 2006-06-12 2010-05-04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20090077623A1 (en) 2005-03-16 2009-03-19 Marc Baum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11916870B2 (en) 2004-03-16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registry methods and systems
US8963713B2 (en) 2005-03-16 2015-02-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network with security alarm signaling system
US11277465B2 (en) 2004-03-16 2022-03-15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11159484B2 (en) 2004-03-16 2021-10-26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20170118037A1 (en) 2008-08-11 2017-04-27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for premises automation
US8635350B2 (en) 2006-06-12 2014-01-21 Icontrol Networks, Inc. IP device discovery systems and methods
US9609003B1 (en) 2007-06-12 2017-03-28 Icontrol Networks, Inc. Generating risk profile using data of home monitoring and security system
US11201755B2 (en) 2004-03-16 2021-12-14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0522026B2 (en) 2008-08-11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with three-dimensional display
US11190578B2 (en) 2008-08-11 2021-11-30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316958B2 (en) 2008-08-11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10237237B2 (en) 2007-06-12 2019-03-1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44545B2 (en) 2004-03-16 2022-02-08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20050216302A1 (en) 2004-03-16 2005-09-29 Icontrol Networks, Inc. Business method for premises management
US8988221B2 (en) 2005-03-16 2015-03-24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20160065414A1 (en) 2013-06-27 2016-03-03 Ken Sundermeyer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0127802B2 (en) 2010-09-28 2018-11-13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security system with parallel processing architecture
US10382452B1 (en) 2007-06-12 2019-08-1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489812B2 (en) 2004-03-16 2022-11-01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1582065B2 (en) 2007-06-12 2023-02-1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vice communication
US11677577B2 (en) 2004-03-16 2023-06-13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system management using status signal
US11113950B2 (en) 2005-03-16 2021-09-07 Icontrol Networks, Inc. Gateway integrated with premises security system
US11368429B2 (en) 2004-03-16 2022-06-21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s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ontrol
US10721087B2 (en) 2005-03-16 2020-07-21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for networked touchscreen with integrated interfaces
US10142392B2 (en) 2007-01-24 2018-11-27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system performance
US10313303B2 (en) 2007-06-12 2019-06-04 Icontrol Networks, Inc.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and network devices
US10375253B2 (en) 2008-08-25 2019-08-06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and gateway
US9191228B2 (en) 2005-03-16 2015-11-17 Icontrol Networks, Inc. Cross-client sensor user interface in an integrated security network
US9531593B2 (en) 2007-06-12 2016-12-27 Icontrol Networks, Inc.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0339791B2 (en) 2007-06-12 2019-07-02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811845B2 (en) 2004-03-16 2023-11-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9141276B2 (en) 2005-03-16 2015-09-22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10200504B2 (en) 2007-06-12 2019-02-05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9729342B2 (en) 2010-12-20 2017-08-08 Icontrol Networks, Inc. Defining and implementing sensor triggered response rules
US10999254B2 (en) 2005-03-16 2021-05-04 Icontrol Networks, Inc. System for data routing in networks
US20110128378A1 (en) 2005-03-16 2011-06-02 Reza Raji Modular Electronic Display Platform
US11700142B2 (en) 2005-03-16 2023-07-11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network integrating security system and network devices
US20120324566A1 (en) 2005-03-16 2012-12-20 Marc Baum Takeover Processes In Security Network Integrated With Premise Security System
US11496568B2 (en) 2005-03-16 2022-11-08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9306809B2 (en) 2007-06-12 2016-04-05 Icontrol Networks, Inc. Security system with networked touchscreen
US20170180198A1 (en) 2008-08-11 2017-06-22 Marc Baum Forming a security network including integrated security system components
US11615697B2 (en) 2005-03-16 2023-03-28 Icontrol Networks, Inc. Premise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10079839B1 (en) 2007-06-12 2018-09-18 Icontrol Networks, Inc. Activation of gateway device
US7899018B2 (en) * 2006-09-21 2011-03-01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ic resignation from ad hoc network
WO2008036938A2 (en) * 2006-09-21 2008-03-27 T-Mobile Usa, Inc. Wireless device registration, such as automatic registration of a wi-fi enabled device
US11706279B2 (en) 2007-01-24 2023-07-1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ata communication
US7633385B2 (en) 2007-02-28 2009-12-15 Ucontrol,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with and controlling an alarm system from a remote server
US8451986B2 (en) 2007-04-23 2013-05-28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lternate network access for telecommunications
US10051078B2 (en) 2007-06-12 2018-08-14 Icontrol Networks, Inc. WiFi-to-serial encapsulation in systems
US10523689B2 (en) 2007-06-12 2019-12-31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10666523B2 (en) 2007-06-12 2020-05-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646907B2 (en) 2007-06-12 2023-05-09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316753B2 (en) 2007-06-12 2022-04-26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389736B2 (en) 2007-06-12 2019-08-20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616075B2 (en) 2007-06-12 2020-04-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12192B2 (en) 2007-06-12 2021-12-28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423756B2 (en) * 2007-06-12 2022-08-23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0498830B2 (en) 2007-06-12 2019-12-03 Icontrol Networks, Inc. Wi-Fi-to-serial encapsulation in systems
US10423309B2 (en) 2007-06-12 2019-09-24 Icontrol Networks, Inc. Device integration framework
US11089122B2 (en) 2007-06-12 2021-08-10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among networks
US11218878B2 (en) 2007-06-12 2022-01-04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237714B2 (en) 2007-06-12 2022-02-01 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11601810B2 (en) 2007-06-12 2023-03-0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in integrated systems
US11831462B2 (en) 2007-08-24 2023-11-28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ling data routing in premises management systems
US11916928B2 (en) 2008-01-24 2024-02-27 Icontrol Networks, Inc. Communication protocols over internet protocol (IP) networks
US8364943B2 (en) * 2008-02-29 2013-01-29 Lenovo (Singapore) Pte. Ltd. S3 BIOS operating system switch
US8244274B2 (en) * 2008-03-18 2012-08-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wireless access point communications while traveling
US20090279502A1 (en) * 2008-05-09 2009-11-12 Nokia Corporation Internetworking between wman and wlan networks
US8121052B2 (en) * 2008-05-15 2012-02-21 Nokia Siemens Networks Oy Framework for internetworking between WMAN and WLAN networks
US20170185278A1 (en) 2008-08-11 2017-06-29 Icontrol Networks, Inc. Automation system user interface
US11729255B2 (en) 2008-08-11 2023-08-15 Icontrol Networks, Inc. Integrated cloud system with lightweight gateway for premises automation
US11792036B2 (en) 2008-08-11 2023-10-17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258625B2 (en) 2008-08-11 2022-02-22 Icontrol Networks, Inc. Mobile premises automation platform
US11758026B2 (en) 2008-08-11 2023-09-12 Icontrol Networks, Inc. Virtual device systems and methods
US8363617B2 (en) * 2008-08-27 2013-01-29 Symbol Technologies, Inc. Selecting an access point from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US20100159948A1 (en) * 2008-12-19 2010-06-24 Taproot Systems, Inc. Adaptive Networking For Power Savings
US9104406B2 (en) * 2009-01-0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etwork presence offloads to network interface
US8638211B2 (en) 2009-04-30 2014-01-28 Icontrol Networks, Inc. Configurable controller and interface for home SMA, phone and multimedia
JP5377091B2 (ja) * 2009-06-05 2013-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576142B1 (ko) * 2009-06-12 2015-1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무선랜 모듈의 전원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1048658A1 (ja) * 2009-10-19 2011-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複数の通信インターフェイス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該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1801123B (zh) * 2010-03-23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路由设备
EP2569712B1 (en) 2010-05-10 2021-10-13 Icontrol Networks, Inc. Control system user interface
US8836467B1 (en) 2010-09-28 2014-09-16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ed reporting of account and sensor zone information to a central station
US8964611B2 (en) * 2010-11-1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sume indicator for mobile device power conservation
US11750414B2 (en) 2010-12-16 2023-09-05 Icontrol Networks, Inc. Bidirectional security sensor communication for a premises security system
US9147337B2 (en) 2010-12-17 2015-09-29 Icontrol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logging security event data
EP2693341A4 (en) * 2011-03-29 2015-12-02 Fujitsu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B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9030979B2 (en) 2011-05-11 2015-05-12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ulti-threaded processor mobile devices
CN102281612A (zh) * 2011-07-13 2011-12-14 华为终端有限公司 接入点自动拨号的方法及装置
US9081703B2 (en) * 2011-09-15 2015-07-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es for facilitating sharing device connections between a host and client based on the power mode of the host
TWI488530B (zh) * 2011-12-19 2015-06-11 Acer Inc 處理網路連線的方法及其電子裝置
CN103188772A (zh) * 2011-12-27 2013-07-03 宏碁股份有限公司 处理网络连线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03313360A (zh) * 2012-03-15 2013-09-18 宏碁股份有限公司 省电方法及其通信装置
US9037887B2 (en) * 2012-09-26 2015-05-19 Intel Corporation Energy-efficient application content update and sleep mode determination
US9223388B2 (en) * 2013-01-29 2015-12-29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Power state transition saving session information
JP6399428B2 (ja) * 2014-02-24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11146637B2 (en) 2014-03-03 2021-10-1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US11405463B2 (en) 2014-03-03 2022-08-02 Icontrol Networks, Inc. Media content management
GB201621507D0 (en) * 2016-12-16 2017-02-01 Close Comms Ltd Controlling access and accessing a traffic network in a high density enviroment
US11166235B2 (en) 2017-03-02 2021-11-02 Carrier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wireless devices
CN110022596B (zh) * 2018-01-08 2021-11-19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终端待机状态的配置方法、装置及管理平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9899A1 (en) 2007-03-13 2009-03-05 Gil Bendelac Optimized packet processing architecture for battery powe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1309B (fi) * 1996-01-03 2003-06-30 Nokia Corp Tietoliikenneverkkoon radioteitse liitettävä päätelaite
US6779019B1 (en) * 1998-05-29 2004-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ushing information from a host system to a mobile data communication device
DE59912837D1 (de) * 1998-11-13 2005-12-29 Bosch Gmbh Robert Verfahren für einen stromsparenden betrieb von kommunikationsendgeräten in einem insbesondere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
JP3338818B2 (ja) * 1999-12-14 2002-10-28 エヌイーシー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無線lan端末のための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方式
US20030121027A1 (en) 2000-06-23 2003-06-26 Hines Kenneth J. Behavioral abstractions for debugging coordination-centric software designs
US6633769B2 (en) * 2000-07-24 2003-10-14 Symbol Technologies, Inc. Wireless access point software system
US6748548B2 (en) * 2000-12-29 2004-06-08 Intel Corporation Computer peripheral device that remains operable when central processor operations are suspended
US7898994B2 (en) * 2002-02-25 2011-03-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wer saving in multi-processor device
EP1347581A3 (en) * 2002-03-22 2004-11-17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7310535B1 (en) * 2002-03-29 2007-12-18 Good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wireless device
US7653727B2 (en) 2004-03-24 2010-01-26 Intel Corporation Cooperative embedded agents
US8027304B2 (en) * 2005-07-06 2011-09-27 Nokia Corporation Secure session keys context
US7620399B2 (en) * 2005-08-04 2009-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multiple modes using a single wireless receiver
US7500119B2 (en) 2005-12-21 2009-03-03 Intel Corporation Power saving techniques for use in communication systems, networks, and devices
TWI324455B (en) 2005-12-23 2010-05-01 Arcadyan Technology Corp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us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device
CN100388212C (zh) * 2006-02-08 2008-05-14 珠海金山软件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并能优化系统资源的装置和方法
DE602006000868T2 (de) * 2006-02-10 2009-04-09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Verfahren und System zur Einsparung von Batterieenergie in drahtlosen Geräten operierend in einem lokalen drahtlosen Netzwerk
US7953804B2 (en) * 2006-06-02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interface for a handheld device
US8601103B2 (en) * 2006-06-15 2013-12-03 Intel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enforcing authenticated network connection polic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59899A1 (en) 2007-03-13 2009-03-05 Gil Bendelac Optimized packet processing architecture for battery powe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5928A (en) 2009-08-16
KR20100059915A (ko) 2010-06-04
JP5043194B2 (ja) 2012-10-10
CN101809939A (zh) 2010-08-18
CN101809939B (zh) 2012-12-12
WO2009045890A3 (en) 2009-05-28
US8149747B2 (en) 2012-04-03
EP2193633A2 (en) 2010-06-09
US20090086660A1 (en) 2009-04-02
EP2193633A4 (en) 2015-10-07
WO2009045890A2 (en) 2009-04-09
US20120272079A1 (en) 2012-10-25
TWI392281B (zh) 2013-04-01
US8717958B2 (en) 2014-05-06
JP2010541414A (ja)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848B1 (ko) 상시 접속되는 무선 로밍의 절전 동작
US8761064B2 (en) Power savings through cooperative operation of multiradio devices
US8527017B2 (en) Power savings through cooperative operation of multiradio devices
US8566594B2 (en) Power savings through cooperative operation of multiradio devices
EP27269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to remote application servers
EP2823680B1 (en) Subscription management in dual sim single standby devices
CN106465460A (zh) 用于支持嵌入式uicc上的globalplatform使用的方法和设备
JP2021522743A (ja) 再開要求の拒否に伴うue挙動
US20170265069A1 (en) Wwan-wlan aggregation security
BR112020019864B1 (pt) Método e equipamento de usuário para um estabelecimento de conexão
TWI827607B (zh) 用於無線通訊交遞之裝置
US20150163657A1 (en) Wireless roaming method and access controller
JP2015516723A (ja) マシンツーマシン機器のためのページングサイクルを管理する手法
WO2010075738A1 (zh) 一种管理多模网元的方法、系统及多模网元
US11323879B2 (en) Device management
CN117158006A (zh) 用于提供多sim用户设备与网络之间通信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