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601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601B1
KR101162601B1 KR1020120001069A KR20120001069A KR101162601B1 KR 101162601 B1 KR101162601 B1 KR 101162601B1 KR 1020120001069 A KR1020120001069 A KR 1020120001069A KR 20120001069 A KR20120001069 A KR 20120001069A KR 101162601 B1 KR101162601 B1 KR 10116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coordinate
processor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이창훈
정충윤
윤성산
Original Assignee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아이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로 구성된 하나의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영역 외의 설정된 터치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터치 센서 또는 택트 키(Tact Key) 등을 두지 않고, 외관상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구축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Display Unit And Electronic Blackboard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해 화면 표시영역 외의 터치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은,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신호처리장치(400)로 구성된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터치스크린(310)과, 상기 터치스크린(3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좌표신호처리부(3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신호처리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330)와 화면설정에 관한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제어신호 입력버튼(340)과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350)를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장치(400)는 좌표신호처리부(320)에서 좌표신호처리된 접촉위치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모듈 처리부(410)와, 상기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330)로 송신하는 영상신호 생성부(420)와, 상기 제어신호 입력버튼(340)의 입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어기능처리부(350)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생성부(440)와, 상기 터치모듈 처리부(410)와 제어신호 생성부(440)와 영상신호 생성부(420)를 제어하는 제어부(430)를 구비하였다.
그런데, 종래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은 화면 설정에 관한 입력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터치 센서나 택트키(Tact Key) 등과 같은 제어신호 입력버튼를 구비함으로써, 시스템의 구성을 복잡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미관상 보기가 좋지 않아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영역 외의 설정된 터치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로 구성된 하나의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기능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신호는, 감지된 제2 접촉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신호로서, 메뉴모드 설정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은,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로 구성된 하나의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1 좌표신호처리부 및 제2 좌표신호처리부에서 각각 좌표신호처리된 제1 접촉위치 신호 및 제2 접촉위치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하나의 터치모듈 처리부와, 상기 제1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 송신하는 영상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능처리부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생성부와, 상기 터치모듈 처리부와 영상신호 생성부와 제어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신호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기능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메뉴모드 설정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영역 외의 설정된 터치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터치 센서 또는 택트 키(Tact Key) 등을 두지 않고, 외관상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구축할 있다. 이로 인해 소비자의 구매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제1 접촉위치 및 제2 접촉위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
도 3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크게 터치 스크린(110)과 터치 입력모듈(120)과 영상신호 처리부(130)와 제어기능 처리부(1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입력모듈(120)은 터치스크린(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125)와, 상기 터치스크린(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12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제어기능 처리부(140)는 제어신호를 처리한다. 이 때, 상기 제어신호는, 메뉴모드 설정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상에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기능과, 터치스크린(110)을 통해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자체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도록 터치 입력모듈(120)과 영상신호 처리부(130)와 제어기능 처리부(140)를 구동제어하는 제2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은,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처리 장치(200)를 구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스크린(110)과, 상기 터치스크린(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125)와 상기 터치스크린(110)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127)로 구성된 하나의 터치 입력모듈(120)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130)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신호처리 장치(200)는 상기 제1 좌표신호처리부(125) 및 제2 좌표신호처리부(127)에서 각각 좌표신호처리된 제1 접촉위치 신호 및 제2 접촉위치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하나의 터치모듈 처리부(210)와, 상기 제1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130)로 송신하는 영상신호 생성부(220)와,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능처리부(140)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생성부(230)와, 터치모듈 처리부(210)와 영상신호 생성부(220)와 제어신호 생성부(230)를 제어하는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신호처리장치(200)는 터치 입력포인트를 판독하고 디스플레이 영상신호를 구현하며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터치 입력모듈(120)과 영상신호 처리부(130)와 제어기능 처리부(140)를 구동제어하는 제2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메뉴모드 설정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은, 신호처리장치(200)의 제어부(240)에 연결되되, 볼륨업 또는 볼륨다운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은, 신호처리장치(200)의 제어부(240)에 연결되되, 키보드 및 마우스 중 하나 이상의 입력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10)은 손으로 접촉(touch)하면 그 위치를 입력받도록 하는 특수한 입력장치를 장착한 화면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일반 모니터의 화면에 터치패널(touch panel)이라는 장치를 덧붙여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터치패널은 좌우상하로 눈에 보이지 않는 적외선이 흐르게 하여 화면에 수많은 사각형 격자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손끝이나 기타 물체로 이 격자에 접촉하면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제1 접촉위치 및 제2 접촉위치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로서, 터치스크린(100)은 크게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A)과, 디스플레이 영역(A) 외의 설정된 터치 영역(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접촉위치(113)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A) 내의 위치를 의미하며, 제2 접촉위치(117)는 디스플레이 영역(A) 외의 설정된 터치 영역(B) 내의 위치를 의미한다. 특히 제2 접촉위치(117)는 복수의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설정된 터치 영역(B) 내에서 하나 이상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100) 상에 아이콘과 같이 소정형상으로 사용자가 인식가능하게 표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좌표신호처리부(125, 127)는 터치스크린(100) 상의 접촉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처리하는 구성으로서, 터치 모듈(120)을 형성한다.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130)는 디스플레이 영역(A)을 통해 신호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출력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기능처리부(140)는 신호처리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설정에 관한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메뉴모드 설정신호(화면크기 자동조정신호, 화면밝기조정신호, 화면색상조정신호, 화면수동조정신호, 설정초기화 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외부입력 모드설정신호, 상방향이동신호, 하방향이동신호, 온오프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입력 모드설정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연결된 복수의 입력신호 통신수단(예로써, RS232, LAN(Local Area Network), RS485, USB(Universal Serial Bus), WIFI) 중 하나의 통신수단을 선택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표시영역 외의 설정된 터치영역(제2 접촉위치)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외관상 화면설정 제어신호를 터치입력으로 구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자인을 심플하면서도 세련된 이미지로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의 관심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터치 센서 혹은 택트 키(Tact Key)를 두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은, 전자칠판 시스템의 신호처리장치(200)는 터치모듈처리부(210), 영상신호 생성부(220), 제어신호 생성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하는 컴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는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하겠다.
100, 3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310 : 터치 스크린
120: 터치 모듈 125: 제1 좌표신호처리부
127: 제2 좌표신호처리부 130, 330: 영상신호처리부
140: 제어기능 처리부 200, 400: 신호처리장치
210, 410: 터치모듈 처리부 220, 420: 영상신호생성부
230: 제어신호생성부 240, 430: 제어부
320: 좌표신호처리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의 제1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1 좌표신호처리부와 상기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영역 외의 설정된 영역의 제2 접촉 위치를 감지하여 좌표신호 처리하는 제2 좌표신호처리부로 구성된 하나의 터치 입력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통해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제어기능처리부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1 좌표신호처리부 및 제2 좌표신호처리부에서 각각 좌표신호처리된 제1 접촉위치 신호 및 제2 접촉위치 신호를 수신처리하는 하나의 터치모듈 처리부와, 상기 제1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영상신호처리부로 송신하는 영상신호 생성부와,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기능처리부로 송신하는 제어신호 생성부와, 상기 터치모듈 처리부와 영상신호 생성부와 제어신호 생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신호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터치 입력모듈과 영상신호처리부와 제어기능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위치 신호에 따라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메뉴모드 설정신호, 볼륨업 또는 상방향이동신호, 볼륨다운 또는 하방향이동신호, 외부입력 선택신호, 절전기능신호, 온오프신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20120001069A 2012-01-04 2012-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KR10116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69A KR101162601B1 (ko) 2012-01-04 2012-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069A KR101162601B1 (ko) 2012-01-04 2012-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601B1 true KR101162601B1 (ko) 2012-07-04

Family

ID=46716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069A KR101162601B1 (ko) 2012-01-04 2012-01-04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02B1 (ko) * 2016-04-15 2017-08-04 (주)컴버스테크 화면 밖의 부분이 터칭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전자칠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202B1 (ko) * 2016-04-15 2017-08-04 (주)컴버스테크 화면 밖의 부분이 터칭되면 미리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전자칠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849B1 (ko) 원격조정제어장치, 영상처리장치, 이를 포함하는 영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3764A (ko) 대화형 입력 시스템, 이를 위한 컨트롤러 및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는 방법
EP3399388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input method
EP3019937B1 (en) Gesture-sensitive display
KR2017009142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284B1 (ko) 원격 포인팅시스템
US9060153B2 (en)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626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시스템
US20120062477A1 (en) Virtual 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102996B1 (ko) 디스플레이용 원격 제어 장치
KR20110034137A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439737B1 (ko) 후면 입력 기능을 구비한 단말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단말 표시 제어 장치
KR20110095699A (ko) 디스플레이 단말기의 동작제어장치
KR101780973B1 (ko) 이종센서 통합형 정전식 터치 오버레이 장치
US20120182231A1 (en) Virtual Multi-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210157479A1 (en) Extended control device and image control method
KR102101565B1 (ko) 미디어 안내장치
CN111399626B (zh) 一种屏幕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101642279B1 (ko) 지향성 무선 신호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장치
KR20120131294A (ko) 포인터 표시방법 및 포인터 표시장치
KR20110009290A (ko) 원격 데이터 입력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데이터 입력 방법
US20110187641A1 (en) Computer pointing device with macro functionality
JP2015158928A (ja) 画像提供機器、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487797B1 (ko) 영상기기의키입력장치
JP5779683B2 (ja) 外部機器、制御方法、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