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458B1 -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 Google Patents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458B1
KR101162458B1 KR1020100129558A KR20100129558A KR101162458B1 KR 101162458 B1 KR101162458 B1 KR 101162458B1 KR 1020100129558 A KR1020100129558 A KR 1020100129558A KR 20100129558 A KR20100129558 A KR 20100129558A KR 101162458 B1 KR101162458 B1 KR 10116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construction
task
building
calc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114A (ko
Inventor
조광범
최태일
김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4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에 대한 3D 모델링으로부터 산출된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기반으로 공사에 대한 초기 예상 계획을 수립하되, 상기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된 공사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과 비교하여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고 공사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건설 시공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공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Method of construction planning of supertall buildings}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초고층 건물의 공사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 각국은 도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앞다투어 랜드 마크급 초고층 건설에 뛰어들고 있으며 그 수요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진행 또는 계획되고 있는 초고층 건물들은 대형화, 복잡화의 특성을 공통적으로 내포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프로젝트의 불확실성이 문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초고층에서의 골조공사는 철근, 거푸집, 콘크리트 공사들이 매층 반복되는 사이클형식의 적층식이므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은 초기공사계획은 전체공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공사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리스크를 줄이는 과정은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공사에 대한 초기 예상 계획을 수립하여 공사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공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부위객체와 상기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자원DB 및 상기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위객체 또는 상기 작업객체의 수정, 삭제 및 신규 생성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목표 작업시간은, 상기 건물의 층별 목표 일수와 일일 목표 작업시간을 곱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상기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눈 값의 올림 정수 또는 내림 정수의 개수로 수평 조닝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소작업은, 상기 대작업 내의 소작업 중에서 상기 부위객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단위 작업량이 동일한 특정 소작업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은, 상기 건물의 작업공간별 디멘젼, 상기 소작업별 공법, 상기 부위객체별 구조 및 상기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1차 계획에 대한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2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 일정을 단축시키도록, 상기 작업객체의 작업 순서, 상기 소작업별 공법, 또는 상기 부위객체별 소요되는 자원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에 대한 3D 모델링으로부터 산출된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기반으로 공사에 대한 초기 예상 계획을 수립하되, 상기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된 공사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과 비교하여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고 공사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건설 시공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공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건물의 작업공간별 디멘젼과 부위객체별 구조, 소작업별 공법 및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건물에 대한 2차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상기 작업객체의 작업 순서, 소작업별 공법 또는 상기 부위객체별 소요되는 자원의 개수 등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어서 예상 작업 일정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S110단계의 3D 모델링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S120단계를 위한 공사자원DB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S120단계로부터 산출되는 골조공사 WBS 트리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S120단계 중 부위객체와 작업객체의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상기 시스템(100)은 정보산출부(110), 객체생성부(120), 제1연산부(130), 제2연산부(140), 제1계획부(150), 제2계획부(1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알아본다.
먼저, 상기 정보산출부(110)에서는 건설하고자 하는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Dimension) 정보를 산출한다.(S110).
여기서, 상기 3D 모델링은 건설 대상 프로젝트에 대한 골조 공사 3D 모델링에 해당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정보산출부(110)는 상기 산출된 각 부위별 디멘젼 정보를 데이터 파일로 저장한다. 이는 추후 해당 정보의 조회 및 이를 이용한 연산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도 1의 S110단계의 3D 모델링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3D 모델링에는 상기 건물의 전체적인 형상과 디멘젼, 각 층별 디멘젼 및 좌표, 각 부위별 디멘젼 및 좌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즉, 상기 3D 모델링으로부터 각 부위별 형상정보 뿐만 아니라 디멘젼 정보가 얻어진다.
상기 S110단계 이후에는,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한다(S120). 이러한 S120단계는 상기 객체생성부(120)에서 수행한다.
도 4는 도 1의 S120단계를 위한 공사자원DB의 예를 나타낸다. 이러한 공사자원DB에는 대작업에 대한 소작업, 소작업별 사용 가능한 공법, 그에 대한 해당 ID, 시간당 작업량, 작업 단위, 시간당 비용, 민감도, 물량 타입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S120단계에 의해, 건물의 부위별 BOM(Bill Of Material) 정보와 작업분류 체계(WBS;Work Breakdown Structure)가 자동 산출된다. 상기 BOM에 따르면 상기 각 부위에 대한 재료적 정보 즉, 자재 정보 등을 알 수 있으며, 상기 WBS에 따르면 공법에 따른 골조공사 프로세스 트리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S120단계로부터 산출되는 골조공사 WBS 트리의 예시도이다. 도 5의 부위 레벨 부분을 참조하면, 상기 부위는 건물의 각 부분을 구성하는 형태적 최소 단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기둥, 벽, 바닥, 보, 사재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부위 레벨의 하부에는 대공사 레벨과 소공사 레벨이 존재한다. 이는 각 부위별 필요한 대작업 공사와 소작업 공사 레벨을 의미한다.
아래의 표 1은 상기 S120단계에서 생성되는 부위객체에 대한 예로서, 부위객체의 종류에 해당된다.
Figure 112010083243139-pat00001
상기 부위객체의 종류는 기둥, 벽, 바닥, 보, 사재 등으로 구분되고, 동일 종류의 부위객체 내에서도 부위마다 식별코드(ex, 기둥1, 기둥2, 기둥3)가 부가되어 있다.
표 2는 은 상기 S120단계에서 생성되는 작업객체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다. 표 2에서 대작업은 재료 구분에 의한 기준이며, 소작업은 인력 또는 장비에 따른 방법에 의한 기준을 나타낸다.
Figure 112010083243139-pat00002
상기 작업객체는 각각의 부위객체에 대해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를 정의한 것으로서, 각 부위객체에 대해 대작업과 소작업으로 나뉜다. 즉, 부위객체와 작업객체는 1:N의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표 2의 경우는 1개의 부위객체1(ex, 기둥 1)에 대해 총 13개의 작업객체가 존재하는 예이다. 그 중 작업객체1은 '부위객체1(기둥1)에 대한 철근 양중작업'을, 작업객체2는 '부위객체1에 대한 철근 설치작업'을, 작업객체3은 '부위객체1에 대한 철근 잡작업'을 의미한다. 물론, 작업객체4는 '부위객체1에 대한 거푸집 양중작업'을, 작업객체13은 '부위객체1에 대한 철골 접합작업'을 나타낸다.
이러한 S120단계의 경우, 상기 공사자원DB 및 상기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위객체 또는 상기 작업객체의 수정, 삭제 및 신규 생성이 가능하다. 즉, S120단계는 상기 공사자원DB 및 상기 디멘젼 정보를 통해 얻어지는 부위객체, 작업객체의 정보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부위객체나 작업객체의 수정, 삭제, 신규 생성(삽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사 계획의 효율성을 높인다.
도 6은 도 1의 S120단계 중 부위객체와 작업객체의 편집을 가능하게 하는 화면 구성도이다. 대소공사 생성 화면에서 소공사 부분은 각 소공사별 인력, 장비, 자재 타입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소공사의 각 정보에 대한 편집, 삭제,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화면 아래의 상위 공사 부분에서 column, slab, wall은 각각 부위객체를 의미하고, 부위객체의 하부에는 각각의 대공사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colomn 부위객체에 대한 대공사는 철근공사, 거푸집공사, 콘크리트 공사가 포함된다. 물론, 이러한 각 대공사의 신규 생성, 삭제가 가능하고, 대공사별로 소공사를 등록, 수정,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S120단계 이후, 상기 제1연산부(130)에서는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한다(S130). 여기서, 상기 '특정 소작업'이란, 상기 대작업 내의 소작업 중에서 상기 '부위객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단위 작업량이 동일한 특정 소작업'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단위 작업량이란 시간당 작업량을 의미할 수 있다.
표 2에서 '콘크리트 타설'의 대작업을 예를 들어 본다. '콘크리트 타설' 대작업 내의 3개의 소작업(준비 작업, 타설 작업, 마무리 작업) 중에서 '준비 작업'과 '마무리 작업'은 부위객체의 종류(기둥, 벽, 바닥 등)에 따라 단위 작업량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부위객체의 종류에 따라 준비 과정과 마무리 과정이 상이한 속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작업 내의 3개의 소작업 중, '타설 작업'의 경우, 부위객체의 종류(기둥, 벽, 바닥 등)에 관계없이 단위 작업량이 동일하다. 예를 들면, 타설 작업은 콘크리트 펌프가 사용되는데, 콘크리트 펌프의 작업은 부위의 종류와 관계없이 단위 작업량이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즉, 타설 작업의 경우는 부위객체의 종류와 무관하게 단위 작업량의 변동이 없는 특정 소작업에 해당된다.
부위객체의 종류에 따라 단위 작업량에 변동이 생기는 다른 소작업을 기준으로 작업량을 합산하다 보면, 이후 건물 공사에 필요한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오류가 발생하여, 초기 계획이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기 S130 단계는, 해당 대공사 내에서도, 부위객체의 종류와 무관하게 단위 작업량이 동일한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한다. 물론, 상기 작업량이란, 앞서 공사자원DB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표 2를 참조하여,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작업에 대하여 특정 소작업(타설 작업)에 대한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즉, '콘크리트 타설' 대작업 중에서, [기둥1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기둥2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기둥3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기둥4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기둥5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기둥5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벽1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 + ... + 벽6의 '타설 작업'에 필요한 작업량]을 환산한다. 이는 단지 상기 S130단계의 설명을 위한 예로서, 상기 부위객체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상기 합산에 필요한 요소가 더 많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S130단계 이후, 상기 연산된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상기 제2연산부(140)에서 산출한다(S140).
만약, 상기 '콘크리트 타설' 대작업에 대하여 산출된 작업량의 총합(A)은 4000, 상기 '타설 작업' 객체의 생산성(B)은 100/hour, 상기 '타설 작업' 에 할당되는 자원수(ex, 장비; 타워크레인, 펌프기계 등)(C)는 1개인 경우, 상기 예상 작업시간은 다음과 같다.
[예상 작업시간] = A/(B×C) = 4000/(100×1)= 40 hour
즉, 이에 따라 특정 대작업 즉, '콘크리트 타설'에 대한 작업 예상 시간은 40시간으로 산출된다. 이러한 예상 작업시간은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B)과 할당 자원수(C)가 클수록 감소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작업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상기 S140단계 이후에는,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제1계획부(150)에서 수립한다(S150).
여기서, 상기 목표 작업시간은 다음과 같다.
[목표 작업시간] = 건물의 층별 목표 일수 × 일일 목표 작업시간
만약, 건물의 층별 목표 일수는 3일, 일일 목표 작업시간은 8시간인 경우, 상기 목표 작업시간은 24시간이 된다.
그런데, 상기 예상 작업시간은 40 시간인데, 목표 작업시간은 24시간이므로 작업시간을 보다 단축하기 위한 방안을 세워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눈 값을 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24를 40으로 나눈 값은 1.7로 연산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 조닝의 개수는,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상기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눈 값의 올림 정수 또는 내림 정수의 개수로 수평 조닝을 구성한다. 즉, 1.7로 연산된 경우, 수평 조닝의 개수를 2(올림 정수) 또는 1(내림 정수)로 설정한다.
수평 조닝의 개수가 2인 경우, 수평 공간에 대한 존(zone)이 2개로 나눠진 상태에서 2개의 존에서 공사가 동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예상 작업시간인 40 시간을 그 절반인 20시간으로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목표 작업시간(24 시간)보다 4시간 단축된 시공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수평 조닝의 개수를 1로 설정하면, 수평 공간에 대한 존이 1개이므로 상기 예상 작업시간 40시간 그대로 시공된다. 이는 목표 작업시간보다 예상 작업시간이 어느 정도 초과되어도 무관한 경우에 대해서만 수행한다. 즉, 목표 작업시간과 예상 작업시간 사이의 차이에 대한 임계치를 정하여, 상기 차이가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나눈 값의 내림 정수의 개수로 수평 조닝을 구성하여도 무관하다.
다음, 상기 S150단계 이후에는, 상기 건물의 작업공간별 디멘젼, 상기 소작업별 공법, 상기 부위객체별 구조 및 상기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1차 계획에 대한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2차 계획을 상기 제2계획부(160)에서 수립한다(S160).
여기서, 상기 S160단계는, 상기 작업객체의 작업 순서, 상기 소작업별 공법, 또는 상기 부위객체별 소요되는 자원(ex, 인력, 장비)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작업 일정을 단축시키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각 층의 디멘젼(크기 등)과 부위객체의 구조적인 속성(geometry)을 고려하여, 투입 인력이나 장비의 수를 늘리거나, 특정 부위객체의 소작업에 대해 설정된 공법을 다른 공법으로 변경하거나, 각 작업객체의 적업 순서를 변경하여 작업 시간을 줄이도록 한다.
상기 1차 계획 시에는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가 고려되지 않은 경우지만, 상기 2차 계획을 통해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를 적용(순서 수정 등)하여 공사 일정을 단축시킨다. 예를 들어, 매일의 공사 일정 중 비어 있는 틈새 시간을 활용하여 상기 작업의 순서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틈새 시간 메꾸어 가면서 최종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층 건물에 대한 3D 모델링으로부터 산출된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기반으로 공사에 대한 초기 예상 계획을 수립하되, 상기 디멘젼과 공사자원DB 정보를 바탕으로 연산된 공사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과 비교하여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고 공사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건설 시공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공사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작업공간별 디멘젼, 부위객체별 구조, 소작업별 공법 및 작업객체의 선후행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 건물에 대한 2차적인 계획을 수립함에 따라 예상 작업 일정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작업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자원의 생산성을 활용하여 공사 일정을 생성하는 골조공사 초기계획 시뮬레이션 툴로 사용할 수 있어서 소공사의 작업부터 부위의 세부 객체까지 공사일정 산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공사계획을 보다 세밀하게 구성 및 검토할 수 있어, 초기공사 계획에 대한 신속한 예측과 의사결정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시스템
110: 정보산출부 120: 객체생성부
130: 제1연산부 140: 제2연산부
150: 제1계획부 160: 제2계획부

Claims (7)

  1. 삭제
  2. 시스템에 의한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있어서,
    정보산출부가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생성부가 상기 시스템의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계획부가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위객체와 상기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공사자원DB 및 상기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부위객체 또는 상기 작업객체의 수정, 삭제 및 신규 생성이 가능한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3. 시스템에 의한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있어서,
    정보산출부가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생성부가 상기 시스템의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계획부가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작업시간은,
    상기 건물의 층별 목표 일수와 일일 목표 작업시간을 곱한 값을 나타내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상기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눈 값의 올림 정수 또는 내림 정수의 개수로 수평 조닝을 구성하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5. 시스템에 의한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에 있어서,
    정보산출부가 초고층 건물의 3D 모델링으로부터 상기 건물의 각 부위별 디멘젼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부위별 수행되는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공사자원DB, 그리고 상기 산출된 디멘젼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생성부가 상기 시스템의 상기 부위의 종류를 정의하는 부위객체와, 상기 부위객체별 수행되는 작업의 종류인 대작업과 소작업 및 공법을 정의하는 작업객체를 각각 생성하는 단계;
    제1연산부가 상기 대작업 내의 특정 소작업에 대한 모든 부위객체들의 작업량의 총합을 산출하는 단계;
    제2연산부가 상기 작업량의 총합에 상기 특정 소작업의 생산성과 상기 특정 소작업에 할당되는 자원수를 반영하여 예상 작업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1계획부가 상기 예상 작업시간을 목표 작업시간으로 나누어 수평 조닝의 구성 개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건물에 대한 1차 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 소작업은,
    상기 대작업 내의 소작업 중에서 상기 부위객체의 종류와 관계없이 단위 작업량이 동일한 특정 소작업을 나타내는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00129558A 2010-12-17 2010-12-17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KR10116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58A KR101162458B1 (ko) 2010-12-17 2010-12-17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558A KR101162458B1 (ko) 2010-12-17 2010-12-17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14A KR20120068114A (ko) 2012-06-27
KR101162458B1 true KR101162458B1 (ko) 2012-07-04

Family

ID=46686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558A KR101162458B1 (ko) 2010-12-17 2010-12-17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4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585B1 (ko) * 2018-02-19 2023-12-12 양경옥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KR102112748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9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타워크레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7B1 (ko) * 2018-11-28 2020-05-21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수직 관계와 수평 관계를 이용한 건설 공사 통합 일정 계획 방법과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39974B1 (ko) * 2019-01-18 2019-11-04 주식회사 글로텍 객체의 위치별 작업분류체계와 자동 수량 산출을 이용한 wbs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14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458B1 (ko) 초고층 건물 공사계획 방법
KR101692586B1 (ko) Bim을 이용한 건축 개산견적을 위한 단위단가 정보 연산 및 분류 방법
Nagaraju et al. Resource Management in Construction Projects–a case study
Huang et al. Planning gang formwork operations for building construction using simulations
KR101755901B1 (ko) 건설생산계획 산출을 위한 bim 연동 생산성 시뮬레이션 방법
Zahraee et al. Combined use of design of experiment and computer simulation for resources level determination in concrete pouring process
CN105069524A (zh) 基于大数据分析的计划调度优化方法
CN114036611A (zh) 一种混凝土布料机及其混凝土浇筑路径规划方法
Lee et al. Automated system for form layout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standard forms and improve work efficiency
Wu et al. BIM-based estimation of vertical transportation demands dur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Safa et al. A decision-making method for choosing concrete forming systems
Tam et al. Evaluation of construction methods and performance for high rise public housing construction in Hong Kong
Zhou et al. BIM-based energy consumption assessment of the on-site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al systems
KR20230169923A (ko) 공동주택 골조공사 작업자의 개인별 작업배정 장치 및 방법
De Wolf et al. Embodied carbon benefits of reusing structural components in the built environment: A medium-rise office building case study
Yuan et al. Simulating and optimizing precast wall lifting in prefabricated building construction
KR102112748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토공량과 골조량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112749B1 (ko) 통합 일정 계획을 이용한 건설 공사 타워크레인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Okodi-Iyah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prefabrication versus conventional construction in UAE’s construction industry
Zayed et al. Slip-form application to concrete structures
Kanavaris et al. Reducing the embodied carbon of concrete-framed buildings through improved design and specification: Influence of building typologies, construction types and concrete mix
Thomas et al. Symbiotic crew relationships and labor flow
Wu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the vertical transportation demands during the construction of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Nadoushani et al. A computational framework for estimating the carbon footprint of construction
CN109583102A (zh) 一种钢筋混凝土支撑设计的优化方法、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