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22B1 -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 Google Patents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22B1
KR101162222B1 KR1020107018885A KR20107018885A KR101162222B1 KR 101162222 B1 KR101162222 B1 KR 101162222B1 KR 1020107018885 A KR1020107018885 A KR 1020107018885A KR 20107018885 A KR20107018885 A KR 20107018885A KR 101162222 B1 KR101162222 B1 KR 10116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information
signal
st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138A (ko
Inventor
이기동
민정원
리 시앙 순
슈 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1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51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84Relative positi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국은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요청된다. 파일럿 신호 보고는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이동국의 위치는 식별된 파일럿 신호들에 따라 결정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보고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수신된다.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동국의 위치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의 보고에서 수신된 정보와 이동국으로부터의 기지국의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Description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MOBILE STATION ASSISTED LOCATION BASED SERVICE}
본 발명은 이동국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으면, 전지구 위치 파악 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신호에 대한 액세스(access)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국들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시를 쉽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시를 쉽게 하기 위해, 네트워크가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기지국은 이동국에 요청하여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도록 한다. 기지국은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한 이동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 보고를 받는다. 기지국은 식별된 파일럿 신호들에 따라 이동국의 위치가 결정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 자원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보고를 수신한다.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하나 이상의 지원국(assisting station)으로부터의 보고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로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시를 위해 기지국은 이동 이동국로부터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주파수와 전송 시간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레인징 코드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수신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의 위치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레인징 신호에 따라 결정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page monitoring interval) 동안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수신될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도록 알린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지원국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이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보고가 수신되는 시간은 랜덤화 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지원국 중 한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의 시작을 하나 이상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지원국 중 다른 지원국의 다른 페이지 모니터 간격의 시작과 정렬시킨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임계값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수신된 레인징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보다 크면,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신호는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지원국이 이동국으로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의해 식별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하거나 하나 이상의 지원국이 GPS-이네이블드(enabled)이면,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와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적어도 GPS 위치, 또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모니터된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신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는 이동국으로부터 신호의 도착시간, 이동국으로부터 신호의 도착시간과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참조 시간 사이의 시간 오프셋, 이동국으로부터의 레인징 신호의 측정된 신호 세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지원국은 페이지 모니터 간격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지원국은 이동국으로부터 레인징 신호를 수신한다. 하나 이상의 지원국은 기지국으로 보고를 전송한다.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으로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의해 식별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신호가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모니터되거나, 하나 이상의 지원국이 GPS-이네이블드(enabled)이면, 보고는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수신된 레인징 신호의 세기가 자원 할당 신호의 식별된 임계값보다 크면, 보고는 전송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상기 정보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적어도 GPS 위치, 또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 의해 모니터된 하나 이상의 파일럿 신호 및 적어도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도착시간,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참조 시간과 이동국으로부터의 신호의 도착시간 사이의 시간 오프셋, 또는 이동국으로부터의 레인징 신호의 측정된 신호 세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국은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동국은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파일럿 신호 보고를 전송한다. 이동국은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명령들들과 함께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한다. 이동국은 상기 레인징 신호를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은 이동국과 기지국만 아는 알고리즘을 기초로 레인징 신호를 위한 레인징 코드를 선택한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국은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국이 제공된다. 제어부는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동국에 요청한다. 제어부는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이동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 보고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식별된 파일럿 신호들에 따라 이동국의 위치가 결정될 수 없음을 결정한다. 제어부는 이동국으로 자원 할당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보고를 수신한다.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의 보고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이동국의 상기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국이 제공된다. 지원국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지원국의 제어부는 페이지 모니터 간격 동안 하나 이상의 지원국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이동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원국의 레인징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보고를 전송한다. 보고는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 이동국이 제공된다. 이동국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기 위해 기지국으로 파일럿 신호 보고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명령들들과 함께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는 상기 레인징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이동국에 요청하여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고,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한 이동국으로부터 파일럿 신호 보고를 받으며, 식별된 파일럿 신호들에 따라 이동국의 위치가 결정될 수 없음을 결정하고, 이동국으로 자원 할당 신호를 전송하며,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를 수신하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하나 이상의 지원국으로부터의 보고에서 수신된 정보에 따라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시를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이동국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지원국들의 지원를 개시하고, 상기 지원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지국이 두 개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로부터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지국이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과 다른 지원국으로부터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국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 이상의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는 한개의 유닛(unit)으로 결합될 수 있고, 또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들 중 일부는 두 개 이상의 더 작은 유닛들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의 예들로는 위성 채널과 지상 채널을 포함한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들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방송 신호들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전송하거나 이전에 생성된 방송 신호들 및/또는 이전에 생성된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한다. 방송 관련 정보의 예들로는 방송 채널 정보,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의 예들로서,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거나,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한다.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국(1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외에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과 같은 다양한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동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들은, 이동국(100)이 음성 호 신호들,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들을 송수신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이동국(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과 같은 다양한 근거리 통신 기술들을 이용 수 있다.
GPS 모듈(119)은 복수의 GPS 위성들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들 또는 비디오 신호들을 수신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도 2를 참조한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다양한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121)에 의해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이동국(100)의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국(100)은 2개 이상의 카메라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은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전송하여 컨버젼(conversion)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마이크(12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이동국(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자 입력에 기반한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만약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 패드로서 포함되고, 디스플레이부(151)를 따라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를 형성한다면, 사용자 입력부(130)와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로서 터치 스크린으로 취급 가능할 것이다.
센싱부(140)는 이동국(100)의 개폐 상태, 이동국(100)의 위치, 이동국(100)과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은 이동국(100)의 현재 상태를 결정한다. 또한, 센싱부(140)는 이동국(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국(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센싱부(140)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에 의해 이동국(100)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센싱부(140)는 가속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 센서들은 가속 변화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장치이다. 최근 MEMS(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기술의 발달과 함께, 가속 센서들이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제품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속 센서는 자동차를 위한 에어백 시스템에 설치될 수 있고, 충돌을 탐지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다른 방도로, 가속 센서는 컴퓨터 게임을 위한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 게임 도중 사람 손의 동작을 센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축 방향들을 나타내는 2개 또는 3개의 가속 센서(143)들이 이동국(10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방도로, Z축을 나타내는 오직 한 개의 가속 센서(143)가 이동국(100)에 설치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들, 비디오 신호들과 알람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국(1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100)이 통화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통화를 하거나 수신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국(100)이 화상 통화모드이거나 촬영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하거나 수신하기 위해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와 사용자 입력부(130)가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를 형성하고,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뿐만이 아니라 입력 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 패널과 터치 스크린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이동국(100)의 외부에 부착된 투명한 패널이고, 이동국(100)의 외부 버스와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것인지 여부를 모니터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로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부로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여 신호들을 전송한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 패널에 의해 전송된 상기 신호들을 처리하여, 처리된 신호들을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발생된 것인지 여부와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부에 의해 전송된 처리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일부가 터치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사용자 입력부(130)가 상호 레이어(layer) 구조를 형성하면, 터치스크린으로 기능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뿐만이 아니라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00)는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100)은 외부 디스플레이부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통화 수신 모드, 통화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또는 방송 수신 모드에서 무선 통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메모리(160)의 현재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3)은 통화나 메세지를 수신하는 것과 같은 이동국(100)의 기능들과 관련 있는 다양한 음향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55)는 이동국(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국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수신 등이 있다. 알람부(155)에 의해 출력된 알람 신호의 예로는 오디오 신호, 비디오 신호나 진동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5)는 호 신호 또는 메세지를 받게 되면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알람부(155)는 키 신호를 받고, 키 신호에 대한 피드백으로서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진동 신호가 알람부(155)에 의해 출력되면, 사용자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에 대해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에게 이벤트의 발생을 알리는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음향 출력 모듈(153)에 의해 출력될 수 있을 것이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는 일시적으로 전화번호부, 메세지들,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등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국(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국(100)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배터리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카드와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터미널, 이어폰 등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이동국(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 전송하거나 이동국(1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국(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송/수신 음성 통화, 음성 호, 송/수신 데이터, 또는 송/수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하여 다양한 제어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데이터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모듈(181)은 하드웨어 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180)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방도로, 멀티미디어 재생모듈(181)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전원 공급부(190)는 외부 전원이나 내부 전원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이동국(1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지원국들의 지원를 개시하고, 상기 지원국들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를 통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기지국은 무선 통신국이다. 기지국들과 이동국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라 통신을 손쉽게 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이동국들은 기지국이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여, 지역 기반 서비스(LBS:location based service)가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이하, LBS MS라 칭한다)에 의해서도 이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시간 분할 이중 통신(TDD:time divisional duplex) 시스템에서 다른 이동국들은 기지국이 불충분한 개수의 포워드 링크(FL:forward link) 파일럿들을 제공하는 LBS MS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다른 지원국들은 GPS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국들, 좀 더 적합하게 다수의 파일럿들을 해석할 수 있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한 이동국들,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에 의해 보고받지 않은 FL 파일럿을 수신하는 이동국들과 고정된 이동국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이 LBS MS로부터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한 이후, 기지국은 LBS MS가 GPS 정보를 제공하도록 요청한다(S10). LBS MS는 GPS 이네이블드(enabled)가 아니므로, LBS MS는 기지국이 LBS MS가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하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도록 기지국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기지국은 LBS MS가 LBS MS에 의해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도록 요청한다(S11). LBS MS는 모니터된 파일럿 신호들을 식별하고, 파일럿 신호 보고를 통해서 기지국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파일럿 신호 보고는 고급 포워드 링크 삼변 측량(AFLT:advanced forward link trilateration) 측정값들을 포함한다.
기지국은 LBS MS로부터 파일럿 신호 보고를 수신한다(S12). 기지국이 LBS MS의 지역/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LBS MS로부터의 AFLT 측정값들이 불충분한 데이터(예를 들명, 세 개의 파일럿들보다 적은 측정값들)를 나타내면(S13), 기지국은 자원 할당 신호(예를 들명, 레인징 슬롯/코드)를 레인징 신호를 전송하라는 명령들과 함께 LBS MS로 전송한다(S14).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특정 페이징 간격(즉, 페이지 모니터 간격/시간)을 정렬받는다. 일 실시예로서,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을 위한 특정 페이징 간격들이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LBS MS로부터 불충분한 데이터와 함께 AFLT 측정값들을 수신하게 되면, 기지국들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의 페이징 간격의 시작에서 방송된 자원 할당 신호를 제어 채널을 통해 LBS MS로 전송한다. 자원 할당 신호는 자원 할당 블록(block)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원 할당 블록은 LBS MS에 의해 보고 되어진 모니터된 파일럿들뿐만 아니라 레인징 신호를 위한 레인징 코드(예를 들면, 레인징 파형, CDMA 코드), 주파수, 전송 시간과 LBS MS의 레인징 신호의 품질 임계값 등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자원 할당 블록은 레인징 코드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레인징 신호를 위한 레인징 코드는 오직 LBS MS와 기지국만 아는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LBS MS에 의해 선택된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정렬된 페이징 간격 동안 페이지를 모니터할 때,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또한 자원 할당 신호를 받고(S15),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에게 LBS MS를 지원하라는 요구를 알린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정렬된 서브 채널들에서 LBS MS의 레인징 신호/코드(예를 들어, CDMA 코드)와 LBS MS의 시간 슬롯을 청취한다(S15).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자원 할당 블록에서 식별된 품질 임계값보다 더 큰 품질을 가진 LBS MS의 레인징 신호를 수신하면(S16),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자신의 위치, LBS MS로부터 신호의 도착시간 및/또는 참조시간과 LBS MS로부터의 도착시간 사이의 시간 오프셋과 LBS MS로부터의 레인징 신호의 측정된 신호 세기를 보고하기 위하여 기지국으로 액세스(access)한다(S17). 일 실시예로서,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온/오프된 플래그(flag)를 통해 시간 오프셋의 측정과 신호 세기 측정을 생략할 수 있다.
LBS MS는 자신의 전송 파워(power)를 알릴 필요가 있을 수 있지만, 알릴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전송 파워(power)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기지국은 지원하는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에 의해 보고된 신호 세기들의 차이를 비교하거나 자신의 측정된 신호 세기를 비교할 수 있다. 그 이후, 충분한 수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기지국에 반응하여 LBS MS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충분해지면(S18), 기지국은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LBS MS의 위치를 결정한다(S19).
불충분한 수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기지국에 반응하여 LBS MS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불충분하면(S18), 기지국은 다른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의 페이징 시간 동안 LBS MS로 자원 할당 신호를 방송할 수 있다(S14). 다른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정렬된 서브 채널들에서의 LBS MS의 레인징 신호와 LBS MS의 시간 슬롯에 대해 청취할 수 있다(S15). 다른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자원 할당 블록에서 인식된 품질 임계값보다 더 큰 품질을 갖는 LBS MS의 레인징 신호를 수신하면(S16), 다른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액세스(access)하여 보고한다(S17).
일 실시예에서, 지원하는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이 LBS MS에 의해 측정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파일럿을 관측하지 않으면,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보고하지 않는다.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다른 지원하는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FL 파일럿들의 위상 측정값과 자신의 참조시간과 LBS MS 신호의 도착시간 사이의 시간 오프셋을 보고한다. 그 이후, 충분한 수의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기지국에 대응하여 LBS MS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가 충분해지면(S18), 기지국은 상기 정보로 LBS MS의 위치를 결정한다(S19).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S15에서의 다른 지원하는 이동국들은 첫번째 경로(pass)에서는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고,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로부터 정보가 불충분하면 두번째 경로(pass)에서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S15에서의 다른 지원하는 이동국들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과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을 모두 포함하는, 어떤 지원하는 이동국들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21)이 2개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24, 25)로부터 MS(23)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20)이다. MS(23)는 기지국(21)에 연결된다.
GPS 능력(capability)이 없는 MS(23)는 오직 한 개 섹터 파일럿만을 관측할 수 있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24, 25)이 페이지 모니터 간격을 위해 웨이크 업(wake up) 되면, 기지국(21)은 MS(23)를 위한 레인징 슬롯/코드를 정렬하고, 자원 할당 신호를 통해 이러한 정보를 전송한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24, 25)은 자원 할당 신호에서 제공된 임계값 품질보다 큰 품질을 가지는 MS(23)의 레인징 신호를 받게 되면, 자신들의 위치들과 MS(23)의 타이밍(timing) 정보를 보고한다. "패스트 무빙(fast moving)" 즉, 빠른 속도를 가진 것으로 간주 되는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응답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라, 기지국(31)이 한 개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4)과 다른 지원하는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5)으로부터 MS(33)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0)이다. MS(33)는 기지국(31)에 연결된다.
GPS 능력(capability)이 없는 MS(33)는 오직 한 개 섹터 파일럿만을 관측할 수 있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4)과 다른 지원하는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5)이 페이지 모니터 간격/시간을 위해 웨이크 업(wake up) 되면, 기지국(31)은 MS(33)를 위한 레인징 슬롯/코드를 정렬하고, 자원 할당 신호의 정보를 전송한다.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4)은,자원 할당 신호에서 제공된 임계값 품질보다 큰 품질을 가지는 MS(33)의 레인징 신호를 받게 되면, 자신의 GPS 위치와 MS(33)의 타이밍(timing) 정보를 보고한다. 다른 지원하는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35)은, 자원 할당 신호에서 제공된 임계값 품질보다 더 큰 품질을 가지는 MS(33)의 레인징 신호를 받고, 기지국(31) 이외의 파일럿을 감지하면, MS(33)의 측정값을 보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911 통화들을 위해 본 발명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또한 911 통화 시나리오 이외에도 실내 쇼핑몰의 가게들을 찾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큰 실내 쇼핑몰에서, 본 발명은 소비자들이 특정 가게들을 찾는 것을 돕기 위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쇼핑몰 내에 있는 가게들은 이용자들이 그들의 가게를 방문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광고들을 제공한다. 상기 광고들은 GPS 위치들을 포함한다. GPS는 실내에서는 이용할 수 없을 수 있지만, 쇼핑몰의 외부에서 가까이에 있는 다른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 또는 모바일 릴레이(relay)들은 쇼핑몰 내에서 GPS에 대한 엑세스(access)를 가지고 있지 않은 이동국들이 특정 가게들을 찾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릴레이(relay)들은 이동국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데, 이는 기지국들과 릴레이국들 모두가 이동국으로 전송하고,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국은 릴레이국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의 위치 정보는 기지국보다는 LBS MS로 보내질 수 있다. 이때, LBS MS는 다른 지원국들로부터 신호들의 도착시간 차이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 신호를 측정하고, 신호를 디코딩하고, 기지국으로 신호를 보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논(non)-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 이외에도,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은 GPS 신호를 받을 수 없는 등의 장소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 방법과 장치로 지원받는 이동국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지국들은 LBS MS에 대해 보고할 수 있는 더 천천히 움직이는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이 있으면, 패스트 무빙(fast moving)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에게 LBS MS에 대한 보고를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알린다.
이동국이 네트워크 엔트리(entry)시에 기본 능력들(capabilities)에 대해서 협상할 때, 이동국은 GPS 능력들을 시그널링 해야 한다.. 기지국은 배치된 이동국에 레인징 기회를 정렬할 수 있을 것이다. 정렬은 이미 이동국에 의해 보고된 FL 파일럿들을 포함할 수 있고, 신호 품질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은 한 세트의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들에게 동일한 페이징 오프셋과 간격들을 정렬하여야 한다. 배치된 이동국들에 대한 레인징 정렬들은 같은 시간에 전송되어야 한다. 자신의 위치를 알고, 배치된 이동국으로부터 품질 임계값보다 큰 레인징 신호를 수신한 이동국은 수신된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여야 한다.
보고시의 엑세스(access) 지연은 지원하는 이동국들의 위치와 ID들에 기초하여 랜덤화 될 수 있다. 이동국이 배치된 이동국들로부터 품질 임계값보다 큰 레인징 신호를 수신하고, 배치된 이동국으로의 레인징 정렬을 통해서 지시된 파일럿들에서 포함되지 않은 하나 이상 파일럿들이 있는 다수의 FL 파일럿 측정값들을 가지고 있으면, 이동국은 기지국으로 수신된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보고해야 한다. 다수의 기지국들이 이용되는 경우, 서빙(serving)하는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들의 위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거나, 이웃 기지국들의 위치들을 결정하기 위해 이웃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하드웨어 실시예,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 실시예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실시예는 펌웨어(firmware), 상주 소프트웨어(resident software) 및/또는 마이크로코드(microcode)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컴퓨터 또는 명령 수행 시스템에 의하거나 연결되어 사용되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는 컴퓨터 이용가능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한 미디엄으로부터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목적을 위해, 컴퓨터 이용가능하거나 컴퓨터 판독가능한 미디엄은 컴퓨터 또는 명령 수행 시스템,기구 또는 장치에 의하거나 연결되어 사용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 저장, 통신, 전파 또는 전송하는 장치일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 및/또는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메모리 요소들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구성요소들은 실행기간 동안 대량 저장으로부터 검색되어야하는 시간들 코드의 수를 줄이기 위해, 프로그램 코드, 대랑 저장, 적어도 프로그램 코드의 임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캐쉬 메모리들의 실제 실행기간 동안 사용되는 로컬(local)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들도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입/출력 또는 I/O 장치들(제한되지 않지만, 키보드들, 디스플레이들, 포인팅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은 직접 또는 관련되는 I/O 제어부들을 통해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들(예를 들어, 모뎀, 케이블 모뎀, 이더넷(Ethernet) 카드)도 개인 또는 공용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 다른 데이터 처리 시스템들, 원거리 프린터들 또는 저장 장치들과 연결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각 방법의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이 수행될 때, 로직(logic) 코드, 프로그램들, 모듈들, 프로세스들, 방법들과 명령들은 단순한 예시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구현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표현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명령들에 의하거나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로직(logic) 코드는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와 관련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분산 처리, 비분산처리 또는 다중처리 환경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로 설명되었지만, 사용된 단어들은 설명을 위한 단어들로 이해되어야하고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발명의 범위와 상관없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가장 넓고, 적절한 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report)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고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자원 할당 신호를 상기 이동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assisting station)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의 위치 결정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이동국에 요청하는 단계 이전에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는 상기 이동국이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알리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주파수, 전송 시간 및 레인징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PS-이네이블드 지원국 중 제 1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 시작을 기준으로 다른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 시작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page monitoring interval) 동안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이동국이 레인징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을 통해 전송할 것을 알리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최소 신호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신호 세기가 상기 최소 신호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보고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이 상기 제 1 보고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 이외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한 경우,
    상기 제 1 정보는 수신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 및 모니터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레퍼런스(reference) 시간 사이의 타임 오프셋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레인징 신호의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랜덤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레인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방법.
  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지원국(assisting station)이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지 모니터 간격(page monitoring interval)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 결정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이고, 상기 지원국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레퍼런스(reference) 시간 사이의 타임 오프셋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레인징 신호의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지원국은 상기 제 1 보고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 이외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한 경우, 상기 제 1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 및 모니터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정보에 적용되는 최소 신호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정보는 신호 세기가 상기 최소 신호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의 위치 결정 지원 방법.
  2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report)의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자원 할당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레인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 방법.
  2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report)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보고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경우, 자원 할당 신호를 상기 이동국 및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assisting station)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으로부터 상기 이동국의 위치 결정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 2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이동국에 전송하기 이전에 상기 수신 모듈은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는 상기 이동국이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알리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2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주파수, 전송 시간 및 레인징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3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GPS-이네이블드 지원국 중 제 1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 시작을 기준으로 다른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 시작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32.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페이지 모니터 간격(page monitoring interval) 동안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3.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이동국이 레인징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을 통해 전송할 것을 알리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34.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되는 최소 신호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 및 상기 제 2 정보는 신호 세기가 상기 최소 신호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3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보고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이 상기 제 1 보고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 이외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한 경우, 상기 제 1 정보는 수신되고,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 및 모니터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39.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레퍼런스(reference) 시간 사이의 타임 오프셋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레인징 신호의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지국.
  40.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랜덤으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1.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레인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4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지원하는 지원국(assisting station)에 있어서,
    페이지 모니터 간격(page monitoring interval)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할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전송된 자원 할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이동국의 위치 결정과 관련된 제 1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이고, 상기 지원국은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원국.
  43.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도착 시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레퍼런스(reference) 시간 사이의 타임 오프셋 및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한 레인징 신호의 신호 세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원국.
  44.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이동국에 의해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보고에 포함된 파일럿 신호 이외의 파일럿 신호를 모니터한 경우, 상기 제 1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지원국.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하나의 지원국의 위치 정보는 GPS 위치 정보 및 모니터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지원국.
  46. 제 42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 할당 신호는 상기 제 1 정보에 적용되는 최소 신호 임계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정보가 신호 세기가 상기 최소 신호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원국.
  4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시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 개시를 위한 요청 신호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모듈;
    모니터(monitor)된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신호에 대한 제 1 보고(report)의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모듈; 및
    상기 제 1 보고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자원 할당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기지국으로 상기 이동국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 2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국은 논(non) GPS-이네이블드(enabled) 이동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보는 레인징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107018885A 2008-09-05 2009-09-01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KR1011622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85408P 2008-09-05 2008-09-05
US61/094,854 2008-09-05
PCT/KR2009/004908 WO2010027179A2 (en) 2008-09-05 2009-09-01 Mobile station assisted location based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138A KR20100113138A (ko) 2010-10-20
KR101162222B1 true KR101162222B1 (ko) 2012-07-05

Family

ID=41797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885A KR101162222B1 (ko) 2008-09-05 2009-09-01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50420B2 (ko)
KR (1) KR101162222B1 (ko)
CN (1) CN101960870B (ko)
WO (1) WO20100271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74134B2 (en) * 2009-01-30 2013-02-12 Qualcomm Incorporated Local broadcast of data using available channels of a spectrum
US8687648B2 (en) * 2009-07-17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transmission of data using an available channel of a spectrum
US8554249B2 (en) * 2009-12-08 2013-10-08 Microsoft Corporation Location service for wireless devices
EP2534867B1 (en) * 2010-02-11 2018-09-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TRM20100273A1 (it) * 2010-05-26 2011-11-27 Uniplan Software S R L Sistema di localizzazione.
HUP1100468A2 (hu) * 2011-08-30 2013-04-29 Ferenc Brokes Interaktív video mobil kommunikációs rendszer
KR101639204B1 (ko) 2011-12-22 2016-07-13 인텔 코포레이션 컴퓨팅 장치의 글로벌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측지 삼각 측량을 사용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한 메커니즘
CN102595608B (zh) * 2012-02-16 2014-11-2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物联网频段分配方法及物联网接入网关
US9402160B2 (en) 2012-12-31 2016-07-26 Senaya, Inc. Methodology to extend battery power in asset-tracking device
US20150087328A1 (en) * 2013-09-23 2015-03-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positioning accuracy of a mobile device with a lower positioning capability
US9713117B2 (en) * 2014-09-25 2017-07-18 Intel Corporation Device-to-device assisted positioning in wireless cellular technologies
JP2016145836A (ja) * 2016-03-23 2016-08-12 インテル コーポレイション コンピュータデバイスのグローバルポジショニングを判定するための測地学的三角測量を使用して実現する機構
WO2018093315A1 (en) * 2016-11-15 2018-05-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neighbour relationships
US10117062B2 (en) * 2017-02-20 2018-10-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ular device-function control
US11432109B2 (en) * 2019-11-27 2022-08-30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of vehicles and pedestrians leveraging ranging signal
US20240137892A1 (en) * 2021-01-29 2024-04-25 Lenovo (Beijing) Limited Assistance in ranging a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6887A1 (en) 2003-02-24 2004-08-26 Rajiv Laroia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417A (ko) 1998-12-12 2000-07-05 이계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측위용 복합 단말기및 그를 이용한 측위관련 부가서비스 제공방법
KR20010046125A (ko) 1999-11-10 2001-06-05 서평원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위치 추정 방법
CN1159935C (zh) * 2001-03-30 2004-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提高市区环境下蜂窝移动台定位精度的方法和装置
US6999778B2 (en) * 2002-07-03 2006-02-14 Denso Corporation Multipath assistance for pilot phase measurement processes
US7647055B2 (en) * 2003-09-19 2010-01-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on of wireless computer network in position determining technology
KR100635033B1 (ko) 2003-11-26 2006-10-17 (주) 엘지텔레콤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무선망의 최적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605980B1 (ko) * 2005-01-04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신호를 이용한 위치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075660B1 (ko) 2005-01-28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US7822427B1 (en) * 2006-10-06 2010-10-26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wireless signal received via a repeater for location determin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6887A1 (en) 2003-02-24 2004-08-26 Rajiv Laroia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50420B2 (en) 2012-04-03
CN101960870B (zh) 2013-05-29
WO2010027179A3 (en) 2010-06-24
WO2010027179A2 (en) 2010-03-11
KR20100113138A (ko) 2010-10-20
US20100062793A1 (en) 2010-03-11
CN101960870A (zh) 2011-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22B1 (ko) 이동국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US11044659B2 (en) Network slicing access method and apparatus
EP3840484A1 (en) Wake-up method, wake-up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163647A1 (en) Ranging method and device
CN109451849B (zh) 寻呼消息发送和接收方法及装置、基站、用户设备
US20140329486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10008441A (ko) 듀얼 스탠바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호 연결 방법 및 장치
KR20120033788A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0622616A (zh) 非活动定时器的控制方法和装置
CN112584509B (zh) 旁链路资源的确定方法及终端
CN106325798A (zh) 一种实现多屏内容显示的方法及装置
US11665733B2 (en) Preamble and scheduling request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US20210321345A1 (en) Vehicle-to-everything synchronization method and device
KR20150088494A (ko) 서로 다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간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60099662A (ko) 데이터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093289A (zh) 一种业务传输方法及电子设备
US2014018716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CN116418795A (zh) 用户访问请求的处理方法、电子装置、电子设备以及介质
KR2015007826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230119824A1 (en) Method for information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srs and terminal device
EP3829240A1 (en) Resource allocation method, resource usage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side device
CN106254522A (zh) 一种终端服务系统、方法和终端
EP3780698A1 (en) Measur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KR20140089645A (ko) 심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배터리 관리 방법
US11160066B2 (en) Data receiving method and device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