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14B1 -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14B1
KR101162214B1 KR1020060046457A KR20060046457A KR101162214B1 KR 101162214 B1 KR101162214 B1 KR 101162214B1 KR 1020060046457 A KR1020060046457 A KR 1020060046457A KR 20060046457 A KR20060046457 A KR 20060046457A KR 101162214 B1 KR101162214 B1 KR 101162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receiving terminal
function
broadcas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6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3506A (ko
Inventor
김정우
박상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6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1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3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16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client characteristics, e.g. Set-Top-Box type, software version or amount of memory avai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관점에서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그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과 방송 콘텐츠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는 신호복호부; 상기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관리부; 및 상기 수집한 정보를 표출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 표출 방법에 의하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기능들과 단말기의 저장용량을 표출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콘텐츠, 미들웨어, 방송, 인터페이스

Description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도 1은 미들웨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표출 방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가 표출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항목들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 : 신호수신부 20 : 신호복호부
30 : 저장부 40 : 제어부
50 : 어플리케이션관리부 60 : 어플리케이션표출부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장치의 기능 표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5년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본격적인 방송을 개시하였다. 따라서,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전용으로 수신하는 단말기 이외에 지상파 DMB를 수신할 수 있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차량용 텔레비전 및 휴대폰 등도 널리 보급되기 시작했다.
지상파 DMB 수신 장치는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TV라는 측면에서 사람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지상파 DMB는 단지 휴대용 TV만을 타겟으로 하는 것은 아니며 초기부터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 BWS(Broadcast Website Service), BIFS (Binary Format for Scene)등 여러 가지 데이터 방송이 고려되어, 현재 많은 세부 표준이 마련되었고 일부는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지상파 DMB를 수신하는 단말기들은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달라지면, 방송 콘텐츠의 표출 환경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종류에 따라 공통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와 어플리케이션 구동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표출하도록 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platform)을 미들웨어(middleware)라고 호칭한다. 또한, 단말기라고 함은 고정 수신을 위한 단말기와 이동 수신을 위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방송 수신 단말기와 미들웨어간의 공통적인 인터페이스인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가 정의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구현하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미들웨어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거나 설치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즉,방송 수신 단말기는 수행할 어플리케이션을 보유하지 않거나 어플리케이션이 갱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방송 수신 단말기가 그 어플리케이션의 특정한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으며, 불특정 다수를 위한 방송 서비스도 방송 수신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기능을 표출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장치의 기능 표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그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과 방송 콘텐츠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는 신호복호부; 상기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관리부; 및 상기 수집한 정보를 표출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를 제공한 다.
상기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는 재생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트릭 플레이 기능 정보 및 타임 쉬프트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저장 파일 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수신 단말기의 기능을 표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도 1은 미들웨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개념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는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수신 단말기는 방송 전송단으로부터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기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이외에 이미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가질 수도 있다(a 계층).
방송 수신 단말기에 포함된 내부 블록들은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복호하고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c 계층). 상세한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은 도 3에서 상술한다.
실행되어 어플리케이션은 일정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나, 채널 네비게이터 등의 미들웨어 플랫폼(middleware platform)은 방송 수신 단말기가 복호하여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인터페이스하도록 외부로 표출시킬 수 있다(b 계층).
미들웨어는 방송 수신 단말기의 하드웨어와 어플리케이션을 연계시켜 어플리케이션이 표출되도록 장치의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표출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여러 가지 부가 기능을 가진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수신 단말기가 DVR(Digital Video Recorder)와 같은 저장 기능을 가질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과 같은 서비스와 연계하여 방송 콘텐츠를 녹화, 재생 및 타임 쉬프트(time shift)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을 표출하는 인터페이스는 어플리케이션이 구현하는 기능을 표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런데,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환경은 미들웨어에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수신 단말기가 미들웨어에 해당하는 시스템 자원이나 소프트웨어 자원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없다.
방송은 특정 방송 수신 단말기를 위해 신호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운로드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수행될지 여부를 미리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기능 표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이 수행되기 전에 방송 수신 단말기가 그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을지 여부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표출 방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에서 표출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 표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구현할 수 있는 수행기능의 예를 표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의 내부 블록(이하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라고 호칭한다)은 도 2(a)와 같은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기능을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API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 관리자가 사용자 인터페 이스를 정의하는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외부에 표출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는 그 관리자가 포함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을 수집하고, 이를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는 재생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트릭 플레이 기능 정보 및 타임 쉬프트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2(a)의 예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출할 수 있는 수행 기능들을 예시한다.
먼저 Simple(SP)은 방송 수신 단말기가 스트리밍 서비스(Streaming service) 혹은 파일 스트림(File stream)의 재생만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SP기능만을 가진 방송 수신 단말기는 수신한 방송을 저장할 수 없고, 수신한 스트림이나, 트레일러(trailer),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사한 스트림 등을 단지 재생할 수만 있다.
Main(MP)는 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한 SP 기능과 녹화 기능을 가지고 있을 경우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rick Simple(TSP)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SP 기능에 트릭플레이(Trick play)를 할 수 있는 경우에 나타나는 정보이다. 여기서, 트릭플레이란, 패스트 포워드(fast forward), 리와인드(rewind), 스킵(skip), 점프(jump) 등 콘텐츠 재생의 흐름, 방향 및 빠르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삭제
Trick Main(TMP)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MP 기능에 트릭플레이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따라서, TMP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녹화 중 재생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경우를 나타낸다.
Extended Simple(ESP)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MP 기능에 더불어 타임 쉬프트 기능을 구비할 경우를 나타낸다. 이 기능은 트릭 플레이 기능이 없고,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녹화하고 재생되는 타임 쉬프트 기능을 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Extended Main(EMP)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TMP 기능에 더불어 타임 쉬프트 기능을 구비할 경우를 나타낸다.
도 2(b)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저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경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의 예에 대한 정보를 표 형태로 나타낸 도면이다.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 기능은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저장 파일 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LOW(LL)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1시간의 저장용량을 가지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으며, 1개의 파일만 저장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Medium(ML)은 방송 수신 단말기가 3시간의 저장용량을 가지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와 더불어 메타(metadata)를 가지며, 유한개의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High(HL)는 방송 수신 단말기는 무제한의 시간동안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ML 기능에서 저장한 것 뿐만 아니라 데이터 방송, 그에 관련된 기타 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고, 저장 파일의 수도 무제한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서 열거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에 대한 정보와, 도 2(b)에서 열거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에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한 정보들은 다른 형태나 조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은,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에 대한 정보와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관리자가 인터페이스로 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에 대한 정보를 TMP,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ML이라고 가정한다면, 단말기는 최대 3시간 분량을 녹화할 수 있고, 녹화 도중 트릭 플레이를 이용하여 녹화한 내용을 다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관리자는 AP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중 위의 수행기능에 해당하는 항목만 활성화시켜 표출하거나, 위의 수행기능에 해당하는 항목만을 표출하여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에 대한 정보와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표준 API에 정의할 경우 다음의 신택스를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다.
long getPvrProfile();
long getPvrLevel();
여기서 getPvrProfile()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가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을 수집할 수 있는 신택스를 의미하고, getPvrLevel()는 어플리케이션 관리자가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신택스를 의미한 다.
어플리케이션 관리자가 API 수행 코드에 상기 정의된 신택스를 추가적으로 수행하면, 표준 API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기능들에 대한 정보와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신호수신부(10), 신호복호부(20), 저장부(30), 제어부(40),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 및 어플리케이션표출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를 포함할 수도 있고, 제어부(40)와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가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신호수신부(10)는 방송 콘텐츠가 포함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복호부(20)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고, 저장부(30)는 방송 신호가 수신된 방송 콘텐츠나, 또는 신호수신부(10)가 수신한 부호화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신호수신부(10)는 어플리케이션을 방송국이나 통신망에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30)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30)는 어플리케이션 저장부와 방송 콘텐츠 저장부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표출하도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0)는 방송 수신 단말기가 방송 콘텐츠를 재생, 저장, 타임 쉬프트, 트릭 플레이 등을 하도록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수행기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는 상기한 표준 API 신택스를 사용하여,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들이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관리부(50)는 방송 수신 장치의 저장부(50)의 용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한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과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표출부(60)를 통해 표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방송 수신 단말기가 저장 기능이 없을 경우 상기 저장부(30)는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어떤 수행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지 알 수 있고, 단말기의 저장용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특허명세서로부터 본 발명을 변경하거나 변형하는 것은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상기 명확하게 기재되었더라도, 그것을 여러 가지로 변경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관점 내에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 표출 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기능 표출 방법에 의하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수행 기능들과 단말기의 저장용량을 표출할 수 있다.

Claims (7)

  1.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방송 수신 단말기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그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수신할 수 있는 신호수신부;
    상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과 방송 콘텐츠를 각각 복호하여 출력할 수 있는 신호복호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고,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관리부; 및
    상기 수집한 정보를 표출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표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관리부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저장부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는 재생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트릭 플레이 기능 정보 및 타임 쉬프트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저장 파일 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단말기.
  5. 방송 수신 단말기의 기능을 표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콘텐츠와 상기 콘텐츠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로 표출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기능에 대한 정보는 재생 기능 정보, 저장 기능 정보, 트릭 플레이 기능 정보 및 타임 쉬프트 기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량에 대한 정보는 저장 시간에 대한 정보, 저장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정보, 및 저장 파일 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KR1020060046457A 2006-05-24 2006-05-24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KR101162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57A KR101162214B1 (ko) 2006-05-24 2006-05-24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6457A KR101162214B1 (ko) 2006-05-24 2006-05-24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506A KR20070113506A (ko) 2007-11-29
KR101162214B1 true KR101162214B1 (ko) 2012-07-04

Family

ID=3909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457A KR101162214B1 (ko) 2006-05-24 2006-05-24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506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9864B1 (ko) 데이터 관리 방법
US8290343B2 (en) Electronic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CN101438348B (zh) 用于跨越设备来恢复内容再现的方法
US8373723B2 (en)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plot data of contents
CN101267524A (zh) 为预定的节目恢复丢失内容的方法和数字视频记录器
KR200700090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송신호 재생 방법
CN105025345A (zh) 一种直播节目的录制方法及装置
JP2008160837A (ja) プレビュー機能を有する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エンコーディング/デコーディング方法及び装置
US10028012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ontent shuffling
CN102158749B (zh) 一种管理广告播放的方法和用户设备
US2008014813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Display Information to an End-User Display Device
KR101162214B1 (ko) 방송 수신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기능 표출 방법
EP1798878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toring broadcasting program
JP2009278283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179304B2 (ja) 携帯型テレビジョン受信機および該受信機のプログラム
US9225931B2 (en) Moving image data recording apparatus
EP1523191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content recording apparatus and content record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50031699A (ko) 수동적 하이라이트 기능 구현을 위한 방송 서비스 및 이를위한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
JP200927280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ジタル放送再生方法
JP2006339980A (ja) 映像再生装置
KR101171312B1 (ko)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JP5888157B2 (ja) レコーダシステム、及びレコーダ装置
KR100762146B1 (ko) 방송 녹화/재생 시스템 및 녹화/재생 방법
US8750672B2 (en)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KR100583180B1 (ko) 광고 저장영역을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 및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