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425B1 -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425B1
KR101161425B1 KR1020120028999A KR20120028999A KR101161425B1 KR 101161425 B1 KR101161425 B1 KR 101161425B1 KR 1020120028999 A KR1020120028999 A KR 1020120028999A KR 20120028999 A KR20120028999 A KR 20120028999A KR 101161425 B1 KR101161425 B1 KR 101161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ox
pipe connection
shielding
groov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8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양 티이씨
Priority to KR1020120028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1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oundproof en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층별 방송시, 해당 방송 층 이외의 다른 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송 소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층별 벽체에 내설된 배관 사이로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을 설치연결함에 있어 배관과 배관연결함의 연결부위 및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를 기밀히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소음차단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방송 소리의 음파 경유지 곳곳에서의 차폐로 인한 방송 소리 단절로 층별 방송시에 방송을 보내는 해당 층 이외의 층별마다 방송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한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Description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Noise Prevention Device Between Generations Of Broadcasting Speaker Wiring Tube}
본 발명은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 및 다세대 주택 또는 아파트 등의 벽체에 내설된 각 층간 전기배관에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을 설치함에 있어 배관에 연결되는 배관연결함의 연결 부위와 상기 배관연결함에 연결되는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를 기밀하게 차폐하고, 상기 배관연결함 내부에 방음재를 충진하여 복도형 주택의 층별 방송시 음파가 전달되어 전층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는 공동주택, 다세대 주택, 아파트 등의 경우 하층에서 고층까지 방송하기 위한 배관과 배관연결함을 연결하여 수직상으로 시공하므로 층별 방송시에 전층에서 방송 소리가 유출 전달되어 소음 및 원치 않는 방송 내용을 들어야만 하는 불편함을 지니고 있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스피커용 상, 하층의 배관에 연결되는 배관연결함 부위와, 상기 배관연결함 부위에 연결되는 스피커유닛의 연결 부위에 방음처리 없이 시공이 이뤄져 층별 방송을 수행하면 방송을 청취하기 위한 층 이외의 층에서도 방송 소리가 유입되어 원치 않는 방송내용을 어쩔 수 없이 들어야만 하는 문제점과 이로 인하여 방송 내용이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즉 예를 들어 3층에만 방송을 하고자 하는데 해당되는 3층 이외의 4층, 2층 등 다른 층에서도 방송 소리가 유입 유출되어 소음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층별 방송시, 음파가 배관을 통하여 경유하게 되고 배관에 연결된 배관연결함의 연결부위 및 상기 배관연결함에 연결된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가 기밀한 연결을 이루지 못하여 배관을 경유한 음파가 유출되어 원치 않는 방송 내용이나 소리를 들어야만 하는 했던 것이다.
상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35025(특허문헌 1)호에서 제안한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배관에 연결되는 배관연결박스 내에 방음재를 충진하여 층간 방송 소리를 차단하고자 한 것이나, 층별 방송시 배관을 경유한 방송 소리가 배관과 연결되는 콘넥트부와 상기 콘넥트부와 연결되는 배관연결박스 외면과 상기 배관연결박스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박스 및 스피커의 연결 구조를 통하여 층별 방송이 해당되지 않는 층에서도 방송 내용이 유출되어 소음 및 원치 않는 방송 내용을 청취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이외에도 공개특허 제10-2004-0087817호(특허문헌 2)에서는 층별 방송 소음 방지는 아니지만, 층별 소음을 방지하기 기술로서 제시된 만큼 층별 소음이 이제는 사회적 문제로까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235025호 특허문헌 2 공개특허 제10-2004-0087817호
전술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는, 층별 벽체마다 내설된 배관에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를 기밀하게 차폐하고 방음재를 이용함으로써 방송 소리의 음파가 경유하여 전달될 수 있는 전체적 연결 부위의 차폐를 이루는 장치를 제공하여 층별 방송시 해당되지 않는 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송 소리를 차단하여 세대간 소음을 차단 방지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본 발명에 의한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는, 배관과 배관연결함의 연결에 있어 상.하부 배관에 볼트로 체결고정되는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 타측부와 결합고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봉과;
상기 조절봉 타측부와 결합고정되는 상부에 형성된 돌기봉, 상기 돌기봉 하부에 연속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의 확공부에 걸착되어 차폐고무부재를 가압하는 단턱부, 상기 단턱부 하부에 연속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의 통공(42)에 삽입되는 확공봉, 상기 확공봉 저면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스피커전선을 인입인출하는 전선인입홀로 이루어진 콘넥터와;
상기 조절봉의 회동에 의한 콘넥터 단턱부 가압력에 의해 배관연결함의 관통공을 기밀하게 차폐하는 상.하부에 형성된 확공부, 상기 상.하부 확공부 사이에 형성되어 배관연결함의 단턱부(12)에 걸착이 이루어지는 요홈조, 상기 콘넥터의 확공봉을 삽입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져 배관과 배관연결함의 연결부위를 기밀히 차폐하는 차폐고무부재와;
상.하부에 관통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의 확공부를 삽입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 구경보다 구경이 작은 채 차폐고무부재의 요홈조를 걸착하는 단턱부, 스피커유닛 및 차폐고무판을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사각틀, 상기 사각틀을 따라 형성되어 스피커유닛의 사각틀 및 차폐고무판의 끼움홈조를 함께 끼우는 요홈조, 상기 요홈조를 중심으로 사각틀의 외.내주에 각각 형성된 외.내주면(15)(16), 내부에 충진되어 방송 소리를 차단 방음하는 방음재로 이루어져 배관 및 스피커유닛과 연결을 이루는 배관연결함과;
상기 배관연결함 내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공 주변부에 볼트로 체결고정되어 차폐고무부재를 지지하며 콘넥터의 단턱부 가압시 차폐고무부재의 확공부가 상기 관통공을 기밀히 차폐유도하도록 하는 안착부재와;
상기 배관연결함의 사각틀 요홈조에 끼워지며 스피커유닛의 사각틀을 끼우는 끼움홈조, 상기 끼움홈조를 중심으로 외.내주에 형성되어 배관연결함의 외.내주면과 기밀한 접촉을 이루는 외.내주마개부로 이루어져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를 기밀히 차폐하는 차폐고무판과;
스피커전선의 접전지, 상기 차폐고무판의 끼움홈조에 끼워진 채 상기 끼움홈조를 배관연결함의 요홈조로 끼움 유도하는 사각틀, 방송 소리를 층별마다 방출하는 스피커를 갖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차폐고무부재는, 장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의 연결부위가 차폐고무판에 의해 2중 차폐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는, 층별 벽체에 내설된 배관에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을 연결하되, 상기 각 연결부위에 경유된 방송 소리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별 방송시, 해당되지 않는 층에서의 방송 소음을 차단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측단면도.
본 발명은 공동으로 거주하는 주택에서의 층별 방송시 벽체에 내설된 전선배관에 배관연결함과 스피커유닛을 연결함에 있어 각 연결부위를 기밀하게 차폐하여 방송 소리의 음파 경유를 차단함과 아울러 방송 소리의 유출을 차단하여 층별에 따른 방송시 해당하는 층 이외의 층에서는 방송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동 주택의 건축 공정에서 배근된 철근(2)과 함께 콘크리트 타설로 이루어진 벽체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체(1) 내에 철근(2) 사이로 배근된 전기 배관(3)이 층별마다 수직형으로 내설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층별마다 배관(3)에 배관연결함(10)을 연결하고, 상기 배관연결함(10) 일측부에는 스피커유닛(70)을 연결하여 층별 방송을 구현한다.
좀더 상세히 본 발명의 연결 상태를 살펴보자면, 도 1을 기준으로 하여, 도 2와 3을 참조로 한다.
수직형으로 이뤄진 상.하 배관(3) 사이로 배관연결함(10)이 설치되어 상기 상.하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하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상면과 하면에는 순차적으로 결합구(20), 조절봉(25), 콘넥터(30), 차폐고무부재(40)의 연결로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하 배관(3)에 볼트 체결로 고정되는 결합구(20)는, 조절봉(25)과 결합을 이루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며, 결합구(20)는 스피커전선(72)이 통과될 수 있게 통공을 이룬다.
상기 상.하 배관(3)에 일측이 볼트 체결로 고정된 결합구(20)의 타측은 조절봉(25)의 일측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조절봉(25)은 콘넥터(30)와 결합을 이루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관연결함(10)의 연결부위인 관통공(11)의 기밀한 차폐를 이루기 위함이다.
상기 조절봉(25)은 외주연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동하면서 높낮이 조절을 이루고 조절봉(25)도 스피커전선(72)이 통과될 수 있게 통공을 이룬다.
상기 조절봉(25)의 타측에는 콘넥터(30)가 결합고정됨에 있어 콘넥터(30)의 돌기봉(31)이 조절봉(25)과 결합고정된다.
상기 콘넥터(30)는 상부에 조절봉(25)과 결합고정되는 돌기봉(31)을 형성하고, 돌기봉(31) 하부인 중앙에는 단턱부(32)를 형성하며, 상기 단턱부(32) 하부에는 상기 돌기봉(31)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가진 확공부(33)를 형성하고, 상기 확공부(33) 저면부는 다수개의 스피커전선(72)을 인입 인출하기 위한 전선인입홀(34)을 다수개로 일정하게 배열형성한다.
상기 콘넥터(30) 하방향에 위치하는 차폐고무부재(40)는 콘넥터(30)의 확공부(33) 삽입과 콘넥터(30)의 단턱부(32) 걸림에 따른 가압력에 의해 배관연결함(10)의 관통공(11)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차폐고무부재(40)는 장구형 형상을 갖되, 상.하부가 콘넥터(30)의 확공부(33) 삽입을 이루기 위한 확공부(41)를 형성하고, 상기 확공부(41)의 중앙은 요홈조(43)를 형성하며, 다수개의 스피커전선(72)이 통과될 수 있게 내주가 통공(42)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봉(25)을 회동하게 되면, 콘넥터(30)는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곧 콘넥터(30)의 확공부(33)를 삽입하여 콘넥터(30) 단턱부(32)에 걸린 차폐고무부재(40)는, 배관연결함(10)의 관통공(11)에 삽입된 채, 조절봉(25) 회동에 따른 콘넥터(30) 하방향 가압력에 의해 관통공(11) 주변부를 기밀하게 차폐하고, 차폐고무부재(40)의 요홈조(43)는, 관통공(11)에 형성된 단턱부(12)에 걸린 채, 단턱부(12)의 주변부를 기밀히 차폐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배관연결함(10) 상부 관통공(11)에 연결되는 구조 및 작용은 배관연결함(10) 하부 관통공(11)에서도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체적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배관연결함(10)의 내부 상부와 하부에는 관통공(11) 주변부에 안착부재(50)가 볼트 체결로 고정되어 차폐고무부재(4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안착부재(50) 또한 다수개의 스피커전선(72)을 인입인출하기 위한 전선인입홀(51)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연결부위는 기밀한 차폐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위에서의 방송 소리 유출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배관연결함(10)과 스피커유닛(70)의 연결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배관연결함(10) 내부는 방음재(17)로 충진된다.
배관연결함(10)의 일측부는 스피커유닛(70)과 연결됨에 있어 방송 소리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배관연결함(10)의 일측부인 사각틀(13)의 중앙에는 요홈조(14)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조(14)를 기준으로 요홈조(14) 외주와 내주에는 각각 외주면(15)과 내주면(16)을 형성한다.
즉, 상기 배관연결함(10)의 사각틀(13) 중앙에 형성된 요홈조(14)에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가 끼워짐에 있어 스피커유닛(70)의 사각틀(71)이 상기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에 끼워짐으로서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가 배관연결함(10)의 사각틀(13) 요홈조(14)에 끼워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차폐고무판(60)은 배관연결함(10)의 사각틀(13)을 따라 형성된 요홈조(14)에 끼워지는 사각형상의 끼움홈조(62)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홈조(62)를 기준으로 외주와 내주에는 각각 외주마개부(61)와 내주마개부(63)를 형성하여,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에 끼워진 스피커유닛(70)의 사각틀(71)에 의해 끼움홈조(62)와 함께 사각틀(71) 모두가 배관연결함(10)의 사각틀(13) 요홈조(14)에 끼워졌을 때, 스피커유닛(70)의 사각틀(71) 가압력에 의해 외주마개부(61)와 내부마개부(63)는 외주면(15)과 내주면(16) 모두를 기밀히 차폐함으로써 배관연결함(10)과 스피커유닛(70)의 연결 부위 차폐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피커유닛(70)이 배관연결함(10)과 연결됨에 있어 볼트 체결로 고정될 수도 있고 다른 가압체결 수단을 통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하기 도면에서는 미도시 상태임).
따라서, 스피커유닛(70)에 연결된 스피커전선(72)은 상.하부에 위치한 전기 배관(3)을 따라 최하층에서부터 최고층까지 전층에 연결되어 층별 방송을 구현하게 되는데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연결부위 및 배관연결함(10)과 스피커유닛(70)의 연결부위를 기밀한 구조로 차폐하고, 방음재를 배관연결함(10) 내부에 충진함으로써 층별 방송시, 방송 소리의 음파 경유지 곳곳에 차폐를 이루면서 방송 소리 단절로 인하여 방송 해당 층 이외의 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송 소리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1 :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2 : 철근
3 : 배관
10 : 배관연결함
11 : 관통공 12 : 단턱부
13 : 사각틀 14 : 요홈조
15 : 외주면 16 : 내주면
17 : 방음재
20 : 결합구 25 : 조절봉
30 : 콘넥터
31 : 돌기봉 32 : 단턱부
33 : 확공봉 34 : 전선인입홀
40 : 차폐고무부재
41 : 확공부 42: 통공
43: 요홈조
50 : 안착부재 51 : 전선인입홀
60 : 차폐고무판
61 : 외주마개부 62 : 끼움홈조
63 : 내주마개부
70 : 스피컷 유닛 71 : 사각틀
72 : 스피커전선

Claims (2)

  1.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연결에 있어 상.하부 배관(3)에 볼트로 체결고정되는 결합구(20)와;
    상기 결합구(20) 타측부와 결합고정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조절봉(25)과;
    상기 조절봉(25) 타측부와 결합고정되는 상부에 형성된 돌기봉(31), 상기 돌기봉(31) 하부에 연속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40)의 확공부(41)에 걸착되어 차폐고무부재(40)를 가압하는 단턱부(32), 상기 단턱부(32) 하부에 연속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40)의 통공(42)에 삽입되는 확공봉(33), 상기 확공봉(33) 저면부에 다수개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스피커전선(72)을 인입인출하는 전선인입홀(34)로 이루어진 콘넥터(30)와;
    상기 조절봉(25)의 회동에 의한 콘넥터(30) 단턱부(32) 가압력에 의해 배관연결함(10)의 관통공(11)을 기밀하게 차폐하는 상.하부에 형성된 확공부(41), 상기 상.하부 확공부(41) 사이에 형성되어 배관연결함(10)의 단턱부(12)에 걸착이 이루어지는 요홈조(43), 상기 콘넥터(30)의 확공봉(33)을 삽입하는 통공(42)으로 이루어져 배관(3)과 배관연결함(10)의 연결부위를 기밀히 차폐하는 차폐고무부재(40)와;
    상.하부에 관통형성되어 차폐고무부재(40)의 확공부(41)를 삽입하는 관통공(11), 상기 관통공(11) 구경보다 구경이 작은 채 차폐고무부재(40)의 요홈조(43)를 걸착하는 단턱부(12), 스피커유닛(70) 및 차폐고무판(60)을 결합할 수 있도록 일측부에 형성된 사각틀(13), 상기 사각틀(13)을 따라 형성되어 스피커유닛(70)의 사각틀(71) 및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를 함께 끼우는 요홈조(14), 상기 요홈조(14)를 중심으로 사각틀(13)의 외.내주에 각각 형성된 외.내주면(15)(16), 내부에 충진되어 방송 소리를 차단 방음하는 방음재(17)로 이루어져 배관(3) 및 스피커유닛(70)과 연결을 이루는 배관연결함(10)과;
    상기 배관연결함(10) 내부의 상.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 주변부에 볼트로 체결고정되어 차폐고무부재(40)를 지지하며 콘넥터(30)의 단턱부(32) 가압시 차폐고무부재(40)의 확공부(41)가 상기 관통공(11)을 기밀히 차폐유도하도록 하는 안착부재(50)와;
    상기 배관연결함(10)의 사각틀(13) 요홈조(14)에 끼워지며 스피커유닛(70)의 사각틀(71)을 끼우는 끼움홈조(62), 상기 끼움홈조(62)를 중심으로 외.내주에 형성되어 배관연결함(10)의 외.내주면(15)(16)과 기밀한 접촉을 이루는 외.내주마개부(61)(63)로 이루어져 배관연결함(10)과 스피커유닛(70)의 연결부위를 기밀히 차폐하는 차폐고무판(60)과;
    스피커전선(72)의 접전지, 상기 차폐고무판(60)의 끼움홈조(62)에 끼워진 채 상기 끼움홈조(62)를 배관연결함(10)의 요홈조(14)로 끼움 유도하는 사각틀(71), 방송 소리를 층별마다 방출하는 스피커를 갖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차폐고무부재(40)는, 장구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배관연결함(10)과 스피커유닛(70)의 연결부위는, 차폐고무판(60)에 의해 2중 차폐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KR1020120028999A 2012-03-21 2012-03-21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KR101161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99A KR101161425B1 (ko) 2012-03-21 2012-03-21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8999A KR101161425B1 (ko) 2012-03-21 2012-03-21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1425B1 true KR101161425B1 (ko) 2012-07-02

Family

ID=4671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8999A KR101161425B1 (ko) 2012-03-21 2012-03-21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4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141A (zh) * 2014-08-26 2014-12-10 石建慧 一种酒吧噪声防治措施
KR102130347B1 (ko) * 2020-02-07 2020-07-06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의 천장매설형 전기단자함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6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KR100608159B1 (ko) * 2006-02-28 2006-08-0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송 스피커 케이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619586B1 (ko) * 2006-02-28 2006-11-23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692316B1 (ko) * 2006-08-16 2007-03-12 (주)럭키기술단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함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851252B1 (ko) * 2008-02-22 2008-08-08 (주)일신전기감리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546Y1 (ko) * 2002-09-25 2002-12-31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용 방송 스피커의 배관 연결 박스 구조
KR100608159B1 (ko) * 2006-02-28 2006-08-0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용 방송 스피커 케이스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619586B1 (ko) * 2006-02-28 2006-11-23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692316B1 (ko) * 2006-08-16 2007-03-12 (주)럭키기술단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선함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851252B1 (ko) * 2008-02-22 2008-08-08 (주)일신전기감리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6141A (zh) * 2014-08-26 2014-12-10 石建慧 一种酒吧噪声防治措施
KR102130347B1 (ko) * 2020-02-07 2020-07-06 세종기술종합(주) 공동주택의 천장매설형 전기단자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3943B1 (en) Sound emission and collection device
KR101161425B1 (ko)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장치
KR102035541B1 (ko) 공동주택 배전선로의 고정장치
US9646761B2 (en) Power transmission transformer with a noise inhibiting function
MY183257A (en) A pipe or cable lead-through having a part indicating compression
US6661322B1 (en) Sound-insulating device for an induction machine
CN103281651B (zh) 一种舞台音响系统、舞台结构及舞台音响系统布置方法
US20090211840A1 (en) Loudspeaker Enclosure
KR100619586B1 (ko) 공동주택용 방송스피커 전기배관의 세대간 소음차단구조
KR100734182B1 (ko)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CN206164813U (zh) 一种多箱体低音增强音箱
CN107846644A (zh) 一种网罩紧固结构及其封闭式无共振音箱
CN105780678A (zh) 插接式临时隔音屏障
CN105228051A (zh) 有s形导管的多单元薄形音箱
KR200235025Y1 (ko) 공동주택 방송용 스피커 부위 세대간 소음차단 장치
KR100914773B1 (ko) 공동주택용 누수차단용 전기배관장치
CN210431837U (zh) 一种隐蔽式倒相管条形音箱结构
CN209748795U (zh) 一种双腔体的被动辐射箱
KR20080045248A (ko) 제조 로케이션의 설비에 반도체 장치 제조 장비를 결합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44466B1 (ko) 건축물의 벽면내부에 설치되는 통합전선 보호덕트 구조
CN1053299C (zh) 带插座框的塑料接线盒
CN105720529B (zh) 消声室管线隔声结构
KR100599851B1 (ko) 공동주택의 전설용 주름관을 통한 층간소음전파 방지장치
CN210264035U (zh) 装配式工地办公用房
CN207283799U (zh) 一种全向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