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213B1 - 자침기 - Google Patents

자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213B1
KR101160213B1 KR1020110025004A KR20110025004A KR101160213B1 KR 101160213 B1 KR101160213 B1 KR 101160213B1 KR 1020110025004 A KR1020110025004 A KR 1020110025004A KR 20110025004 A KR20110025004 A KR 20110025004A KR 101160213 B1 KR101160213 B1 KR 101160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hammer
pin
hole
de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동
Original Assignee
김명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동 filed Critical 김명동
Priority to KR102011002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8Devices for applying needles to such points, i.e. for acupuncture ; Acupuncture needl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H39/086Acupuncture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53Driving means driven by a human being, e.g.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트리지화된 복수의 침을 반자동으로 공급하고, 치료목적에 따라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침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침카트리지, 상기 침카트리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공급홈 및 이 침공급홈의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핀공이 구비된 손잡이, 상기 핀공에 연이어져 통하는 핀안내공 및 이 핀안내공에 연이어져 통하도록상부에 승강작동공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침본체, 상기 자침본체의 승강작동공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핀안내공과 핀공으로 안내되면서 침카트리지에 내장된 침을 타격하도록 타격핀이 구비된 해머, 상기 해머와 자침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해머를 탄력적으로 타격시키는 타격스프링, 상기 타격스프링의 작동에 의한 해머의 타격을 조작하도록 자침본체에 구비된 레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침기{CONSECUTIVE ACUPUNCTURE DEVICE}
본 발명은 자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화된 복수의 침을 반자동으로 공급하고, 치료목적에 따라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자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침술이란 가느다란 바늘로 인체의 일정한 부위를 찔러서 자극함으로써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특정한 치료 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자극부위는 증상에 따라 손, 귀, 발 등을 대상으로 하며, 이때마다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 또한 다르게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침술을 위해 사용되는 침은 인체를 찌르도록 끝이 첨예(尖銳)한 침봉과 손으로 파지하는 침병(鍼柄)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침은 수십 개로 포장된 봉지에서 꺼내져서 사용된다.
종래에는 침술 전문인이 손으로 침병을 파지하고 침봉을 인체의 일정한 부위에 놓고 적절한 깊이로 찌르며, 통상 여러 개의 침을 인체의 일정한 부위를 자극하도록 찌른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십 개의 침이 포장된 봉지에서 일일이 하나 하나씩 침을 꺼내어 인체에 찔러야하므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피로감이 쉽게 느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십 개의 침이 포장된 봉지 내에서 침봉의 첨예한 끝부분이 이웃하는 다른 침에 부딪히면서 마모되거나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침봉의 첨예한 끝부분은 매우 얇기 때문에 전문인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불가능하고, 이에 따라 침의 상태가 불량해지므로 침술 시 환자가 고통을 느끼거나 적절한 치료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를 조절하는 침술을 숙련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이러한 기술이 숙련되지 않은 전문인은 침의 깊이를 조절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적절한 치료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트리지화된 복수의 침을 반자동으로 공급하고, 침의 첨예한 끝부분의 마모 또는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를 조절하여 적절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자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침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침카트리지, 상기 침카트리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공급홈 및 이 침공급홈의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핀공이 구비된 손잡이, 상기 핀공에 연이어져 통하는 핀안내공 및 이 핀안내공에 연이어져 통하도록상부에 승강작동공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침본체, 상기 자침본체의 승강작동공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핀안내공과 핀공으로 안내되면서 침카트리지에 내장된 침을 타격하도록 타격핀이 구비된 해머, 상기 해머와 자침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해머를 탄력적으로 타격시키는 타격스프링, 상기 타격스프링의 작동에 의한 해머의 타격을 조작하도록 자침본체에 구비된 레버부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타격핀의 타격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핀안내공을 포함하도록 자침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보스, 상기 가이드보스의 외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의 크라운톱니가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높이조절링, 상기 높이조절링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자침본체에 형성된 작동장공을 관통하는 링회전레버, 상기 크라운톱니에 단속되도록 해머에 구비된 디텐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침을 타격하면서 하강된 해머를 상승복원시키도록 자침본체의 내부에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텐트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해머의 내경에 장착되도록 디텐트링으로 형성하되, 상기 디텐트링에는 크라운톱니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자침본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타격레버, 상기 타격레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의 타격을 단속하는 멈춤쇠, 상기 멈춤쇠의 단속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타격레버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스프링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자침본체에는 멈춤쇠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침카트리지는, 복수의 침을 폭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복수의 정렬홈이 형성되어 침공급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케이스, 상기 이송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격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침의 위치를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구비된 고정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침공급홈에는 침카트리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침카트리지의 어느 한 케이스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레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술 전문인이 이송케이스를 이송시키면서 반자동으로 조작하여 침을 계속해서 발사함에 따라 편리하게 침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카트리지 내의 침들이 정렬홈에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으므로 상호 마찰에 의한 첨예부의 마모 또는 부러짐 등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며, 이에 의해 침술에 의한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체를 찌르는 침의 깊이를 링회전레버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절하여 숙련되지 않은 전문인이 편리하게 침술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침술에 의한 치료효과의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요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높이조절링 및 디텐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침카트리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침기는, 복수의 침(10)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침카트리지(100), 침카트리지(1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공급홈(212) 및 이 침공급홈(212)의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핀공(211)이 구비된 손잡이(210), 손잡이(210)의 핀공(211)에 연이어져 통하는 핀안내공(237) 및 이 핀안내공(237)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상부에 승강작동공(233)이 형성되어 손잡이(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침본체(230), 자침본체(230)의 승강작동공(23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핀안내공(237)과 핀공(211)으로 안내되면서 침카트리지(100)에 내장된 침(10)을 타격하도록 타격핀(251)이 구비된 해머(250), 해머(250)와 자침본체(230) 사이에 연결되어 해머(250)를 탄력적으로 타격하는 타격스프링(260), 타격스프링(260)의 작동에 의한 해머(250)의 타격을 조작하도록 자침본체(230)에 구비된 레버부재(270)로 구성된다.
침카트리지(100)는 대략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된 이송케이스(110)와 고정케이스(120)로 대별되며, 이송케이스(110)와 고정케이스(120)는 좌우로 이송가능하게 결합된다.
먼저, 이송케이스(110)를 살펴보면, 그 일면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정렬홈(111)이 형성되어 복수의 침(10)이 각각 삽입으로 정렬되며, 이송케이스(110)의 상?하단부에는 슬라이드레일(113)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정렬홈(111)이 형성된 이송케이스(110)의 일면에는 단속레일(112)이 슬라이드레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이러한 단속레일(112)은 침(10)의 침병(12) 일부분이 정렬홈(111)에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단속레일(112)은 후술하는 고정케이스(120)의 단속돌기(122)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선택적으로 단속레일(112)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고정케이스(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며, 그 상?하부에는 가이드레일(125)이 구비되어 이송케이스(110)의 슬라이드레일(113)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그리고 고정케이스(120)의 내측, 즉 이송케이스(110)의 정렬홈(111)에 마주하는 고정케이스(120)의 내측면에는 단속돌기(122)가 구비되어 이송케이스(110) 단속레일(112)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단속돌기(122)는 우측 선단에 정렬된 침(10)이 타격핀(251)에 의해 타격된 후에 그 침(10)에 이웃한 다른 침(10)이 핀공(211)의 하부에 배치하도록 침병(12)을 멈추어서 위치를 단속하게 된다. 또한 고정케이스(120)의 우측 선단의 상부에는 핀타격공(121)이 형성되어 타격핀(251)이 침(10)의 침병(12)을 타격하며, 하부에는 침발사공(124)이 형성되어 타격핀(251)에 의해 타격된 침(10)을 인체로 발사시키게 된다.
손잡이(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침공급홈(212)이 좌우로 연이어져 통하도록 구비되며, 우측에는 멈춤턱(214)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술한 고정케이스(120)의 우측단부가 걸려서 고정된다. 그리고 손잡이(210)의 우측 상부에는 수직으로 핀공(211)이 천공되어 침공급홈(212)에 연결된다. 이러한 손잡이(210)는 파지감의 향상을 위해 전면 및 후면을 외향으로 완만히 만곡되게 형성하고 외측 모서리를 라운드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침본체(230)는 손잡이(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실질적으로 침(10)을 타격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자침본체(230)는 손잡이(210)의 핀공(211)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핀안내공(237)이 형성된 베이스(236), 베이스(236)의 상부에 결합되어 승강작동공(233)을 갖는 하우징(231)으로 대별된다.
베이스(236)는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원통형의 가이드보스(239)가 상면 중앙에 형성되고, 이 가이드보스(239)의 중앙에는 수직의 핀안내공(237)이 천공되어 손잡이(210)의 핀공(211)에 상하로 연이어져 통하게 된다.
하우징(231)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베이스(236)의 상단부 외경에 결합되고 그 상부에는 원형의 승강작동공(233)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31)의 상부 일측에는 안내공(232)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하우징(231)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로 길게 형성된 작동장공(2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침본체(230)는 가이드보스(239)의 외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높이조절링(240) 및 링회전레버(242)를 더 포함하는데, 높이조절링(240)의 상부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의 크라운톱니(241)가 원주방향으로 구비되고, 높이조절링(240)의 외주연 일측에는 링회전레버(242)가 연결되며, 이 링회전레버(242)는 상술한 하우징(231)의 작동장공(234)으로 관통되어 높이조절링(240)을 가이드보스(239)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크라운톱니(2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형태로 형성되며 그 개수는 두 개, 네 개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자침본체(230)는 해머(250)를 탄력적으로 승강시켜서 복원시키는 복원스프링(244)을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복원스프링(244)은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안내공(237)의 축두(238) 외경에 그 하단부가 끼움결합으로 고정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244)은 하강된 해머(250)의 내측 저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해머(250)를 다시 상승시키는 것이다.
해머(25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자침본체(230)의 승강작동공(233)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중앙에는 수직으로 길이가 긴 타격핀(251)이 구비되어 핀안내공(237)과 핀공(211)으로 안내되면서 침카트리지(100) 내의 침(10)-구체적으로 침병(12)의 상단-을 타격한다. 그리고 해머(250)의 하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지지림(252)이 외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타격스프링(26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된다.
더하여, 해머(250)는 상술한 자침본체(230)의 크라운톱니(241)에 단속되는 디텐트(253)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디텐트(253)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어 해머(250)의 내경에 장착되는 디텐트링(253a)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디텐트링(253a)의 일측에는 절개부(253b)가 형성되며, 이 절개부(253b)는 크라운톱니(241)에 간섭되지 않는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링(253a)의 절개(253b)의 원호 길이는 복수로 이루어진 크라운톱니(241)의 원호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디텐트링(253a)의 저면이 어느 한 크라운톱니(241)에 접촉될 때 다른 크라운톱니(241)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타격스프링(2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머(25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타격스프링(26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250)의 지지림(252)과 하우징(231)의 승강작동공(233)의 내경 저면 사이에 지지되도록 개재된다. 선택적으로 타격스프링(260)은 해머(25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레버부재(270)는 해머(25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레버부재(270)는, 자침본체(230)의 일측에 축핀(235)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타격레버(271), 타격레버(271)의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250)의 저면을 단속하는 멈춤쇠(272), 멈춤쇠(272)의 단속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273)으로 구성된다.
타격레버(271)는 대략 수직으로 길이가 긴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는 하우징(231)에 수평으로 설치된 축핀(235)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되며, 그 상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공(232)을 관통하는 멈춤쇠(272)가 일체로 형성되어 해머(250)의 저면을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타격레버(271)의 하단부와 손잡이(210)의 외면 사이에는 지지스프링(273)이 개재되어 멈춤쇠(272)를 항상 안내공(232)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타격레버(271)의 하부를 누르면 축핀(235)을 중심으로 타격레버(271)가 회전되고, 이와 함께 해머(250)의 저면을 단속하던 멈춤쇠(272)가 회전되어 해머(250)가 하강하면서 타격핀(251)이 킴카트리지(100) 내의 침(10)을 타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침카트리(100)의 슬라이딩레일(123)을 침공급홈(212)의 가이드레일(213)에 근접시켜서 밀면, 침카트리지(100)는 가이드레일(213)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침공급홈(212)에 결합되고, 침카트리지(100) 내의 우측 선단에 정렬된 침(10)은 핀공(211)의 하부에 배치된다.
평상시, 해머(250)는 도 2에서와 같이 레버부재(270)의 멈춤쇠(272)에 의해 그 하단부가 단속되어 있다.
그리고 침술 전문인은 손잡이(210)를 잡고 인체의 소정 부위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타격레버(271)의 하부를 누르면 멈춤쇠(272)에 의해 단속되었던 해머(250)가 타격스프링(260)의 탄성력에 의해 강하게 하강하고, 이와 함께 타격핀(251) 또한 하강하여 침카트리지(100) 내의 침(10)을 타격하며, 이에 따라 침(10)은 인체의 표피를 찌르면서 침술을 이루게 된다.
이때, 환자를 찌르는 침(10)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링회전레버(242)를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높이조절링(240)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시키고, 상술한 과정으로 침(10)을 타격하면 도 3에서와 같이 디텐트링(253)이 높이조절링(240)의 크라운톱니(241)에 단속되어 타격강도가 달라지며, 이에 의해 침(10)의 발사속도 또한 가감되어 환자를 찌르는 침(10)의 깊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하강된 해머(250)는 복원스프링(244)에 의해 상승되면서 도 2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레버부재(270)의 멈춤쇠(272)는 지지스프링(273)에 의해 해머(250)의 하단부를 다시 단속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1에서와 같이 이송케이스(110)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 단속레일(112)은 단속돌기(122)를 따라 이송되는데, 이때 단속돌기(122)는 발사된 침(10)에 이웃된 침(10)의 침병(12)에 걸려서 이송케이스(110)가 더 이상 이송되지 않도록 단속하고, 이같이 단속돌기(122)에 걸린 침(10)은 핀공(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부재(270)의 작동 시 타격핀(251)에 의해 타격되며, 이러한 과정은 반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침술 전문인이 침카트리지(100)를 반자동으로 조작하여 침(10)을 계속해서 발사할 수 있고, 참카트리지(100) 내의 침(10)들은 정렬홈(111)에 삽입된 상태로 포장되므로 상호 마찰에 의한 첨예부(13)의 마모 또는 부러짐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링회전레버(242)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인체를 찌르는 침(10)의 깊이를 조절하여 치료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 대체, 부가할 수 있음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 특허청구법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10 : 침 100 : 침카트리지
110 : 이송케이스 120 : 고정케이스
210 : 손잡이 230 : 자침본체
250 : 해머 260 : 타격스프링
270 : 레버부재

Claims (7)

  1. 복수의 침이 폭방향으로 정렬된 침카트리지, 상기 침카트리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침공급홈 및 이 침공급홈의 일측에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핀공이 구비된 손잡이, 상기 핀공에 연이어져 통하는 핀안내공 및 이 핀안내공에 연이어져 통하도록상부에 승강작동공이 형성되어 손잡이의 상부에 결합되는 자침본체, 상기 자침본체의 승강작동공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핀안내공과 핀공으로 안내되면서 침카트리지에 내장된 침을 타격하도록 타격핀이 구비된 해머, 상기 해머와 자침본체 사이에 연결되어 해머를 탄력적으로 타격시키는 타격스프링, 상기 타격스프링의 작동에 의한 해머의 타격을 조작하도록 자침본체에 구비된 레버부재, 상기 타격핀의 타격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핀안내공을 포함하도록 자침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보스, 상기 가이드보스의 외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의 크라운톱니가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높이조절링, 상기 높이조절링을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자침본체에 형성된 작동장공을 관통하는 링회전레버, 상기 크라운톱니에 단속되도록 해머에 구비된 디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을 타격하면서 하강된 해머를 상승복원시키도록 자침본체의 내부에는 복원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해머의 내경에 장착되도록 디텐트링으로 형성하되, 상기 디텐트링에는 크라운톱니에 간섭되지 않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자침본체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타격레버, 상기 타격레버의 상부에 형성되어 해머의 타격을 단속하는 멈춤쇠, 상기 멈춤쇠의 단속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타격레버의 하부에 연결된 지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자침본체에는 멈춤쇠의 작동을 안내하도록 안내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카트리지는, 복수의 침을 폭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복수의 정렬홈이 형성되어 침공급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케이스, 상기 이송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타격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침의 위치를 단속하는 단속돌기가 구비된 고정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침공급홈에는 침카트리지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도록 가이드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침카트리지의 어느 한 케이스에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슬라이딩레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침기.
KR1020110025004A 2011-03-21 2011-03-21 자침기 KR101160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04A KR101160213B1 (ko) 2011-03-21 2011-03-21 자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5004A KR101160213B1 (ko) 2011-03-21 2011-03-21 자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213B1 true KR101160213B1 (ko) 2012-06-26

Family

ID=46689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004A KR101160213B1 (ko) 2011-03-21 2011-03-21 자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2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52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강도조절이 가능한 연속자침기
CN107510589A (zh) * 2017-08-01 2017-12-26 谢运发 松骨组件及其使用方法
CN109431792A (zh) * 2018-10-23 2019-03-08 南阳普诺瓦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卷艾条一体机
KR20190037005A (ko) 2017-09-28 2019-04-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 시술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4291U (ko) * 1977-04-20 1978-11-14
KR930002186U (ko) * 1991-07-26 1993-02-25 최영문 수지침 자동 자침기
KR20040008268A (ko) * 2002-07-18 2004-01-31 윤희숙 한방용 연속 자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4291U (ko) * 1977-04-20 1978-11-14
KR930002186U (ko) * 1991-07-26 1993-02-25 최영문 수지침 자동 자침기
KR20040008268A (ko) * 2002-07-18 2004-01-31 윤희숙 한방용 연속 자침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8152A (ko) * 2014-12-05 2016-06-15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강도조절이 가능한 연속자침기
KR101655414B1 (ko) * 2014-12-05 2016-09-07 주식회사 진바이오테크 강도조절이 가능한 연속자침기
CN107510589A (zh) * 2017-08-01 2017-12-26 谢运发 松骨组件及其使用方法
KR20190037005A (ko) 2017-09-28 2019-04-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침 시술장치
CN109431792A (zh) * 2018-10-23 2019-03-08 南阳普诺瓦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卷艾条一体机
CN109431792B (zh) * 2018-10-23 2024-05-14 南阳普诺瓦自动化设备有限公司 全自动卷艾条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213B1 (ko) 자침기
JP4443610B2 (ja) 連続式刺針器
KR101847548B1 (ko) 자동 침 시술장치
CN103126883A (zh) 一种连续自动针灸进针器
CN109498445B (zh) 一种针灸定位装置
CN203724457U (zh) 连续式针灸针快速进针器
KR101031596B1 (ko) 이중맹검용 침자입장치
KR20140010513A (ko) 자동 침 시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사 침의 모니터링 시스템
CN212307845U (zh) 一种可调节档位的安全采血针
CN106236568A (zh) 一种多档位自助针灸理疗仪
KR101507490B1 (ko) 침 연발식 주사장치
CN210750270U (zh) 一种针灸用的进针装置
CN208756526U (zh) 一种限位式长头劫刺尖针
KR101991448B1 (ko) 자동 침 시술장치
CN111803372A (zh) 一种针灸针进针器
CN103751017A (zh) 毫针快速进针笔
CN210932734U (zh) 一种能够调节艾条高度的艾灸筒
CN213099410U (zh) 一种可控制针刺角度的针灸辅助装置
CN209475156U (zh) 一种中医内科用进针器
CN211410147U (zh) 一种方便操作的针灸针送针器
CN215961127U (zh) 埋线针
CN211244574U (zh) 一种针灸用推针装置
CN104023650B (zh) 具有间隔件的缝合组件
CN214596499U (zh) 一种神经内科临床神经针刺康复治疗器
CN111803370A (zh) 一种针灸用针灸针发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