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991B1 - A skateboard - Google Patents

A skate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991B1
KR101159991B1 KR1020100077432A KR20100077432A KR101159991B1 KR 101159991 B1 KR101159991 B1 KR 101159991B1 KR 1020100077432 A KR1020100077432 A KR 1020100077432A KR 20100077432 A KR20100077432 A KR 20100077432A KR 101159991 B1 KR101159991 B1 KR 101159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board
sprocket
coupled
uni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4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9476A (en
Inventor
최광삼
Original Assignee
최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삼 filed Critical 최광삼
Publication of KR20110079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99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 상부에 구비된 두 개의 발판을 교대로 눌러 전진을 함과 아울러 브레이크페달로 제동과 급제동을 할 수 있으며, 몸의 기울기로 좌우방향전환 을 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마련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푸트동력원과; 상기 푸트동력원의 구동에 의해 시소를 하는 시소운동부와; 상기 시소운동부에 의해 구동을 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구동부와; 상기 푸트동력원과 후방구동부 에는 스케이트보드를 제동 할 수 있는 있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후방구동부에 대향(對向)하는 위치에는 상기 후방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피동으로 구동되는 전방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설치된 두 개의 발판을 교대로 눌러 스케이트보드를 전진함과 아울러 몸의 기울기만으로도 좌우방향이 전환되며, 발판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스케이트보드를 제동과 급제동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kateboard that is capable of braking and sudden braking with a brake pedal, while advancing by alternately pressing the two scaffolds provided on the top of the skateboard, and switch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inclination of the body.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oot power source for generating power; A seesaw movement unit for seesawing by driving the foot power source; A power transmission unit driven by the seesaw movement unit; A rear drive unit driven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he foot power source and the rear driving unit and the brake unit for braking the skateboard;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rear driving part includes a front driving part driven by the driving of the rear driving part.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the two scaffolds installed on the skateboard alternately to advance the skateboard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switched only by the inclination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by braking and rapid braking of the skateboard with a brake installed on the scaffold.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A SKATEBOARD} Skateboarding {A SKATE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 상부에 구비된 두 개의 발판을 교대로 눌러 전진함과 아울러 몸의 기울기만으로도 좌우방향 전환이 되며, 발판에 설치된 브레이크로 스케이트보드를 제동과 급제동을 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ely advances by pressing the two scaffolds provided on the top of the skateboard and can be switched left and right only by tilting the body, providing a skateboard capable of braking and braking the skateboard with a brake installed on the scaffold. will be.

일반적인 스케이트보드는 긴 타원형의 단일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저면에는 전/후방으로 각각의 바퀴가 2개씩 구비된 바퀴세트로 구성되어 있는 바, 종래 스케이트보드를 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한쪽 발은 플레이트에 다른 한쪽 발로는 지면을 스텝으로 치고 나가면서 그 추진력에 의해 스케이트보드가 주행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A typical skateboard consists of a single long oval plate and a set of wheels with two wheels on the bottom and two wheels on the bottom of the plate. On the other hand, the skateboard enters the driving mode by stepping out of the ground.

그리고, 어느 정도의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스케이트보드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체인지 할 때에는 몸을 기울여 스케이트보드를 방향을 전환하는 방법으로 스케이트보드를 즐기고 있다. In addition, when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to the left or right in a state of accelerating to some extent, the skateboard is enjoyed by a method of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by tilting the body.

그러나, 종래 스케이트보드는, 출발하는 시점과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스텝으로 치고 나가지 않고서는 스케이트보드가 전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고, 발의 반복적인 움직임이 다리의 운동의 효과는 있을 수 있으나 그 만큼의 체력 소모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kateboard is a structure in which the skateboard cannot move forward without the user stepping the ground with the foot to obtain the starting point and driving force, and the repetitive movement of the foot may have the effect of the movement of the leg. It can b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eight is consumed as much.

또한, 스케이트보드 초보자가 탈 경우에 한 발은 보드 상에 올려놓고, 다른 한 발은 지면 마찰을 이용하여 보드를 치고 나간 뒤 어느 정도 스케이트보드가 탄력을 받으면, 지면에 있던 발을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몸의 중심을 잡기가 매우 어렵고, 특히 앞, 뒷바퀴가 전진과 후진을 병행하고 있어 쉽게 배울 수 없는 구조인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skateboarding beginner rides, one foot is placed on the board and the other foot hits the board using ground friction, and then the skateboard is resilient to some extent, and the foot on the ground is placed. At this time, it is very difficult to grasp the center of the body, especially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a structure that can not be easily learned because the parallel and forward.

또한, 바퀴 축에 결합된 앞, 뒷바퀴는 오르지 일직선으로만 회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만약 직선코스 주행 중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두발이 플레이트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몸을 기울여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이 때 방향이 전환된 라인의 바퀴는 지면과 맞닿게 되고, 타방향이 라인에 이던 바퀴는 공중으로 부상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지면과 맞닿아 있는 바퀴라인의 플레이트 전방 모서리가 지면과 접촉하면서 마찰을 일으킴과 동시에 그 라인에 있던 바퀴의 가장자리를 편 마모가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wheels coupled to the wheel axle are to be rotated in a straight line only. If you change the direction to the left or right during the course of a straight course, the feet ar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late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At this time, the wheel of the line is turned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 wheel in the other direction is seen in the air is floating, the front edge of the plate of the wheel line in contact with the ground It can be seen that abrasion occurs at the edge of the wheel in the line while friction occurs while in contact with the.

또한, 주행 중 사각지대에서 급작스런 장애물 돌출 시에 급제동을 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지면에 돌출된 장애물을 두 개의 바퀴가 타고 넘어갈 경우 이를 완충하는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가 없기 때문에 그 충격 그대로 신체에 전달되어 신체에 큰 부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accident because there is no device capable of sudden braking when sudden obstacles protrude from the blind spot during driving, especially shock absorber that buffers the two overhanging obstacles protruding from the ground ), The shock is transmitted to the body as it is, and the body may be seriously inju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는 두 개의 발판을 교대로 눌러 출발과 전진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주요 목적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that can be started and advanced by pressing the two scaffold alternately.

또 다른 목적은 발판에 브레이크페달을 설치하여 주행 중 제동하거나 사각지대에서 급작스런 장애물 돌출 시에 급제동을 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install a brake pedal on the footrest to provide braking during driving or sudden braking in case of sudden obstacle protrusion in the blind spot.

또 다른 목적은 뒷바퀴의 후륜 축에 단방향 클러치베어링 설치되어 있어 스케이트보드가 전진만 할 수 있도록 하여 초보자라도 스케이트보드를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one-way clutch bearing on the rear wheel shaft of the rear wheel to allow the skateboard to move forward so that even beginners can easily learn the skateboard.

또 다른 목적은 스케이트보드 전방에 배치된 바퀴에 스케이트보드의 진행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방향축이 설치되어 있어 초보자라도 스케이트보드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는 것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wheel that is arranged in front of the skateboard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axis that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even beginners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또 다른 목적은 스케이트보드 후방 하부에는 쇼크업소버가 설치되어 있어 주행 중에 요철 있더라도 충격을 완화 시킬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hock absorber is installed on the lower rear of the skateboard to mitigate the impact even if uneven during driving.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두 개의 횡간프레임으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는 스케이트보드의 추진(推進)과 전진을 원동력인 푸트동력원과, 상기 푸트동력원의 동력에 의해 시소운동을 하는 시소운동부와, 상기 시소운동부의 작용에 의해 베이스프레임 후방에 구비된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뒷바퀴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 전방에는 방향축을 중심으로 전진 및 좌우방향이 전환되는 앞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foot power source driving the propulsion (推進) and the forward of the skateboar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frame consisting of two transverse frames, the seesaw movement by the power of the foot power source A seesaw movement unit,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to a rear wheel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se frame by the action of the seesaw movement unit, and a front wheel in which forward and leftward directions are switched around a direction axis in front of the base frame opposite to the rear wheel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발판을 교대로 눌러 스케이트보드의 출발과 전진할 수 있고, 주행 중 사각지대에서 급작스런 장애물 튀어나올 경우 발판에 설치된 브레이크페달로 스케이트보드를 정지하도록 하여 사고를 차단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forward and start the skateboard by alternately pressing the two scaffolds, and when the sudden obstacle pops out of the blind spot while driving, stopping the skateboard by stopping the skateboard with the brake pedal installed on the scaffold. There is an advantage to that.

또한,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가 직선코스 주행 중에 몸을 기울이게 되면 베이스프레임의 두 개의 횡간프레임 중에 기울어진 곳으로 쏠림과 동시에 앞바퀴는 방향축을 중심으로 쏠리는 방향으로 바퀴가 회전되어 스케이트보드의 방향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kateboard is inclined while driving a straight course, the wheel is rotated in a direction that is inclined toward the inclination of the two transverse frames of the base frame at the same time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is easy to rotate the skateboard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시소운동부의 측면도.
도 4는 (a)(b)은 본 발명의 시소운동부의 작용상태도.
도 5와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의 작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동력전달부와 후방구동부의 평면도.
도 8과 도9는 본 발명의 동력절단부에 따른 단방향클러치베어링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완충부의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된 후륜축과 제1,2횡간프레임에 형성된 장공의 측면도.
도 12은 본 발명에 적용된 브레이크부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브레이크부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브레이크페달의 작용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브레이크작동부의 작용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에 스케이트보드가 방향을 전환하는 평면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of the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seesaw movement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b) is an action state of the seesaw m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 (b) is a state diagram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and the rear driv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according to the power cutt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buffer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side view of the long hole formed in the rear wheel shaft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ke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side view of the brak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functional state diagram of the brake pedal in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of the brake opera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of the skateboar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10)의 양측으로 제1,2횡간프레임(21)(22)이 배열된 베이스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부에는 스케이트보드(10)의 추진과 전진의 원동력인 푸트동력원(30)과; 상기 푸트동력원(30)의 압력에 의해 시소를 하는 시소운동부(40)와; 상기 시소운동부(40)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전달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50)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구동부(60)와; 상기 푸트동력원(30)과 후방구동부(60)에는 스케이트보드(10)의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부(70)와: 상기 후방구동부(60)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전방에는 피동으로 구동되는 전방구동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base frame 20,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21, 22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kateboar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t power source 30 which is a driving force for propulsion and advancement of the skateboard 10 on the base frame 20; Seesaw movement unit 40 for seesawing by the pressure of the foot power source 30; A power transmission part 50 driven by the seesaw movement part 40; A rear drive unit 60 driven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The foot power source 30 and the rear drive unit 60, the brake unit 70 capable of braking the skateboard 10 and: the front of the base frame 20 opposite to the rear drive unit 60 by the passi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ont drive unit 80 is driven.

그리고, 상기 푸트동력원(30)은 두 개가 한조로 된 발판(31a)(31b)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발판(31a)(31b)의 전방 양측에는 베이스프레임(20)의 제1횡간프레임(21) 돌출된 수직부재(23)와 발판중심축(32)으로 체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t power source 30 is composed of two pairs of footrests 31a and 31b, and the first transverse frame 21 of the base frame 20 on both front sides of the footrests 31a and 31b. The protruding vertical member 23 and the scaffold central shaft 32 may be fastened.

여기서, 발판(31a)(31b)의 후방 밑면에는 앵글부재(33a)(3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Here, angle members 33a and 33b ar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s 31a and 31b.

그리고, 상기 시소운동부(40)는 첨부도면 도 3내지 도 4(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로 두 개의 시소부재(41a)(41b)가 분할되어있되, 상기 시소부재(41a)(41b) 각각은 베이스프레임(20)의 제2횡간프레임(22)과 시소중심축(42a)(42b)으로 결합되며, 시소부재(41a)(41b) 각각의 일단은 상기 앵글부재(33a)(33b)와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링크(43) 단부에 관통된 스프로킷휠(44a)(44b)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링크(43)의 중앙에 배치되는 스프로킷휠(45)은 중심축(46)에 결합된다. In addition, the seesaw movement part 40 has two seesaw members 41a and 41b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S. 3 to 4 (a) and (b), and the seesaw member 41a. Each of the 41 and 41b is coupled to the second transverse frame 22 of the base frame 20 and the seesaw center axes 42a and 42b, and one end of each of the seesaw members 41a and 41b is the angle member 33a. )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s 44a and 44b penetrated at the end of the coupling link 43, and the sprocket wheel 45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link 43 has a central axis. Is coupled to (46).

여기서, 앵글부재(33a)(33b)와 시소부재(41a)(41b) 끝단에는 연결프레임(47)으로 결합되어 있다. Here, the ends of the angle members 33a and 33b and the seesaw members 41a and 41b are coupled to the connection frame 47.

또한, 결합링크(43) 양측단부에 배치된 스프로킷휠(44a)(44b)은 상기 중심축(46)에 결합된 스프로킷휠(45)과 체인(48)로 연결되며, 상기 체인(48) 양측단부는 제2횡간프레임(22) 하부에 형성된 받침프레임(49)과 결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sprocket wheels 44a and 44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oupling link 43 are 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45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46 by a chain 48 and both sides of the chain 48. The end is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49 formed below the second transverse frame 22.

또한, 결합링크(43) 양측단부에 배치된 스프로킷휠(44a)(44b)은 시소중심축(42)을 중심으로 직선상 상하로 시소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sprocket wheels 44a and 44b dispos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coupling link 43 allow the seesaw movement of a straight line up and down about the seesaw center axis 42.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50)에는 도 5(a)(b), 도6(a)(b), 도7, 도8,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소운동부(40)의 중심축(46)에 제1스프로킷부(51)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구동부(60)에는 제2스프로킷부(52)가 배치되며, 상기 제1스프로킷부(51)와 제2스프로킷부(52) 사이에는 체인부(53)가 배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has a center of the seesaw movement unit 40 as shown in FIGS. 5 (a) (b), 6 (a) (b), 7, 8, and 9.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is disposed on the shaft 46, and the second sprocket portion 52 is disposed on the rear driving portion 60, and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and the second sprocket portion 52 are disposed. The chain part 53 is arrange | positioned in between.

여기서, 제1스프로킷부(51)에는 두 개의 스프로킷휠(51a)(51b)이 결합되고, 제2스프로킷부(52) 또한 두 개의 스프로킷휠(52a)(52b)이 결합되어 있다.Here, two sprocket wheels 51a and 51b are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and two sprocket wheels 52a and 52b are coupled to the second sprocket portion 52.

또한, 상기 스프로킷휠(51a)과 스프로킷휠(52a)에는 체인부(53)의 체인(53a)이 체결되며, 상기 스프로킷휠(51b)과 스프로킷휠(52b)에는 체인부(53)의 “X”형체인(53b)이 체결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chain 53a of the chain portion 53 is fastened to the sprocket wheel 51a and the sprocket wheel 52a, and “X” of the chain portion 53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51b and the sprocket wheel 52b. ”Chain 53b is fastened.

또한, 상기 “X"형 체인(53b)의 중간에는 “X"형결합링크(53c)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X" type coupling link 53c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X" type chain 53b.

그리고, 상기 후방구동부(60)에 배치된 후륜축(61)에는 상기 동력전달부(50)의 스프로킷휠(52a)(52b)이 배치되고, 상기 스프로킷휠(52a)(52b)과 후륜축(61) 사이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각각의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54b)으로 결합되어 스케이트보드(10)가 전진만 할 수 있도록 하고, 후륜축(61)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뒷바퀴(62)에도 각각의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54b)이 결합 되어있다. In addition, the sprocket wheels 52a and 52b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are disposed on the rear wheel shaft 61 disposed on the rear drive unit 60, and the sprocket wheels 52a and 52b and the rear wheel shaft ( 61 is coupled to each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a) (54b) that rotates only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skateboard 10 can only advance, and the rear wheel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rear wheel shaft (61) Each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a, 54b is also coupled to the 62.

또한, 첨부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륜축(61) 상부와 베이스프레임(20) 하부에는 뒷바퀴(62)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63)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완충부(63)는 쇼크업소버(64)가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0, the rear wheel shaft 6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20, the shock absorbing portion 63 for buffering the rear wheel 62 is disposed. Here, the shock absorber 63 may be a shock absorber 64.

또한, 첨부도면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축(61)이 관통하는 양측의 제1,2횡간프레임(21)(22) 각각에는 장공(21a)(22a)이 형성되어있어 제1,2횡간프레임(21)(22)의 기울임과 움직임으로부터 후륜축(61)이 간섭받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 11,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21 and 22 on both sides through which the rear wheel shaft 61 penetrates are formed with long holes 21a and 22a, respectively. The rear axle 61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tilting and the movement of the frames 21 and 22.

그리고, 첨부도면 도 11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70)에는 브레이크페달(71), 와이업부(72), 브레이크작동부(73) 및 브레이크패드(74)로 구분할 수 있다. 11 to 16, the brake unit 70 may be divided into a brake pedal 71, a wake-up unit 72, a brake operating unit 73, and a brake pad 74.

상기 와이어부(72)에는 튜브(72a) 내부에 와이어(72b)가 내장되고, 상기 와이어(72b)가 노출된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페달(71)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브레이크작동부(73)의 조인트(73a)와 결합되어 있다. The wire part 72 has a wire 72b inside the tube 72a, one end of which the wire 72b is exposed is coupled with the brake pedal 71, and the other end is the brake operation part 73. It is coupled with the joint 73a of the.

또한, 조인트(73a)는 크랭크(73b)의 외주면을 감합하며, 상기 크랭크(73b)의 양측단부는 상기 브레이크패드(74)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joint 73a fi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73b, and both end portions of the crank 73b are connected to the brake pad 74.

또한, 상기 크랭크(73b)가 관통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제1,2횡간프레임(21)(22)에 장공(21b)(22b)이 형성되어있어 제1,2횡간프레임(21)(22)의 기울임과 움직임으로부터 크랭크(73b)가 간섭받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long holes 21b and 22b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21 and 22 of the base frame 20 through which the crank 73b penetrates. The crank 73b is prevented from interfering with the tilt and the movement of 22).

또한, 상기 크랭크(73b) 상부에는 길이방향의 앵글(73c)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73c)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재(73d)에는 상기 조인트(73a)와 와이어(72b)사이에 스프링(73e)이 설치된 것으로, 브레이크페달(71)을 밝으면 와이어(72b)가 잡아당겨지고 브레이크페달(71)을 놓으면 와이어(72b)가 스프링(73e)에 의해 복귀하도록 하였다. In addition, an angle 73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rank 73b, and a spring (between the joint 73a and the wire 72b) is provided at the protruding member 73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angle 73c. 73e) is provided. When the brake pedal 71 is bright, the wire 72b is pulled out, and when the brake pedal 71 is released, the wire 72b is returned by the spring 73e.

그리고, 상기 전방구동부(80) 중앙에 배치된 방향축(81) 상부에는 경사프레임(82)과 결합되고 하부에는 전륜드럼(8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륜드럼(83)의 양측단부에는 앞바퀴(84)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clination frame 82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direction shaft 81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driving portion 80, and a front wheel drum 83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and front wheels are connected to both side ends of the front wheel drum 83. 84 is provided.

여기서, 방향축(81)에는 상기 전륜드럼(83)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85)Here, the bearing (85) on the direction shaft 81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front wheel drum (83)

이 내설되어 있다. This is impli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작용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kate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follows.

먼저, 스케이트보드(10) 이용자는 스케이트보드(10) 상부에 배치된 양측의 발판(31a)(31b) 양 발을 올려놓고 좌측 발의 발뒤꿈치로 발판(31a)을 누르게 되면 우측의 발판(31b)은 상승하게 된다. 즉, 첨부도면 도 4 (a)에서와 같이 좌측의 발판(31a)이 내려보내면 그 하부에 배치된 시소부재(41a)는 시소중심축(42a)을 중심으로 좌측은 내려가고 우측은 올라가게 된다. 이때 우측 단에 결합된 스프로킷휠(44a)은 반시계방향으로 체인(48)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중앙의 스프로킷휠(45)과 중심축(46)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반대방향에 있던 우측의 스프로킷휠(44b)은 중앙의 스프로킷휠(45)의 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체인과 스프로킷휠(44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우측의 시소부재(41b)의 시소중심축(42b)을 중심으로 좌측은 하강하고 우측은 상승함에 따라 우측에 있는 발판(31b)이 상승하게 된다. First, when the user of the skateboard 10 puts both the footrests 31a and 31b on both sides of the skateboard 10 and presses the footrest 31a with the heel of the left foot, the footrest 31b on the right side of the skateboard 10 is pressed. Will rise. That is, as shown in Fig. 4 (a), when the footrest 31a on the left side descends, the seesaw member 41a disposed below the left side is lowered and the right side is raised about the seesaw center axis 42a. . At this time, the sprocket wheel 44a coupled to the right end moves the chain 48 upwar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sprocket wheel 45 and the central axis 46 in the center clockwise. At this time, the sprocket wheel 44b on the right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rotates the chain and the sprocket wheel 44b counterclockwise by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sprocket wheel 45 in the center, and the seesaw member 41b of the right seesaw member 41b is rotated. As the left side descends and the right side rises about the axis 42b, the scaffold 31b on the right side rises.

상기와 같이 중심축(4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동력전달부(50)가 구동하는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is driven by rotating the central axis 46 in the clockwise direction.

한편, 이번에는 반대로 상승되어 있던 우측의 발판(31b)의 내리는 작용을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우측의 발판(31b)이 내려 보내면 그 하부에 배치된 시소부재(41b)는 시소중심축(42b)을 중심으로 좌측은 올라가고 우측은 내려가게 된다. 이때 좌측 단에 결합된 스프로킷휠(44b)은 시계방향으로 체인(48)을 상측으로 이동시켜 중앙의 스프로킷휠(45)과 중심축(46)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반대방향에 있던 좌측의 스프로킷휠(44a)은 중앙의 스프로킷휠(45)의 반시계방향 회전에 의해 체인과 스프로킷휠(44b)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측의 시소부재(41a)의 시소중심축(42a)을 중심으로 좌측은 상승하고 우측은 하강함에 따라 좌측에 있는 발판(31a)이 상승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ing step of the step 31b of the right side that has been raised in reverse this time, as shown in Fig. 4 (b)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eesaw member 41b disposed below the bottom plate 31b is sent down. The left side goes up and the right side goes down about the seesaw center axis 42b. At this time, the sprocket wheel 44b coupled to the left end rotates the chain 48 upward in a clockwise direction to rotate the central sprocket wheel 45 and the central axis 46 counterclockwise. At this time, the sprocket wheel 44a on the left side in the opposite direction rotates the chain and the sprocket wheel 44b clockwise by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procket wheel 45 in the center, and the seesaw member 41a of the left seesaw member 41a is rotated. As the left side rises and the right side descends about the axis 42a, the scaffold 31a on the left side rises.

상기와 같이 중심축(46)이 시계와 반시계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여 동력전달부(50)와 후방구동부(60)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5 (a)(b), 도 6 (a)(b), 도 7, 및 도 8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axis 46 rotates counter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to attach the ac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and the rear drive unit 60. FIGS. 5 (a) (b) and 6 (a). Referring to (b), FIG. 7, and FIG. 8 as follows.

첨부도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4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프로킷부(51)의 스프로킷휠(51a)과 체인(53a)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체인(53a)에 의해 후륜축(61)에 있는 스프로킷휠(52a)이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된다. 이때 후륜축(61)에 결합된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은 시계방향의 회전에서는 공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스케이트보드(10)가 전진하지 않으며. 첨부도면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4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프로킷부(51)의 스프로킷휠(5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x"형체인(53b)은 “X"형결합링크(53c)로 연결되어 있어 후륜축(61)에 설치된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b)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구동부(60)의 뒷바퀴(62)가 회전하여 스케이트보드(10)를 전진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central shaft 46 rotates clockwise, the sprocket wheel 51a and the chain 53a of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The sprocket wheel 52a in the rear wheel shaft 61 is interlocked in the same direction by the chain 53a. At this time,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a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61 is idle when rotated clockwise. Therefore, the skateboard 10 is not advanced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5B, when the central axis 46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entral axis 46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ocket wheel 51b of the first sprocket part 51. At this time, the "x" type chain 53b is connected to the "X" type coupling link 53c, so that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b installed on the rear wheel shaft 61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rear wheel of the rear drive unit 60 is rotated. 62 was rotated to advance the skateboard 10.

한편, 이번에는 반대로 첨부도면 도 6의 (a)에서와 같이 중심축(4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프로킷부(51)의 스프로킷휠(51a)과 체인(53a)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x"형체인(53a)에 의해 후륜축(61)에 있는 스프로킷휠(52a)이 연동된다. 이때 후륜축(61)에 결합된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후륜축(6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뒷바퀴(62)가 구동하여 스케이트보드(10)가 전진하게 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46)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스프로킷부(51)의 스프로킷휠(51b)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체인(53b)은 “X"형결합링크(53c)로 연결되어 있어 후방에 있는 스프로킷휠(52b)은 시계방향으로 체인지 되고 더불어 후륜축(61)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와 결합된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은 시계방향에서 공회전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contrary, as shown in FIG. 6A, when the central axis 46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procket wheel 51a and the chain 53a of the first sprocket part 51 are in the same direction. The sprocket wheel 52a on the rear wheel shaft 61 is interlocked by the “x” shaped chain 53a. At this time,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a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61 is counterclockwise. As the rear wheel shaft 6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rear wheel 62 is driven to advance the skateboard 1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When the central shaft 46 rotates counterclockwise, it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procket wheel 51b of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At this time, the chain 53b is connected by an “X” type coupling link 53c. The rear sprocket wheel 52b is changed clockwise and the rear axle 61 also rotates clockwise.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 54a coupled to the line is id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상기와 같이 푸트동력원(30), 시소운동부(40), 동력전달부(50) 및 후방구동부(60)의 작용하여 스케이트보드(10)가 전진하는 상태에서 주행 중 제동하거나 사각지대에서 급작스런 장애물 돌출 시에 급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 As described above, the foot power source 30, the seesaw movement part 40, the power transmission part 50, and the rear drive part 60 are actuated while the skateboard 10 moves forward while braking or suddenly protruding an obstacle from a blind spot. Here's how you can do a quick braking at the city:

푸트동력원(30)의 발판(31b)에 부착된 브레이크페달(71)을 밝으면 첨부도면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72b) 내장된 와이어(72b)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와이어(72b)와 결합된 조인트(73a)가 상승함과 아울러 조인트(73a)에 감합된 크랭크(73b)가 회전하면서 첨부도면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향회전크랭크(73b)와 결합된 브레이크패드(74)가 후륜축(61)을 파지하여 뒷바퀴(62)를 제동하여 스케이트보드(10)가 정지하게 된다. When the brake pedal 71 attached to the footrest 31b of the foot power source 30 is bright, as shown in FIG. 13, when the wire 72b having the tube 72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wire 72b ) And the brake pad 74 coupled with the same direction rotation crank 73b as the crank 73b rotated and the crank 73b fitted to the joint 73a are rotated as shown in FIG. Gripping the rear wheel shaft 61 to brake the rear wheel 62 to stop the skateboard (10).

스케이트보드(10)가 정지되어 브레이크페달(71)을 놓으면 첨부도면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73b)와 와이어(72b)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73e)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72b)가 복귀함과 아울러 상승에 있던 크랭크(73b)가 하측으로 복귀하게 되고, 크랭크(73b) 양측단부에 결합된 브레이크패드(74)가 상승하여 후륜축(61)구동을 해제 시킨다. When the skateboard 10 is stopped and the brake pedal 71 is released, the wire 72b is retur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73e disposed between the joint 73b and the wire 72b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 15. In addition, the crank 73b that has been raised is returned to the lower side, and the brake pads 74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ank 73b are raised to release the rear wheel 61 from driving.

한편, 상기와 같이 스케이트보드(10)를 주행하는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할 때에는 양측의 발판(31a)(31b)을 이용하게 되는데, 일예로 첨부도면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31a)(31b) 전방으로 발의 앞부분으로 몸을 기울이면 스케이트보드(10)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고, 발판(31a)(31b) 후방으로 발의 뒤 부분으로 몸을 기울이면 스케이트보드(10)는 좌측으로 전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switching the direction to the left or right in the state of driving the skateboard 10 as described above to use the footrest (31a) (31b) on both sides, for exampl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16) When the body is inclined to the front part of the foot toward the front of the foot 31a) and 31b, the skateboard 10 turns to the right side, and when the body is inclined to the rear part of the foot behind the footboards 31a and 31b, the skateboard 10 Will switch to the left.

상기와 같이 스케이트보드(10)가 몸의 기울기만으로도 방향을 전환하는 구체적인 이유는 전방구동부(80)의 방향축(81) 내부에 있는 베어링(85)이 베이스프레임(20)의 쏠림에 현상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베어링(85)이 회전함에 따라 방향축(81)과 전륜드럼(83)이 회전하여 앞바퀴(84)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스케이트보드(10)가 방향이 전환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specific reason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10 only by the inclination of the body is that the bearing 85 inside the direction shaft 81 of the front driving unit 80 is caused by the phenomenon of the base frame 20 being pulled out. Will rotate. Therefore, as the bearing 85 rotates, the direction shaft 81 and the front wheel drum 83 rotate to rotate the front wheel 84 to the left or the right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skateboard 10 is chang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modified and modif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see

10 : 스케이트보드 20 : 베이스프레임
30: 푸트동력원 40 : 시소운동부
50 : 동력전달부 60 : 후방구동부
70 : 브레이크부 80 : 전방구동부
10: skateboard 20: base frame
30: foot power source 40: seesaw exercise unit
50: power transmission unit 60: rear drive unit
70: brake portion 80: front drive portion

Claims (14)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10)의 양측으로 제1,2횡간프레임(21)(22)이 배열된 베이스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20) 상부에는 스케이트보드(10)의 추진과 전진의 원동력인 푸트동력원(30)과; 상기 푸트동력원(30)의 압력에 의해 시소를 하는 시소운동부(40)와; 상기 시소운동부(40)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전달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50)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구동부(60)와; 상기 푸트동력원(30)과 후방구동부(60)에는 스케이트보드(10)의 제동을 할 수 있는 브레이크부(70)와: 상기 후방구동부(60)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20)의 전방에는 피동으로 구동되는 전방구동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스케이트보드.A base frame 20 having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rames 21 and 22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skateboard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foot power source 30 which is a driving force for propulsion and advancement of the skateboard 10 on the base frame 20; Seesaw movement unit 40 for seesawing by the pressure of the foot power source 30; A power transmission part 50 driven by the seesaw movement part 40; A rear drive unit 60 driven by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The foot power source 30 and the rear drive unit 60, the brake unit 70 capable of braking the skateboard 10 and: the front of the base frame 20 opposite to the rear drive unit 60 by the passive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front drive (8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트동력원(30)은 두 개가 한조로 된 발판(31a)(31b)과;
상기 발판(31a)(31b)의 전방 양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제1횡간프레임(21) 돌출된 수직부재(23)와 결합수단을 갖는 발판중심축(32)과;
상기 발판(31a)(31b)의 후방 밑면에는 앵글부재(33a)(33b)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oot power source 30 is a pair of two footrest (31a) (31b);
A scaffold central shaft 32 having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caffolds 31a and 31b having a vertical member 23 protruding from the first transverse frame 21 of the base frame 20;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member (33a) (33b) formed integrally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footrest (31a) (31b).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소운동부(40)는 두 개로 분할된 시소부재(41a)(41b)와;
상기 시소부재(41a)(41b) 각각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제2횡간프레임(22)과 결합수단을 갖는 시소중심축(42a)(42b)과;
상기 시소부재(41a)(41b) 각각의 일단은 상기 앵글부재(33a)(33b)와 결합되고, 타단은 결합링크(43) 단부에 관통된 스프로킷휠(44a)(44b)과 결합되고, 상기 결합링크(43)의 중앙에 배치되는 스프로킷휠(45)은 중심축(46)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esaw movement unit 40 includes two seesaw members 41a and 41b;
Each of the seesaw members 41a and 41b includes a seesaw center shaft 42a and 42b having a coupling means and a second transverse frame 22 of the base frame 20;
One end of each of the seesaw members 41a and 41b is coupled to the angle members 33a and 33b,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s 44a and 44b which penetrate the end of the coupling link 43. The sprocket wheel 45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coupling link 43, the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entral axis (4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휠(44a)(44b)은 상기 중심축(46)에 결합된 스프로킷휠(45)과 체인(48)로 연결되며, 상기 체인(48) 양측단부는 제2횡간프레임(22) 하부에 형성된 받침프레임(49)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procket wheels 44a and 44b are 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45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46 by a chain 48, and both ends of the chain 48 are disposed below the second interframe 22.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with the formed support frame (4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50)는 상기 중심축(46)에 제1스프로킷부(51)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구동부(60)에는 제2스프로킷부(52)가 배치되며, 상기 제1스프로킷부(51)와 제2스프로킷부(52) 사이에는 체인부(53)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transmission unit 50 has a first sprocket portion 51 is disposed on the central shaft 46, a second sprocket portion 52 is disposed on the rear drive unit 60, the first sprocket portion (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in portion 53 is disposed between the 51 and the second sprocket portion (5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로킷부(51)에는 두 개의 스프로킷휠(51a)(51b)이 결합되고, 제2스프로킷부(52) 또한 두 개의 스프로킷휠(52a)(52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wo sprocket wheels 51a and 51b are coupled to the first sprocket portion 51, and the second sprocket portion 52 is also coupled to the two sprocket wheels 52a and 52b. .
청구항 5 내지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휠(51a)과 스프로킷휠(52a)에는 체인부(53)의 체인(53a)이 체결되며, 상기 스프로킷휠(51b)과 스프로킷휠(52b)에는 체인부(53)의 “X”형체인(53b)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o 6,
The chain 53a of the chain portion 53 is fastened to the sprocket wheel 51a and the sprocket wheel 52a, and the "X" shape of the chain portion 53 is 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51b and the sprocket wheel 52b.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 (53b) is fastened.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X"형 체인(53b)의 중간에는 “X"형결합링크(53c)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X" type coupling link (53c) is connected to the middle of the "X" type chain (53b).
청구항 5 내지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휠(52a)(52b)과 후륜축(61) 사이에는 반시계방향으로만 구동하는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54b)이 결합되고, 상기 후륜축(61)의 양측단부의 뒷바퀴(62)에도 단방향클러치베어링(54a)(54b)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o 6,
Between the sprocket wheels 52a and 52b and the rear wheel shaft 61, the unidirectional clutch bearings 54a and 54b for driv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coupled, and the rear wheels 62 at both ends of the rear wheel shaft 61 are engaged.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ne-way clutch bearing (54a) (54b).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후륜축(61) 상부와 베이스프레임(20) 하부에는 뒷바퀴(62)의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부(63)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of claim 9.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portion 63 for buffering the rear wheels 62 is disposed on the rear wheel shaft 61 and the base frame 20 lower porti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63)는 쇼크업소버(64)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of claim 10,
The shock absorbing portion (63) is a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64) is arran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70)의 와이어(72b)의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페달(71)과 결합되고, 타단은 조인트(73a)와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73a)는 크랭크(73b)의 외주면을 감합하며, 상기 크랭크(73b)의 양측단부는 상기 브레이크패드(74)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wire 72b of the brake unit 70 is coupled to the brake pedal 71,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joint 73a, and the joint 73a fit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 73b.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ends of the crank (73b) is connected to the brake pad (7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73b) 상부에는 길이방향의 앵글(73c)이 형성되고, 상기 앵글(73c)의 중앙에 돌출된 돌출부재(73d)에는 상기 조인트(73a)와 와이어(72b)사이에 스프링(73e)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of claim 12,
An angle 73c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rank 73b, and a spring 73e is formed between the joint 73a and the wire 72b at a protrusion 73d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angle 73c.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구동부(80) 중앙에는 베어링(85)이 내재된 방향축(81)과:
상기 방향축(81) 상부에는 경사진 경사프레임(82)과;
상기 방향축 하단에는 양단에 앞바퀴(84)를 갖는 전륜드럼(8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center of the front drive unit 80 and the direction shaft 81, the bearing 85 is embedded:
An inclined inclined frame 82 on the direction axis 81;
Skate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wheel drum (83) having a front wheel (84) at both ends at the lower end of the direction axis.
KR1020100077432A 2009-12-30 2010-08-11 A skateboard KR10115999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3703 2009-12-30
KR1020090133703 200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76A KR20110079476A (en) 2011-07-07
KR101159991B1 true KR101159991B1 (en) 2012-06-25

Family

ID=4491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32A KR101159991B1 (en) 2009-12-30 2010-08-11 A skate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991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1A (en) * 2000-10-09 2002-04-17 윤창현 In-line skate board
KR20030065093A (en) * 2002-01-29 2003-08-06 권재범 Auto skateboard
KR20100010127U (en) * 2009-04-07 2010-10-15 박기원 Driving device for skate 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361A (en) * 2000-10-09 2002-04-17 윤창현 In-line skate board
KR20030065093A (en) * 2002-01-29 2003-08-06 권재범 Auto skateboard
KR20100010127U (en) * 2009-04-07 2010-10-15 박기원 Driving device for skate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76A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767B2 (en) Dual pedal-driven scooter
KR20090129551A (en) One way ratchet clutch and driving apparatus for bicycle in use with the same
KR20070000084A (en) Scooter with pedals for physical exercise
KR101159991B1 (en) A skateboard
KR20060136054A (en) Scooter with pedals for physical exercise
JP3223611U (en) bicycle
KR20120017170A (en) Self driving type skate board
CN110025934A (en) A kind of old man is rowed a boat with parent-offspring's body-building
US20080029991A1 (en) Hand-powered riding device
KR20190140395A (en) Three-wheeled boarding apparatus capable of tilting
JP4775615B2 (en) Running equipment
CN110789647A (en) Scooter
KR20100006851A (en) Driving device for kick board
KR200395612Y1 (en) Scooter with pedals for physical exercise
JP3875935B2 (en) Traveling equipment
KR200263890Y1 (en) kickboard
KR200382173Y1 (en) The bicycle without handle that having engine
KR200387428Y1 (en) The skateboard that go forward by pushing
KR101123472B1 (en) Safety stepping board device for scooter with pedals for physical exercise
KR101719798B1 (en) Moving device
KR100831841B1 (en) A skateboard
KR200339041Y1 (en) A skate board with retractable wheels
KR200363735Y1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of bicycles
KR200474587Y1 (en) Electric sled using single blade
KR200271699Y1 (en) Pedal-driven Kick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