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9503B1 -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 Google Patents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9503B1
KR101159503B1 KR1020110028899A KR20110028899A KR101159503B1 KR 101159503 B1 KR101159503 B1 KR 101159503B1 KR 1020110028899 A KR1020110028899 A KR 1020110028899A KR 20110028899 A KR20110028899 A KR 20110028899A KR 101159503 B1 KR101159503 B1 KR 101159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function
display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환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닉스
Priority to KR102011002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3Segmented electronic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4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is selected from a number of characters arranged one beside the other, e.g. on a common carrier pla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처리된 결과를 문자 또는 도형의 시각적 정보로 표시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국 표시기에 하나 이상의 자국 표시기를 직렬로 연결하되, 각 표시기 몸체에 설치된 입출력 커넥터를 통해 직접 연결하고, 각 표시기의 표시기능을 모국에서만 선택한 후 그 기능선택정보와 표시정보 및 전원을 모국에서 자국으로 커넥터를 통해 전송하며, 중간에 연결되는 자국 표시기에서는 앞단에서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여 자신에 해당되는 정보를 기초로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함과 아울러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표시기에 해당되는 정보를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표시기에 전송함으로써, 다단 표시기의 구성과 관련된 배선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선구조가 간단해지고, 각 표시기의 표시기능선택도 간단하여, 생산성, 가격 경쟁력, 유지 보수 등의 여러 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는 다단표시기이다.

Description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The Multi Stage Segment Display Unit Using Serial Command}
본 발명은 컴퓨터나 각종 제어기기와 같은 데이터처리장치와 연결하여 그러한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수행된 결과를 숫자 또는 문자 정보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복수의 세그먼트를 이용한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서 출력되는 결과를 복수 자릿수의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LED 또는 LCD 등과 같은 표시소자로 만들어진 1행의 표시기(상기 1행의 표시기는 1개의 숫자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기를 말한다)를 다수개 연결, 즉 다단으로 연결하여 데이터처리장치에서 다단 표시기의 각 행에 데이터, 전원 및 선택된 기능 등을 순차적으로 전송하여 표시하는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관한 것이다.
다단 표시기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아 직렬로 결합된 각 행의 표시기에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표시기능에 따라 표시한다.
다단 표시기에 구비되어 있는 설정가능한 표시기능으로는 상위 제로 블랭킹 기능, 소수점 선택기능, 입력신호의 정논리 또는 부논리 선택기능, 입력데이터 구성 16진 또는 10진 선택기능, 입력데이터의 직렬 또는 병렬 선택기능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표시하고자 하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이하 "표시정보"라 한다.)에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 표시기에서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설정가능한 표시기능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1행의 표시기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표시기에는 상기의 표시기능 선택을 위하여 각 표시기별로 주로 세그먼트가 있는 전면부를 제외한 일측면에 다수의 선택 단자(11)로 구성된 기능선택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택 단자(11)는 한 쌍의 개방된 단자로 이루어져 있어서, 개방된 단자를 연결하거나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켜 온 또는 오프의 상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표시기의 사용 환경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며, 이러한 선택 단자(11)는 각 설정기능에 대응되어 하나씩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선택 단자(11)는 사용자가 상기 개방된 한 쌍의 단자를 납땜으로 연결하여 기능선택을 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나, 상기 개방된 한 쌍의 단자에 딥스위치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상기 딥스위치의 스위칭 선택으로 기능선택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 행의 표시기는 이와 같이 각각에 선택된 기능에 의해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한다.
도 2는 종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결선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종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3을 참조하면, 종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는 각 행의 표시기(30)와 데이터처리장치(20) 그리고 각 행의 표시기(30)와 전원부(40)간에 표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각각의 데이터 신호선과 전원선이 연결되어 있는 입력커넥터(50)로 각각 연결하도록 이루어져서, 각 행의 표시기에 구비된 기능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따라 표시소자에 표시한다.
따라서 하나의 데이터처리장치(20)와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30)간에는 표시기의 행수만큼의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들이 각각의 입력커넥터를 통해 연결됨으로, 먼저 다수의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을 수용하는 입력커넥터의 사용에 따른 제조상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여러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들의 연결에 따른 불편과 여러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들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설치 및 유지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의 증가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의 기능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표시기능은 일반적으로 한 조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에 포함된 각 행의 표시기에서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각 표시기마다 별도로 납땜 또는 스위칭 조작으로 표시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시간소모와 생산성의 감소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각 행의 표시기를 모국 표시기 유닛(이하 "모국"이라 한다.)과 자국 표시기유닛(이하 "자국"이라 한다.)으로 구분하여 상기에 설명한 각 행 표시기들에 대한 기능 선택은 모국에서만 수행하고, 데이터신호선과 전원선 또한 데이터처리장치와 모국간에만 연결하는 한편, 모국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 정보와 표시할 표시정보 및 전원을 모국과 자국 또는 자국과 자국간에는 단순히 커넥터의 연결을 통해 직렬로 전송함으로써, 데이터처리장치와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간에 배선을 대폭 줄이고 표시기의 기능선택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된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은,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있어서,
문자와 도형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국측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정보와 전원을 외부에서 수신받는 모국측 입력커넥터, 상기 표시부의 표시기능을 외부에서 온오프 상태변경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선택부, 상기 입력커넥터로부터 수신받은 표시정보를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표시부로 출력함과 아울러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모국측 제어부, 상기 모국측 입력커넥터에 연결되어 수신 전원을 자체에 공급함과 아울러 후단의 자국으로 공급하도록 된 모국측 전원부, 그리고 상기 모국측 제어부의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그리고 전원부의 전원을 후단으로 전송하도록 연결된 모국측 출력커넥터를 구비하여서 된 모국;
문자와 도형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자국측 표시부,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와 체결되어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수신하는 자국측 입력커넥터,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를 통해 수신받은 표시정보를 기능선택정보에 따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자국측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자국측 제어부,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에 연결되어 수신 전원을 자체에 공급함과 아울러 후단의 자국으로 공급할 수 있는 출력단이 구비된 자국측 전원부, 그리고 후단에 연결될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그리고 전원부의 전원을 후단에 연결될 자국으로 전송하도록 연결된 자국측 출력커넥터를 구비하여서 된 자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국이 하나이상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국의 기능선택부는 상위 제로 블랭킹 기능과 소수점 선택기능, 입력신호의 정논리 또는 부논리 선택기능, 입력데이터 구성 16진 또는 10진 선택기능 및 입력데이터의 직렬 또는 병렬 선택기능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온오프 상태변경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각 자국에 출력할 상기 표시정보 및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의하면,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정보의 자릿수에 따라 필요한 개수만큼의 각 행의 표시기를 간단한 커넥터간의 결합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어, 각 행의 표시기마다 수행하던 배선작업공수와 기능 선택 공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의 향상과 배선 등의 원가를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이며, 설치 후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세그먼트 표시기에서 기능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결선도,
도 3은 종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결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조립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 세그먼트 표시기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국 세그먼트 표시기의 구성도.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100)은 어느 특정 데이터처리장치(110)로부터 데이터 처리결과에 따른 표시정보를 수신하여, 그 표시정보를 LED 또는 LCD 등과 같은 표시소자가 직렬로 여러 단이 연결되어 이루어진 표시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표시부는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는 표시기능에 따라 표시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위해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100)은 표시부의 기능선택수단이 구비된 하나의 모국(130)과 표시부의 기능선택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하나 이상의 자국(140)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모국(130)의 입력측에는 입력커넥터(131)가 설치되어, 데이터처리장치(110)의 케이블(120)에 설치된 커넥터(121)와 상호 체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블(120)은 표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선과 표시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부(150)의 전원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데이터선은 각종 직,병렬 통신방식 중에서 선택된 통신방식에 따라 케이블 가닥의 수가 변경될 수 있으며, 그에 대응되어 커넥터(121)와 입력커넥터(131)의 핀 수도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모국(130)의 출력측에는 후단에 연결될 자국(140)에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커넥터(13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자국(140)의 입력측에는 앞단에 연결될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134)나 다른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와 체결되어, 앞단의 모국(130)이나 자국(140)으로부터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수신할 수 있는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자국(140)의 출력측에는 후단에 추가로 연결될 자국(140)에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국(130)과 자국(140) 각각에는 수신된 표시정보에 따라 문자나 도형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자국(140)은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정보의 문자나 도형수에 대응되어 여러 단이 직렬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의 조립사시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처리장치(110)에서 출력된 표시정보와 전원부(15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100)에 함께 전송하는 케이블(120)의 출력측 선단에는 커넥터(121)가 설치되어 있어서 모국(130)의 입력측에 장착된 입력커넥터(13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모국(130)과 직렬로 연결된 자국(140)사이에는 모국의 출력측 커넥터(134)와 자국의 입력측 커넥터(141a)가 상호 체결되어 연결되고, 선행하는 자국(140)과 후행하는 자국간에는 각각의 출, 입력측 커넥터(141b, 141a)가 상호 체결되어 각 자국의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전송함으로써, 각 행의 표시기에 표시정보를 출력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모국(130)은 모국측 입력커넥터(131)와 기능선택부(132), 모국측 제어부(133), 모국측 출력커넥터(134), 모국측 표시기(135) 그리고 모국측 전원부(13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구성요소들은 보호케이스(137) 내에 수납되어 설치되며, 특히 모국측 표시기(135)의 전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국측 입력커넥터(131)는 데이터처리장치(110)로부터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100)에 표시하고자 하는 표시정보와 전원부(15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커넥터(121)와 체결되어 수신한다.
상기 기능선택부(132)는 모국(13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다단표시기의 상위 제로 블랭킹 기능, 소수점 선택기능, 입력신호의 정논리 또는 부논리 선택기능, 입력데이터 구성 16진 또는 10진 선택기능, 입력데이터의 직렬 또는 병렬 선택기능 등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물리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선택단자를 연결하거나 분리하여 온/오프 상태정보를 입력함으로써 기능선택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한 쌍의 선택단자를 납땜하거나 상기 선택단자에 딥스위치를 연결하여 스위칭하여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국 제어부(133)는 상기 입력커넥터(131)를 통해 수신한 표시정보로부터 모국에 표시할 표시정보와 자국에 표시할 표시정보를 구분한 후, 상기 모국에 표시할 표시정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기능선택부(132)로부터 입력된 기능에 따라 상기 모국(130)의 모국측 표시기(135)에 전송하는 한편, 자국에 표시할 표시정보 및 기능선택정보는 모국측 출력커넥터(134)에 전송한다.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134)는 상기 모국(130)의 일측면에서 노출되게 설치되어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140)들에게 전송할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상기 입력커넥터(131)로부터 전송된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 모국 표시기(135)는 상기 모국 보호케이스(137)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모국 제어부(133)로부터 출력된 표시정보를 수신하여 LED 또는 LCD 등으로 이루어진 표시소자에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상기 모국측 전원부(136)는 상기 입력커넥터(131)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상기 모국측 제어부(133)와 상기 모국측 표시기(135) 및 상기 기능선택부(132)등 내부회로에 공급한다.
상기 모국 보호케이스(137)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모국 제어부(133)와 상기 모국 전원부(136)를 보호하고, 상기 모국측 표시기(135)와 상기 모국측 입력커넥터(131) 및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134)가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국(140)은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와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 자국측 제어부(142), 자국측 표시기(143) 그리고 자국측 전원부(14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자국(140)의 구성요소들은 자국 보호케이스(145) 내에 수납되어 설치되며, 특히 자국측 표시기(143)의 전면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투시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는 상기 자국 보호케이스(145)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모국의 암커넥터(134) 또는 다른 자국의 암커넥터(141b)와 결합하여 상기 모국(130) 또는 다른 자국(140)으로부터 전송되는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전달받는다.
상기 자국측 제어부(142)는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로부터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수신하여 해당 자국에서 표시할 표시정보를 구분하여 데이터를 변환한 후, 수신된 기능정보에 따라 해당 자국측 표시기(143)에 표시신호를 전송하는 한편, 후행하는 자국(140)에 표시할 상기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에 전송하여 후행하는 자국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단의 자국측 제어부(142)는 후행하는 자국이 없어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최종단의 제어부(142)에서는 표시정보와 기능정보를 자국축 출력커넥터(141b)에 전송하지 않고, 해당 자국에서 표시할 표시정보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정보에 따라 표시하도록 자국 표시기(143)에 표시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는 상기 자국측 보호케이스(145)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국측 제어부(142)로부터 전송된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그리고 전원을 후행하는 자국의 수커넥터(141a)로 전송한다.
상기 자국측 표시기(143)는 상기 자국측 보호케이스(145)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국측 제어부(142)로부터 수신되는 표시신호에 의해 각 세그먼트의 LED 또는 LCD를 구동한다.
상기 자국측 전원부(144)는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상기 자국측 제어부(142)와 상기 자국측 표시기(143)에 공급한다.
상기 자국측 보호케이스(145)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자국측 제어부(142)와 상기 자국측 전원부(144)를 보호하고, 상기 자국측 표시기(143)와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141a) 및 상기 자국측 출력커넥터(141b)가 장착된다.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직렬 명령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특허등록청구범위 및 첨부도면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이것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10 데이터처리장치 120 케이블
121 커넥터 130 모국
131 모국측 입력커넥터 132 기능선택부
133 모국측 제어부 134 모국측 출력커넥터
135 모국측 표시기 136 모국측 전원부
137 모국측 보호케이스 140 자국
141a 자국측 입력커넥터 141b 자국측 출력커넥터
142 자국측 제어부 143 자국측 표시기
144 자국측 전원부 145 자국측 보호케이스
150 전원부

Claims (3)

  1.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에 있어서,
    문자와 도형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모국측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표시정보와 전원을 외부에서 수신받는 모국측 입력커넥터, 상기 표시부의 표시기능을 외부에서 온오프 상태변경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선택부, 상기 입력커넥터로부터 수신받은 표시정보를 상기 기능선택부에서 선택한 기능에 따라 표시부로 출력함과 아울러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모국측 제어부, 상기 모국측 입력커넥터에 연결되어 수신 전원을 자체에 공급함과 아울러 후단의 자국으로 공급하도록 된 모국측 전원부, 그리고 상기 모국측 제어부의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그리고 전원부의 전원을 후단으로 전송하도록 연결된 모국측 출력커넥터를 구비하여서 된 모국;
    문자와 도형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자국측 표시부,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와 체결되어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및 전원을 수신하는 자국측 입력커넥터, 상기 자국측 입력커넥터를 통해 수신받은 표시정보를 기능선택정보에 따라 데이터 변환하여 상기 자국측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연결됨과 아울러 후단에 연결되는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연결된 자국측 제어부, 상기 모국측 출력커넥터에 연결되어 수신 전원을 자체에 공급함과 아울러 후단의 자국으로 공급할 수 있는 출력단이 구비된 자국측 전원부, 그리고 후단에 연결될 자국 관련 표시정보와 기능선택정보 그리고 전원부의 전원을 후단에 연결될 자국으로 전송하도록 연결된 자국측 출력커넥터를 구비하여서 된 자국;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국이 하나이상 직렬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모국의 기능선택부는 상위 제로 블랭킹 기능과 소수점 선택기능, 입력신호의 정논리 또는 부논리 선택기능, 입력데이터 구성 16진 또는 10진 선택기능 및 입력데이터의 직렬 또는 병렬 선택기능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온오프 상태변경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국측 제어부는 데이터처리장치로부터 직렬 또는 병렬 데이터를 받아서 각 자국에 출력할 상기 표시정보 및 기능선택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KR1020110028899A 2011-03-30 2011-03-30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KR10115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99A KR101159503B1 (ko) 2011-03-30 2011-03-30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8899A KR101159503B1 (ko) 2011-03-30 2011-03-30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503B1 true KR101159503B1 (ko) 2012-06-25

Family

ID=4668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8899A KR101159503B1 (ko) 2011-03-30 2011-03-30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37B1 (ko) * 2015-11-13 2017-05-29 주식회사 도담이엔씨 Led세그먼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710B1 (ko) * 1992-10-31 1998-12-15 윤종용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8067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뉴인스 멀티 색상을 갖는 세븐 세그먼트 소자를 이용한 계측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710B1 (ko) * 1992-10-31 1998-12-15 윤종용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108067A (ko) * 2005-04-12 2006-10-17 주식회사 뉴인스 멀티 색상을 갖는 세븐 세그먼트 소자를 이용한 계측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37B1 (ko) * 2015-11-13 2017-05-29 주식회사 도담이엔씨 Led세그먼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3928B2 (en) Input/output circuits and devices having physically corresponding status indicators
CN106569571B (zh) 具有色彩管理功能的电源分配设备
CN101276570A (zh) 用于显示通过各种端口输入的视频的显示设备
CN101261824B (zh) 用于显示通过多种连接器输入的视频的显示装置
JP2013157194A (ja) Lanコネクタ
CN203588261U (zh) 扩充装置
KR101159503B1 (ko) 직렬 방식의 다단 세그먼트 표시기 유닛
KR101092162B1 (ko) 부스닥트 분전반용 통신모듈 및 그의 통신 방법
JP2002023811A (ja) フィールド機器制御装置およびそのコネクタの配線接続方法
US11372385B2 (en) Shot peening valve controller
US20070173961A1 (en) Automation controller with integrated hmi and modular i/o
KR101735301B1 (ko) 마이크로컨트롤러 키트
CN112562553A (zh) 一种液晶控制模块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JP4260652B2 (ja) イーサネットシステム
CN203825398U (zh) 一种通用于led点阵看板的输出点驱动控制器
KR101092084B1 (ko) 부스닥트 분전반용 통신모듈 설치 구조
CN210805046U (zh) 一种ops拔插oled柔性屏
CN214504178U (zh) 一种具有扩展功能的16通道套筒选择器
SE1550015A1 (sv) Bus Powered Manually Actuable Contact and Communication Module
KR100491448B1 (ko) 발광 소자를 이용한 잔상 표시 장치
CN210324182U (zh) 一种用于fpga调试的外部信号输入设备
CN203616923U (zh) 单片机实验箱
CN202217961U (zh) 配电单元
CN209999653U (zh) 一种注塑机驱动器无线调试模块的电路结构
CN210442454U (zh) 一种手持式模拟量监测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