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171B1 -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171B1
KR101158171B1 KR1020097012249A KR20097012249A KR101158171B1 KR 101158171 B1 KR101158171 B1 KR 101158171B1 KR 1020097012249 A KR1020097012249 A KR 1020097012249A KR 20097012249 A KR20097012249 A KR 20097012249A KR 101158171 B1 KR101158171 B1 KR 10115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ime
wlan
timing information
ww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104A (ko
Inventor
징 주
친-유오 리우
수 양
싱강 구오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987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5817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8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4Scheduled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2개의 상이한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2개의 상이한 무선통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제 1 네트워크 내의 제 1 무선기로부터의 무선 송신은 그들이 제 2 네트워크 내의 다른 무선기에 의한 무선 수신과 일치하지 않도록 시간 조절될 수 있다. 2개의 무선기 사이의 비무선 인터페이스는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여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 동안에는 송신이 스케줄링되지 않도록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수신 무선기가 중앙 집중되고 고도로 스케줄링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고 송신 무선기가 보다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PREVENTING SELF-INDUCED INTERFERENCE IN DUAL-RADIO DEVICE}
랩톱, 휴대기기, 셀 폰 등과 같은 단일 컴퓨팅 또는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및 무선 광대역 통신망(WWAN)과 같은 다수 유형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다수의 무선기를 점점 더 구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이한 유형의 네트워크가 상이한 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 동작한다 하더라도, 고조파 및 다른 형태의 크로스밴드 초고주파(cross-band RF)의 링킹은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기가 서로 간섭하게 할 수 있다. 가장 파괴적인 경우 중 하나는 하나의 무선기가 송신 중이고 다른 무선기가 수신 중일 때 일어날 수 있다. 2개의 무선기가 서로 극히 가깝게 위치하므로, 수신 무선기는 송신 무선기로부터 수신 무선기가 수신하려고 시도하고 있는 신호보다 몇 배 더 강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세기의 이러한 차이는 송신 무선기가 수신 무선기를 압도하여 수신 무선기가 그것의 예정된 신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데 사용되는 다음의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무선기 통신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다음 설명에는 수많은 특정 세부사항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이 없이도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잘 알려진 회로, 구조 및 기술은 본 설명에 대한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 상세히 도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다양한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그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으되, 모든 실시예가 그러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님을 나타낸다. 또한, 몇몇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특징 중 일부 또는 모두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그러한 특징을 전혀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는 "연결된(coupled)" 및 "접속된(connected)"라는 용어 및 이들의 파생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서로에 대한 동의 어로서 의도된 것이 아님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접속된"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서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연결된"이라는 용어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협력하거나 서로 상호 작용하지만, 직접적으로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른 방식으로 특정되지 않는다면, 공통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제 1", "제 2", "제 3" 등의 서수 표현의 사용은, 단지 상이한 인스턴스의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할 뿐이며, 그와 같이 설명된 구성요소가 시간적으로나 공간적으로 또는 서열상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에 따라 주어진 시퀀스 내에 있음을 암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되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작의 수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내에 또는 그러한 매체 상에 포함되는 인스트럭션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를 저장,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임의의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등과 같은 것이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변조되어 인스트럭션을 인코딩하는 전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이러한 신호는 전자기, 광학 또는 음향 반송파 신호를 포함하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무선"이라는 용어 및 그의 파생어는 변조된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하여 고체가 아닌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통신하는 회로, 디바이스, 시스템, 방법, 기술, 통신 채널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몇몇 실시예에서는 그렇지 않지만, 관련 디바이스가 어떠한 배선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 아니다. "이동 무선"이라는 용어는 이동 상태에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는 2개의 상이한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2개의 상이한 무선통신 송수신기(radio trans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다. 하나의 무선기로부터의 무선 송신은 그들이 다른 무선기에 의한 무선 수신과 중첩되지 않도록 시간 조절(timing)될 수 있다. 2개의 무선기 사이의 유선 인터페이스는 스케줄링된(scheduled) 수신 시간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여 송신이 그러한 수신 시간 동안에 수행되지 않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수신 무선기가 중앙 집중되고 고도로 스케줄링된 네트워크에서 동작하고 송신 무선기가 보다 분산된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때 특히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네트워크에서 통신하는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는 제 1 기지국(150)과 통신하는 제 1 무선기(120) 및 제 2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 2 무선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 등과 같은 것이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닌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110)는 때때로 이동국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무선기'는 지정된 무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가 효과적으로 통신하게 하는 데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리 계층(PHY) 및 매체 액세스 계층(MAC) 기능성을 갖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무선기 및 제 1 기지국은 무선 광대역 통신망(WWAN)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도시되고, 제 2 무선기 및 제 2 기지국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호환 가능한 것을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와도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이동국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디바이스 내에 양쪽 유형의 무선기를 조합할 수 있다. 이들 디바이스는 무선으로 통신하고 있기 때문에, 제각각 안테나(122, 132, 152, 162)를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안테나는 그러한 디바이스 중 임의의 것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노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 등을 포함하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비무선(즉, 유선, 광섬유 등) 인터페이스(140)는 2개의 무선기 사이에 연결된 것이 도시된다. 이 인터페이스는 무선기(120)가 기지국(150)과 같은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하나 이상의 도래하는 시간 기간(upcoming period of time)에 관한 정보를 무선기(120)로부터 무선기(130)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유형의 네트워크에서, 기지국(150)은 이동국으로의 다운링크 통신(예를 들어, 동일한 네트워크에서 기지국(150)으로부터 이동국(110)으로의 송신)을 스케줄링할 수도 있고, 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국에게 스케줄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일단 무선기(120)가 이 스케줄을 수신하면, 그것은, 다음 수신이 발생할 시기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그 정보를 무선기(130) 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기(130)가 그러한 스케줄링된 수신에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것은 타이밍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송신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0)는 시스템의 요건을 충족시킬 정도로 충분히 신속하고 충분히 정확하게 타이밍 정보를 통신할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비무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140)는 (1) 이 기능에 전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며, (2) 이들 2개의 무선기에 전용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디바이스용 인터페이스로도 작용할 수 있으며, (3) 순차적으로나 동시에 또는 그 조합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4) 무선기(120)로부터 무선기(130)로만 통신할 수도 있고, 또는 양 방향으로 통신할 수도 있으며, (5) 버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기준도 관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40)는 시스템의 정밀도 요건(granularity requirements)을 충족시키기에 충분한 비트의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 때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는 사전 정의된 시간 기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값이 1 마이크로 초(us)의 정밀도를 가지며, 인터페이스가 6-비트 값을 전달한다면, 각각의 전달된 값은 0 내지 63 us의 정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소의 비트가 전달되어 상이한 범위의 값을 나타낼 수 있고, 정밀도는 마이크로초 보다 더 작거나 더 큰 단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몇몇 특정한 실시예는 7-11 us의 범위(예를 들어, 대략 9 us)의 정밀도를 가질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는 다른 정밀도를 가질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는 또한 알려져 있는 전달 지연(즉, 데이터를 제 1 무선기로부터 제 2 무선기로 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의 걸이)을 가질 수도 있다. 이 지연이 알려져 있다면, 또한 그것이 동작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충분히 크다면, 타이밍 정보는 이 지연을 수용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흐름도 (200)의 블록(210)에서, 통신 디바이스 내의 제 1 무선기는 기지국으로부터의 특정한 송신이 제 1 무선기에 의해 수신되도록 스케줄링되는 때를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그것의 관련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가 수신되었던 포맷에 따라, 그것은 블록(220)에서 통신 디바이스 내의 제 2 무선기에게 중요한 기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230)에서, 이러한 지표는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 2 무선기로 전달될 수 있다. 제 2 무선기가 자신의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수행하고자 할 때, 그것은 예정된 송신 기간을 제 1 무선기의 이전에 수신된 지표 수신 시간과 비교할 수 있다. 블록(240)에서와 같이, 이들이 중첩되지 않는다면, 제 2 무선기는 블록(270)에서 그것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중첩된다면, 제 2 무선기는 제 1 무선기에 대한 지표 수신 시간이 블록(260)에서 만료될 때까지 블록(250)에서 그것의 송신을 지연할 수 있다. 제 2 무선기는 블록(270)에서 그것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제 2 무선기는 제 1 무선기가 수신하려고 시도할 때에는 송신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제 1 무선기는 제 2 무선기로부터의 어떠한 임의의 무선기간 간섭(cross-radio interference)도 인지하지 못할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무선기 통신의 타이밍도를 도시한다. 양 도면은 2개의 무선기가 WWAN 및 WLAN 네트워크에서 제각각 동작 중임을 나타내지만, 이것은 단지 예시된 실례에 대한 것일 뿐이다. 다른 유형의 네트워크 순응 무선기(network-compliant radio)도 사용될 수 있다. 제 1 무선기로부터 제 2 무선기로 전달된 타이밍 정보는 2개의 시간 축(time bases) 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일 수 있다. 도 3a에서, 지표 시간은 양 무선기가 갖는 공통 클록 축에 대해 상대적이다. 이 기술에서, 각각의 무선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될 수 있는 지표 시간 축에 동기화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2개의 무선기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표준 클록 시간은 각각의 무선기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 2개의 무선기 사이의 시간 동기화를 유지시키게 할 수도 있다. 위성 기반 클록과 같은 고도로 정확한 클록 표준은 이 목적을 위해 기지국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영역에 대한 클록 동기화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양 무선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신의 내부 클록 기준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양 무선기는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무선기는, 타이밍 정보를 제 2 무선기 상으로 전달하기 전에 그것의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을 이 내부 클록 기준으로 변환해야 한다. 양 무선기에 의해 이용되는 시간이 공통 클록 기준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무선기 사이에 지표를 전달할 때 지연이 있다 하더라도, 제 1 무선기에 의해 제공되는 타이밍 표시는, 양 무선기에 의해 사용되는 타이밍 축이 어떻게 생성되는 지와는 무관하게, 제 2 무선기에 의해 사용될 때에는 여전히 정확할 것이다.
도 3a에서, X는 WWAN 무선기에 의한 다음 스케줄링된 수신의 시작을 표기하고, Y는 스케줄링된 수신의 종료를 표시하는데, 이들 값은 이전 시간(예를 들어, 'X, Y 계산 시간'으로 표기된 시간)에 결정된다. T는 WLAN이 그것의 다음 송신을 시작할 시기를 결정하는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이들 모두는 양 무선기에 의해 사용되는 공통 시간 기준을 기초로 하여 클록 시간으로 표현될 수 있다. L은 WLAN 무선기에 의해 예정된 다음 송신의 지속시간을 나타낸다. WLAN 무선기가 송신을 수행할 준비를 하고 있을 때, WLAN 무선기는 X, Y 및 L을 비교할 수 있으며, 그것이 그것의 송신을 즉시 수행한다면 그 송신이 WWAN 무선기에 대해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과 중첩되어 WWAN 무선기에 대한 가능한 간섭을 야기하게 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시된 실례에서, 이러한 중첩은 T<X(수신이 아직 시작되지 않음) 및 T+L>X(WLAN 송신이 지금 시작한다면 WLAN 송신이 완료되기 전에 수신이 시작됨)인 경우에 표시된다. 중첩은 또한 X<T<Y(수신이 현재 진행 중임)인 경우에 나타난다. 중첩이 나타나면, WLAN 무선기는 WWAN 무선기에 대한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이 시간 Y에서 완료될 때까지 그것의 송신을 지연할 수 있다. 예정된 송신을 지연시키는 한 가지 방법은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NAV는 NAV가 실행 중인 동안에 WLAN 네트워크에서의 무선 디바이스가 송신하지 말아야 하는 내부 지표로서 빈번하게 사용된다. NAV의 지속시간은 시간 Y에서 만료되도록 설정되어, 송신이 예시된 '오리지널 Tx 시간'이 아니라 예시된 '지연된 Tx 시간'에서 발생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어떠한 중첩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WLAN은 그것의 송신을 즉시 수행할 수 있다.
도 3b에는 양 무선기에 의해 공유되는 어떠한 동기화된 클록도 존재하지 않는다(적어도, 이러한 계산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음). X 및 Y는 WWAN 무선기가 그들 값(도 3b에서 'X, Y 계산 시간'이라고 표시됨)을 결정하고 있는 시간으로부터 측정된 시간 기간을 표기한다. X가 음수라면(즉, WWAN이 X 및 Y에 대한 값을 결정하고 있을 때 수신 기간이 이미 시작되었다면), X는 WLAN 무선기에 의한 후속 계산에 대해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음의 X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은 어느 쪽의 무선기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3b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T는 WLAN 무선기가 그것의 계산을 하고 있는 시간을 나타낸다. L은 여전히 WLAN 무선기에 의한 예정된 송신의 지속시간이다. 이 시나리오는, 제 1 무선기로부터 제 2 무선기로 타이밍 정보를 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2개의 무선기 사이의 타이밍 관계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충분히 큰 경우를 제외하면 도 3a의 실례와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달 대기시간(transfer latency)라고 지칭되는 이러한 지연은 전달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유형에 따라 상당히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레지스터로 구성되는 인터페이스는 타이밍 정보를 수 초 내에 제 2 무선기에 사용될 수 있게 하며, 공용 버스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는 전달을 실행하는 데 수 마이크로 초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전달 대기시간은 또한 WLAN 무선기가 그들을 판독하는 시간까지 그 값이 스테일(stale)할 수 있으므로, WWAN이 X 및 Y의 값을 얼마나 자주 업데이트하는 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전달 대기시간은 이러한 요인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든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 대기시간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값의 범위 내에서 변화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례에서, 특정한 기술 및 사용된 기술을 고려하여, A는 최소 전달 대기시간을 표시하고, B는 최대 전달 대기시간을 표시한다. WLAN 무선기에 의한 송신이 (즉시 시작된다면) WWAN에 대한 스케줄링된 수신 시간과 중첩되는 지의 여부의 판별은 전달 대기시간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것은 최대 전달 대기시간 B가 2개의 무선기 사이에 전달되는 시간 값의 정밀도보다 더 크다면 중요할 수 있다.
WWAN 무선기는 타이밍 값 X 및 Y가 결정되는 시간을 참조하여 그들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전달 대기시간으로 인해, WLAN 무선기는 그들 계산이 이루어진 후에 A와 B 사이의 어떤 시점에 그들 값을 사용할 것이다. 전달 기간 동안 경과하는 시간으로 인해, WLAN 무선기가 X 및 Y의 값을 사용할 때, 그들은 WWAN 수신 기간의 시작 및 종료까지 남은 시간을 더 이상 나타내지 않는다. 도 3a의 것과 유사한 간단한 계산이 사용되면, 다음 WWAN 수신 기간이 시작 및 종료될 때의 WLAN 무선기의 계산은 A와 B 사이의 어디에선가의 시간의 양만큼 부정확해질 것이다(너무 늦을 것이다). 계산 시의 이러한 부정확성의 양은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허용 불가능할 수 있다.
WLAN 무선기는 A 값과 B 값 사이에 있는 범위 내에서 얼마나 부정확한가를 정확히 알지 못 할 수 있다. 따라서, WLAN 무선기는 최악의 경우의 값을 가정하여 그것의 계산을 조정할 수 있다. 그것의 다음 송신 여부의 판정이, 즉시 시작된다면, 다음 WWAN 수신과 중첩될 때, 그것은 L>X_A인 경우에 그것은 그러한 중첩이 일어날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B보다는 작지만 A보다는 더 큰 전달 대기시간은 중첩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정확한 전달 대기시간이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 값을 사용하여 의도되지 않은 중첩을 방지할 수도 있다. 중첩이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WLAN 무선기는 T+Y-B(T는 WLAN 무선기가 중첩 및 지연 값을 판정하는 시간임)일 때까지 그것의 송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 이전과 같이, 이 지연은 NAV를 이 값에 설정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송신 지연을 구현하는 데 다른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계산도 WLAN 무선기의 송신이 지연되든 그렇지 않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X 및 Y가 모두 0보다 크다면(즉, WWAN 무선기가 X 및 Y에 대한 값을 결정했을 때 그것의 수신 기간이 시작되지 않았다면), 또는 X=0이고 Y>B라면(즉, WWAN 무선기의 수신 기간이 WWAN 무선기가 X를 결정한 시간에는 진행 상태였지만, 최대 전달 지연을 기초로 하여 WLAN 무선기가 Y를 결정한 시간까지는 종료될 것이라면), 송신 시기를 결정할 때 WLAN 무선기에 의해 전술한 지연이 뒤따르게 될 것이다. X 및 Y 모두가 음수인 경우(또는 그들이 음수였기 때문에 0으로 리셋된 경우), 지정된 WWAN 수신 기간은 X 및 Y의 값이 WWAN 무선기에 의해 계산되었을 때 이미 종료되어 있다. 이것은 X 및 Y의 값이 쓸모 없게 되었으며, X 및 Y의 값이 WWAN 무선기에 의해 다시 업데이트될 때까지는 어떠한 유효 정보도 그들 값으로부터 얻어질 수 없음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진행 중인 수신 기간 동안의 X 및 Y 값이 WWAN 무선기에 의해 제공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WWAN 무선기는, 다음 스케줄링된 수신 기간의 시간과는 상관없이, 규칙적인 스케줄 단위로 X 및 Y 값을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은 예시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변형을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변형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2)

  1. 다른 디바이스들과 무선으로 통신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디바이스는,
    무선 광대역 통신망(WWAN)과 호환 가능한 제 1 무선기(radio)로서, 상기 WWAN의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시간의 표시를 수신하는, 상기 제 1 무선기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호환 가능한 제 2 무선기와,
    상기 제 1 무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수신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기로 전달하는 비무선 인터페이스(non-wireless interface)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무선기는 상기 WLAN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기의 예정된 송신 기간(intended transmission period)을 상기 제 1 무선기의 상기 수신 시간과 비교하고, 상기 예정된 송신 기간과 상기 수신 시간이 중첩되면 상기 수신 시간 동안에는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무선 인터페이스는 버스를 포함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무선 인터페이스는 병렬-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무선 인터페이스는 직렬-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 2 무선기에 의해 사용되는 네트워크 할당 벡터(network allocation vector: NAV)의 값을 포함하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기 및 상기 제 2 무선기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 1 다이폴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수신 시간이 시작되고 종료되는 시간을 표시하는
    장치.
  9. 무선 광대역 통신망(WWAN)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무선기(radio)에 의해,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시간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기는 상기 WWAN과 호환 가능함- 와,
    비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기와 동일한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 2 무선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 1 무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무선기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호환 가능함- 와,
    상기 WLAN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기의 예정된 송신 기간을 상기 제 1 무선기의 상기 수신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예정된 송신 기간과 상기 수신 시간이 중첩되면 상기 수신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을 통해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시간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밍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상기 제 1 무선기와 제 2 무선기 양쪽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클록 시간에 대해 상대적인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상기 타이밍 정보가 상기 제 1 무선기에 의해 제공된 시간에 대해 상대적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기로 전송하기 위한 대기시간(latency time)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절되는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간 동안에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을 통해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데 네트워크 할당 벡터가 사용되는
    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이고,
    상기 WLAN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기의 예정된 송신 기간은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의 제 2 기지국으로 예정된 송신을 하기 위한 것인
    방법.
  16.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인스트럭션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무선 광대역 통신망(WWAN)의 기지국으로부터 제 1 무선기(radio)에 의해,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시간의 표시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 1 무선기는 상기 WWAN과 호환 가능함- 과,
    비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기와 동일한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 2 무선기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타이밍 정보는 상기 제 1 무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무선기가 상기 WWAN을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스케줄링되는 수신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제 2 무선기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과 호환 가능함- 과,
    상기 WLAN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기의 예정된 송신 기간을 상기 제 1 무선기의 상기 수신 시간과 비교하는 동작과,
    상기 예정된 송신 기간과 상기 수신 시간이 중첩되면 상기 수신 시간 동안에는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을 통해 송신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동작은 상기 수신 시간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표시하는 타이밍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상기 제 1 무선기 및 제 2 무선기 양쪽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기준 클록 시간에 대해 상대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은 상기 타이밍 정보가 상기 제 1 무선기에 의해 제공된 시간에 대해 상대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정보를 상기 제 1 무선기로부터 상기 제 2 무선기로 전송하기 위한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시간의 범위를 포함하도록 조절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시간 동안에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을 통해 송신하지 않게 하도록 네트워크 할당 벡터를 사용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제 1 기지국이고,
    상기 WLAN을 통한 상기 제 2 무선기의 예정된 송신 기간은 상기 제 2 무선기가 상기 WLAN의 제 2 기지국으로 예정된 송신을 하기 위한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097012249A 2006-12-12 2007-11-08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1158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38,008 2006-12-12
US11/638,008 US8244297B2 (en) 2006-12-12 2006-12-12 Preventing self-induced interference in dual-radio device
PCT/US2007/084094 WO2008073650A1 (en) 2006-12-12 2007-11-08 Preventing self-induced interference in dual-radio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04A KR20090085104A (ko) 2009-08-06
KR101158171B1 true KR101158171B1 (ko) 2012-06-19

Family

ID=3949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2249A KR101158171B1 (ko) 2006-12-12 2007-11-08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244297B2 (ko)
EP (5) EP3076698B1 (ko)
JP (1) JP2010512715A (ko)
KR (1) KR101158171B1 (ko)
CN (1) CN101558584B (ko)
DK (3) DK3076698T3 (ko)
ES (3) ES2668369T3 (ko)
HK (1) HK1257349A1 (ko)
HU (3) HUE038354T2 (ko)
PL (3) PL3076698T3 (ko)
PT (3) PT3399667T (ko)
TW (1) TWI363506B (ko)
WO (1) WO20080736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44297B2 (en) 2006-12-12 2012-08-14 Intel Corporation Preventing self-induced interference in dual-radio device
WO2009032131A1 (en) 2007-08-29 2009-03-12 Skypilot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fi long range radio coordination
JP5219036B2 (ja) * 2008-08-01 2013-06-26 船井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
US8897277B2 (en) * 2008-11-07 2014-11-25 Kyocera Corporation Device beacon for handoff management of handoffs to base stations
US20100118834A1 (en) 2008-11-07 2010-05-13 Amit Kalhan Device beacon for communication management for peer to peer communications
TWI400931B (zh) * 2008-12-29 2013-07-01 Mstar Semiconductor Inc 行動通訊裝置及其通訊方法
CN102378384B (zh) 2010-08-16 2015-07-22 华为技术有限公司 调度方法和设备
CN102421148B (zh) 2010-09-28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多种通信系统实现通信的方法和用户设备
US8537798B2 (en) * 2010-12-31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echanism for collocated WLAN and WWAN communication devices
US8537799B2 (en) * 2010-12-31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echanism for collocated WLAN and WWAN communication devices
US8805374B2 (en) 2011-06-07 2014-08-12 Intel Corporation Multi-radio handover manager system and algorithms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ing
GB201109520D0 (en) * 2011-06-07 2011-07-20 Nordic Semiconductor Asa Synchronised radio transreceiver
IN2014CN03372A (ko) * 2011-12-27 2015-07-03 Intel Corp
JP5942252B2 (ja) * 2012-04-27 2016-06-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131517B2 (en) * 2012-08-13 2015-09-08 St-Ericsson Sa Achieving best effort performance with interfering communications system equipment
US9414394B2 (en) * 2013-08-12 2016-08-09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suspended transmission during network listen for small cell base stations
US9026127B2 (en) 2013-09-18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Predictive control for radio frequency coexistence management in multi-SIM-multi-active (MSMA) devices
JP5907139B2 (ja) 2013-10-07 2016-04-20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装置
KR102598278B1 (ko) * 2016-11-28 2023-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0405368B2 (en) * 2017-09-22 2019-09-03 T-Mobile Usa, Inc. Cellular dual connectivity setup
WO2020024199A1 (en) * 2018-08-02 2020-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High speed flexled digital interface
WO2021236304A1 (en) * 2020-05-19 2021-11-25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betwee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same channel using delayed transmiss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649B2 (en) * 2000-01-20 2006-05-16 Agere Systems Inc. Interoperability for bluetooth/IEEE 802.11
US20060105771A1 (en) * 2004-10-28 2006-05-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ectored service area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7606A1 (en) * 1992-10-07 1994-04-08 Keishi Matsuno Method of establishing inter-base-station synchronization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method
US5561437A (en) * 1994-09-15 1996-10-01 Motorola, Inc. Two position fold-over dipole antenna
US5959980A (en) * 1995-06-05 1999-09-28 Omnipoint Corporation Timing adjustment control for efficient time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
US6161009A (en) * 1997-08-25 2000-12-12 Hewlett-Packard Company Latency time determination system for a transceiver
EP1722485A3 (en) * 1998-03-20 2009-09-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US6600726B1 (en) * 1999-09-29 2003-07-29 Mobilian Corporatio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US6895255B1 (en) * 2000-10-20 2005-05-17 Symbol Technologies, Inc. Dual mode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JP4732632B2 (ja) * 2001-08-06 2011-07-27 株式会社フジクラ 通信システム
WO2004045082A2 (en) 2002-11-13 2004-05-27 Agere Systems Inc. Interoperability and coexistence between two disparate communication systems
US20040242159A1 (en) 2003-05-28 2004-12-02 Roberto Calderon Interoperability and coexistence between two disparate communication systems
US6982949B2 (en) * 2003-02-28 2006-01-03 Microsoft Corporation Vertical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through improved wireless network cell boundary detection
ES2302876T3 (es) 2003-04-11 2008-08-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odo de sincronizacion en un terminal de radio movil.
US7881267B2 (en) * 2004-06-04 2011-0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rtable computing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60068777A1 (en) 2004-06-30 2006-03-30 Sadowsky John S Air interface cooperation between WWAN and WLAN
KR100810290B1 (ko) 2004-12-1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버스트 할당 방법 및 시스템
US7454171B2 (en) 2005-02-25 2008-11-18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oIP over WLAN to Bluetooth headset using ACL link and sniff for aligned eSCO transmission
US7430400B2 (en) * 2005-03-28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WiFi collaboration method to reduce RF interference with wireless adapter
US7580386B2 (en) * 2005-04-19 2009-08-25 Intel Corporation Cooperative scheduling of master and slave base station transmissions to provide coexistence between networks
US20070066314A1 (en) * 2005-08-24 2007-03-22 Itay Sherma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oexistence
US8036683B2 (en) * 2006-10-31 2011-10-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ordination among multiple co-located radio modules
US20080139212A1 (en) * 2006-12-07 2008-06-12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operation of various radio links with a piconet link in a wireless device
US8244297B2 (en) 2006-12-12 2012-08-14 Intel Corporation Preventing self-induced interference in dual-radio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6649B2 (en) * 2000-01-20 2006-05-16 Agere Systems Inc. Interoperability for bluetooth/IEEE 802.11
US20060105771A1 (en) * 2004-10-28 2006-05-1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wireless communication in a sectored service are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3506B (en) 2012-05-01
EP3399667B2 (en) 2022-08-31
PL3076698T3 (pl) 2018-08-31
TW200832953A (en) 2008-08-01
EP3641374A1 (en) 2020-04-22
PT3399667T (pt) 2020-03-03
CN101558584B (zh) 2016-08-03
EP3399667A1 (en) 2018-11-07
DK3399667T3 (da) 2020-03-09
DK3076698T3 (en) 2018-05-28
PL3399667T3 (pl) 2020-06-29
KR20090085104A (ko) 2009-08-06
CN101558584A (zh) 2009-10-14
EP2097995B1 (en) 2016-06-01
PL3393058T3 (pl) 2020-06-29
HUE047800T2 (hu) 2020-05-28
ES2668369T3 (es) 2018-05-17
WO2008073650A1 (en) 2008-06-19
EP3393058B1 (en) 2020-01-29
HUE038354T2 (hu) 2018-10-29
EP3076698A1 (en) 2016-10-05
PT3076698T (pt) 2018-05-10
EP2097995A4 (en) 2013-11-06
US8244297B2 (en) 2012-08-14
EP3393058B2 (en) 2022-08-31
EP3393058A1 (en) 2018-10-24
US20080139200A1 (en) 2008-06-12
HK1257349A1 (zh) 2019-10-18
EP2097995A1 (en) 2009-09-09
DK3393058T3 (da) 2020-03-16
ES2774175T3 (es) 2020-07-17
EP3399667B1 (en) 2020-01-29
HUE047815T2 (hu) 2020-05-28
EP3076698B1 (en) 2018-04-18
PT3393058T (pt) 2020-03-03
EP3641374B1 (en) 2022-08-10
JP2010512715A (ja) 2010-04-22
ES2774535T3 (es)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171B1 (ko) 듀얼 무선통신 디바이스 내의 자기유도 간섭을 방지하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EP1632057B1 (en) Mac protocol for accurately computing the position of wireless devices inside buildings
US9907042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a time synchronization function (TSF) based on fine time measurement (FTM) messages
EP4156797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US201402545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ple concurrent wlan operational modes
US9106348B2 (en) Using 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to achieve coexistence with interfering sources
US201601653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location of electronic device
US20150098348A1 (en) Wireless communicat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apparatus
CN116438865A (zh) Ue发起的传播延迟补偿机制
WO2022151123A1 (en) Updating schedule of multiple communications
CN115484676A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
WO202407391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sl-prs transmission for rtt-type sl positioning
WO2024031634A1 (en) Systems for rtt based sidelink positioning
WO2024031627A1 (en) Resource allocation for sidelink positioning
WO2024031612A1 (en) Multi-rtt estimation for sidelink positioning
US20230164735A1 (en)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lated device
WO2023070333A1 (zh) 通信方法及装置
WO2024031472A1 (zh)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KR2017003557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