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183B1 -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183B1 KR101157183B1 KR1020100107841A KR20100107841A KR101157183B1 KR 101157183 B1 KR101157183 B1 KR 101157183B1 KR 1020100107841 A KR1020100107841 A KR 1020100107841A KR 20100107841 A KR20100107841 A KR 20100107841A KR 101157183 B1 KR101157183 B1 KR 1011571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arm
- support
- coupled
- b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6—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characterised by association with auxiliary devices, e.g. line indicators, leaf turners, lampholders, book or page holder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의 측면에서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을 구비하여 가방을 착용한 채로 독서를 하거나 메모를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가방 몸체(10), 상기 가방 몸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능하도록 결합된 아암부(20),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30) 및 상기 회동부의 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받침부(40)를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방에 위치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이 구비되어 가방을 착용한 채로 책을 보거나 메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방의 측면에서 상하 및 좌우로 회동 가능하여 위치 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을 구비하여 가방을 착용한 채로 독서를 하거나 메모를 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내부에 책이나 물품을 수납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중에서 백팩은 몸체를 등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어깨끈을 통해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가방을 메고 이동중에 독서나 메모를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받침부재를 들거나 손 위에 직접 놓고 책이나 메모지를 잡아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이동중이나 서있는 상태에서는 독서나 메모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책이나 메모지를 주시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가방을 메고 이동하는 야외에서 더욱 심화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방을 메고 이동하는 상태에서도 독서나 메모를 할 수 있도록 위치 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을 일체로 구비하는 가방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가방 몸체(10), 상기 가방 몸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능하도록 결합된 아암부(20),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30) 및 상기 회동부의 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받침부(40)를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가방에 위치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이 구비되어 가방을 착용한 채로 책을 보거나 메모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가방 몸체(10)의 측면에 결합하며, 상기 아암부(20)가 결합되는 프레임(11)을 더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암부의 회동시 가방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하중을 지지하는 데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아암부(20)는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와 단부가 상기 가방 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암부가 적절한 모양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므로 몸의 위치에 적절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수납시 미관적으로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받침부(40)는 상방으로 완전히 회동시 상기 아암부(20)의 상면과 접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하방으로 완전히 회동시 상기 회동부의 단부측과 접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 결합하는 마그네트(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와 접하는 상기 아암부의 상면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받침의 보관시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길이는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길이보다 더 긴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책받침을 사용하기 위한 위치 조정에 있어서 동작이 간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33) 및 상기 돌기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부위에 형성되는 홈부(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하방으로의 회동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단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회동부와 받침부의 연결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필요한 때에만 책받침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로킹홈(12) 및 상기 아암부(20)의 상기 로킹홈(12)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홈에 걸림되어 상기 아암부의 회동 상태를 로킹하는 로킹버튼(22)을 더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암부의 위치 고정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상기 로킹홈은 상기 책받침의 보관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1로킹홈(12) 및 상기 책받침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로킹홈(13)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제공한다. 따라서, 아암부의 고정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가방에 위치조정이 가능한 책받침이 구비되어 가방을 착용한 채로 책을 보거나 메모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회동하는 아암부,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회동부 및 사상기 회동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받침부로 이루어지므로 다양한 위치로 조정이 가능하면서도 작동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보관상태 및 사용상태에 따라 부재들을 로킹하는 부재들을 포함하므로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받침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와 받침부의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받침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와 받침부의 연결부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라 가방 몸체(10)의 일측에는 위치 조정이 가능한 받침부(40)가 연결된다.
이하, 가방의 등과 밀착되는 부위의 방향을 전방으로, 책받침이 연결되는 가방의 부위를 일측으로 정의하여 사용한다.
상기 받침부(40)는 아암부(20)에 의해 가방 몸체(10)로부터 연장되는데, 상기 받침부(40)와 아암부(20)의 사이에는 아암부(20)의 단부측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30)가 개재된다.
상기 아암부(20)는 가방 몸체(10)의 일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아암부(20)와 가방 몸체(10)와의 연결부위는 대략 가방 몸체(10)의 일측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만, 상기 아암부(20)의 형상에 따라 연결 위치는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런데, 상기 아암부(20) 및 이에 연결되는 부재들은 소정의 하중을 가지게 되고, 팔의 하중까지 더해지게 되면 가방의 변형을 가져오거나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 몸체(10)와 상기 아암부(20)의 연결부위에는 소정 면적을 가진 프레임(11)이 더 배치된다. 상기 프레임(11)은 상기 가방 몸체(10)의 일측의 모양에 대응되는 향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일부에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이 가방 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면, 상기 아암부(20)는 상기 프레임(11)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가방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아암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판재로 이루어지며 단부가 전방을 향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방에서 바라볼 때, 상기 아암부(20)는 측면으로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적으로도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아암부(20)는 'ㄴ'자 형상으로 1번 절곡되지만 받침부(40)의 사용시에 아암부(20)의 단부가 전방을 바라볼 수 있는 형상이라면 곡면이나 2번 이상 절곡된 형상 등 다양한 모양이 선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절곡된 모양은 상기 받침부(40)의 보관 상태에서의 미관이나 돌출부위를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아암부(20)의 단부측에는 바로 받침부(40)가 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부(30)가 추가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부(30)는 대략 판재의 형상을 이루지만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회동부(30)는 아암부(20)의 단부측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회동부(30)가 회전함에 따라 받침부(40)는 가방 몸체(10)의 일측에서 전방의 중앙측에 가까운 위치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부(40)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책이나 메모지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진다. 상기 받침부(40)는 가장자리부위에서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측과 힌지결합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받침부가 하방으로 회동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받침부(40)의 보관 상태 즉, 아암부(20)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접촉한 가장자리부위를 제1가장자리부라 하고, 하방으로 회동하여 회동부(30)의 단부측과 접촉한 가장자리부위를 제2가장자리부라 한다.
도 2에서 상기 제1가장자리부와 제2가장자리부가 만나는 모서리부위는 상기 회동부(30)의 상측 가장자리부위와 힌지(41)를 통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완전히 회동되는 보관상태에서는 힌지(41)를 중심으로 제1가장자리부가 상기 아암부(20)의 상면과 접하게 되고, 하방으로 완전히 회동되는 상태에서 제2가장자리부가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측과 접하게 된다.
도 1과 도 2를 대비하여 받침부(40)의 보관상태에서 사용상태로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서는 아암부(20), 회동부(30) 및 받침부(40)가 프레임(11)의 일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아암부(20)를 하방 즉, 연결부(2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아암부(20)의 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연결부(21)에서의 회동이 완료되면, 받침부(40)를 아암부(20)의 상면에서 이격시키도록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회동 동작은 힌지(41)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받침부(40)의 회동 각도는 일반적으로 아암부(20)와 수직을 이루게 되나, 사용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각도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로킹홈(12)과 로킹 버튼(22)은 아암부(20)의 회동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로킹 부재를 나타낸다. 상기 로킹홈(12)은 프레임(11) 또는 가방 몸체(10)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킹 버튼(22)은 아암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미도시)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버튼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로킹홈(12)에 삽입되어 걸림되어 아암부(2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3에서는 받침부(40)의 제2가장자리부가 회동부(30)의 단부측과 완전히 밀착된 모습이 나타나지만, 경우에 따라 적절하게 받침부(40)의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회동부(30)는 아암부(20)의 단부측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40)의 위치가 가방 몸체(10)의 전방 중심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회동부의 회동이 완료된 상태에서 받침부(40)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회동부(30)는 일반적으로 아암부(20)에 대해 대략 90도 정도 회전하면 동작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40)는 지면과 수평한 상태가 되어 책이나 물품을 그 상면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받침부(40)는 신체와의 거리나 팔의 모양에 따라 적절한 각도로 회동부(30)와의 사이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힌지(41)는 각도의 고정을 위해 회동시 적절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받침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상기 받침부(40)의 제1가장자리부에는 마그네트(42)가 구비된다.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기 마그네트(42)는 상기 받침부(40)의 보관시 상기 아암부(2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마그네트(42)와 접촉하는 상기 아암부(20)의 상면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40)의 보관시에 가방이 이동 과정에서 충격을 받더라도 상기 아암부(20)와 상기 받침부(40)가 자기력에 의해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파손 및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부분은 아암부(20)가 아닌 상기 회동부(30)의 상면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연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아암부(20)는 상기 가방 몸체(10) 또는 상기 프레임(11)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는데, 책받침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가방에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로킹버튼(22)과 로킹홈은 아암부(20)의 회동 상태의 고정을 위하여 배치됨은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로킹홈은 받침부(40)의 보관 상태에서의 회전 고정을 위한 제1로킹홈(12) 및 사용 상태에서의 회전 고정을 위한 제2로킹홈(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킹버튼(22)의 외면에 위치한 버튼부를 누르게 되면,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의 로킹홈(12, 13)에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고, 수동으로 회동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걸림되어 사용 상태 또는 보관 상태에서의 아암부(20)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로킹홈(12, 13)과 로킹버튼(22)과 같은 아암부(20)의 회동 제한을 위한 구성은 연결부에 배치되는 기어와 같은 부재 및 회동 제한을 위한 다양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의 회동부와 받침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돌기부(33)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받침부의 제2가장자리의 상기 돌기부(33)에 대응되는 부위에는 오목한 형상의 홈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40)가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측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회동된 경우 상기 돌기부(33)와 상기 홈부(43)는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마찰력, 자기력 또는 후크와 같은 기계적인 결합력 등 다양한 결합 방법의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부(40)와 회동부(30)의 단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책받침의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 상기 제2가장자리부는 상기 제1가장자리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 4에서는 회동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받침부(40)가 가방 몸체(10)의 전방 중심을 향하여 위치될 수 있지만, 도 7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회동부(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사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도 4의 실시예에서 상기 받침부(40)의 상면이 책받침 용도로 사용된다면,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받침부(40)의 하면이 책받침 용도로 사용되는 차이가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은 책받침이 가방의 이동시에 움직임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보관 가능하면서도, 메모 등의 용도를 위해 사용 상태에서 적절한 위치로 조절 가능하고 작동 신뢰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가방 몸체 11...프레임
12...제1로킹홈 13...제2로킹홈
20...아암부 21...연결부
22...로킹 버튼 30...회동부
33...돌기부 40...받침부
41...힌지 42...마그네트
43...홈부
12...제1로킹홈 13...제2로킹홈
20...아암부 21...연결부
22...로킹 버튼 30...회동부
33...돌기부 40...받침부
41...힌지 42...마그네트
43...홈부
Claims (10)
- 가방 몸체(10);
상기 가방 몸체의 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능하도록 결합된 아암부(20);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동부(30); 및
상기 회동부의 단부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사각 판재 형상의 받침부(40);를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몸체(10)의 측면에 결합하며, 상기 아암부(20)가 결합되는 프레임(11);을 더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20)는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과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와 단부가 상기 가방 몸체의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몸체부로 이루어진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0)는 상방으로 완전히 회동시 상기 아암부(20)의 상면과 접하는 제1가장자리부와 하방으로 완전히 회동시 상기 회동부의 단부측과 접하는 제2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장자리부에 결합하는 마그네트(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성체와 접하는 상기 아암부의 상면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길이는 상기 제1가장자리부의 길이보다 더 긴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30)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33); 및
상기 돌기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부위에 형성되는 홈부(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의 하방으로의 회동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단부와 상기 제2가장자리부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과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 몸체 또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연결부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되는 로킹홈; 및
상기 아암부(20)의 상기 로킹홈(12)에 대응되는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로킹홈에 걸림되어 상기 아암부의 회동 상태를 로킹하는 로킹버튼(22);을 더 포함하는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홈은 상기 책받침의 보관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1로킹홈(12) 및 상기 책받침의 사용상태에서 상기 아암부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2로킹홈(13)인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841A KR101157183B1 (ko) | 2010-11-01 | 2010-11-01 |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841A KR101157183B1 (ko) | 2010-11-01 | 2010-11-01 |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941A KR20120045941A (ko) | 2012-05-09 |
KR101157183B1 true KR101157183B1 (ko) | 2012-06-20 |
Family
ID=46265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7841A KR101157183B1 (ko) | 2010-11-01 | 2010-11-01 |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18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7359B1 (ko) | 2013-08-06 | 2014-11-10 | 한민형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071U (ko) * | 1998-10-19 | 1999-01-25 | 나현채 | 독서대가 구비된 여성용 백 |
-
2010
- 2010-11-01 KR KR1020100107841A patent/KR10115718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4071U (ko) * | 1998-10-19 | 1999-01-25 | 나현채 | 독서대가 구비된 여성용 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941A (ko) | 2012-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361867B (ko) | ||
JP5806720B2 (ja) | 電子機器用スタンド | |
JP2011225155A (ja) | カップホルダ | |
US6505797B1 (en) | Collapsible laptop stand | |
TWM329787U (en) | Multi-functional glasses | |
US10880423B2 (en) | Holder | |
KR102026051B1 (ko) | 받침판 수납이 가능한 독서대 | |
US20210212454A1 (en) | Portable reading stand | |
KR101207295B1 (ko) | 독서대 받침대 | |
KR20130104183A (ko) | 다기능 거치대 | |
KR101157183B1 (ko) | 책받침을 구비한 가방 | |
KR20100006910U (ko) | 독서대 | |
KR102350856B1 (ko) | 각도조절 및 조작이 용이한 독서대를 갖는 테이블 | |
JP2020185273A (ja) | 書見台 | |
KR101860556B1 (ko) | 필통을 갖는 독서대 | |
KR100987521B1 (ko) | 독서 지지대가 구비된 책 | |
JP3965296B2 (ja) | 折り畳み椅子 | |
KR200363813Y1 (ko) |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 |
KR20100011278U (ko) | 책상설치용 독서대 및 그 독서대가 설치된 책상 | |
KR200425779Y1 (ko) | 간이 책 받침대 | |
KR101084956B1 (ko) | 독서대 책상 | |
KR200191525Y1 (ko) | 독서대 | |
KR200281952Y1 (ko) | 착탈식 책상커버 구조 | |
JP2015202380A (ja) | ベッド | |
JP3113435U (ja) | ランドセル用背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