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168B1 -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 Google Patents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7168B1 KR101157168B1 KR1020110065949A KR20110065949A KR101157168B1 KR 101157168 B1 KR101157168 B1 KR 101157168B1 KR 1020110065949 A KR1020110065949 A KR 1020110065949A KR 20110065949 A KR20110065949 A KR 20110065949A KR 101157168 B1 KR101157168 B1 KR 1011571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ubble
- tube
- bubble removing
- outside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9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5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 B01D19/0057—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the centrifugal movement being caused by a vortex, e.g. using a cyclone, or by a tangential inle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흐르는 유속에 의해 물을 회전시켜 물에 포함된 기포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물이 공급되는 송수관이 연결되는 유입공(11)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2)이 형성된 기포제거통(10)과; 상부면과 하부면이 막혀 있는 원통형상으로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내부로 공급받도록 유입구(21)와, 내부의 물을 기포제거통(10)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2), 및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포제거통의 상부로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관(23)이 형성된 회전유도통(20)과; 기포제거통(10)의 유입공(11)과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회전유도통(2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30)와;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유도통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에서 분리된 기포가 상부로 포집되면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공(41)과 기포배출공(41)에 연결되어 기포배출부(4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42)으로 이루어진 기포배출부(40)와; 기포제거통(10)의 내부 상부 일측에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량이 배출공(12)을 따라 배출되는 량보다 과다한 경우에 과량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which can easily separate bubbles contained in water by rotating water by the flow velocity of water.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hole 1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is supplied with water, the bubble removing cylinder 10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2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inlet port 21 and the outlet 22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bble removing tube 10 to receive the water directly from the outside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10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locked. And a rotation guide tube 20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bubble discharge tube 23 for discharging the bubbles coll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removing tube; It is connected between the inlet hole 11 of the bubble removing tube 10 and the inlet 21 of the rotary induction tube 20 to directly supply the water outside the bubble removing tube 10 to the inside of the rotary induction tube 20. A water supply unit 30; Bubbl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ubble removing cylinder 10 and separated from the water rotating in the rotary guide tube are collected to the upper side is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hole 41 and the bubble discharge hole 41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bubbles Bubble discharge unit 40 consisting of an external discharge pipe 4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discharge unit 40; Overflow water outlet (60) for discharging excess water to the outside when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ubble removing cylinder (10) on the inner upper side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10 is greater than the amount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hole (12) (60) It characterized by inclu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포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의 흐르는 유속에 의해 물을 회전시켜 물에 포함된 기포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which can easily separate bubbles contained in water by rotating water by the flow velocity of water.
일반적으로, 상수도 등의 물을 원거리나 고지대로 송수하기 위해서는 큰 수압이 요구되어 최초 송수시 매우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압송해야하므로, 송수거리가 멀거나 고지대로 물을 보내기 위해서는 별도의 가압시설이 요구된다.In general, a large water pressure is required to send water such as tap water to a remote or high place, and it is required to pressurize and pressurize it at a very high pressure during the first water supply. do.
이때, 송수관의 송수시 물을 가압하기 위한 모터펌프 등은 그 내부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한 물의 100% 주입이 어려워 항상 공기 기포층이 존재하므로 펌프를 통과한 물에도 공기 기포가 포함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tor pump for pressurizing the water during the water delivery of the water pipe is difficult to inject 100% of the wate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internal structure, there is always an air bubble layer, so the air bubbles are also includ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pump.
송수관을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공기 기포는 상수도관의 표면에 부착되면 상수도관을 부식시킬 뿐만아니라 공기들이 모여지면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더 나아가 상수도관을 파열시키는 원인이 된다.Air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water pipes not only corrode the water pipes when they adher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pipes, but also cause air flow to disrupt the water flow and further cause the water pipes to rupture.
이에 따라 종래에는 물에 섞여있는 공기 기포가 송수관의 굴곡진 곳에 주로 모여지기 때문에 골곡진 부분에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밸브를 추가로 설치하여 송수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도 하였다. 그러나, 송수관은 대다수의 구간이 굴곡되어 있지 않을 뿐만아니라 공기 기포는 평행구간의 송수관에도 부착되어 부식시키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다. Accordingly, in the related art, since air bubbles mixed with water are mainly gathered at the bent portion of the water pipe, an air removal valve for removing air is additionally installed at the curved portion to discharge the air in the water pipe to the outside. However, the water pipe is not only curved in the majority of the section, but also air bubbles are attached to the water pipe in the parallel section remains a problem of corrosion.
또한, 아이스링크 등과 같이 기포가 없는 물이 필요한 곳에서는 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고 사용하여야 질 좋은 얼음을 얻을 수 있지만, 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고 수송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where there is a need for water without bubbles, such as an ice rink,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must be removed and used to obtain high quality ice. However, there are the sam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move and transport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송수관 등으로 수송되는 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는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을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that can remove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transported to the water pipe.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물의 흐르는 유속에 의해 물을 회전시켜 물에 포함된 기포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that can easily separat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by rotating the water by the flow rate of the water.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는, 물이 공급되는 송수관이 연결되는 유입공(11)과,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2)이 형성된 기포제거통(10)과; 상부면과 하부면이 막혀 있는 원통형상으로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내부로 공급받도록 유입구(21)와, 내부의 물을 기포제거통(10)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2), 및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포제거통의 상부로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관(23)이 형성된 회전유도통(20)과; 기포제거통(10)의 유입공(11)과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회전유도통(20)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30)와;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유도통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에서 분리된 기포가 상부로 포집되면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공(41)과 기포배출공(41)에 연결되어 기포배출부(4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42)으로 이루어진 기포배출부(40)와; 기포제거통(10)의 내부 상부 일측에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량이 배출공(12)을 따라 배출되는 량보다 과다한 경우에 과량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ubble removal device of the bubble contained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바람직하게, 기포제거통(10)과 회전유도통(20)은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는 유입된 물이 회전유도통(2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내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inlet 21 of the
바람직하게, 회전유도통(20)의 배출구(22)의 출구방향은 물이 회전상태를 유지하면서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회전유도통(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utlet direction of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바람직하게, 기포제거통(10)의 바닥면(51)은 물에서 분리된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기울어진 것이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바람직하게, 기포제거통(10)의 하부 중앙에는 침전물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침전물제거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lower center of the
바람직하게, 기포제거통(10)의 배출공(12) 일측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크류(7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one side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는 물의 흐르는 유속에 의해 물이 회전되면서 물에 포함된 기포를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imply separate the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while the water is rotated by the flow rate of the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의 평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는 기포제거통(10), 회전유도통(20), 물공급부(30), 기포배출부(40)를 구비한다.As shown,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기포제거통(10)은 내부로 유입된 물이 회전하는 경우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기포제거통(1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송수관 등이 연결되는 유입공(11)이 형성되고, 또다른 일측에는 기포제거통(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12)이 형성된다.
회전유도통(20)은 기포제거통(10)의 내측에 위치하며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공급받고, 공급된 물을 회전시킨다. 회전유도통(20)은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내부로 공급받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의 물을 기포제거통(10)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부면의 일측에는 기포제거통의 상부로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관(23)이 형성된다. 이때, 유입구(21)는 유입된 물이 회전유도통(2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내측면을 향하도록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구(22)는 회전유도통(2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이 회전상태를 유지하면서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공급되어 회전되도록 회전유도통(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는 일측 하부에 위치되고, 배출구(22)는 일측 상부에 위치되여 회전유도통(20)으로 유입된 물이 충분하게 회전된 상태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물공급부(30)는 기포제거통(10) 외부의 물을 직접 회전유도통(20)으로 공급되도록 기포제거통(10)의 유입공(11)과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 사이에 연결된다.The
기포배출부(40)는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유도통(20)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에서 분리된 기포가 상부로 포집되면 포집된 기포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기포배출부(40)는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공(41)과 기포배출공(41)에 연결되어 기포배출부(40)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4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외부배출관(42)은 사용자가 기포배출공(41)을 수리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는 기포제거통(10)의 내부 상부 일측에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량이 배출공(12)을 따라 배출되는 량보다 과다한 경우에 과량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6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bubble removing device contained in the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그리고, 기포제거통(10)의 바닥면(51)은 물에서 분리된 침전물이 중앙으로 모일 수 있도록 기울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중앙에 모인 침전물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도록 침전물제거부(50)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한편, 기포제거통(10)의 배출공(12) 일측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한 스크류(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70)는 배출공(12)에서 배출되는 물의 유속을 변경할 수 있어 기포제거통(10) 내부의 물 수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기포제거통(10)의 내부에 회전유도통(20)이 장착되고, 기포제거통(10)의 유입공(11)과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 사이에 물공급부(30)가 장착된다.First, the
한편, 기포제거통(10)의 유입공(11) 외측에 연결된 송수관 등을 통해 상수 등의 물이 공급되면 물은 물공급부(30)를 따라 회전유도통(20)의 하부로 유입된다. 이때, 회전유도통(20)으로 유입된 물은 회전유도통(20)의 유입구(21)가 내측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에 의해 자연스럽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물은 유속이 강할수록 더욱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water such as a constant water is supplied through a water pipe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한편, 회전유도통(20)에서 회전하는 물은 회전유도통(20)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구(22)를 따라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때, 배출구(22)가 회전유도통(20)의 외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배출되는 물도 회전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rotating in the
기포제거통(10)으로 배출된 물은 기포제거통(10) 내부를 따라 회전되면서 물에 포함된 기포가 중앙으로 모이면서 합체되어 기포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합체된 기포는 기포제거통(10)의 상부로 떠오르면서 물과 분리되게 된다.The water discharged into the
물에서 분리된 기포는 기포제거통(10)의 내부 상층부에 포집되고,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형성된 기포배출부(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Bubbles separated from the water are collected in the inner upper layer of the
한편, 기포가 제거된 물은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12)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배출공(12)을 따라 배출된 물 내에는 포함된 기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ater is removed bubb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long the
또한, 기포제거통(10) 내로 유입된 물에 침전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물의 회전에 의해 침전물도 하부 중앙으로 모이면서 침전하게 되고,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침전물제거부(5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diment is included in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그리고, 기포제거통(1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량이 배출공(12)을 따라 배출되는 량보다 과다한 경우에는 기포제거통(10)의 상부에 형성된 월류수배출구(60)를 따라 배출되도록 하여 과다하게 유입된 물에 의해 기포제거통(1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 기포제거통 11 : 유입공
12 : 배출공 20 : 회전유도통
21 : 유입구 22 : 배출구
30 : 물공급부 40 : 기포배출부
41 : 기포배출공 42 : 외부배출관
50 : 침전물제거부 51 : 바닥면
60 : 월류수배출구 70 : 스크류 10: bubble removal container 11: inflow hole
12: discharge hole 20: rotation guide
21: inlet 22: outlet
30: water supply unit 40: bubble discharge unit
41: bubble discharge hole 42: external discharge pipe
50: sediment removal unit 51: the bottom surface
60: overflow water outlet 70: screw
Claims (9)
상부면과 하부면이 막혀 있는 원통형상으로 기포제거통 외부의 물을 직접 내부로 공급받도록 유입구와, 내부의 물을 기포제거통 내부로 배출하는 배출구, 및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포제거통의 상부로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관을 구비하는 회전유도통과;
기포제거통의 유입공과 회전유도통의 유입구 사이에 연결되어 기포제거통 외부의 물을 직접 회전유도통의 내부로 공급시키는 물공급부와;
기포제거통의 상부에 형성되며 회전유도통 내부에서 회전하는 물에서 분리된 기포가 상부로 포집되면 포집된 기포를 배출하는 기포배출공과, 기포배출공에 연결되어 기포배출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외부배출관으로 이루어진 기포배출부와;
기포제거통의 내부 상부 일측에 기포제거통의 내부로 유입된 물의 량이 배출공을 따라 배출되는 량보다 과다한 경우에 과량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월류수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에 함유된 기포의 제거장치.
An inlet hole to which a water supply pipe to which water is supplied is connected, and a bubble removing tube having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water therein;
The inlet port and the outlet for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and the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is blocked in the cylindrical bubble direct supply to the inside directly A rotation induction passage having a bubble discharge tube for discharging bubbles coll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A water supply unit connected between the inlet hole of the bubble removing tube and the inlet of the rotary induction tube to directly supply water outside the bubble removing tube to the inside of the rotary induction tube;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bubble removing tube and the bubble separated from the water rotating inside the rotary guide tube is collected to the upper side, and the external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bubble discharge ho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ubble discharge unit. Bubble discharge portion consisting of;
When the amount of wate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is greater than the amount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hole on the inner upper one side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includes a overflow water outlet for discharging the excess water to the outside Bubble elimination device.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ubble removing tube and the rotating guide tube have a cylindrical shape.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low port of the rotation guide tube is installed to face the inner side surface so that the introduced water rotates inside the rotary guide tub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let direction of the outlet of the rotary guide tube is formed in the wa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ry guide tube so that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bubble removing cylinder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state Bubble elimination device.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is inclined to collect the sediment separated from the water in the center.
The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contained in wa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diment removing unit is formed at a lower center of the bubble removing container so as to remove the sediment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949A KR101157168B1 (en) | 2011-07-04 | 2011-07-04 |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65949A KR101157168B1 (en) | 2011-07-04 | 2011-07-04 |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7168B1 true KR101157168B1 (en) | 2012-06-20 |
Family
ID=4668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65949A KR101157168B1 (en) | 2011-07-04 | 2011-07-04 |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716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9648B1 (en) * | 2022-10-17 | 2024-04-19 | 공형식 | An automatic air exhaust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exhausts the air by centrifugal separation of air bubbles from the wa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3303A (en) * | 1997-10-21 | 1999-05-11 | Shinyuu Giken:Kk | Apparatus for separating air bubble |
JPH11333207A (en) | 1998-05-29 | 1999-12-07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Gas exhaust method of swirling flow type bubble removing device |
JP2002028635A (en) * | 2000-07-18 | 2002-01-29 | Max Co Ltd | Gas-liquid separator in ozone water producer |
KR100940609B1 (en) * | 2009-06-16 | 2010-02-05 | (주)빅하우스 | Water tank with auto filtering and cleaning function |
-
2011
- 2011-07-04 KR KR1020110065949A patent/KR1011571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23303A (en) * | 1997-10-21 | 1999-05-11 | Shinyuu Giken:Kk | Apparatus for separating air bubble |
JPH11333207A (en) | 1998-05-29 | 1999-12-07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Gas exhaust method of swirling flow type bubble removing device |
JP2002028635A (en) * | 2000-07-18 | 2002-01-29 | Max Co Ltd | Gas-liquid separator in ozone water producer |
KR100940609B1 (en) * | 2009-06-16 | 2010-02-05 | (주)빅하우스 | Water tank with auto filtering and cleaning func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59648B1 (en) * | 2022-10-17 | 2024-04-19 | 공형식 | An automatic air exhaust device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exhausts the air by centrifugal separation of air bubbles from the wat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6286294U (en) | A kind of biochemistry test tube rotary cleaning device | |
CN103968630A (en) | Fluidized ice maker | |
CN205759891U (en) | A kind of spiral gas-liquid separator | |
KR101157168B1 (en) | Bubble rremoving apparatus for watet | |
CN106422515B (en) | A kind of spiral-flow type desanding sediment outflow filter device for agricultural irrigation | |
US20140305310A1 (en) | Protein debubbler impeller structure | |
KR102015143B1 (en) | Device for Draining Back-washing Fluid and Filter Apparatus | |
CN206910886U (en) | A kind of second pond with accurate addition medicament function inhales mud scraper | |
CN206033296U (en) | Circular air supporting pond | |
RU2354433C1 (en) | Separator | |
CN204380392U (en) | A kind of novel two sections of sewage sediment outflow ponds | |
WO2016053145A1 (en) | Wellhead baffle and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gas-liquid flow | |
CN203908153U (en) | Flow-state ice maker | |
CN205328658U (en) | Impurity removal function's air supporting machine has been improved | |
KR101254014B1 (en) | Aeration type deposition tank for soil washing plant | |
CN203959871U (en) | A kind of air floatation machine | |
CN103301684A (en) | Temporary liquid-solid separation and rotational flow preventing and stopping device of raw sewage | |
CN110280387A (en) | A kind of Integral magnetic filtering coupling tank | |
CN103341324A (en) | Cleaning method and cleaning system of tubular membrane | |
CN207288822U (en) | It is a kind of to mitigate the flow coat mechanism blocked | |
CN208136994U (en) | A kind of harnessing silted Yellow River Accrete clearing device | |
CN208050492U (en) | Clean water circulation treatment device | |
CN206214904U (en) | A kind of spiral-flow type desanding sediment outflow filter for agricultural irrigation | |
CN207605417U (en) | A kind of sand filter and its water distributing trough | |
CN205856106U (en) | A kind of floatation type small-sized electric drainage arrang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