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564B1 -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564B1
KR101156564B1 KR1020110039126A KR20110039126A KR101156564B1 KR 101156564 B1 KR101156564 B1 KR 101156564B1 KR 1020110039126 A KR1020110039126 A KR 1020110039126A KR 20110039126 A KR20110039126 A KR 20110039126A KR 101156564 B1 KR101156564 B1 KR 10115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block
pair
curvatur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길계환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39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564B1/en
Priority to PCT/KR2012/001350 priority patent/WO2012121499A2/en
Priority to EP12755269.3A priority patent/EP2685461B1/en
Priority to JP2013557638A priority patent/JP6018592B2/en
Priority to US14/008,570 priority patent/US94359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5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having a single driver and a mirror adjust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implify a mirror curvature adjustment process by forming a driving part circulating a pair of circulation blocks out of a pair of conveying parts and a carrier member. CONSTITUTION: An apparatus(100)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comprises a base block, a pair of circulation blocks(120,120'), a pair of support blocks(130), a driving part(140), and a displacement sensor(150). A pair of circulation blocks is connected to a pair of ribs(112)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elastomers(121). A pair of the circulation blocks is respective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elastomers formed in the rib of the base block. A pair of the support blocks is respectively fixed to a pair of the circulation blocks through a screw coupled with a screw hole(122) formed in the circulation block. The driving part symmetrically circulates a pair of the circulation blocks by respectively applying external force to a pair of the circulation blocks. A pair of the displacement sensors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air of drivers(143).

Description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구동기에 의해서 원활하게 거울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울의 곡률 조정시에 거울 중심점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어, 거울의 위치 조정, 각도 조정 및 곡률 조정을 포함하는 거울 조정 과정을 용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고, 장치의 정밀도와 신뢰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rror curvature adjusting device having a single driver and a mirror adjusting system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moothly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by a single driver, and also to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can be fixed so that it does not move, so that the mirror adjustment process including the positioning of the mirror, the angle adjustment and the curvature adjustment can be easily performed, and a single driver can further improve the precision and reliability of the device. It relates to a mirror curvature adjusting device and a mirror adjusting system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전자를 빛의 속도에 근접한 속도로 가속시키고 이를 전자석을 이용해 회전시켜 자외선, X선 등 넓은 에너지 영역의 고휘도의 전자기파를 얻을 수 있는 방사광가속기 등에는, 방사광을 집속하는 거울 및 이 거울의 위치, 각도 및 곡률을 조정할 수 있는 거울 조정시스템이 구비된다.In general, the mirror and the position of the mirror are focused on a radiation beam accelerator, which can accelerate electrons at a speed close to the speed of light and rotate them using electromagnets to obtain high-intensity electromagnetic waves in a wide energy range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X-rays. It is equipped with a mirror adjustment system that can adjust the angle and curvature.

이러한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은 거울의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장치, 거울의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 및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는 곡률 조정장치로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는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This conventional mirror adjustment system is composed of a position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irror, an angl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of the mirror, and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among which the conventional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is as shown in Figs.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는, 베이스블록(20), 베이스블록(20)에 회동 가능하게 외팔보(31)로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회동블록(30), 한 쌍의 회동블록(30)에 각각 고정되어 거울(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40) 및 한 쌍의 회동블록(30)에 각각 외력을 인가하여 회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부(50)로 구성된다.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is fixed to a pair of rotation block 30, a pair of rotation block 30, respectively,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20, the base block 20 by a cantilever 31 so as to be rotatable. And a pair of driving units 50 which rotate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air of support blocks 40 and the pair of rotation blocks 30 that support both ends of the mirror 10, respectively.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회동블록(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ㆍ제2판스프링(51, 52)과 구동기(53)로 각각 이루어지는 한 쌍의 구동부(50)에 의해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회동점(RP)을 중심으로 거울(10) 측으로 각각 회동되며, 인가된 외력이 해제되면 외팔보(31)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위치로 복귀된다.In the 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rotating blocks 30 includes a pair of driving units each consisting of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51 and 52 and the driver 53. As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50), the rotational force RP rotates around the mirror 10, respectively, an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external force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antilever 31.

여기서, 한 쌍의 회동블록(30)이 회동되면, 이로 인해 한 쌍의 지지블록(40)이 거울(10)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하고, 이에 따라 거울(10)이 휘어지면서 곡률이 커지게 조정된다. 즉,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는, 한 쌍의 구동부(50)가 한 쌍의 회동블록(30)에 각각 인가하는 외력의 크기를 적절히 제어하여 거울(10)의 곡률을 원하는 수치로 조정하게 된다.Here, when the pair of rotating blocks 30 are rotated, the pair of support blocks 40 apply a bending force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thereby bending the mirror 10, the curvature is large Are adjusted. That is, the 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adjusts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o a desired value by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applied by the pair of driving units 50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30, respectively.

한편, 이러한 곡률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을 이용한 거울 조정 과정은, 거울(10)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정하여 거울(10)에 입사하는 전자기파를 거울 반사면의 중심점(MC)에 입사하도록 만드는 작업과 거울(10)의 피치각과 곡률을 조정하여 거울(10)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가 집속되도록 만드는 작업으로 대별된다.On the other hand, the mirror adjustment process using a conventional mirror adjustment system including such a curvature adjustment device, by adjusting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mirror 10, the electromagnetic wave incident on the mirror 10 to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reflection surface It is roughly classified into a job of making the incident and a job of adjusting the pitch angle and curvature of the mirror 10 to focus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mirror 10.

이러한 거울 조정 과정 중 거울(10)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가 집속되도록 하는 작업을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할 경우, 거울(10)의 피치각을 조정하는 구동기 및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는 한 쌍의 구동부(50)에 대한 전체 세 개의 입력 변수를 조정하며 진행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When the operation to focus the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from the mirror 10 during the mirror adjustment process using a conventional mirror adjustment system, the curvature of the driver and mirror 10 to adjust the pitch angle of the mirror 10 The work is complicated and cumbersome because it has to proceed with adjusting all three input variables for the pair of driving units 50 to be adjusted.

그리고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에 구비된 곡률 조정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0)의 양단에 굽힘력이 인가됨에 따라 거울(10)의 중심이 하측으로 휘어지면서 곡률이 변화하므로,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는 작업에서 곡률을 작게 조정하거나 크게 조정함에 따라, 전자기파가 입사되는 거울(10)의 중심점(MC) 위치가 도 3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nd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mirror adjustment system, as shown in Figure 3, as the bending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the center of the mirror 10 is bent downward, so the curvature changes As the curvature is adjusted to be smaller or larger in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to which the electromagnetic wave is incident moves upward or downward with reference to FIG. 3.

이와 같이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거울 조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거울을 조정할 경우에는,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는 작업 중에 곡률 조정 폭이 커서 거울(10)의 중심점(MC) 위치가 크게 이동되면, 전자기파가 거울(10)의 중심점(MC)으로 입사하도록 이미 수행한 거울의 위치, 각도 조정 작업을 다시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djusting the mirror by using a mirror adjusting system including a 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the curvature adjustment width is large during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is large. When mov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ition and angle adjustment work of the mirror, which has already been performed so that the electromagnetic wave is incident on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has to be performed again.

게다가 이와 같은 거울의 위치 조정 작업, 각도 조정 작업 및 곡률 조정 작업이 거울(10)에 전자기파가 입사되게 한 후, 통과한 전자기파의 광량을 측정하거나 반사된 전자기파를 정밀 주사(scan)하면서 단계별 광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기반으로 위치 조정 수치, 각도 조정 수치 및 곡률 조정 수치를 각각 산출하여 반영하는 복잡한 작업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문제점은 큰 단점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mirror positioning operation, an angle adjustment operation, and a curvature adjustment operation cause electromagnetic waves to enter the mirror 10, and then measure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mirror or precisely scan the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s, Considering the complicated operation of measuring and calculating a position adjustment value, an angle adjustment value, and a curvature adjustment value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it can be seen that this problem is a big disadvantage.

한편, 종래의 곡률 조정장치는, 거울(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40)이 거울(10)과 조립체를 이룬 후 각각 한 쌍의 회동블록(30)에 그대로 고정 설치되므로, 한 쌍의 지지블록(40)과 거울(10)의 조립체의 길이가 한 쌍의 회동블록(30)의 대응하는 거리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거울(10)에 의도하지 않은 굽힘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해당 굽힘 변형으로 인해 장치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는 단점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since a pair of support blocks 40 supporting both ends of the mirror 10 form an assembly with the mirror 10, they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pair of rotation blocks 30 as they are. If the length of the assembly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40 and the mirror 10 does not exactly match the corresponding distance of the pair of pivot blocks 30, an unintentional bending deformation in the mirror 10 may occur. As such,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may be degraded due to the bending deformation.

즉, 예를 들어 한 쌍의 지지블록(40)과 거울(10)의 조립체의 길이가 한 쌍의 회동블록(30)의 대응하는 거리보다 긴 경우에는, 해당 조립체를 한 쌍의 회동블록(30)의 사이에 설치할 때에 거울(10)의 양측이 가압되면서 굽힘 변형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when the length of the assembly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40 and the mirror 10 is longer than the corresponding distance of the pair of pivot blocks 30, th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pair of pivot blocks 30. At the time of installation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mirror 10, the bending deformation may occur.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는 작업이 단일의 구동기 하나에 대한 입력 조정으로 진행될 수 있고, 거울의 곡률 조정이 구동기의 이송 변위에 비해 매우 세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거울의 곡률 조정시에 거울 중심점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울 설치 과정에서 거울에 의도하지 않은 굽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can be performed as an input adjustment for a single driver, the adjustment of the mirror curvature can be carried out very finely compared to the feed displacement of the driver In addition, the mirror curvature adjuster can be fix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mirror center point does not move when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and also prevents unintentional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rror during the mirror installation process. And to provide a mirror adjustment system having the same.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는, 거울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 또는 해제하여 곡률을 조정하는 장치로서,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1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또는 탄성 복귀하는 한 쌍의 회동블록;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울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구비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이송하는 단일의 구동기, 및 상기 이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한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을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각각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by applying or releasing a bending force on both ends of the mirror, the base block; A pair of pivot blocks each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first elastic bodies, the pivot blocks pivoting or elastically returning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leased; A pair of support blocks installed at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block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mirror, and applying a bending force to both ends of the mirror as the pair of rotation blocks are rotated; And a conveying member provided to be reciprocally conveyed in one direction, a single driver for conveying the conveying member, a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veying member, and transferring the conveying force of the conveying member by the driver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And a driving unit including a pair of transfer units configured to transfer and rotate the pair of rotation blocks, respectively.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2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하는 전달블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transmission parts are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second elastic bodies,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by a hinge so that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is applied or released. It may include; each of the transfer block to rotate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rotating block or elastically return.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탄성 변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블록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이송부재에 연결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transmission unit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 de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block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에 각각 맞물려 왕복 이송되며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왕복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guide shafts fixed to the base block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member, and one or more guide bodies engaged with the one or more guide shafts and coupled to the transfer member,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reciprocating conveyance of the member.

상기 전달블록과 상기 회동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달블록이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할 때에 상기 회동블록과의 슬라이딩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전달블록의 간격을 소정의 설계값에 대응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달블록 또는 상기 회동블록과의 접촉부위가 곡면인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y one of the transfer block and the pivot block facilitates sliding contact with the pivot block when the transfer block applies an external force or elastically returns to the pivot block, and maintains an interval between the pivot block and the transmission block. The sliding member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design value and have a curved contact portion with the transfer block or the rotation block.

상기 전달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베이스블록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transfer block and the second elastic body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lock.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점이 곡률 변화에 의한 상기 거울의 중심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회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the rotation block is rotated by the base block so that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block with respect to the mirro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due to the curvature change It may be provided to connect to.

상기 제1탄성체는,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위치되는 상기 거울의 반사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블록과의 연결부분인 제1회동점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거울의 반사면 상 또는 상기 거울의 반사면에 인접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has a cantilever shape, forms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a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located at an opening formed at one side of the base block, and faces a first pivot point, which is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base block, from the front. It may be provided on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or adjacen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베이스블록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pivot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lock.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동블록에 위치 조절될 수 있게 고정되는 연결블록을 통해 상기 회동블록에 설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may be installed in the pivot block via a connection block fixed to be adjustable in the pivot block.

본 발명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은, 거울의 위치, 각도 및 곡률을 조정하는 시스템으로서,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해 설치플레이트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송하고 기울기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장치;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하면에 대해 상면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 및 상기 각도 조정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1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또는 탄성 복귀하는 한 쌍의 회동블록,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울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구비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왕복 이송하는 단일의 구동기, 및 상기 이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한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을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각각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gle and curvature of the mirror, the support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 position adjusting device fixed to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installation plate to the support,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adjust the inclination there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and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nd a base block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device,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at least one first elastic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leased. A pair of rotating blocks that rotate or return elastically, respectively, are installed on the pair of rotating block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mirror, and as long as the pair of rotating blocks rotate, the bending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mirror. Pair of support blocks; And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blocks, wherein the driving unit includes a transfer member provided to reciprocate in one direction and reciprocally transfer the transfer member. It includes a single driver and a pair of transmission parts respectively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transfer member to transfer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by the driver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to rotate the pair of rotating blocks, respectively. It is done by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2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하는 전달블록;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transmission parts are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second elastic bodies, respectively, and ar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by a hinge so that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is applied or released. It may include; each of the transfer block to rotate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body to apply an external force to the rotating block or elastically return.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탄성 변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블록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이송부재에 연결 구비될 수 있다.The pair of transmission units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 deformation, and the transmission block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점이 곡률 변화에 의한 상기 거울의 중심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회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body, the rotation block is rotated by the base block so that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block with respect to the mirro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due to the curvature change It may be provided to connect to.

이러한 본 발명의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에 의하면, 거울의 곡률 조정을 위해 한 쌍의 회동블록을 회동시키는 구동부가 한 쌍의 전달부와 이송부재를 구비하여 단일의 구동기로 구현되게 구비됨으로써,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는 작업을 단일의 구동기 하나에 대한 입력만 조정하면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a mirror curvature adjusting device and a mirror adjus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unit for rotating a pair of rotating block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is provided with a pair of transmission and transfer member By being implemented with a single driver,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can be easily performed while adjusting only the input to one single driver.

이에 따라, 전자기파의 집속을 위한 거울의 곡률 조정 작업을 포함하는 거울 조정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irror adjustment process including the curvature adjustment of the mirror for focus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지지블록이 설치된 회동블록을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는 제1탄성체가, 거울의 곡률을 조정할 때에 거울에 대한 지지블록의 지지점이 곡률 변화에 의한 거울 중심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더라도 곡률 변화에 의한 거울 중심점의 이동이 거울 양단에 위치한 지지점의 이동으로 상쇄되어 거울 중심점의 절대적인 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body connecting the rotation block provided with the support block to the base block, when the curvature of the mirror is adjusted,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block relative to the mirror can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irror center point due to the change in curvature. In this case,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mirror is adjusted, the movement of the mirror center point due to the curvature change is offset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ints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mirror, thereby minimizing the absolute displacement of the mirror center point.

즉, 거울의 곡률 조정시에 거울 중심점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거울의 곡률 조정 작업 이후에 전자기파를 거울 반사면의 중심점에 위치시키기 위한 거울의 위치 및 각도 조정 작업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없어 거울 조정 과정을 더욱 용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mirror center point can be fixed so that the mirror curvature is not moved when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the mirror position and angle adjustment work for positioning the electromagnetic wave at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reflection surface again after the curvature adjustment of the mirror. There is no need to make the mirror adjustment process easier.

또한, 구동기에 의한 이송부재의 이송력이 한 쌍의 탄성부재를 통해 한 쌍의 전달블록에 각각 인가되게 구비됨으로써, 이송부재의 변위에 비해 회동블록의 회동 각도 및 이에 따른 거울의 곡률 조정을 매우 세밀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거울의 곡률 조정의 정밀도를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ying force of the conveying member by the driver is applied to the pair of transmission blocks through the pair of elastic members, respectively,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block and the curvature of the mirror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of the conveying member are greatly adjusted. Since it can progress in fine detail, the precision of the curvature adjustment of a mirror can be improved.

뿐만 아니라, 한 쌍의 지지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회동블록에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고정되는 연결블록을 통해 회동블록에 설치되므로, 거울 설치 과정에서 거울에 의도하지 않은 굽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장치의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is installed in the rotation block through a connection block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block, thereby preventing unintentional bending deformation in the mirror during the mirror installation process.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에 구비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에 구비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거울 조정시스템에 구비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에 구비되는 베이스블록을 회동블록과 전달블록이 구비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provided in a conventional mirror adjusting system;
2 is a plan view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provided in a conventional mirror adjusting system;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provided in a conventional mirror adjusting system;
4 is a front view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e block provided with a rotating block and a transfer block provided in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perform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은, 전자를 광속에 근접한 속도로 가속시키고 이를 전자석을 이용해 회전시켜 자외선, X선 등 넓은 에너지 영역의 고휘도의 전자기파를 얻을 수 있는 방사광가속기 등에 설치되어, 방사광을 집속하는 거울의 곡률을 조정하는 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여 거울의 위치, 각도 및 곡률을 조정하는 시스템이다.The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nd the mirror adjusting system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e electrons at a speed close to the speed of light and rotate them using electromagnets to generate high luminance electromagnetic waves in a wide energy range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X-rays. Apparatu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which is provided in a radiation beam accelerator and the like which can be obtained, and a system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gle and curvature of the mirror including such a device.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 이하 줄여서 '곡률 조정장치'라 한다)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7 to 7 Expla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는, 베이스블록(110),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 한 쌍의 지지블록(130), 구동부(140) 및 변위센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pparatus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block 110, a pair of rotating blocks (120, 120 '), a pair of support blocks 130, a drive unit 140 and the displacement sensor 150 is made.

상기 베이스블록(110)은 장치의 몸체가 되는 부재로서, 내부에 구동부(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사각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측에는 거울(10)이 위치되는 개방구(111)가 형성된다.The base block 110 is a member that becomes the body of the device, made of a rectangular tubular shape so that the drive unit 140 is installed therein, the opening 11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irror 10 Is formed.

이 개방구(111)의 폭 방향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이 복수의 제1탄성체(12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리브(112)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On both sides of the opening 111 in the width direction, as illustrated in FIG. 6, a pair of ribs 112 and 120 ′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first elastic bodies 121. )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록(110)의 중심부에는 후술되는 구동부(140)의 구동기(143)가 설치되는 지지부재(113)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support member 113 in which the driver 143 of the driving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ase block 110 is provided.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록(1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base block 110 is exemplary,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of course.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은 베이스블록(110)의 리브(112)에 탄성 재질의 외팔보 형태로 이루어진 제1탄성체(121)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베이스블록(110)과 제1탄성체(121)의 연결부분인 제1회동점(RP1)을 중심으로 각각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된다.The pair of pivot blocks 12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ribs 112 of the base block 110 through first elastic bodies 121 formed of cantilevered elastic materials, respectively, and the base block 110 and the first It is provided to be rotated around the first pivot point (RP1), which is a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그리고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구동부(140)로부터 외력이 그 연장된 끝 부분에 인가되게 구현된다.And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120 ') is provided with a shape extending downward, as shown in Figure 4, it is implemented so that the external force from the drive unit 140 is applied to the extended en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은 구동부(140)에 의해 그 연장된 끝 부분에 각각 일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는데, 이 외력에 의해 제1탄성체(121)가 탄성 변형되면서 회동된다. 그리고 이렇게 인가되던 외력이 해제되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은 제1탄성체(12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각각 복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and 120 'is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in one direction to the extended ends thereof by the driving unit 140, and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elastic by the external force. It is rotated while being transformed. When the applied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and 12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제1탄성체(121)는 회동블록(120, 120')이 회동됨에 따라 거울(10)에 대한 지지블록(130)의 지지점(SP)이 거울(10)의 곡률 변화에 의한 거울(10)의 중심점(MC, 이하, 거울의 중심점은 거울 반사면의 중심점으로 정의한다)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회동블록(120, 120')을 베이스블록(110)에 연결한다.Here,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a mirror (10) by the change of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he support point (SP) of the support block 130 with respect to the mirror 10 as the rotating blocks (120, 120 ') are rotated ( 10) the pivot blocks 120 and 120 'are connected to the base block 110 so that they can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enter point (MC, hereinafter,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is defined as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reflection surface). do.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탄성체(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고 거울(10)의 반사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리브(112)의 하측에 연결됨으로써,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 제1회동점(RP1)이 거울(10)의 반사면에 인접된 전방측에 위치되게 구비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4,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rib 112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0. When viewed from the first pivot point (RP1) is provided to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10).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블록(120, 120')이 제1회동점(RP1)을 중심으로 회동되면 거울(10)에 대한 지지블록(130)의 지지점(SP)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반해, 회동블록(120, 120')의 회동에 의해 거울(10)에는 굽힘력이 인가되어 거울(10)이 오목하게 곡률이 증가하게 변형되는데, 이때 거울(10)의 중심점(MC)은 지지점(SP)에 대해 하측으로 이동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are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 point RP1, the support points SP of the support block 130 for the mirror 10 are upward. Is moved to. On the contrary, a bending force is applied to the mirror 10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so that the mirror 10 is concave and the curvature increases. In this case,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is It mov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int SP.

그러나 이러한 거울(10)의 중심점(MC) 이동은 그 반대 방향인 지지점(SP)의 이동에 의해 상쇄되어 베이스블록(110)을 기준으로 한 거울(10) 중심점(MC)의 절대적인 변위는 거의 없게 된다.However,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is offset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int SP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re is almost no absolute displacement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relative to the base block 110. do.

다시 말해, 전술된 제1탄성체(121)의 구현 형태, 이에 따른 제1회동점(RP1)의 위치로 인해, 회동블록(120, 120')을 회동시켜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더라도 거울(10) 중심점(MC)의 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is adjusted by rotating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du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10)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can be fixed without being mo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121)는 외팔보 형태로 베이스블록(110) 및 회동블록(120, 120')과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베이스블록(110)과 회동블록(120, 120')에 각각 고정 설치되게 구현될 수 있고, 그 형태도 외팔보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apparatus 100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integral with the base block 110 and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in the form of a cantilever. It is formed as, but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member can be implement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base block 110 and the rotation block (120, 120 '), the shape can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cantilever. have.

그리고 상기 제1탄성체(121)는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 각각에 대해 두 개씩, 전체 네 개가 구비되었으나, 그 구비 개수도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four of the first elastic bodies 121 are provided, two for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but the number of the first elastic bodies 121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 거울(10)의 반사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게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거울(10)의 반사면과 이루는 각이 다른 각도로 구현되거나 거울(10)의 반사면에 대해 수평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탄성체(121)의 위치가 적절하게 달라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implement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10 when viewed from the fro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stead, the angle formed with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10 may be implemented at a different angle or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mirror 10.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should be appropriately changed. will be.

한편, 거울(10) 및 지지점(SP)에 대한 상기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및 재질 등의 정보를 기초로 역학적으로 구조 해석함으로써, 지지점(SP)의 이동이 거울(10) 중심점(MC)의 이동을 상쇄하여 베이스블록(110)에 대한 거울(10) 중심점(MC)의 절대 변위가 최소화되는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relative to the mirror 10 and the support point SP, the movement of the support point SP by dynamic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information such as the arrangement and material of each component By offsett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may be determined as the position where the absolute displacement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with respect to the base block 110 is minimized.

일반적인 각 구성요소들의 배치 및 재질 등의 정보를 기초로 구조 해석할 경우, 상기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상하방향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 거울(10)의 반사면 상으로 결정되거나 반사면에 인접되게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다시 말해, 상기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거울(10)의 반사면에 인접되게 그 전방, 반사면 상 또는 그 후방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In the case of structural analysis on the basis of information such as general arrangement and material of each component, the position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often determined on the slope or adjacent to the reflective surface.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is often determined in front of, on or behind the reflecting surface adjacent to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10.

또한, 상기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좌우방향에 있어서, 거울(10)의 양끝단에서 각각 1/4 지점 또는 그 지점에 인접되게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is often determined to be adjacent to a quarter point or a point at each end of the mirror 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은 구조 해석의 결과에 따라, 베이스블록(110)에 구비되는 제1탄성체(121) 및 제1회동점(RP1)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는, 상술한 바의 위치와 다른 곳에 제1회동점(RP1)이 위치되게 구현될 수도 있고, 한 쌍의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곡률 조정장치(100)에 있어서 좌우 대칭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으나, 그 구조 해석의 결과에 따라 좌우 비대칭적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ition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and the first turning point (RP1) provided in the base block 110 is determined,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first pivot point RP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described bar, and the position of the pair of first pivot points RP1 is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May be determined symmetrically, but may be determined asymmetrically depending on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analysis.

물론, 상기 제1탄성체(121) 및 제1회동점(RP1)의 위치는 이러한 구조 해석에 의하지 않고, 실험적 방식의 경험칙에 따르는 형태 등 다른 방식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positions of the first elastic body 121 and the first pivot point RP1 may be determined in other ways, such as in accordance with the empirical rules of the experimental method, not by the structural analysi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는, 거울(10)을 오목해지게 그 곡률을 조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거울(10)을 볼록하게 그 곡률을 조정하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회동블록(120, 120')에 가해지는 외력을 오목한 곡률을 조정하는 경우의 반대방향으로 인가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of adjusting the curvature to concave the mirror 1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convex mirror 10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to adjust the curvature. In this case,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may be appli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adjust the concave curvature.

한 쌍의 지지블록(130)은 회동블록(120, 120')에 형성된 나사홀(122)에 체결되는 나사(SW)를 통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거울(10)의 양단을 지지하며, 회동블록(120, 120')이 회동됨에 따라 거울(10)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한다.The pair of support blocks 130 are fixed to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respectively, via screws SW fastened to the screw holes 122 formed in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respectively, to provide a mirror. Supporting both ends of (10), and as the rotating blocks 120, 120 'is rotated, bending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이 한 쌍의 지지블록(130)은, 먼저 거울(10)과 조립되어 조립체를 이룬 후,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설치되는데, 이 조립체를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설치할 때에 거울(10)에 초기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지지블록(130) 중 적어도 하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블록(120')에 위치 조절될 수 있게 고정되는 연결블록(131)을 통해 회동블록(1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air of support blocks 130 are first assembled with the mirror 10 to form an assembly, and then installed in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and the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130 may be positioned in the rotation block 120 ',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in the rotation block 120 'through the connecting block 131 is secured.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회동블록(120')은 그 외측 방향 일단에 단차부(123)가 형성되고, 이 단차부(123)에는 나사(SW)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123-1)이 수직으로 형성되는데, 연결블록(131)에는 이 나사(SW)가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거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131-1)이 구비됨으로써, 연결블록(131)은 회동블록(12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block 120 ′ has a stepped portion 123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an outer direction thereof, and a fastening hole 123-1 so that the screw SW can be fastened to the stepped portion 123. ) Is formed vertically, the connection block 131 is provided with a long hole (131-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irror 10 as a hole through which the screw (SW) penetrates, the connection block 131 is rotated Positionally fixed to the block 120 '.

따라서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의 사이 거리보다 설치하고자 하는 거울(10)과 한 쌍의 지지블록(130)의 조립체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경우에는 회동블록(120')에 대한 연결블록(131)의 설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해당 거울(10) 설치시에 거울(10)에 불필요한 굽힘 변형이 일어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assembly length of the mirror 10 and the pair of support blocks 130 to be installed is longer or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the connection block for the rotation block 120' By adjus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13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unnecessary bending deformation of the mirror 10 from occurring when the mirror 10 is instal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30)은 별도의 부재인 연결블록(131)을 통해 회동블록(120')에 대해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블록(130)이 'ㄴ' 형상으로 구비되고 장공이 형성되어 회동블록(120')에 위치 조절될 수 있게 직접 설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lock 130 is implemented so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block 120 'through a connecting block 131 which is a separate memb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or example, the support block 130 may be provided in a 'b' shape and a long hole is formed to be directly installe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to the rotation block (120 ').

상기 구동부(140)는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각각 외력을 인가하여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을 서로 대칭적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블록(130)이 회동블록(120, 120')과 함께 회동하면서 거울(10)의 양단에 대칭적인 굽힘력을 인가하게 된다.The driving unit 140 rotates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pair of support blocks 13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to apply symmetrical bending forces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40)는 이송부재(141), 가이드부(142), 단일의 구동기(143) 및 한 쌍의 전달부(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driving unit 140 may include a conveying member 141, a guide unit 142, a single driver 143, and a pair of transfer units 144.

상기 이송부재(141)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비되며, 그 중심부에 후술되는 구동기(143)의 구동축(143-1)이 결합되어 이 구동축(143-1)이 구동기(143)에 의해 왕복 이송됨에 따라, 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구비된다.The transfer member 14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the drive shaft 143-1 of the driver 143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a central portion thereof so that the drive shaft 143-1 is the driver 143. As reciprocally conveyed by), it is provided to reciprocate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141)는 구동축(143-1)에 결합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축(143-1)이 이송부재(141)에 단순 접촉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현되더라도, 상기 이송부재(141)는 구동축(143-1)의 가압력에 의해 상승하고, 후술되는 탄성부재(144-3)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여 복귀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member 141 is provided coupled to the drive shaft (143-1),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drive shaft 143-1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imple contact with the transfer member 141 May be Even if so implemented, the transfer member 141 may be rai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drive shaft 143-1, and may be lowered and return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44-3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이송부재(141)에는 구동축(143-1)와의 접촉 부분에 구동축(143-1)의 끝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됨으로써, 구동축(143-1)과 이송부재(141)가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nsfer member 141 is provided with a groove portion into which an end of the drive shaft 143-1 may be inserted into a contact portion with the drive shaft 143-1, thereby driving the drive shaft 143-1 and the transfer member 141. ) May be implemented to maintain a stable contact state.

상기 가이드부(142)는 이와 같은 이송부재(141)의 왕복 이송을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부(142)는 복수의 가이드축(142-1)과 복수의 가이드체(14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ide part 142 serves to stably guide the reciprocation of the transfer member 141. To this end, the guide part 142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shafts 142-1 and a plurality of guide bodies 142-2.

상기 복수의 가이드축(142-1)은 축 형상으로 구비되며, 지지부재(113)에 설치된 구동기(143)를 중심으로 한 쌍의 전달부(144) 측에 서로 대칭으로 위치되고, 이송부재(141)의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지지부재(113)에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42-1 are provided in a shaft shape, and are symmetrically positioned on the pair of transmission parts 144 with respect to the driver 143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3, and the transfer member ( It is fixed to the support member 113 side by side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141.

상기 복수의 가이드체(142-2)는 복수의 가이드축(142-1)에 각각 맞물려 왕복 이송되며 이송부재(141)에 결합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체(142-2)는 구동기(143)에 구비된 구동축(143-1)과 이송부재(141)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이송부재(141)의 양측부에 서로 대칭으로 구비됨으로써, 이송부재(141)가 안정적으로 왕복 이송될 수 있게 한다.The plurality of guide bodies 142-2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guide shafts 142-1 and reciprocated to each other, and are coupled to the transfer member 141. Here, the plurality of guide bodies 142-2 are symmetrically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transfer member 141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e shaft 143-1 and the transfer member 141 provided in the driver 143. , The transfer member 141 can be reciprocally transported stab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142-1)은 축 형상으로 구비되어 각 전달부(144) 측에 한 쌍씩 모두 네 개가 구비되고, 이에 맞물리는 가이드체(142-2)도 네 개가 구비되었으나, 그 형상 및 구비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축(142-1)은 직선 레일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가이드축(142-1)과 가이드체(142-2)는 각각 복수가 아닌 단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shaft 142-1 is provided in a axial shape, four pairs are provided on each side of each transmission unit 144, and the guide body 142-2 engaged therewith is also provided. Four are provided, but the shape and number of provide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guide shaft 142-1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rail shape, and the guide shaft 142-1 and the guide body 142-2 may be provided in a singular number instead of a plurality.

상기 구동기(143)는 베이스블록(110)의 중심부에 형성된 지지부재(113)에 고정 설치되고, 단일로써 하나가 구비되며 이송부재(141)와 구동축(143-1)을 통해 연결되어 이송부재(141)를 왕복 이송시킨다.The driver 143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113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block 110, one is provided as a single and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member 141 and the drive shaft (143-1) transfer member ( 141 is reciprocated.

상기 구동기(143)는 하나가 구비되더라도 이송부재(141)를 왕복 이송시킴으로써, 이 이송부재(141)에 연결된 한 쌍의 전달부(144)를 통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각각 외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driver 143 reciprocally transfers the transfer member 141 even if one is provided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and 120 'through a pair of transfer units 144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141. Each can apply external force.

전술된 한 쌍의 전달부(144)는 구동기(143)에 의한 이송부재(141)의 이송력을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각각 전달하여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을 각각 회동시킨다.The pair of transfer units 144 described above transmits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141 by the driver 143 to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respectively, so that the pair of rotation blocks 120 and 120 Rotate each ').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전달부(144)는 전달블록(144-1) 및 탄성부재(144-3)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o this end, the pair of transmission parts 144 may include a transmission block 144-1 and an elastic member 144-3, respectively.

상기 전달블록(144-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블록(110)에 제2탄성체(144-2)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연결체(144-4) 및 탄성부재(144-3)를 통해 이송부재(141)에 힌지(HG)로 연결되어 이송부재(141)의 이송력이 인가됨에 따라 베이스블록(110)과 제2탄성체(144-2)의 연결부분인 제2회동점(RP2)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회동블록(120, 120')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the transfer block 144-1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110 through a second elastic body 144-2, respectively, and a connecting body 144-4 and an elastic member 144.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the base block 11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44-2 is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mber 141 by a hinge HG and is applied by the conveying force of the conveying member 141. Rotating around the pivot point RP2 is provided to apply an external force or elastically return to the rotation block (120, 120 ').

원래 거울(10)에 곡률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서로 반대방향의 외력이 인가되어야 하지만, 전달블록(144-1)을 도입함으로써 전달블록(144-1)에 인가되는 동일한 방향의 외력으로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단일의 구동기(143)로서 거울(10)의 곡률조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In order to apply curvature to the original mirror 10, external force in opposite directions should be applied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and 120 ', but by introducing the transfer block 144-1, the transfer block 144-1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may be adjust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same direction. As a resul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can be adjusted as a single driver 143.

여기서 상기 전달블록(144-1)은, 회동블록(120, 120')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할 때에 회동블록(120, 120)과의 슬라이딩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회동블록(120, 120')과의 간격이 소정의 설계값에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슬라이딩 부재(144-5)가 구비된다.Here, the transfer block 144-1 smoothly makes sliding contact with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when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or elastically returns them, and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Sliding member 144-5 is provided to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design value.

이 슬라이딩 부재(144-5)는 회동블록(120, 120')의 연장된 형상의 끝 부분에 각각 접촉될 수 있도록, 접촉부위가 곡면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5)는 전달블록(144-1)에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sliding member 144-5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with a curved surfa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nds of the extended shape of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respectively. The sliding member 144-5 may be provided to be freely rotatable in the transfer block 144-1.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5)가 회동블록(120, 120')과의 간격을 소정의 설계값에 대응되게 형성하는 역할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동블록(120, 120'), 제1탄성체(121), 전달블록(144-1) 및 제2탄성체(144-2)는 와이어 방전가공을 통해 베이스블록(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회동블록(120, 120')과 전달블록(144-1)의 간격은 설계치보다는 와이어 방전가공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직경에 의존하게 되어 부정확해진다.The sliding member 144-5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role of form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on block (120, 120 ')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design value, the rotation block (120, 120'), the first The elastic body 121, the transfer block 144-1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44-2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block 110 through wire discharge machining, in which case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The spacing between the transfer block 144-1 and the transmission block 144-1 is inaccurate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wire used for the wire discharge machining rather than the design value.

이때, 슬라이딩 부재(144-5)의 외형을 정확히 기계 가공한 후 전달블록(144-1)에 설치하면, 이 슬라이딩 부재(144-5)에 의해 전달블록(144-1)과 회동블록(120, 120')의 사이 간격은 설계값에 대응되게 정확히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exact shape of the sliding member (144-5) is machined and installed in the transmission block (144-1), the transmission block (144-1) and the rotation block 120 by the sliding member (144-5). , 120 'may be accurately set to correspond to the design valu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144-5)는 전달블록(144-1)에 설치되었으나, 전달블록(144-1)과 인접된 회동블록(120, 120')의 연장된 형상의 끝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member 144-5 is installed in the transfer block 144-1, but is extended from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adjacent to the transfer block 144-1. It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shape.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체(144-2)는 외팔보 형태로 베이스블록(110) 및 전달블록(144-1)과 일체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베이스블록(110)과 전달블록(144-1)에 각각 고정 설치되게 구현될 수도 있고, 그 형태도 외팔보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astic body 144-2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lock 110 and the transfer block 144-1 in the form of a cantile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manufactured and implement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base block 110 and the transfer block (144-1), the shape is not limited to cantilever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cations.

한편, 상기 탄성부재(144-3)는 이송부재(141)가 많이 이송되더라도 전달블록(144-1)은 조금 회동되게 탄성 변형을 통해 그 길이가 가변되면서 이송부재(141)의 이송 거리를 흡수하여, 이송부재(141)의 이송 거리, 즉 이송부재(141)의 변위에 비해 전달블록(144-1)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크게 줄임으로써, 전달블록(144-1)이 회동되는 각도, 더 나아가 회동블록(120, 120')의 회동 각도 및 거울(10)의 곡률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거울(10)의 곡률 조정의 정밀도를 제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member 144-3 absorbs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conveying member 141 while the conveying block 144-1 is slightly rotated and its length is changed through elastic deformation so that the conveying member 141 is conveyed a lot. By reducing the transfer distance of the transfer member 141, that is, the magnitude of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transfer block 144-1 as compared to the displacement of the transfer member 141, the angle at which the transfer block 144-1 is rotated Further, the rotation angles of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and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can be finely adjusted. Thereby, the precision of the curvature adjustment of the mirror 10 can be improved.

이를 위해, 상기 탄성부재(144-3)는 인장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 변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요소로 구비되며, 일단은 힌지(HG)로 연결되는 연결체(144-4)를 통해 전달블록(144-1)에 설치되고, 그 타단은 이송부재(141)의 일측부에 힌지(HG)로 연결된다.To this end, the elastic member (144-3) is provided with an element that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 deformation, such as a tension spring, one end of the transfer block 144 through a connecting member (144-4) connected by a hinge (HG) -1),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ransfer member 141 by a hinge HG.

상기 탄성부재(144-3)는 인장 스프링과 다른 탄성을 갖는 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개수도 복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elastic member 144-3 may be formed of an element having a different elasticity from that of the tension spring, and a number thereof may also be provided.

이러한 탄성부재(144-3) 및 연결체(144-4)는 거울(10)의 곡률 조정의 정밀도나 조립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다.The elastic member 144-3 and the connecting member 144-4 are components for improving the precision or ease of assembly of the curvature adjustment of the mirror 10, and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1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144)는 제2탄성체(144-2)에 의해 베이스블록(110)에 설치된 전달블록(144-1)을 포함하여 구현되었으나, 상기 전달부(144)는 이송부재(141)의 이송력에 의해 회동블록(120, 120')이 회동될 수 있도록 그 이송력을 회동블록(120, 120')에 적절히 전달할 수 있도록 구현되면 족하고, 그 구현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transfer unit 144 is implemented by including a transfer block (144-1) installed in the base block 110 by the second elastic body (144-2), The transfer unit 144 is sufficient if it is implemented to properly transfer the transfer force to the rotation block (120, 120 ') so that the rotation block (120, 120') can be rotated by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141, The implementation manner is not limited to this.

상기 변위센서(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143)의 구동축(143-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구동축(143-1)의 변위, 곧 이송부재(141)의 변위를 측정한다.As shown in FIG. 4, the displacement sensor 150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43-1 of the driver 143 to measure the displacement of the drive shaft 143-1, that is, the displacement of the transfer member 141. do.

이 같은 변위센서(150)의 측정값, 회동블록(120, 120')의 회동값 및 거울(10)의 곡률 조정값은 모두 선형 비례적인 관계에 있으므로, 이 변위센서(150)의 측정값을 확인하며 구동기(143)를 작동시킴으로써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할 수 있다.Since the measured values of the displacement sensor 150, the rotated values of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and the curvature adjustment values of the mirror 10 are all linearly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 measured values of the displacement sensor 150 are measured.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can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driver 143 while checking.

이러한 변위센서(150)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이를 대체할 수 있는 회동블록(120, 120')의 회동각도를 직접 측정하는 다른 센서가 구비될 수도 있다.Such a displacement sensor 150 is not an essential component in a device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used to directly measure the rotation angles of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that can be replaced. A sensor may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와 같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대한 각각의 제1회동점(RP1)이 거울(10)의 중심점(MC)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구비되는데, 이 경우 단일의 구동기(143)로써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면 전자기파를 집속시킬 때 필요한 타원 곡률을 얻기는 어렵다.On the other hand, as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irst pivot point (RP1) for the pair of rotating blocks (120, 120 ') is a mirror (10) It is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MC) of the),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elliptic curvature required when focusing the electromagnetic wave by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with a single driver 143.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동일한 크기의 모멘트가 인가되었을 때에 타원곡률로 변형될 수 있도록 그 폭이 변하는 거울(변폭거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it is preferable to use a mirror (width mirror) whose width is changed so that it can be transformed into an elliptic curvature when a moment of the same size is applied to both ends.

만일 균일한 폭을 갖는 일반적인 거울을 사용할 경우에는 타원곡률을 얻을 수 있도록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에 대한 각각의 제1회동점(RP1)의 위치를 역학적인 구조 해석을 통해 비대칭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f a general mirror having a uniform width is used, the position of each first pivot point RP1 relative to the pair of pivot blocks 120 and 120 'is asymmetrical through dynamic structural analysis so as to obtain an elliptic curvature.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them as such.

이하,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의 동작 및 사용 상태를 거울(10)의 곡률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그 조정 작업이 진행되는 순서를 기준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4 and 7, the operation and use state of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of the mirror having the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order in which the work is performed.

우선,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도 4의 상태에서, 구동부(140)의 구동기(143)를 작동시켜 구동축(143-1)에 연결된 이송부재(141)를 도 7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이송부재(141)가 가이드축(142-1)과 가이드체(142-2)로 이루어진 가이드부(1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내되면서 상측으로 이송된다.First, in order to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in the state of FIG. 4, the driving member 143 of the driving unit 140 is operated to move the conveying member 141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143-1 based on FIG. 7. Pressurize Then, the conveying member 141 is stably guided by the guide part 142 formed of the guide shaft 142-1 and the guide body 142-2, and is conveyed upward.

이에 따라, 이송부재(141)의 양측부에 각각 연결된 탄성부재(144-3)가 인장력을 받아 탄성 변형되면서 길이가 늘어나고, 이송부재(141)의 이송력은 그 크기가 줄어든 상태로 전달블록(144-1)에 전달되어 제2탄성체(144-2)가 탄성 변형되면서 전달블록(144-1)이 제2회동점(RP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s 144-3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ransfer member 141 is increased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the tensile force, and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141 is reduced in its size. The transfer block 144-1 rotates about the second pivot point RP 2 as the second elastic body 144-2 is elastically deformed to be transmitted to the 144-1.

이렇게 이송부재(141)가 상승하고, 전달블록(144-1)은 회전하게 되면 이송부재(141)와 탄성부재(144-3)의 연결부분 및 연결체(144-4)와 탄성부재(1443)의 연결부분은 수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틀어지게 되지만, 탄성부재(144-3)는 그 양단이 이송부재(141) 및 연결체(144-4)에 각각 힌지(HG)로 연결됨으로써, 이송부재(141)와 탄성부재(144-3)의 연결부분 및 연결체(144-4)와 탄성부재(1443)의 연결부분의 위치가 틀어지더라도 탄성부재(144-3)가 이송부재(141) 및 연결체(144-4)에 대해 적절히 회전하면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transfer member 141 is raised and the transfer block 144-1 rotates,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141 and the elastic member 144-3 and the connecting member 144-4 and the elastic member 1443 are rotate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is positioned in a vertical line, the position thereof is displaced, but the elastic member 144-3 has both ends thereof hinged to the conveying member 141 and the connecting body 144-4, respectively. By being connected, even if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transfer member 141 and the elastic member (144-3)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44-4) and the elastic member (1443) is changed, the elastic member (144-3)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naturally performed while properly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141 and the connecting body 144-4.

다음, 상기 전달블록(144-1)이 제2회동점(RP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슬라이딩 부재(144-5)를 통해 회동블록(120, 120')의 연장된 끝 부분이 가압되고, 이 가압력으로 인해 제1탄성체(121)가 탄성 변형되면서 회동블록(120, 120')이 제1회동점(RP1)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회동블록(120, 120')에 고정 설치된 지지블록(130)도 회동된다.Next, as the transfer block 144-1 rotates about the second pivoting point RP2, the extended ends of the pivoting blocks 120 and 120 ′ are pressed through the sliding members 144-5, Due to this pressing force, the first elastic body 121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 rotate about the first pivot point RP1. As a result, the support block 130 fixed to the rotation blocks 120 and 120 'is also rotated.

그 후, 지지블록(130)이 회동됨으로 인해 거울(10)의 양단에 굽힘력이 인가되면, 이로 인해 거울(10)은 오목하게 곡률이 증가된다.Thereafter, when a bending force is applied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due to the support block 130 being rotated, the mirror 10 is concave, thereby increasing the curvature.

여기서, 거울(10)이 오목하게 곡률이 증가하며 상대적으로 거울(10)의 양단에 비해 거울(10)의 중심점(MC)이 하측으로 이동되지만, 이는 거울(10)의 양단 지지점(SP)의 상측 이동에 의해 상쇄됨으로써, 베이스블록(110)을 기준으로 한 거울(10) 중심점(MC)의 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Here,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is concave, and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is moved downward relative to both ends of the mirror 10, but this is because of the support points SP of both ends of the mirror 10. By offset by the upward movement,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with respect to the base block 110 is fixed without moving.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mirror adjusting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은, 지지대(200), 위치 조정장치(300), 각도 조정장치(400) 및 상술한 바와 같은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00,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300, the angle adjustment device 400 and the curvature adjustment device 100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s described above It is done by

상기 지지대(200)는 바닥면에 설치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200)의 상면에는 소정의 두께의 차단부(210)가 챔버(213)를 형성한다.The support 200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and serves to support other components. The blocking portion 210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ms a chamber 213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이렇게 차단부(210)에 의해 형성된 챔버(213)는 그 내부에 구비되는 위치 조정장치(300), 각도 조정장치(400) 및 곡률 조정장치(1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그 내부가 비활성 기체인 헬륨 등으로 채워지거나 진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전자기파의 대기에 의한 감쇠를 줄이고 공기에 의한 거울(10) 표면의 부식을 지연시킨다.The chamber 213 formed by the blocking unit 210 protects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0, 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and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provided therein from the outside, and the inside thereof is Filled with a helium or the like, which is an inert gas, or formed in a vacuum, it reduces the attenuation of the electromagnetic waves by the atmosphere and delays the corrosion of the mirror 10 surface by the air.

그리고 상기 차단부(210)에는 전자기파가 거울(10)로 입사할 수 있도록 광입사구(211)와 거울(10)에서 반사된 전자기파가 출사할 수 있도록 광출사구(212)가 구비되며, 이러한 광입사구(211)와 광출사구(212)는 캅톤 필름이나 베릴륨 창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unit 210 is provided with a light entrance port 211 and a light exit port 212 to emit the electromagnetic wave reflected from the mirror 10 so that electromagnetic waves can enter the mirror 10, such a The light incident sphere 211 and the light outlet sphere 212 may be formed by a captone film or a beryllium window.

상기 위치 조정장치(300)는 지지프레임(220)을 통해 챔버(213) 내부의 지지대(20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측에 구비된 설치플레이트(310)를 지지대(200)에 대해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에서는 위치 조정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세 개의 상하 조정용 구동기로써, 위치 조정장치(300)가 설치플레이트(310)의 전후 및 좌우 기울기도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된다.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0 in the chamber 213 through the support frame 220, and before and after the mounting plate 310 provid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200, Transfer to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In addition, in the 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ree up and down adjustment drivers provided in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300, the position adjustment device 300 can also adjus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tilt of the installation plate 310. Is provided.

따라서 상기 설치플레이트(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각도 조정장치(400), 곡률 조정장치(100) 및 거울(10)은 이 위치 조정장치(300)에 의해 모두 함께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송되고, 전후 및 좌우 기울기도 조정된다.Therefore, 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mirror 10, which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tallation plate 310, are all moved together by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0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tilts are also adjusted.

상기 각도 조정장치(400)는 설치플레이트(310) 상에 고정 설치되며, 그 하면에 대해 상면의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그 상면에 구비되는 곡률 조정장치(100) 및 거울(10)의 피치(pitch)각을 조정한다.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mounting plate 310, and provided to be a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relative to the lower surface,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mirror 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djust the pitch angle.

상기 곡률 조정장치(100)는 전자기파를 집속할 수 있도록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한다. 이러한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도록 하고 거울 조정시스템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adjusts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o focus the electromagnetic waves. Since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of the mirror having such a single driver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it will be referred to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mirror adjusting system.

상기 거울 조정시스템에는 위치 조정장치(300), 각도 조정장치(400) 및 곡률 조정장치(100)를 구동하는 구동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전선류들을 챔버(213)의 내ㆍ외부 간에 연결 설치하기 위한 피드쓰루(feedthrough, 500)가 구비될 수도 있다.The mirror adjustment system includes a wir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devices for driving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0, 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and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hamber 213. Feedthrough 500 may be provided.

이러한 거울 조정시스템을 이용하여 거울을 조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he process of adjusting the mirror using this mirror adjustment system is performed as follows.

먼저, 광입사구(211)를 통해 들어오는 전자기파를 거울(10)의 중심점(MC)에 일치시키는 작업을 수행한다. 방사광은 가시광선이 아니고 이 단계의 빛줄기도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거울(10)을 통과한 전자기파를 광량 측정기로 측정하고 측정된 다수의 광량값을 분석함으로써 거울(10)의 전자기파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알 수 있다.First, the operation of matching the electromagnetic wave incoming through the light incident sphere 211 with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is performed. Since the radiated light is not visible light and the light streaks at this stage are also very small, the position of the mirror 10 relative to the electromagnetic wave is measured by measuring the electromagnetic wave passing through the mirror 10 with a light quantity meter and analyzing a plurality of measured light quantity values. It can be seen.

따라서 거울(10)의 전후, 좌우 및 상하 위치와 거울(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 조정장치(300), 거울(10)의 피치각을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400) 및 전술한 광량 측정기를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거울(10)에 입사하는 전자기파를 거울(10)의 중심점(MC)에 일치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300 that can adjust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mirror 10 and the tilt of the mirror 10, 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for adjusting the pitch angle of the mirror 10, and the amount of light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measuring device in combination, the electromagnetic wave incident on the mirror 10 is matched with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이후, 거울(10)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를 집속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빛줄기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빛줄기의 크기는 거울(10)의 곡률뿐만 아니라 거울(10)의 피치각에 대한 함수이므로, 곡률 조정장치(100)와 아울러 각도 조정장치(400)를 교대로 반복적으로 이용하며 빛줄기의 크기를 최소화시키는 거울(10)의 곡률과 피치각을 탐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빛줄기의 크기를 최소화한다.Subsequently, the size of the light stem is reduced by performing the operation of focus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mirror 10. Since the size of the light stem is a function of not only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but also the pitch angle of the mirror 10,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angle adjusting device 400 are alternately repeatedly used, and the size of the light stem. Finally, by minimizing the curvature and pitch angle of the mirror 1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light streaks.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은,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는 단일의 구동기와 거울(10)의 피치각을 조정하는 구동기에 대한 두 개의 입력 변수만을 조정하면서 거울(10)에서 반사되는 전자기파가 집속되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세 개의 입력 변수를 조정하며 진행해야 하는 기존의 거울 조정시스템에 비해 간편 용이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from the mirror 10 while adjusting only two input variables for a single driver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and a driver for adjusting the pitch angle of the mirror 10. Since the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focused,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irror adjustment system that requires three input parameters to be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에 구비되는 곡률 조정장치(100)는,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더라도 앞서 위치 조정과 각도 조정을 거친 거울(10)의 중심점(MC)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기존의 곡률 조정장치와 같이 전자기파를 거울(10)의 중심점(MC)에 입사시키기 위한 작업을 다시 수행할 필요가 없어 거울(10) 조정 과정을 상당히 단순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100 provided in the mirror adju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is adjusted,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which has undergone the position adjustment and the angle adjustment is moved. Since it is fixed without the need to perform the operation for injecting electromagnetic waves to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as in the conventional curvature adjus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considerably simplify the mirror 10 adjustment process.

본 발명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거울(10)의 반사면이 정면에서 관찰되는 수평거울용 거울 조정시스템을 설명하였으나, 거울(10)의 반사면이 평면에서 관찰되는 수직거울용 거울 조정시스템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하며,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울 조정시스템의 챔버(213) 내부에 수평거울용 거울 조정시스템과 함께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irror adjus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rror adjustment system for a horizontal mirror in which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mirror 10 is observed from the front has been described, but for a vertical mirror in which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mirror 10 is observed in a plane. The mirror adjusting system may be implemented in a manner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may be installed and used together with the horizontal mirror mirror adjusting system in the chamber 213 of the mirror adjus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거울 조정시스템에 의하면, 거울(10)의 곡률 조정을 위해 한 쌍의 회동블록(120, 120')을 회동시키는 구동부(140)가 한 쌍의 전달부(144)와 이송부재(141)를 구비하여 단일의 구동기(143)로 구현되게 구비됨으로써,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하는 작업을 단일의 구동기(143) 하나에 대한 입력만 조정하면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전자기파의 집속을 위한 거울(10) 조정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구동기(143)에 의한 이송부재(141)의 이송력이 한 쌍의 탄성부재(144-3)를 통해 한 쌍의 전달블록(144-1)에 각각 인가되게 구비됨으로써, 이송부재(141)의 이송 변위에 비해 회동블록(120, 120')의 회동 각도 및 이에 따른 거울(10)의 곡률 조정을 매우 세밀하게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블록(130)이 설치된 회동블록(120, 120')을 베이스블록(110)에 연결하는 제1탄성체(121)가, 거울(10)의 곡률을 조정할 때에 거울(10)에 대한 지지블록(130)의 지지점(SP)이 곡률 변화에 의한 거울(10) 중심점(MC)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거울(10)의 곡률 조정시에 거울(10) 중심점(MC)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거울(10) 조정 과정을 간편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pparatus 100 for adjusting the curvatur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irror adjusting system having the same, a pair of rotating blocks 120 and 120 'is used to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Drive unit 140 for rotat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transfer units 144 and a transfer member 141 to be implemented as a single driver 143, thereby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Since only a single input of the driver 143 can be easily proceeded, the adjustment process of the mirror 10 for focusing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easily performed, and the conveyance force of the conveying member 141 by the driver 143 is achieved. It is provided to be applied to the pair of transfer blocks 144-1 through the pair of elastic members 144-3, respectively,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locks 120, 120 'compared to the transfer displacement of the transfer member 141. The angle and thus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can be adjusted very finely.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body 121 connecting the rotating blocks 120 and 120 'provided with the support block 130 to the base block 110 may adjust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to the mirror 10. The support point SP of the support block 130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center point MC of the mirror 10 due to the curvature change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moved, thereby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10 10) Since the position of the center point (MC) can be fixed, the mirror 10 can be easily adjust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will b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곡률 조정장치 110 : 베이스블록
111 : 개방구 112 : 리브
113 : 지지부재 120, 120' : 회동블록
121 : 제1탄성체 122 : 나사홀
123 : 단차부 123-1 : 체결홀
130 : 지지블록 131 : 연결블록
131-1 : 장공 140 : 구동부
141 : 이송부재 142 : 가이드부
142-1 : 가이드축 142-2 : 가이드체
143 : 구동기 143-1 : 구동축
144 : 전달부 144-1 : 전달블록
144-2 : 제2탄성체 144-3 : 탄성부재
144-4 : 연결체 144-5 : 슬라이딩 부재
150 : 변위센서 200 : 지지대
210 : 차단부 211 : 광입사구
212 : 광출사구 213 : 챔버
220 : 지지프레임 300 : 위치 조정장치
310 : 설치플레이트 400 : 각도 조정장치
500 : 피드쓰루 10 : 거울
HG : 힌지 MC : 거울의 중심점
RP1 : 제1회동점 RP2 : 제2회동점
SP : 지지점 SW : 나사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curvature adjusting device 110: base block
111: opening 112: rib
113: support member 120, 120 ': rotating block
121: first elastic body 122: screw hole
123: step 123-1: fastening hole
130: support block 131: connection block
131-1: Long hole 140: Drive part
141: transfer member 142: guide portion
142-1: Guide shaft 142-2: Guide body
143: driver 143-1: drive shaft
144: transfer unit 144-1: transfer block
144-2: second elastic body 144-3: elastic member
144-4: Connecting body 144-5: Sliding member
150: displacement sensor 200: support
210: block 211: light inlet
212: light exit port 213: chamber
220: support frame 300: position adjusting device
310: mounting plate 400: angle adjustment device
500: feedthrough 10: mirror
HG: Hinge MC: Center of Mirror
RP1: First pivot point RP2: Second pivot point
SP: Support Point SW: Screw

Claims (14)

거울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 또는 해제하여 곡률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1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또는 탄성 복귀하는 한 쌍의 회동블록;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울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구비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이송하는 단일의 구동기, 및 상기 이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한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을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각각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동부;
를 포함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In the device for adjusting the curvature by applying or releasing a bending force on both ends of the mirror,
Baseblocks;
A pair of pivot blocks each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first elastic bodies, the pivot blocks pivoting or elastically returning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ase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leased;
A pair of support blocks installed at each of the pair of rotation block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mirror, and applying a bending force to both ends of the mirror as the pair of rotation blocks are rotated; And
A conveying member provided to be reciprocally conveyed in one direction, a single driver for conveying the conveying member, and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conveying member, and conveying a conveying force of the conveying member by the driver to the pair of rotating blocks; A driving unit including a pair of transmission parts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on blocks, respectively;
Curvature adjustment device of the mirror with a single driv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2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하는 전달블록;
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transmission unit,
The base block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second elastic bodies,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by a hinge so that the base block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is applied or released. A transmission block which rotates to apply an external force or elastically return to the rotation block;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with a single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each.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탄성 변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블록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이송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air of transmission unit,
It further comprises; each of the elastic member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 deformation,
The transfer block is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nveying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축에 각각 맞물려 왕복 이송되며 상기 이송부재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체를 포함하여 상기 이송부재의 왕복 이송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driving unit includes:
Reciprocating transfer of the transfer member including at least one guide shaft fixed to the base block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ransfer member, and at least one guide body engaged with the at least one guide shaft and coupled to the transfer member Guide portion to guide the;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with a single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블록과 상기 회동블록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전달블록이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할 때에 상기 회동블록과의 슬라이딩 접촉을 원활하게 하고,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전달블록의 간격을 소정의 설계값에 대응되게 형성하며, 상기 전달블록 또는 상기 회동블록과의 접촉부위가 곡면인 슬라이딩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One of the transfer block and the rotation block,
When the transmission block applies an external force or elastically returned to the rotation block, the sliding contact with the rotation block is smooth, and the gap between the rotation block and the transmission block is formed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design value, and the transmission is performed. A sliding member whose contact portion with the block or the rotation block is curved;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with a single driv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는,
상기 베이스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nsfer block and the second elastic body,
Curvature adjusting apparatus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loc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점이 곡률 변화에 의한 상기 거울의 중심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회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elastic body,
As the pivot block is rotated, the pivot block connects the pivot block to the base block so that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block with respect to the mirro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due to a change in curvature. Adjusting the curvature of the mirror with a single dri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외팔보 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에 위치되는 상기 거울의 반사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며, 상기 베이스블록과의 연결부분인 제1회동점이 정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거울의 반사면 상 또는 상기 거울의 반사면에 인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first elastic body,
It is provided in a cantilever shape, forms a right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mirror located in the opening formed in one side of the base block, the half of the mirror when the first pivot point, which is a connecting portion with the base block, when viewed from the front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a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lope or adjacent to the mirror reflecting surfa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베이스블록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ivot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Curvature adjusting apparatus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with the base bloc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블록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동블록에 위치 조절될 수 있게 고정되는 연결블록을 통해 상기 회동블록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t least one of the pair of support blocks,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 the rotating block through a connecting block fixed to be adjustable in the rotating block.
거울의 위치, 각도 및 곡률을 조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대해 설치플레이트를 전후, 좌우 및 상하로 이송하고 기울기를 조정하는 위치 조정장치;
상기 설치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하면에 대해 상면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장치; 및
상기 각도 조정장치의 상면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1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외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1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 또는 탄성 복귀하는 한 쌍의 회동블록,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거울의 양단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의 양단에 굽힘력을 인가하는 한 쌍의 지지블록; 및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회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단일 구동기를 가진 거울의 곡률 조정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일 방향으로 왕복 이송되게 구비된 이송부재, 상기 이송부재를 왕복 이송하는 단일의 구동기, 및 상기 이송부재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에 의한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을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에 전달하여 상기 한 쌍의 회동블록을 각각 회동시키는 한 쌍의 전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조정시스템.
In a system for adjusting the position, angle and curvature of a mirror,
Supports installed on the floor;
A position adjusting device fixed to the support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installation plate to the support,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nd adjust the inclination thereof;
An angle adjusting device fixed to the mounting plate and adjusting a rotation angle of the up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base blo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gle adjusting device, the base block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one or more first elastic body, and rotates arou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base block and the first elastic body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or released. Or a pair of revolving blocks that are elastically returned,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pair of rotating blocks to support both ends of the mirror, and a pair of applying bending forces to both ends of the mirror as the pair of rotating blocks are rotated. Support block; And a curvature adjusting device of the mirror having a single driver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pair of rotating blocks.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transfer member provided to reciprocate in one direction, a single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transfer member, and both ends of the transfer member, the pair of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by the driver And a pair of transfer parts configured to transmit the rotating blocks to the rotating blocks to rotate the pair of rotating blocks, respectivel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블록에 하나 이상의 제2탄성체를 통해 각각 연결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재에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이송부재의 이송력이 인가 또는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제2탄성체의 연결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회동블록에 외력을 인가하거나 탄성 복귀하는 전달블록;
을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조정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pair of transmission unit,
The base block is connected to the base block through one or more second elastic bodies, respectively, and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by a hinge so that the base block and the second elastic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s the transfer force of the transfer member is applied or released. A transmission block which rotates to apply an external force or elastically return to the rotation block;
Mirror adjustment system comprising a respectively.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부는,
탄성 변형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탄성부재;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블록은 상기 탄성부재를 통해 상기 이송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조정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The pair of transmission unit,
It further comprises; each of the elastic member is variable in length by elastic deformation,
And the transfer block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member through the elastic member.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는,
상기 회동블록이 회동됨에 따라 상기 거울에 대한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점이 곡률 변화에 의한 상기 거울의 중심점의 이동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상기 회동블록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울 조정시스템.
1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3,
The first elastic body,
As the pivot block is rotated, the pivot block connects the pivot block to the base block so that the support point of the support block with respect to the mirror can be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enter point of the mirror due to a change in curvature. Mirror adjustment system.
KR1020110039126A 2011-03-08 2011-04-26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KR1011565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26A KR101156564B1 (en) 2011-04-26 2011-04-26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PCT/KR2012/001350 WO2012121499A2 (en) 2011-03-08 2012-02-22 Device for adjusting curvature of mirror, and mirror adjustment system comprising same
EP12755269.3A EP2685461B1 (en) 2011-03-08 2012-02-22 Device for adjusting curvature of mirror, and mirror adjustment system comprising same
JP2013557638A JP6018592B2 (en) 2011-03-08 2012-02-22 Mirror curvature adjusting device and mirror adjust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14/008,570 US9435999B2 (en) 2011-03-08 2012-02-22 Device for adjusting curvature of mirror while avoiding movement of central point of mirror, and mirror adjustment system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126A KR101156564B1 (en) 2011-04-26 2011-04-26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6564B1 true KR101156564B1 (en) 2012-06-20

Family

ID=46688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126A KR101156564B1 (en) 2011-03-08 2011-04-26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56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699A (en) * 1995-05-29 1995-11-10 Hitachi Ltd Total reflective mirror device
JPH11162807A (en) 1997-11-25 1999-06-18 Nec Corp Method and device for magnification correcting of x-ray aligner
KR20030063660A (en) * 2002-01-23 2003-07-31 에이엔지 주식회사 Linear Moving Apparatus in Vacuum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4699A (en) * 1995-05-29 1995-11-10 Hitachi Ltd Total reflective mirror device
JPH11162807A (en) 1997-11-25 1999-06-18 Nec Corp Method and device for magnification correcting of x-ray aligner
KR20030063660A (en) * 2002-01-23 2003-07-31 에이엔지 주식회사 Linear Moving Apparatus in Vacuum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8592B2 (en) Mirror curvature adjusting device and mirror adjusting system provided with the same
US7184187B2 (en) Optical system for torsion oscillator laser scanning unit
US9604309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laser machining device having pluralities of flat reflective surfaces corresponding to divided virtual arcs
US4925288A (en) Adjustable mirror mount
US8174749B2 (en) Light-beam-scanning system utilizing counter-rotating prism wheels
US7158608B2 (en) X-ray diffraction apparatus
CN104227245A (en) Apparatus manufacturing curved substrate using laser
JP6649944B2 (en) X-ray optical system scanning method and sample scanning apparatus
CN111308677A (en) Light beam position adjusting device
KR101156564B1 (en) Apparatus operated by one actuator for adjusting mirror curvatures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KR101399985B1 (en) Apparatus adjusting focal spot size of laser beam by using cylindrical optic system
EP1597737B1 (en) X-ray optical system with adjustable convergence
KR101156563B1 (en) Curvature adjusting apparatus for mirror and mirror manipulating system with the same
JP3820725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CN107111247B (en) Radiation source module
US6295334B1 (en) Transmission system for synchrotron radiation light
JP2021138599A (en) Interpolation mechanism for laser scribe device and scribe device applied with interpolation mechanism
KR101008349B1 (en) Double Multilayer Monochromator
US20210271050A1 (en) Focus and Zoom Objective and Method for Operating a Focus and Zoom Objective
CN114706280B (en) DI lithography machine system
EP0961151B1 (en) Optical actuator to conduct an incident light beam on a fixe surface situated outside said actuator
CN218848418U (en) Grating switching mechanism and spectrometer
US4897847A (en) Mirror translation apparatus for altering focal point position in a laser
CN218847406U (en) Grating scanning mechanism and spectrometer
JP3956990B2 (en) Optical scan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