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55B1 -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55B1
KR101156155B1 KR1020090101915A KR20090101915A KR101156155B1 KR 101156155 B1 KR101156155 B1 KR 101156155B1 KR 1020090101915 A KR1020090101915 A KR 1020090101915A KR 20090101915 A KR20090101915 A KR 20090101915A KR 101156155 B1 KR101156155 B1 KR 10115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essage
chip
smart
mobile terminal
zigb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367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9010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는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중계하는 스마트 칩; 및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지그비 칩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지그비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로직을 구현하지 않으며,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101915
스마트 카드, 지그비 통신, 스마트 칩, USIM, 지그비 칩, 드라이버, 명령 메시지

Description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smart card having zigbee communication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it and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카드는 IC(Integrated Circuit)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는 카드를 일컫는데, 입력장치 예컨대, 키보드 등과 출력 장치 예컨대, 모니터 등은 없지만 자체적인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는 하나의 소형 컴퓨터로 볼 수 있다. 즉,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라고 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운영체제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Read Only Memory), 일시적인 작업 공간인 RAM(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선불 충전하거나 또는 충전된 금액으로부터 소정의 이용대금을 지불하는 기능 예컨대, 교통카드 등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근접식 카드 기술을 사용하여 스마트 카드를 삽입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RF 리더기에 수 cm ~ 수십 cm로 근접시켜야 하기 때문에 일정 거리 이상에서는 인식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스마트 카드에 지그비 기술을 접목시키려는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지그비 기술은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 GHz, 868/915 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 ~ 250 kbps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지그비 기술을 스마트 카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카드 내에 지그비 칩을 내장하여 그 지그비 칩과 연동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 별도의 로직과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처리 또는 중계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처리 또는 중계함으로써, 지그비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로직을 구현하지 않도록 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처리 또는 중계함으로써,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는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중계하는 스마트 칩; 및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지그비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마트 칩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칩은 상기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class) 필드를 파싱하여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인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는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지그비 칩에 알려주거나 상기 지그비 칩으로부터 중계된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스마트 칩에 알려주는 제어 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른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을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스마트 칩이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칩이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 를 처리하거나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파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class) 필드를 파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명령 메시지의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그 파싱한 결과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스마트 칩이 상기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명령 메시지의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 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처리 또는 중계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스마트 데이터와 지그비 데이터를 동일한 포맷의 명령(command) 메시지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되, 그 헤더의 CLA(class) 필드를 통해 구분하여 송수신하고자 한다.
이때, 스마트 카드(smart card)는 IC(Integrated Circuit) 기억소자를 장착하여 대용량의 정보를 담을 수 있어 이동 단말기에 탑재되거나 착탈식으로 연결되어 사용되는 카드로서, 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UIM(Us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RUIM(Removal Us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및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라고 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운영체제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Read Only Memory), 일시적인 작업 공간인 RAM(Random Access Memory)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와 같은 역할을 하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를 내장하거나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는 전자 기기로서, 예컨대, 휴대폰, PDA, 및 노트북 등을 포괄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10) 내의 베이스밴드 칩(baseband chip)(112)은 스마트 카드(120) 내의 스마트 칩(smart chip)(122)과 데이터를 주고받고, 스마트 칩을 통해 지그비 칩(zigbee chip)(124)과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때, 지그비 기술은 저속 전송 속도를 갖는 홈 오토메이션 및 데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표준 기술로서,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며, 듀얼 PHY 형태로 주파수 대역은 2.4 GHz, 868/915 MHz를 사용하고, 모뎀 방식은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이며, 데이터 전송 속도는 20 ~ 250 kbps를 갖는다. 이러한 지그비 기술은 5개 정도의 노드를 제공하는 블루투스(bluetooth) 기술과 달리 255개의 노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 분야에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을 구비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데 있어서, 스마트 카드를 위한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7816 기술규격에 정의된 명령어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 메시지를 이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APDU 메시지는 다시 임의의 명령 수행을 지시하기 위한 명령 APDU 메시지와 수행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APDU 메시지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지그비 통신을 위한 안테나(114)는 스마트 카드(120) 내부에 칩 안테나 또는 패턴 안테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전파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11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114)로는 일반 적으로 2.4 GHz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카드(12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카드(120)는 스마트 칩(222), 제어 칩(control chip)(223), 및 지그비 칩(2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처리 또는 중계하도록 하여 지그비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로직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스마트 칩(222)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명령 APDU 메시지(이하, 명령 메시지라 한다)를 이용하여 송수신하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명령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지그비 칩으로 중계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칩(222)은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class) 필드의 값에 따라 스마트 칩(222)에서 처리할 수 있는 스마트 데이터인지 또는 지그비 칩(224)에서 처리할 수 있는 지그비 데이터인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지그비 칩(224)은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명령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칩(223)은 스마트 칩(222)과 지그비 칩(224) 사이의 데이터를 중 계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스마트 칩(222)으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중계 받으면, 중계된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지그비 칩(224)에 알려주고 나서 그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 칩(223)은 지그비 칩(224)으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중계 받으면 중계된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스마트 칩(222)에 알려주고 나서 그 명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내의 베이스밴드 칩은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구동하고(S310) 구동된 드라이버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예컨대, [0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S320) 생성된 [0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스마트 카드의 스마트 칩에 전송할 수 있다(S330).
이동 단말기는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의 종류에 상응하는 드라이버를 구동하는데, 예컨대, 스마트 칩이 USIM 칩이면 USIM 드라이버가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 필드 값이 00이면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F0이면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임을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명령 메시지는 CLA(class) 필드, INS(instruction) 필드, P1(parameter1) 필드, P2(parameter2) 필드 등으로 이루어진 헤더(header), 및 가변 길이의 Lc(Length) 필드, 데이터 필드, Le(Length) 필드 등으로 이루어진 바디(bod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헤더는 총 4 바이트의 크기로 각 필드는 1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데, 1)CLA 필드는 명령어 클래스를 나타내고, 2)INS 필드는 명령어 코드를 나타내며, 3)P1 필드는 명령어 파라미터 1을 나타내며, 그리고 4)P2 필드는 명령어 파라미터 2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명령어 코드는 각 코드에 따라 인증, 파일 선택, 데이터 읽기, 데이터 쓰기, 데이터 삭제, 및 데이터 업데이트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바디는 가변 길이의 크기를 갖는데, 1)Lc 필드는 1 ~ 3 바이트 내에서 데이터 필드의 현재 길이를 나타내고, 2)데이터 필드는 데이터를 나타내고, 3)Le 필드는 1 ~ 3바이트 내에서 데이터 필드의 최대 길이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포맷을 갖는 명령 메시지는 이동 단말기에서 스마트 카드로 전달되거나 반대로 스마트 카드에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파싱(passing)할 수 있다(S340). 즉, 스마트 칩은 명령 메시지의 헤더 [00 A4 00 10]에 포함된 CLA 필드 값을 파싱하게 된다.
스마트 칩은 그 파싱한 결과로 CLA 필드 값이 00이면 명령 메시지가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어 그 명령 메시지를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S350).
이후, 스마트 칩은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UPDU 메시지(이하, 응답 메시지라 한다)를 생성하여(S360)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베이스밴드 칩에 전송할 수 있다(S37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응답 메시지는 가변 길이의 데이터 필드 등으로 이루어진 바디(body)와 SW1(status byte 1) 필드, 및 SW2(status byte 2) 필드 등으로 이루어진 테일러(tai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간략히 설명하면, 바디는 가변 길이의 크기를 갖고 있는데, 데이터 필드는 데이터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테일러는 총 2 바이트의 크기로 각 필드는 1 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데, 1)SW1 필드는 명령어 처리 상태(command processing status)를 나타내고, 2)SW2 필드는 명령어 처리 권한(command processing qualifier)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포맷의 응답 메시지는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 내의 베이스밴드 칩은 스마트 카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구동하고(S610) 구동된 드라이버를 통해 예컨대, [F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S620) 생성된 [F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스마트 카드의 스마트 칩에 전송할 수 있다(S630).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파싱(passing)할 수 있다(S640). 즉, 스마트 칩은 명령 메시지의 헤더 [F0 A4 00 10]에 포함된 CLA 필드 값을 확인하게 된다.
스마트 칩은 그 파싱한 결과로 CLA 필드 값이 F0이면 명령 메시지가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어 그 명령 메시지를 지그비 칩으로 중계할 수 있다(S650).
지그비 칩은 스마트 칩으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중계받아 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S660).
이후, 지그비 칩은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UPDU 메시지(이하, 응답 메시지라 한다)를 생성하여(S670)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칩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 칩은 제공받은 응답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베이스밴드 칩에 전송할 수 있다(S680).
지금까지 이동 단말기에서 스마트 카드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하에서는 스마트 카드에서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처리 방 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3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예컨대, [0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S710) 생성된 [0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베이스밴드 칩에 전송할 수 있다(S720).
이동 단말기 내의 베이스밴드 칩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S730)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S740). 즉, 베이스밴드 칩은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
이후, 베이스밴드 칩은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UPDU 메시지(이하, 응답 메시지라 한다)를 생성하여(S750)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에 전송할 수 있다(S76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4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 내의 지그비 칩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예컨대, [F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생성하고(S810) 생성된 [F0 A4 00 10]의 헤더를 갖는 명령 메시지를 스마트 칩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칩은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의 베이스밴드 칩에 전송할 수 있다(S820).
이동 단말기 내의 베이스밴드 칩은 스마트 카드로부터 명령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S830)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즉, 베이스밴드 칩은 명령 메시지에 포함된 명령어 코드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게 된다(S840).
이후, 베이스밴드 칩은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명령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UPDU 메시지(이하, 응답 메시지라 한다)를 생성하여(S850)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스마트 카드 내의 스마트 칩에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스마트 칩은 제공받은 응답 메시지를 지그비 칩에 전송할 수 있다(S860).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지그비 칩으로 중계함으로써, 효율적인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고, 지그비 데이터를 위한 별도의 로직을 구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이 구비된 스마트 카드와 이동 단말기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를 스마트 칩에서 우선적으로 파싱하여 자체적으로 처리하거나 지그비 칩으로 중계함으로써,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 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 가능하며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 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카드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 카드(120)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1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명령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응답 메시지의 포맷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2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3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제4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이동 단말기
112: 베이스밴드 칩
114: 안테나
120: 스마트 카드
122, 222: 스마트 칩
124, 224: 지그비 칩
223: 제어칩

Claims (9)

  1.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중계하는 스마트 칩; 및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지그비 칩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칩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2. 삭제
  3.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중계하는 스마트 칩; 및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지그비 칩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칩은,
    상기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class) 필드를 파싱하여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인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4.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여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중계하는 스마트 칩; 및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지그비 칩을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지그비 칩에 알려주거나 상기 지그비 칩으로부터 중계된 명령 메시지가 있음을 상기 스마트 칩에 알려주는 제어 칩
    을 더 포함하는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5.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을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칩이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칩이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싱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의 헤더에 포함된 CLA(class) 필드를 파싱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
  6. 삭제
  7.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을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칩이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칩이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은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명령 메시지의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
  8. 스마트 칩과 지그비 칩을 구비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칩이 이동 단말기와 소정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 메시지를 송수신하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명령 메시지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칩이 그 파싱한 결과에 따라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거나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단계; 및
    상기 지그비 칩이 상기 스마트 칩으로부터 중계받은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중계하는 단계는,
    그 파싱한 결과로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스마트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명령 메시지가 상기 지그비 칩을 위한 데이터라고 판단되면 상기 명령 메시지를 상기 지그비 칩에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칩이 상기 명령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명령 메시지의 처리 결과를 알려주기 위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카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0090101915A 2009-10-26 2009-10-26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15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15A KR101156155B1 (ko) 2009-10-26 2009-10-26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15A KR101156155B1 (ko) 2009-10-26 2009-10-26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67A KR20110045367A (ko) 2011-05-04
KR101156155B1 true KR101156155B1 (ko) 2012-06-18

Family

ID=4424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915A KR101156155B1 (ko) 2009-10-26 2009-10-26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5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734A (ko) * 2007-06-04 2008-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 장착 장치
KR20110042549A (ko) * 2009-10-19 2011-04-27 김선대 스마트카드 및 스마트카드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734A (ko) * 2007-06-04 2008-12-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스마트 카드 및 스마트 카드 장착 장치
KR20110042549A (ko) * 2009-10-19 2011-04-27 김선대 스마트카드 및 스마트카드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67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6573B1 (en) Mobile terminal having smart card coupled with RFID tag and method for performing RFID function in such mobile terminal
EP254179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FC secure application support in battery-off mode when no nonvolatile memory write access is available
EP2770782B1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US20150296330A1 (e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CN1871617B (zh) 移动无线电通信设备
US20080076475A1 (en) Memory card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EP1528768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FID function and RFID programming method in the same
US8724663B2 (en)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main control device and smart card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081944B1 (ko) 스마트카드와 휴대단말기 간의 데이터 통신방법
JP2018152130A (ja) 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システム
US9014757B2 (en) System for communicating in a contact-less manner, and corresponding removable chip card, terminal and method
EP3617931B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EP2830000B1 (en) Wireless card reader and method for storing data
EP2111012B1 (en) Reader/writer, communic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data management system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156155B1 (ko) 지그비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그리고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448807B1 (ko) 모바일 단말을 위한 보안용칩을 포함한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721479B1 (ko) Ic 접촉식 카드 리더와 rf 카드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 장치
KR100926364B1 (ko) 스마트 카드에서의 복수의 응용 인터페이스 동시 제공 방법및 장치
CN108345931A (zh) USB/Lightning-NFC界面卡
KR20090050749A (ko) 통신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카드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037133A (ko) 안테나를 내장한 마이크로 sd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