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455B1 - In-out type telephone - Google Patents

In-out typ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455B1
KR101154455B1 KR1020090069380A KR20090069380A KR101154455B1 KR 101154455 B1 KR101154455 B1 KR 101154455B1 KR 1020090069380 A KR1020090069380 A KR 1020090069380A KR 20090069380 A KR20090069380 A KR 20090069380A KR 101154455 B1 KR101154455 B1 KR 10115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input unit
coupled
inpu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11910A (en
Inventor
윤성훈
Original Assignee
윤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훈 filed Critical 윤성훈
Priority to KR102009006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455B1/en
Publication of KR2011001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9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부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번호 입력부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송수화부를 올려놓도록 형성됨에 따라, 전화기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고, 전화를 걸 때에만 입력부를 전방으로 돌출시켜 사용함으로써, 전화기가 차지하는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를 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in particular,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one side open while being firmly formed to place an article thereon, the number input unit being formed through the opened one side of the case, and entering the case. As it is formed to put the handset on one side, it is possible to put and use the goods on the phone, and by using the input projecting forward only when making a phone call, it is easy to use the space occupied by the phone, easy to use To provide a mobile phone.

Description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In-out type telephone}In-out type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무용이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전화기 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쓰도록 하여 전화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lephone in which an article is put on and used on a telephone used for office or home use so as to utilize a space occupied by the telephone.

일반적으로 사무실에서 또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책상 위에는 전화기를 비롯하여 컴퓨터 및 많은 주변장치들뿐만 아니라, 서류와 같은 문서들을 올려놓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공간이 협소해지는 불편함을 경험하고 있다.In general, offices or home use desks, such as telephones, computers and many peripherals, as well as documents such as papers are used to experience the inconvenience of using a narrow space.

물론, 전화기나 컴퓨터 및 주변장치들이 소형화되면서 앞서 설명한 불편함이 다소 줄기는 했으나, 이에 반해 추가되는 장비들이 증가하는 경향이므로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 할 수 있다.Of course, as the phones, computers, and peripherals have been miniaturized,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has been somewhat less. However, the additional equipment tends to increase, which is not enough to completely solve the inconvenience.

특히, 본 발명에서 다루고자 하는 전화기를 살펴보면 상부에 번호 버튼과 단축 버튼들이 배열된 입력부와 말하고 듣기 위한 송수화부가 필수 구성으로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전화기 위에 다른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것을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화기를 협소하거나 낮은 공간에 두고 사용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In particular, when looking at the phone to be dealt wi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unit is arranged with the number buttons and the shortcut buttons on the top and the handset for talking and listening is provided with the necessary configuration. Therefore, it is not only impossible to use other items on the phone, but also very difficult to use the phone in a narrow or low space.

한편, 최근에 전화기는 인터넷 및 컴퓨터와 연결하여 요금이 다른 일반전화 기에 비하여 훨씬 저렴한 인터넷 전화기가 사무용으로나 가정용으로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telephones are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computers, and Internet phones, which are much cheaper than general telephones, have been widely used for office or home use.

이와 같은 인터넷 전화기의 사용 추세에 맞춰 책상에서 전화기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과 아울러, 전화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구조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trend of the use of the Internet phon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to make the use of the phone at the desk convenient and to use the space occupied by the 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상부에 입력부 및 수화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위에 다른 물품을 올려놓거나, 낮은 공간에 두고 사용하기가 불편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put other items on it, or to place it in a low space because the input unit and the receiver is formed on the top of the 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의 입력부 및 수화부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적 변화에 많은 제약이 발생하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a lot of restrictions on various structural changes because the input portion and the receiver of the telephone should always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전화기의 입력부 및 수화부의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기의 위치를 좌우로 변경시 사용이 불편해지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the use of the phone is inconvenient when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hone from side to side because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and the receiver is always fixed.

본 발명의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는 상부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번호 입력부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송수화부를 올려놓도록 형성된다.The input unit access-typ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one side open while being firmly formed to put an article on the top, and a number input unit is formed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case to enter and exit the case. It is formed to put the hydration.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입력부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 버튼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입력부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수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수단은 스크루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 및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슬라이드 블록;으로 구성되거나, 피니언 기어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전후진 하는 랙 기어;로 구성되거나, 입력부를 걸어 고정하는 걸쇠; 및 상기 출입 버튼을 눌러 걸쇠를 풀면 입력부를 전진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with an access butto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put unit, the access means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put unit is formed inside, the access means is a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with a screw shaft coupled; And a slide block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to move back and forth; And a coil spring for advancing the input unit by pressing the access button to release the latch.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는 회전판;이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판의 중심은 케이스에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테두리는 볼 베어링 또는 캐스터가 결합된다.The upper end of the case; rotating plate; is configured,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is axially coupled to the case, the rim of the rotating plate is coupled to the ball bearing or caster.

상기 입력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다.A display panel is formed in the input unit.

상기 케이스 일측에 송수화부를 올리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와 케이스의 양측에는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 수단은 상호 대응하여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앞뒤로 밀어 끼우고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 홈과 끼움 돌기로 구성된다.One sid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raising the handset, and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edestal and the case can be combined to change the position, the connecting means are mutually pushed from top to bottom or back and forth It consists of fitting grooves and fitting protrusions formed to be separated.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는 입력부가 출입 시 개폐되도록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다.A cover is coupled to an open side of the case so that the input unit is opened and closed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a display panel is formed on the cover.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pattern LED(dot matrix), LCD, OLED, E-pape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The display panel is formed of any one of a pattern LED (dot matrix), LCD, OLED, and E-paper.

상기 입력부가 출입시 커버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방지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접촉방지수단은 커버의 뒷면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와 밀착된 상태로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성된다.Contact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contact with the cover when the input portion is out; is configured, the contact preventing means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cover, one or more rollers driv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portion.

본 발명의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에 의하면 입력부를 수용하면서 그 전방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케이스 위에 모니터, 컴퓨터, 스탠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그만큼 책상 위에 공간의 활용이 더욱 여유롭고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put-out typ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nitor, the computer, the stand, etc. can be placed on the case to accommodate the input part and to move in and out of the front part, thereby making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on the desk more relaxed and convenient.

본 발명의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에 의하면 입력부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송수화부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화를 받을 수 있으며, 전화를 걸 때에만 입력부를 케이스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고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put unit access-typ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receive a call using one handset in a state where the input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The effect is more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에 의하면 송수화부를 케이스의 좌우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편리에 맞게 송수화부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전화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put-out type tele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set is formed to be easily coupled to and detach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s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phone can be freely adjusted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dset for convenien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1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번호 입력부(200)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송수화부(300)를 올려놓도록 형성된다.1 to 10, the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100 having one side open while being firmly formed to place the article on the top, as shown in Figure 1 to 10, through the open one side of the case The number input unit 200 is formed to enter and exit, and is formed to place the handset 300 on one side of the case.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위에 모니터나 스탠드 등 다른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평소 입력부(200)가 돌출되지 않아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전화를 받을 때에는 케이스(100) 일측의 송수화부(300)만 사용하고, 상기 입력부(200)는 전화를 걸 때에만 돌출시켜 사용하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utilization of space as the input unit 200 does not protrude while allowing other items such as a monitor or a stand to be used on the case 100 as shown in FIG. 1. When receiving a call, only the handset 300 of one side of the case 100 is used, and the input unit 200 protrudes and uses only when making a call.

상기 케이스(100)의 외면에는 상기 입력부(200)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 버튼(110)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상기 입력부(200)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수단이 형성된다. 즉, 상기 출입 버튼(110)을 눌러 수입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입력부(200)가 케이스(100)로부터 자동으로 출입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An entrance button 110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put unit 200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100, and an access unit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put unit 200 is formed inside the case 100. That is, by operating the import means by pressing the entrance button 110, the input unit 200 is formed to automatically enter and exit from the case 100.

상기 출입수단의 일 실시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루(130)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120) 및 상기 스크루(130)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슬라이드 블록(210)이 구성된다. 즉, 상기 정역 전동 모터(120)와 스크루(130)를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입력부(200)에는 상기 스크루(130)와 치합되는 슬라이드 블록(210)을 결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입 버튼(110)을 누르면 정역 전동 모터(120)가 작동하여 스크루(130)에 치합된 슬라이드 블록(210)을 밀어내거나 끌어당기기 때문에 입력부(200)가 케이스(100)로부터 자동으로 출입되는 것이다.As an example of the access means as shown in Figure 6 is composed of a forward and backward electric motor 120, the screw 130 is coupled shaft and the slide block 210 f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crew 130 do. That is, the stationary electric motor 120 and the screw 13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ase 100, and the input unit 200 is coupled to the slide block 210 engaged with the screw 130. Therefore, when the access button 110 is pressed, the stationary electric motor 120 is operated to push or pull the slide block 210 engaged with the screw 130 so that the input unit 200 is automatically entered and exited from the case 100. will be.

상기 출입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 기어(140)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120) 및 상기 피니언 기어(140)에 맞물려 전후진 하는 랙 기어(220)가 구성된다. 즉, 상기 피니언 기어(140)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120)를 케이스(100) 내부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입력부(200)에는 상기 피니언 기어(140)와 치합되는 랙 기어(220)를 결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입 버튼(110)을 누르면 정역 전동 모터(120)가 작동하여 피니언 기어(140)에 치합된 랙 기어(220)를 밀어내거나 끌어당기기 때문에 입력부(200)가 케이스(100)로부터 자동으로 출입되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 means as shown in Figure 7 is composed of a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120, the pinion gear 140 is coupled to the shaft and the rack gear 220 is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40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 That is, the pinion gear 140 is fixedly installed in the case 100, the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120 is coupled to the shaft, and the input unit 200 is a rack gear 220 meshed with the pinion gear 140 Combined. Therefore, when the access button 110 is pressed, the stationary electric motor 120 is operated to push or pull the rack gear 220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140, so that the input unit 200 automatically enters and exits from the case 100. Will be.

상기 출입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를 걸어 고정하는 걸쇠(150) 및 상기 출입 버튼(110)을 눌러 걸쇠(150)를 풀면 입력부(200)를 전진시키는 코일 스프링(230)이 구성된다. 즉, 상기 걸쇠(150)는 케이스(100) 내부에 축 결합되면서 출입 버튼(110)을 누르면 입력부(200)가 해제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기 입력부(200)의 일측 또는 배면과 케이스(100)의 배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230)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출입 버튼(110)을 누르면 걸쇠(150)가 입력부(200)를 해제하여 코일 스프링(230)의 탄성에 의해 입력부(200)가 돌출되고, 입력부(200)를 밀어 넣으면 상기 걸쇠(150)가 입력부를 걸어 고정하는 것이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 means as shown in Figure 8 by pressing the latch 150 and the access button 110 to fix the input unit and release the latch 150 by the coil spring for advancing the input unit 200 230 is configured. That is, the clasp 150 is axi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ase 100 while pressing the access button 110 is installed so that the input unit 200 is released, one side or the back of the input unit 200 and the case 100 Coil spring 230 is coupled between the back. Accordingly, when the entrance button 110 is pressed, the latch 150 releases the input unit 200, and the input unit 200 protrud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230, and when the input unit 200 is pushed in, the latch 150 is pressed. Is to hang the input.

상기 입력부(200)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번호 버튼이나, 각종 단축 버튼 또는 기능 버튼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40)은 전화를 걸 때 입력된 전화번호나 부재중 전화 등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00)로부터 입력부(200)가 빠져나온 상태에서 쉽게 볼 수 있도록 입력부(200) 상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input unit 200 is a number button for inputting a number, various shortcut buttons or a function button is formed, the display panel 24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 display panel 240 is to display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a phone number or missed call input when making a cal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put unit 200 so that the input unit 200 can be easily seen from the case 100 is out of the case 100; It is formed to be inclined.

상기 송수화부(300)는 말을 하고 듣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00)의 일측에 올려지거나 거치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00) 일측에는 송수화 부(300)를 올리기 위한 받침대(3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310)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전화기에서 볼 수 있듯이 송수화부(300)를 올려놓기 위한 안착 홈과 상기 안착 홈에 돌출되어 송수화부를 올려놓거나 들어올리면 대기 상태나 통화 상태로 전환하는 후크 버튼이 형성된다.The handset 300 is to speak and listen, is formed to be mounted 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To this end, one side of the case 100 is formed with a pedestal 310 for raising the handset 300. The pedestal 310 is not shown in the drawing, but as can be seen in a conventional telephone, a seating groove for placing the handset 300 and protruding into the seating groove to raise or lift the handset, or a standby state or a call state Hook button is formed to switch to.

상기 받침대(310)는 편리에 따라 케이스(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받침대(310)를 케이스(100)의 양측 중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310)를 케이스(100)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수단의 일 실시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받침대(310)의 상호 접촉면에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앞뒤로 밀어 끼우고 분리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끼움 홈(320)과 끼움 돌기(1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0)와 받침대(200) 사이에는 구조적 결합 외에 회로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별도의 잭을 앞뒤 또는 좌우로 상호 연결하도록 한다.The pedestal 310 is formed to be coupl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ase 100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That is, the pedestal 310 is formed to be selectively coupled to any one of both sides of the case 100. As an embodiment of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edestal 310 to the case 100, as shown in Figure 9 push the top and bottom or back and forth on the mutual contact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pedestal 310 and detached Corresponding fitting grooves 320 and fitting protrusions 160 are formed to be possible. At this time, between the case 100 and the pedestal 200 is connected to a separate jack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in order to achieve a circuit coupling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coupling.

상기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면에는 입력부(200)가 출입 시 개폐되도록 커버(40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커버(400)는 입력부(200)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면을 막아 내부의 입력부(2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전화를 걸기 위해서 입력부(200)를 케이스(100) 외부로 빼낼 때에는 자연스럽게 열리도록 형성된다.The cover 400 is coupled to an open surface of the case 100 so that the input unit 200 is opened and closed when entering or exiting the case 100. That is, the cover 400 prevents the input unit 200 from being exposed by blocking an open surface of the case 100 while the input unit 200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and makes an input unit (to make a call). When the 200 is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is formed to open naturally.

상기 커버(400)에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표시되거나, 날짜, 시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10)이 형성된다. 즉,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10)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케이스(100)로부터 입력부(200)를 빼내서 전화를 걸 때 입력된 전화번호 등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케이스(100)로부터 입력부(200)가 빠져나온 상태에서 상기 커버(400)와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0) 위에 쉽게 볼 수 있도록 위치된다.The cover 4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410 that display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or displays the date, time, and the like. That is, when a call is received,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410 may be checked. In addition, the display panel 410 removes the input unit 200 from the case 100 to display the input telephone number when making a call. Therefore, the cover 400 and the display panel 410 are positioned on the input unit 200 so that the input unit 200 is easily seen from the case 100, as shown in FIG. 3.

상기 입력부(200)의 디스플레이 패널(240)이나 커버(400)의 디스플레이 패널(410)은 pattern LED(dot matrix), LCD, OLED, E-pape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한다.The display panel 240 of the input unit 200 or the display panel 410 of the cover 400 may be formed of any one of a pattern LED (dot matrix), an LCD, an OLED, and an e-paper.

상기 커버(400)의 배면에는 상기 입력부(200)가 출입시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방지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접촉방지수단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0)의 뒷면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200)와 밀착된 상태로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420)로 이루어진다.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400 is configured to prevent contact for preventing the contact when the input unit 200 is in and out, the contact preventing means as shown in Figures 6 to 8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cover 300 It is coupled to, and consists of one or more rollers 420 to be drive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unit 2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단에는 그 위에 올려진 모니터 등을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판(500)이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500)의 실시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은 케이스(100)에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500)의 테두리에는 볼 베어링(510) 또는 캐스터가 결합되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On the upper end of the case 100, the rotating plate 500 is configured to easily rotate the monitor and the like placed thereon. As shown in FIG. 10,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500 is axially coupled to the case 100, and the ball bearing 510 or caster is coupled to the edge of the rotating plate 500 to smoothly rotate. .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입력부(200)를 수용하면서 그 전방으로 출입하도록 하는 케이스(100) 위에 모니터, 컴퓨터, 스텐드 등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그만큼 책상 위에 공간의 활용이 더욱 여유롭고 편리할 뿐만 아니라, 입력부(200)가 케이스(10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측 송수화부(300)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전화를 받을 수 있으며, 전화를 걸 때에만 입력부(200) 를 케이스(100) 전방으로 돌출시킴으로써,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고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 또한, 송수화부(300)를 케이스(100)의 좌우에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편리에 맞게 송수화부(300)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전화기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monitor, computer, stand, etc. on the case 100 to accommodate the input unit 200 to enter and exit in front of it, the utilization of space on the desk more comfortable In addition to the convenience, the input unit 200 can be conveniently received using the one-handset 300 in a state accommodated inside the case 100, the input unit 200 only when making a call to the case 100 By projecting forward, the space is easy to use and more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by forming the handset 300 to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case 100,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phone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andset 300 to suit convenience.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입력부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도 3은 본 발명의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도 4는 본 발명의 커버에 디스플레이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s formed on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서 입력부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unit protrudes from FIG. 4.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출입 수단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access mean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출입 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 mean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출입 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ccess mean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9는 본 발명의 받침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de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도 10은 본 발명의 회전판을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otat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Simple explanation of the code | symbol about the main part of drawing>

100: 케이스 110: 출입 버튼100: case 110: access button

120: 정역 전동 모터 130: 스크루120: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130: screw

140: 피니언 기어 150: 걸쇠140: pinion gear 150: latch

160: 끼움 돌기160: fitting protrusion

200: 입력부 210: 슬라이드 블록200: input unit 210: slide block

220: 랙 기어 230: 코일 스프링220: rack gear 230: coil spring

240: 디스플레이 패널240: display panel

300: 송수화부 310: 받침대300: handset 310: pedestal

320: 끼움 홈320: fitting groove

400: 커버 410: 디스플레이 패널400: cover 410: display panel

420: 롤러420: roller

500: 회전판 510: 베어링500: rotating plate 510: bearing

Claims (15)

상부에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되면서 일면이 개방되며, 외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는 입력부를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 버튼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입력부를 출입시키기 위하여 스크루가 축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 및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전,후진하는 슬라이드 블록으로 구성되는 출입수단이 형성되며, 개방된 일면에는 입력부가 출입시 개폐되도록 커버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입력부가 출입시 커버와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의 뒷면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입력부와 밀착된 상태로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롤러로 구성되는 접촉방지수단이 설치되며, 상단에는 회전판이 설치되는 케이스가 구비되고, One side is opened while being firmly formed to place the article on the top, the outer side is formed with an entrance button for entering and exiting the input unit having a display panel, the inside is a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with a screw shaft coupled to enter the input unit And an access means formed of a slide block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and a cover is formed on one open side of the input block to open and close the input and output when the input unit is opened and close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ack of the cover, the contact preventing means consisting of one or more rollers driv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input unit is installed,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 case is installed a rotating plate,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번호 입력부가 출입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일측에 송수화부를 올려놓도록 형성되며,The number input unit is formed to enter and exit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case, and is formed to place a handset on one 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 일측에는 송수화부를 올리기 위한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대와 케이스의 양측에는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호 대응하여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앞뒤로 밀어 끼우고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 끼움 홈과 끼움 돌기로 되는 결합 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One side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pedestal for raising the handset, and both sides of the pedestal and the case is fitted with a groove and the fitting protrusion formed so as to be pushed up and down or separated from the top or back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position can be combined Input-type outgoing tele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은 피니언 기어가 축 결합된 정역 전동 모터; 및 상기 피니언 기어에 맞물려 전후진 하는 랙 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means is a forward and reverse electric motor shaft-coupled pinion gear; And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to move back and for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수단은 입력부를 걸어 고정하는 걸쇠; 및 상기 출입 버튼을 눌러 걸쇠를 풀면 입력부를 전진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means has a latch latching the input unit; And a coil spring for advancing the input unit by pressing the access button to release the lat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pattern LED(dot matrix), LCD, OLED, E-paper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부 출입형 전화기.The input / output telephone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is formed with a display panel formed of any one of a pattern LED (dot matrix), an LCD, an OLED, and an E-pap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상단에 설치되는 회전판의 중심은 케이스에 축 결합되고, 상기 회전판의 테두리는 볼 베어링 또는 캐스터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출입형 전화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the rotating plate installed on the upper case is axially coupled to the case, the front and rear telephone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of the rotating plate is coupled to the ball bearing or caster. 삭제delete
KR1020090069380A 2009-07-29 2009-07-29 In-out type telephone KR101154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80A KR101154455B1 (en) 2009-07-29 2009-07-29 In-out typ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380A KR101154455B1 (en) 2009-07-29 2009-07-29 In-out type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10A KR20110011910A (en) 2011-02-09
KR101154455B1 true KR101154455B1 (en) 2012-06-13

Family

ID=4377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380A KR101154455B1 (en) 2009-07-29 2009-07-29 In-out typ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45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48Y1 (en) 2003-09-22 2003-12-11 김진호 A furniture having a fishing port
KR20080081117A (en) * 2007-03-03 2008-09-08 장성호 Computer table
KR200443227Y1 (en) * 2008-02-28 2009-01-28 주식회사 퍼맥스 Moving position monitor equipment of computer des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948Y1 (en) 2003-09-22 2003-12-11 김진호 A furniture having a fishing port
KR20080081117A (en) * 2007-03-03 2008-09-08 장성호 Computer table
KR200443227Y1 (en) * 2008-02-28 2009-01-28 주식회사 퍼맥스 Moving position monitor equipment of computer de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910A (en) 2011-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4215A1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stickup structure
JP5309821B2 (en) Portable device
WO2017008525A1 (en) Frameless, ultra-thin sliding cover mobile phone and method of use
US2010011310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KR101154455B1 (en) In-out type telephone
AU2006347794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ovable housing parts
CN101634870A (en) Electronic device and keyboard module thereof
KR101285488B1 (en) Case for portable terminal
TW437230B (en) Portable telephone handset construction with retractable keypad cover
CN101932217B (en) Sliding closure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CN202535422U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10975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oth-way key-input unit
KR100622658B1 (en) Bilaterally openable cellular phone
JP5825688B2 (en) Desk phone
CN101873779A (en) Slip cover type electronic device
US20110255223A1 (en) Communication device
CN203194820U (en) Smartphone protecting sleeve
KR101922007B1 (en) Mobile device
CN2533522Y (en) Multi-keyboard electronic PDA
KR100335755B1 (en) A keyboard-phone system
CN201134824Y (en) Construction of ultrathin semitransparent sliding-lid hand-writing double-mode wireless telephone
KR101246356B1 (en) Slide type terminal
KR20180003788A (en) Folder phone with dual monitors
WO2009080083A1 (en) Slide device and slide assembly
CN204087043U (en) A kind of panel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