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755B1 - A keyboard-phone system - Google Patents

A keyboard-phon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755B1
KR100335755B1 KR1019990026650A KR19990026650A KR100335755B1 KR 100335755 B1 KR100335755 B1 KR 100335755B1 KR 1019990026650 A KR1019990026650 A KR 1019990026650A KR 19990026650 A KR19990026650 A KR 19990026650A KR 100335755 B1 KR100335755 B1 KR 10033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keyboard
phone
cor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8706A (en
Inventor
유공현
박성규
한수동
Original Assignee
유공현
박성규
한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공현, 박성규, 한수동 filed Critical 유공현
Priority to KR1019990026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755B1/en
Publication of KR2001000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87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75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12Details of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PI] for telephone networks; Arrangements which combine a telephonic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 computer, i.e.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CP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 혹은 키보드의 손목받침대에 전화기를 결합시켜 컴퓨터 사용자가 별도의 전화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컴퓨터를 조작하거나 전화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키보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전화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화기를 장착하는 블록을 기존의 컴퓨터 키보드의 좌우 혹은 앞 부분에 쉽게 정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화선을 감아 수납하는 장치를 블록안에 설치하여 수화기를 잡아 당기면 전화선이 풀리고 사용후에 수화기를 다시 잡아 당기면 걸림장치가 풀려 전화선이 안으로 감기는 원리를 이용하여 전화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수화기에 연결된 전화선들이 보이지 않도록 하였으며, 아울러 하나의 선에 키보드선과 전화선 그리고 전력선을 함께 구성하여 키보드 혹은 손목받침대 전화기와 컴퓨터 본체를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phone which is coupled to a keyboard or wrist rest of a keyboard used in a computer so that a computer user can operate a computer or simultaneously use a telephone function without having a separate telephone. The phone function can be used eve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In addition, the block to which the handset is mounted can be easily settl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existing computer keyboard, and a device that wraps and stores the telephone line is installed in the block to pull out the handset, and the telephone line is released. If you do not use the phone, the phone line connected to the receiver is not visible when you do not use the phone, and the phone line connected to the handset is combined with the keyboard line, the phone line, and the power line. The computer body was configured to connect.

Description

키보드-폰 {A KEYBOARD-PHONE SYSTEM}Keyboard Phone {A KEYBOARD-PHONE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나 손목 받침대에 전화기능을 결합하여 컴퓨터 사용자가 별도의 전화기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키보드를 통해 컴퓨터의 조작과 전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키보드-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능과 계산기능을 갖는 소형의 장치를 키보드나 손목 받침대에 결합하여 컴퓨터의 전원이 나가도 그 기능들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키보드-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phone combining a telephone function with a keyboard or a palm rest of a computer so that a computer user can perform a computer operation and a telephone function through a keyboard without using a separate telephone. It relates to a keyboard-phone that combines a small device with functions and calculations into a keyboard or palm rest so that the functions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하버가 등록한 미국특허 제5,375,165호는 컴퓨터 주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키보드가 기존 키보드 모드와 전화 모드를 함께 갖는 것으로 키보드, 키보드 제어장치, 전화제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키보드 제어장치는 전화 모드나 키보드 모드로 키보드를 작동을 할 때 마다 각 스캔코드를 변환시켜 자료를 보급하며, 키보드는 전화제어장치에 자료를 보내어 전화기능을 작동시킨다.US Pat. No. 5,375,165, registered by Haber, relates to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The keyboard has a conventional keyboard mode and a telephone mode, and is composed of a keyboard, a keyboard controller, and a telephone controller. The keyboard controller disseminates data by converting each scan code each time the keyboard is operated in the telephone mode or the keyboard mode, and the keyboard sends the data to the telephone controller to activate the telephone function.

키보드에는 전화제어 키들이 있어서 키보드를 기본 키보드와 전화제어모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 방식에서는 사용자들이 키보드와 전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없으며 컴퓨터 전원이 나갈 경우도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동일한 키보드 키를 이용하여 전화와 키보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특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스캔코드 변환장치, 전자 옵틱칼 분리장치등 많은 특별부속 장치들을 요하므로 기존의 키보드와 전화기 보다 생산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The keyboard has telephone control keys that allow you to switch the keyboard to the default keyboard and telephone control mode. In this way, users cannot use both the keyboard and the phone at the same time, even if the computer loses power. In addition, the phone and keyboard functions using the same keyboard keys require many special accessories such as a scan code converter and an electronic optical separator, as described in the patent, which may result in higher production costs than existing keyboards and phones. have.

더욱이 하버의 발명은 키보드와 전화기능이 전기적으로 통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키들을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위해 사용하므로 전화기능은 키보드의 구성에 종속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 전원이 있어야만 전화기능의 사용이 가능하며, 키보드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전화기능을 사용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있다.Moreover, Haber's invention is not only electrically integrated with keyboard and phone functions, but also because the same keys are used for the keyboard and phone functions, the phone function is dependent on the keyboard configur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the telephone function only when the computer is powered, and it is configured not to use the telephone function at the same time using the keyboard.

챠오가 등록한 미국특허 제5,829,899호는 컴퓨터 키보드에 사용하는 손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조절하여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높이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치호프외 다수가 등록한 미국특허 제5,641,369호는 타이핑시 사용하는 손목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그 외에 본 발명과 관련된 키보드와 손목 받침대에 관한 특허로는 미국특허 제4,860,342호, 제4,991,199호, 제5,008,927호, 제5,197,147호, 제5,253,940호, 제5,553,122호, 제5,572,572호, 제 5,577.118호, 제5,892,503호, 제5,890,696호들이 있지만 이 모두는 본 발명의 키보드와 손목 받침대 전화기에 대해 언급하고 있지는 않다.US Patent No. 5,829,899, registered by Chao, relates to a wrist rest for use in a computer keyboard, and is configured to adjust a height according to a user's convenience by adjusting a handle. US Patent No. 5,641,369, which is registered by Kerchhoff et al., Relates to a wrist rest for use in typing, and other patents relating to the keyboard and palm res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US Patent Nos. 4,860,342, 4,991,199, and 5,008,927. 5,197,147, 5,253,940, 5,553,122, 5,572,572, 5,577.118, 5,892,503, and 5,890,696, but not all mention the keyboard and wrist rest 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 키보드 혹은 키보드 손목 받침대에 전화기, 계산기, 라디오 기능들이 있는 소자들을 별도로 부가 설치하여 기존의 키보드기능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하나의 컴퓨터 키보드에서 전화기,계산기, 라디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키보드-폰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mputer keyboard or a keyboard palm rest separately installs a device having a phone, a calculator, and a radio function to use a conventional keyboard function as well as a computer keyboard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keyboard-phone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 telephone, a calculator and a radio.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본 키보드 키들을 갖고 있는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와 함께 구성되지만 기능과 회로는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전화구성소자와, 상기 전화구성소자와 키보드에 각각 연결되는 키보드 케이블과 전화선을 일체화한 종합 키보드선과, 상기 키보드에 부착된 손목 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eyboard having basic keyboard keys, a telephone component having a telephone function and configured with the keyboard, but having a function and a circui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keyboard, and the telephone component. And a keyboard cable integrated with a keyboard cable and a telephone lin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keyboard, and a palm rest attached to the keyboard, wherein the telephone component is operable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use.

또한 본 발명은, 기본 키보드 키들을 갖고 있는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와 함께 구성되지만 기능과 회로는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전화구성소자와, 상기 전화구성소자에 연결되며 기존의 키보드 케이블을 쉽게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소자를 갖고 있는 전화선과, 상기 키보드에 부착된 손목 받침대를 구비하되, 상기 전화구성소자를 독립적으로 키보드의 좌측 혹은 우측면 또는 윗 부분에 붙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keyboard having basic keyboard keys, a telephone component having a telephone function and configured with the keyboard, but having a telephone component completely separate from the keyboard, and a telephone keyboard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mponent. It is provided with a telephone line having a component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the palm rest attached to the key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telephone component is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attach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아울러 본 발명은, 키보드 키들과 손목 받침대를 함께 구비하는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와 함께 구성되지만 기능과 회로는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손목 받침대의 오른쪽 혹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키보드 사용중 가장 적게 미치는 곳에 배치된 전화구성소자와, 상기의 전화구성소자와 키보드에 각각 연결되는 키보드 케이블과 전화선을 일체화한 종합 키보드선을 구비하되,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board with the keyboard keys and the palm rest, and has a phone function and is configured with the keyboard, but the function and circu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keyboard on the right side of the palm rest or the user's palm is in use of the keyboard A telephone component disposed at the least impact area and a keyboard cable integrated with the telephone component and a keyboard cabl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keyboard, wherein the telephone component is operated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use both the keyboard and the telephone function at the same time is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키보드에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기능을 갖춘 손목받침대와, 전화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와 함께 구성되지만 기능과 회로는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손목받침대의 오른쪽 혹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키보드 사용중 가장 적게 미치는 곳에 배치된 전화구성소자와, 상기 전화구성소자와 키보드에 각각 연결되는 키보드 케이블과 전화선을 일체화한 종합 키보드선을 구비하되,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st rest with an attachment function that can be attached to the keyboard, having a telephone function and configured with the keyboard, but the function and the circu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keyboard, the right side of the wrist rest or the user's palm A telephone component disposed at the least impacted portion of the keyboard and a comprehensive keyboard cable integrated with the telephone cable and a keyboard cabl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mponent and the keyboard, the telephone component being operated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t is possible to use the keyboard and the telephone function at the same time is characterized by.

아울러 본 발명은, 키보드 키들과 손목받침대를 함께 구비하는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갖고 있으며 상기 키보드와 함께 구성되지만 기능과 회로는 키보드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손목받침대의 오른쪽 혹은 사용자의 손바닥이 키보드 사용중 가장 적게 미치는 곳에 배치된 전화구성소자와, 상기의 전화구성소자에 연결되며 기존의 키보드 케이블을 쉽게 부착시킬 수 있는 구성소자를 갖고 있는 전화선을 구비하되,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컴퓨터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동작이 가능하며 키보드와 전화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 keyboard having a keyboard and a wrist rest together, having a telephone function and configured with the keyboard, but the function and the circu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keyboard, the right side of the wrist rest or the user's palm is in use. A telephone line having a telephone component disposed in the least impact area and a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mponent and easily attachable to an existing keyboard cable, wherein the telephone component is turned off.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eyboard and phone functions can be used simultaneous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키보드에 전화와 계산기 기능이 일체로 결합되고, 전화기 부착고정대가 이어-마이크로폰과 함께 왼쪽에 부착되며, 기본 키보드 손목받침대가 개선된 키보드에 부착된 키보드-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phone and a calculator function are integrally combined with a keyboard, and a phone attachment strap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with an ear-microphone, and a basic keyboard wrist rest View of keyboard-phone attached to keyboard with improved keyboar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받침 키보드-폰의 사시도로, 전화와 계산기 기능이 손목받침의 오른쪽에 있으며, 이어-마이크로폰이 손목받침의 내부에 있는 전화선 되감김통에 연결되고 손목받침 커버의 내부에 수납되는 키보드-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rist rest keyboard-phon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ne and the calculator function on the right side of the wrist rest, the ear-microphone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rewinder in the inside of the wrist rest and inside the wrist rest cover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that is stor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전화와 계산기 기능이 키보드의 오른쪽에 일체로 결합되고, 전화기 부착고정대가 이어-마이크로폰과 함께 왼쪽에 부착되며, 기본 키보드 손목받침대가 개선된 키보드에 부착된 키보드-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lephone and a calculator function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keyboard, and a telephone attachment stand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with the ear-microphone, and a basic keyboard Perspective view of keyboard-phone attached to keyboard with improved wrist res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별도로 구성된 부착용 전화기 세트가 결합된 키보드-폰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to which a separately configured attachment telephone set is coupled.

도 5는 도 4 에 도시된 부착용 전화기 세트의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telephone set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착용 전화기 세트의 측면도.FIG. 6 is a side view of the attachment telephone set shown in FIG. 5.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전화선을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phone line of 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키보드선의 확대 단면도로, 키보드선이 결합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8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keyboard line shown in FIG. 7, illustrating a state before the keyboard line is coupl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전화선을 나타낸 사시도로, 키보드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lephone line of 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board line is coupl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이 용이한 전화기 부착고정대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asy-attachment phone mounting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화기 부착고정대에 전화선 되감기통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FIG. 11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lephone line rewinder is mounted on a telephone attachment fixture shown in FIG. 10; FIG.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다른 실시예로, 송수화기를 갖는 별도의 부착용 전화기 세트가 키보드에 부착된 키보드-폰을 나타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in which another set of attaching telephone set having a handset is attached to the keyboar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송수화기를 갖는 부착용 전화기 세트의 사시도.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ttachment telephone set having the handset shown in FIG. 12; FIG.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송수화기를 갖는 부착용 전화기 세트의 개략 단면도로, 전화선 되감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 14 is a schematic cross sectional view of the attachment telephone set having the handset shown in Fig. 12, showing a state in which a telephone line rewinder is mounted;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 별도의 무선 송수화기능을 갖는 부착용 무선전화기 세트가 키보드에 부착된 키보드-폰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keyboard-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keyboard-phone attached to the keyboard set of the attachment cordless phone having a separate wireless handset function.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무선 송수화기기능을 갖는 부착용 무선전화기 세트의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t of attaching cordless telephones having the wireless handset function shown in FIG. 15; FIG.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무선송화기의 사시도.FIG.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transmitter shown in FIG. 15. FIG.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손목받침대로, 전화와 계산기 기능이 손목받침의 오른쪽에 있으며, 이어-마이크로폰이 손목받침대의 내부에 있는 전화선 되감김통에 결합되어 있고 손목받침대의 앞에 수납되는 키보드-폰을 나타낸 사시도.18 is an improved wrist res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phone and calculator functions are on the right side of the wrist rest, and the ear-keyboard is coupled to the telephone line rewinder inside the wrist rest and is housed in front of the wrist rest. A perspective view of a pawn.

도 19는 도 18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19 is a perspective view specifically showing FIG. 18.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손목받침대의 단면도로, 키패드 뚜껑이 열린상태에서 키패드와 키 지지블록을 나타낸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rist rest shown in Figure 18,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keypad and key support block with the keypad lid open.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손목받침대의 단면도로, 키패드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키패드와 키 지지블록을 나타낸 단면도.FIG. 21 is a sectional view of the wrist rest shown in FIG. 18, illustrating a keypad and a key support block with the keypad lid closed; FIG.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손목받침대로, 전화와 계산기 기능이 손목받침의 오른쪽에 있으며, 이어-마이크로폰이 손목받침대의 내부에 있는 전화선 되감김통에 연결되어 있고 손목받침대의 커버 안에 수납할 수 있는 키보드-폰을 나타낸 사시도.22 is an improved wrist re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telephone and a calculator function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rist rest, and the ear-microphone is connected to a telephone line rewinder inside the wrist rest and can be stored in the cover of the wrist rest.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뚜껑이 있는 개선된 손목받침대로, 전화와 계산기 기능을 갖고 있는 키보드-폰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with an improved wrist rest with keypad li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telephone and a calculator func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보드 2 : 손목받침대1: keyboard 2: wrist rest

3 : 종합 키보드선 4,32 : 분기 접속부3: General keyboard wire 4,32: Branch connection part

5,33 : 전력선 6,31 : 키보드선5,33: power line 6,31: keyboard line

7,34 : 전화선 10,25,64,73 : 전화기능키7,34: Telephone line 10,25,64,73: Telephone function key

11,26,65,72 : 전화키 12,27,75 : LCD 표시판11,26,65,72: Telephone key 12,27,75: LCD display panel

13,28,76 : 스피커 마이크로폰 14,29,74 : 계산기 기능키13,28,76: Speaker microphone 14,29,74: Calculator function key

16 : 손목받침 키보드 17,71,96 : 손목받침 전화계산기16: wrist rest keyboard 17,71,96: wrist rest phone calculator

18,95 : 손목받침 커버 20 : 키보드18,95: palm rest cover 20: keyboard

23 : 부착용 전화계산기 24,49,57,67 : 부착부재23: phone calculator for attachment 24, 49, 57, 67: attachment member

30 : 전화선 35 : 슬롯30: telephone line 35: slot

40 : 전화기 부착고정대 41,81 : 이어-마이크로폰40: phone mounting bracket 41,81: ear-microphone

42,52,82,88 : 전화코드 43 : 전화선 되감김통42,52,82,88: Telephone Code 43: Telephone Line Rewinder

44,83 : 선 입구 45 : 고정클립44,83: line entrance 45: fixed clip

46,85 : 코드 플레이트 47,87 : 릴46,85: code plate 47,87: reel

48,86 : 랫치 50 : 부착용 전화기48,86: Latch 50: Phone for attachment

51 : 송수화기 53,84 : 코드 가이드51: Handset 53,84: Code Guide

54 : 입구 55 : 전화선 되감김통54: entrance 55: telephone line rewinder

56 : 코일 스프링 60 : 부착용 무선 전화기56: coil spring 60: cordless phone for attachment

61 : 무선 송수화기 62,63 : 안테나61: wireless handset 62,63: antenna

70,97 : 손목받침대 77 : 키 지지블록70,97: wrist rest 77: key support block

78,99 : 키패드 뚜껑 79 : 슬라이드 슬롯78,99: keypad lid 79: slide slot

80 : 슬라이더 89 : 클립80: Slider 89: Clip

90 : 홀딩슬롯 91 : 핸드슬롯90: holding slot 91: hand slot

92 : 추가장치 98 : 잠금홀더92: additional device 98: lock hold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elow.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폰을 나타낸 도면으로, 개선된 키보드(1)에 일반적인 키보드 손목받침대(2)가 부착되어 있으며, 키보드(1)의 위에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능 장치들의 구성이 적용되어 있다.1 shows a keyboard-ph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general keyboard wrist rest 2 is attached to an improved keyboard 1, on top of the keyboard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functional devices is applied.

전화기능 장치인 전화 기능키(10), 전화키(11), 계산기 기능키(14), LCD 표시판(12), 스피커 마이크로폰(13) 그리고 라디오 기능과 계산기 기능들이 기존의 키보드와 동일한 넓이를 갖고 있는 키보드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개선된 키보드 넓이를 기존의 키보드와 동일한 넓이로 유지하므로 기존의 키보드 서랍등 제한된 공간에서도 어려움 없이 사용할 수 있다.Phone function keys (10), phone keys (11), calculator function keys (14), LCD display panel (12), speaker microphone (13), and radio and calculator functions are the same width as the existing keyboard. It's located above the keyboard. The improved keyboard width keeps the same width as the existing keyboard, so it can be used in limited space such as a conventional keyboard drawer without difficulty.

도 1은 또한 전화선이 안으로 감겨진 전화기 부착고정대(40)가 키보드(1) 왼쪽에 부착되어 키보드-폰의 사시도로서, 이러한 전화기 부착고정대(40)이 상측면에는 이어-마이크로폰(41)이 착탈가능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착부에는 수화기(51)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에는 전화코드가 인출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종합 키보드선(3)은 키보드선(6), 전화선 (7) 그리고 전력선(5)이 함께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키보드와 컴퓨터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분기 접속부(4)를 사용하여 이 부분에서 선의 굵기를 최소화하였다.1 is also a perspective view of a keyboard-phone with a telephone attachment strap 40 wound around it,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keyboard 1, such that the telephone attachment bracket 40 is detached from the ear-microphone 41 on its upper side. Possible mountings are formed. The receiver 51 may be attached to this mounting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telephone cord is draw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integrated keyboard line (3) can be connected to the keyboard and the computer as a single line as the keyboard line (6), telephone line (7) and power line (5) is configured together The branch connection 4 was used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line at this point.

전력선은 AC 어답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계산기, 라디오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전화기와 키보드의 회로와 구성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전화선(7)과 전력선(5)은 전화구성부분에만 별도로 연결됨에 따라 컴퓨터의 전력이 나가도 개선된 키보드(1)를 사용하여 전화기능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와 키보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ower line is connected to the AC adapter and provides the necessary power for a calculator, radio, etc. The circuit and configuration of the telephone and keyboard are completely separated and the telephone line (7) and the power line (5) are connected separately to the telephone component only so that you can use the telephone function with the improved keyboard (1) even if the computer is out of power. In addition, the phone and keyboard can be used simultaneously.

스피커 볼륨 조정이나 이어폰잭, 전화잭들은 도면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개선된 키보드(1)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스피커 마이크로폰(13) 혹은 이어-마이크로폰(41)을 갖고 키보드 사용시에도 통화를 할 수 있다. 전화키(11)는 계산기 기능키(14)와 함께 계산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Speaker volume adjustments, earphone jacks, and telephone jacks are not shown in the figure, but are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improved keyboard 1. The user can make a call even when using the keyboard with the speaker microphone 13 or the ear-microphone 41. The telephone key 11 can also be used as a calculator together with the calculator function key 14.

도 2는 키보드와 손목받침이 함께 구성된 손목받침 키보드(16)를 보여주고 있다. 손목받침 전화계산기(17)는 손목받침부분에 위치되어 있다. 이어-마이크로폰 (81)은 선을 되감는 릴(85)에 연결되어 있거나 직접 이어폰잭에 연결되어 있고, 손목받침 커버안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전화기능 소자들이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2 shows a wrist rest keyboard 16 configured with a keyboard and a wrist rest. Wrist rest phone calculator 17 is located in the wrist rest. The ear-microphone 81 is connected to the reel 85 which rewinds the line or directly to the earphone jack, and is configured to be stored in the wrist rest cover. 3 shows that the telephone function elements are located on the right side.

도 4는 기본 키보드(20)의 좌우면에 자유롭게 부착할 수 있는 부착용 전화계산기(23)를 보여주고 있으며, LCD 표시판(27), 스피커 마이크로폰(28), 전화기능 키(25), 전화키(26), 계산기 기능키(14), 라디오, 시계 기능 및 음성 녹음기능을 구비한다.4 shows an attachable telephone calculator 23 that can be freely attach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ic keyboard 20, an LCD display panel 27, a speaker microphone 28, a telephone function key 25, a telephone key ( 26), a calculator function key 14, a radio, a clock function, and a voice recording function.

기본 키보드(20)의 양 옆면(21,22)이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전화기 부착고정대(40)와 부착용 전화계산기(23)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면에 부착할 수 있다. 부착용 전화계산기(23)의 모양은 도 5와 도 6에서 보듯이 기본 키보드(20)의 옆면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사용자가 키보드와 전화기의 사용에 불편이 없도록 하였으며, 강력한 양면 접착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the side surfaces 21 and 22 of the basic keyboard 20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phone attachment stand 40 and the attachment telephone calculator 23 may be attached to any surfac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shape of the attaching telephone calculator 23 is the same as that of the side of the basic keyboard 20 as shown in FIGS. 5 and 6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inconvenience in using the keyboard and the telephone, and the adhesive member such as a strong double-sided adhesive tape By using the user can be attached to the desired place.

도 7 내지 도 9는 개선된 전화선(30)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화선(34)과 전력선(33)이 하나의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케이블에 슬롯(35)과 같이 기존 키보드선(31)을 삽입 혹은 부착시킬 수 있는 것들이 형성되어 있다.7 to 9 show an improved telephone line 30, wherein the telephone line 34 and the power line 33 consist of a single cable, in which the existing keyboard line 31, like the slot 35, is connected. There are things that can be inserted or attached.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전화선(34)과 전력선(33)을 개선된 전화선(30)의 내부에 매설하여 성형시키고, 일측면에 기존 설치된 키보드선(31)이 끼워져 일체화로 결합될 수 있도록 슬롯(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슬롯(35)은 키보드선(31)이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키보드 폰을 기존의 키보드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각 선들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화로 깨끗이 정렬되므로 미관도 향상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the telephone line 34 and the power line 33 is embedded in the interior of the improved telephone line 30 and molded, and the existing keyboard line 31 installed 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slot 35 to be integrally combined. ) Is formed. The slot 35 is formed so that the keyboard wire 31 is elastically fitted and is not easily separated. By such a configuration, the keyboard phone can be attached to an existing keyboard and used. In this case, each line is cleanly aligned as one body as shown,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도 10과 도 11은 이어-마이크로폰(41)의 전화코드(42)가 선입구(44)를 통해 전화기 부착고정대(40)의 내부에 장착된 전화선 되감김통(43)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전화코드(42)가 릴(47)에 스프링과 함께 감겨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이어-마이크로폰(41)을 당기면 전화코드(42)는 풀리고 놓으면 다시 감기며, 잡아당긴 상태에서는 전화코드(42)가 되감기지 못하도록 고정클립(45)이 잡아 주고있다.10 and 11 show that the telephone cord 42 of the ear-microphone 41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rewinder 43 mounted inside the telephone attachment base 40 through the inlet 44. There is, as the telephone cord 42 is wound with the spring on the reel 47, when the user pulls the ear-microphone 41, the telephone cord 42 is released when it is released and released, and the telephone cord 42 in the pulled state. Fixing clip (45) is held so that the) is not rewinding.

도 12 내지 도 14는 송수화기(51)가 설치된 부착용 전화기 세트(50)의 구체적인 구성도로, 송수화기(51)가 부착용 전화기(50)에 결합되어 있으며 전화코드 (52)는 입구(54)에 있는 구멍을 통해 부착용 전화기(50)의 내부에 설치된 코드 가이더(53)를 따라 전화선 되감김통(55)에 연결되어 있다.12 to 14 show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attachment telephone set 50 in which the handset 51 is installed. The handset 51 is coupled to the attachment telephone 50, and the telephone cord 52 has a hole in the inlet 54. It is connected to the telephone line rewinding container 55 along the cord guider 53 installed in the attachment telephone 50 through the through.

전화선 되감김통(55)의 내부에 장착된 원형으로 감겨진 코일 스프링(56)이 전화코드(52)를 일정한 탄력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송수화기(51)를 송수화기 홀더에 올려 놓으면 전화코드(52)가 감겨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송수화기(51)를 잡아당겨 사용하면 풀리게 되어있다. 부착용 전화기(50)의 좌우측면에는 전화기 부착부재(57)가 형성되어 있어 키보드 양측면에 쉽고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Since the coil spring 56 wound in a circle mounted inside the telephone line rewinder 55 is pulling the telephone cord 52 with a certain elasticity, when the handset 51 is placed on the handset holder, the telephone cord 52 is wound and It is not exposed to, and is pulled out when the handset 51 is pulled out. Phone attachment member 57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ttachment telephone 50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firm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keyboard.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키보드의 좌우측면 그리고 상측면에 전화기능을 수행하는 부착용 무선전화기 세트 (60)와 무선 송수화기(61)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키보드에 쉽고 견고하게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각 면에는 무선 전화기 세트(60)를 부착할 수 있는 면적과 부착부재(67)를 갖고 있다.15 to 17 are still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user can use a cordless telephone set 60 and a cordless handset 61 for performing a telephone fun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upper side of the keyboard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venience of the keyboard is shown to be formed to be easily and firmly attached to the desired position, and each side has an area and an attachment member 67 for attaching the wireless telephone set 60.

도 18은 기본 키보드(20)에 부착되어 있는 개선된 손목받침대(70)로, 손목받침 전화계산기(71)를 오른쪽에 갖고 있다. 손목받침 전화계산기(71)는 전화기능키(73), 손목받침 전화계산기(71), 전화키(72), 계산기 기능키(74), LCD 표시판(75), 스피커 마이크로폰(76)과 라디오 기능을 원하는 데로 구성하고 있다.18 is an improved wrist rest 70 attached to the base keyboard 20, with the wrist rest phone calculator 71 on the right. The wrist rest phone calculator 71 includes a telephone function key 73, a wrist rest phone calculator 71, a telephone key 72, a calculator function key 74, an LCD display panel 75, a speaker microphone 76 and a radio function. Configure it as you want.

이어-마이크로폰(81)의 전화코드(82)는 릴(87)에 감겨져 있으며 릴(87)의 내부에 원형으로 감겨져 있는 코일 스프링이 전화코드(82)를 일정한 탄력으로 당기고 있음에 따라 이어-마이크로폰(81)을 클립(89)에 올려 놓으면 전화코드(82)가 감겨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잡아당겨 사용하면 풀리게 구성되어 있다.The telephone cord 82 of the ear-microphone 81 is wound on the reel 87, and the coil spring wound in a circle inside the reel 87 pulls the telephone cord 82 with a constant elasticity. When the 81 is placed on the clip 89, the telephone cord 82 is wound up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it is configured to be pulled out by pulling it.

도 20과 도 21은 키들(72,73,74)의 높이를 키 지지블록(77)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한 것을 보여주고 있는데, 키패드 뚜껑(78)을 열면 키들을 사용할 수 있고, 닫으면 지지블록(77)의 높이가 높아 키패드 뚜껑(78)을 위에서 눌러도 키들은 안전하게 보호된다.20 and 21 show that the heights of the keys 72, 73 and 74 ar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key support block 77. When the keypad lid 78 is opened, the keys can be used and the support blocks are closed. The height of 77 allows the keys to be protected even when the keypad lid 78 is pressed from above.

도 22는 키들을 손목받침대의 표면 보다 낮게 형성하여 손바닥이 닿으면 키들이 눌려지지 않고 손가락으로 키들을 누르면 작동하도록 구성된 키보드-폰을 나타낸 것인데, 이어-마이크로폰(81)은 이어폰잭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고, 손목받침대의 내부에 있는 릴(87)에 결합하여 전화코드(82)를 감아놓을 수도 있게 하였으며, 손목받침 커버(95)의 내부에 수납할 수도 있게 하였다. 또한, 키패드 뚜껑(99)을 부착하여 키들을 청소할 때와 같이 필요시에 열수있도록 되어있다.FIG. 22 shows a keyboard-phone formed with keys lower than the surface of the wrist rest and configured to operate by pressing keys with a finger rather than being pressed when the palm touches it. Ear-microphone 81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an earphone jack. And, coupled to the reel (87) in the inside of the wrist rest was able to wrap the phone cord 82, it was also possible to accommodate the inside of the wrist rest cover (95). In addition, the keypad lid 99 is attached so that it can be opened when necessary, such as when cleaning keys.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기된 것처럼 각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의 범주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ach embodiment, it can be arbitrarily changed as follows as needed, which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종합 키보드선은 별도의 전화선과 전화전기선을 키보드선과 결합하여하나의 선으로 컴퓨터 본체의 뒷부분까지 배치한 후, 전화선을 인터넷과 함께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인터넷 전화선에 연결하여 인터넷과 전화를 겸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omprehensive keyboard line is to combine separate telephone line and telephone electric line with the keyboard line and arrange it to the back of the computer main body as one line, and if you want to use the telephone line together with the Internet, connect the internet telephone line to serve as internet and telephone. Can be.

또한, 유선전화기는 전화기능단자, 전화번호단자, 음성녹음 기록판, 스피커폰, 유선 송수화기세트, 유선이어폰세트, 메시지 알림기능 등이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필요시에 설계변경에 의하여 기능을 부가 혹은 감축할 수 있으며, 무선전화기는 전화기능단자, 전화번호단자, 스피커폰, 무선송수화기, 무선이어폰세트, 무선안테나, 음성녹음기능, 메시지 알림기능들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역시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른 기능을 부가 혹은 감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 telephone is described as having a telephone func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terminal, voice recording recorder, speakerphone, wired handset set, wired earphone set, message notification function, etc. The wireless phone is described as consisting of a telephone function terminal, a telephone number terminal, a speakerphone, a wireless handset, a wireless earphone set, a wireless antenna, a voice recording function, and a message notification function. You can add or reduce functionalit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에 사용되는 키보드나 키보드의 손목받침대에 전화, 계산기, 라디오, 시계기능 들을 부가하거나 키보드에 이런 기능들을 갖는 별도의 세트를 부착시키되 컴퓨터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컴퓨터 조작과 함께 전화통화를 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되며, 종합 키보드선 역시 전화선, 전기선, 키보드선이 일체화로 정리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성과 미관성을 향상시킨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phone, a calculator, a radio, a clock function to a keyboard or a wrist rest of a keyboard, or attaches a separate set having these functions to a keyboard, so that the computer can be used even when the computer is turned off. In addition, it is convenient to be able to make a telephone call with computer operation, and a general keyboard cable is also designed to be integrated into a telephone line, an electric cable, and a keyboard line, thereby improving usability and aesthetics.

Claims (22)

삭제delete 기본 키보드 키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와;A keyboard having basic keyboard keys; 상측면에는 수화기 혹은 이어-마이크로폰이 착탈가능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장착부에는 전화코드가 인출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어-마이크로폰 혹은 수화기에 연결된 전화코드가 릴에 스프링과 함께 감겨 있음에 따라 상기 수화기 혹은 이어-마이크로폰 당김시 전화코드는 풀리고 놓으면 다시 감기며, 당김시에는 전화코드가 되감기지 못하도록 고정클립이 형성된 전화선 되감김통을 내부에 구비하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키보드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전화기 부착 고정대와;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detachable to the earpiece or ear-microphone, and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with an inlet through which the telephone cord is drawn out, and the telephone cord connected to the ear-microphone or the receiver is wound with a spring on the reel. When the phone cord is pulled out or released, the phone cord is rewinded when it is released and released. When the phone cord is pulled, a phone clip rewinder having a fixed clip is formed therein to prevent the phone cord from being rewound. A telephone attachment stand; 상기 기본 키보드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며 적어도 상기 전화코드와 연결되는 전화구성소자와;A telephone component attach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ic keyboard and connected to at least the telephone cord; 상기 전화구성소자와 키보드에 각각 연결되는 전화선과 키보드 케이블 및 전화구성소자의 전력선을 일체화한 종합 키보드선과;A comprehensive keyboard line integrating a telephone line, a keyboard cable, and a power line of the telephone component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mponent and the keyboard, respectively; 상기 키보드에 부착가능한 손목 받침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And a palm rest attachable to the keyboar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전화회로, 전화키들, 스피커-마이크로폰, 스피커 음량조절기, 음성 기록장치, 이어폰 잭, LCD 표시판, 라디오, 계산기회로, 계산기 기능키들, 시계 및 AC 어답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3. The telephone element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elephone element comprises a telephone circuit, telephone keys, speaker-microphone, speaker volume controller, voice recorder, earphone jack, LCD display panel, radio, calculator circuit, calculator function keys, clock and AC adapter. Keyboard-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구성소자를 구성하는 전화키들 및 스피커 마이크로폰은 상기 키보드의 좌/우측 혹은 윗 부분중 어느 하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4. 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elephone keys and speaker microphone constituting the telephone component are disposed on either the left / right sid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keyboard. 삭제dele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마이크로폰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기 및 이어폰 잭은 상기 키보드의 뒷면이나 옆면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volume controller and an earphone jack for adjusting the volume of the speaker microphone are arranged on the back or side of the keyboar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기본 키보드 키들을 구비하는 키보드와;A keyboard having basic keyboard keys; 상기 키보드에 부착 가능한 손목 받침대를 포함하되;A palm rest attachable to the keyboard; 상기 손목 받침대는 그 일측면에 이어-마이크로폰이 착탈가능한 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장착부에는 전화코드가 인출되는 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어-마이크로폰에 연결된 전화코드가 릴에 스프링과 함께 감겨 있음에 따라 상기 이어-마이크로폰 당김시 전화코드는 풀리고 놓으면 다시 감기며, 당김시에는 전화코드가 되감기지 못하도록 고정클립이 형성된 전화선 되감김통을 그 내부에 구비함과 아울러, 적어도 상기 전화코드와 연결되는 전화구성소자를 포함하며;The palm rest has a mounting portion detachable to the microphone on one side thereof, and the mounting portion has an inlet through which the telephone cord is drawn out, and the telephone cord connected to the ear-microphone is wound with a spring on the reel. When the ear-microphone is pulled, the telephone cord is unwound and rewinded when it is released, and when the pull is provided, a telephone line rewinder having a fixed clip formed therein to prevent the telephone cord from being rewound, and at least a telephone component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rd. It includes; 상기 전화구성소자와 키보드에 각각 연결되는 전화선과 키보드 케이블 및 전화구성소자의 전력선을 일체화한 종합 키보드선;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And a telephone line connected to the telephone component and the keyboard, and a comprehensive keyboard line integrating a telephone cable and a power cable of the telephone component.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구성소자는 전화회로, 전화키들, 스피커-마이크로폰, 스피커, 음량조절기, 음성기록장치, 이어폰 잭, LCD 표시판, 라디오, 계산기 회로, 계산기 기능키들, 시계 및 AC 어답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15. The apparatus of claim 14, wherein the telephone component comprises a telephone circuit, telephone keys, a speaker-microphone, a speaker, a volume controller, a voice recording device, an earphone jack, an LCD display panel, a radio, a calculator circuit, calculator function keys, a clock and an AC adapter. Keyboard-phon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키들과 LCD 표시판은 상기 손목받침대의 표면 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the telephone keys and the LCD panel are formed below the surface of the wrist rest.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키들과 LCD 표시판을 슬라이딩 가능한 키패드 뚜껑안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폰.22. The keyboard-phone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telephone keys and the LCD panel are mounted in a slidable keypad lid.
KR1019990026650A 1999-07-02 1999-07-02 A keyboard-phone system KR1003357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50A KR100335755B1 (en) 1999-07-02 1999-07-02 A keyboard-phon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6650A KR100335755B1 (en) 1999-07-02 1999-07-02 A keyboard-phon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06A KR20010008706A (en) 2001-02-05
KR100335755B1 true KR100335755B1 (en) 2002-05-08

Family

ID=19599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650A KR100335755B1 (en) 1999-07-02 1999-07-02 A keyboard-phon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7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86Y1 (en) 2013-02-12 2014-05-15 주식회사 위드조이 Wrist protection device for mouse with spe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813B1 (en) * 2001-10-17 2003-12-12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Keyboard-phone and system for offering short message service of pst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36A (en) * 1994-12-31 1996-07-20 엄길용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36A (en) * 1994-12-31 1996-07-20 엄길용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86Y1 (en) 2013-02-12 2014-05-15 주식회사 위드조이 Wrist protection device for mouse with spe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8706A (en) 200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1946A (en) Variable configuration portable telephone
EP0624021B1 (en) Portable telephone set with an earphone
US6934568B2 (en) Extending hinged flip apparatus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6567523B1 (en) Wrist-mounted telephone device
US6226501B1 (en) Radiotelephone having a primary keypad and a movable flip cover that contains a secondary keypad
KR20000034939A (en) Watch type portable radiotelephone
US6535605B1 (en) Wrist-worn cellular phone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WO2002102034A1 (en) Portable radio unit
KR100335755B1 (en) A keyboard-phone system
AU774812B2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sectioned keypad and antenna system
KR20020014143A (en) Mobile communication phone attachable and detachable of accessory
JP3361304B2 (en) Mobile phone attachment and mobile phone with attachment
US20030035537A1 (en) Multi-sectioned keypad for wrist devices
KR101337532B1 (en) Mobile terminal
JP2004207963A (en) Mobile terminal, oper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program
KR200189580Y1 (en) A keyboard-phone system to be capable of using the internet-phone
KR100297509B1 (en) Computer keyboard includes wireless telephone
KR200191872Y1 (en) Hands-free telephone having rolling unit of transceiver-cord
KR20020031572A (en) Holding device for button in portable radiotelephone
KR200273608Y1 (en) Handfree telephone
WO2002003663A2 (en) Retractable hands free device
KR20020010024A (en) Engaging structure for speaker phone in portable radiotelephone
NZ531324A (en) A wrist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connection with a multi-sectioned keypad
JPH07212822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60021166A (en) Mobile phone with earphone and hands fr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