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218B1 -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218B1
KR101154218B1 KR1020107013348A KR20107013348A KR101154218B1 KR 101154218 B1 KR101154218 B1 KR 101154218B1 KR 1020107013348 A KR1020107013348 A KR 1020107013348A KR 20107013348 A KR20107013348 A KR 20107013348A KR 101154218 B1 KR101154218 B1 KR 10115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serving
measurement report
mobile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5183A (ko
Inventor
아닐 엠. 라오
Original Assignee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카텔-루센트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00085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5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37Determination of triggering parameters for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measured or perceived resources with higher communication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의 실시예에서,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은 다운링크 상에서 다중 캐리어들 중 서빙 캐리어에 대해 모바일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경로 손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정치 보고를 모바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캐리어는 모바일이 업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캐리어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캐리어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다중 캐리어들 중 비-서빙 캐리어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모바일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S36, S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문턱값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수신된 측정치 보고에 기초하고, 상기 다중 캐리어 각각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을 갖는다.

Description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UPLINK CARRIER HANDOFF AND METHOD FOR PATH LOSS BASED TRIGGERING OF UPLINK CARRIER HANDOFF}
본 발명은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와 같은 3G 네트워크의 배치에서 운영자들이 직면한 주요 과제들 중 하나는 전체 셀(cell)에 걸쳐 사용자들에게 광대역 속도들을 제공하는 능력이다. 전형적인 네트워크 배치들에서, 셀 에지(cell edge)의 사용자들은 종종 기지국에 가까운 사용자들에 비하여 훨씬 더 작은 데이터 레이트(data rate)들로 서빙(serving)된다. 적절한 링크 버짓 계획(link budget planning) 및 셀 사이트 배치(cell site placement)가 셀 에지의 사용자들이 최소의 희망하는 데이터 레이트(예를 들어, 128 kbps 평균 처리량)를 성취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할 수 있지만, 현실은 기존의 2G 배치들로부터의 셀 사이트 위치들이 사용되어, 이와 같은 최소의 희망하는 데이터 레이트들이 성취되기 어렵도록 할 것이다.
상황을 훨씬 더 악화시키면, 2G 네트워크(예를 들어, GSM)는 850 MHz 대역에서 동작하고 있을 수 있는 반면, 3G 네트워크는 850 MHz 대역 뿐만 아니라, 1900 MHz 대역 둘 모두에서 동작하고 있다. 상위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에서 경험되는 상당히 증가된 경로 손실은 사용자가 셀 에지에서 경험할 수 있는 데이터 레이트들을 훨씬 더 제한한다; 이것은 모바일(mobile)들이 전형적으로 비교적 낮은 전력 레벨(예를 들어, 125 mW)에서 송신하기 때문에 업링크(uplink)에서 특히 문제가 된다.
무선 운영자들이 소정의 시장에서 (850 MHz와 같은) 하위 주파수 대역 뿐만 아니라, 상위 주파수 대역(1900 MHz) 둘 모두에서 스펙트럼(spectrum)을 소유할 수 있다면, 무선 운영자들은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또는 캐리어들 사이에서 모바일들을 할당 및/또는 이동시키기를 희망할 수 있다. 불행하게도, (때때로, 캐리어 핸드오프(carrier handoff) 또는 주파수간 핸드오프라고 칭해지는) 캐리어들을 스위칭하는 현재의 메커니즘(mechanism)은 수행하는데 5초가 걸리는 긴 프로세스이다. 이 유형의 지연은 잠재적으로 높은 차량 속도를 갖는 모바일 무선 환경들에서 수용 가능하지 않다.
종래의 주파수간 또는 캐리어 핸드오프는 모바일이 3GPP 사양들에 따라, 수행하는데 5초 만큼이 걸릴 수 있는 적절한 후보 캐리어(candidate carrier)들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것을 필요로 한다. 식별 프로세스는 각각의 후보 캐리어에 대해, 모바일이 제 1 동기화 채널(P-SCH) 상에서 상관 동작을 수행하는 것, 제 2 동기화 채널(S-SCH) 상에서 상관 동작을 수행하는 것, 및 제 1 공통 파일럿 채널(common pilot channel)(P-CPICH)을 수신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방법보다 더 고속인 주파수간 또는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주파수간 또는 캐리어 핸드오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 식별 프로세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 실시예에서, 주파수간 핸드오프는 종래의 프로세스보다 더 빠른 자릿수(order of magnitude)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리어 핸드오프가 400ms에서 성취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은 다운링크 상에서 다중 캐리어들 중 서빙 캐리어에 대해 모바일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경로 손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정치 보고를 모바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서빙 캐리어는 모바일이 업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캐리어이다.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캐리어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다중 캐리어들 중 비-서빙 캐리어(non-serving carrier)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모바일에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문턱값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수신된 측정치 보고에 기초하고, 상기 다중 캐리어 각각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을 갖는다.
예를 들어, 다중 캐리어들은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는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보다 주파수가 더 높다.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제 1 전력 문턱값보다 더 작은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상기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 1 전력 문턱값보다 더 작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이 송신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측정치 보고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상기 수신된 전력이 제 2 전력 문턱값보다 더 큰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상기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 2 문턱값보다 더 크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프 명령이 송신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다중-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캐리어의 다운링크 측정치들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 보고를 송신하도록 모바일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치 보고는 후보 캐리어 식별 지연 없이 수신되고, 상기 모바일은 수신된 측정치 보고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하도록 선택적으로 명령받는다.
또 다른 실시예는 측정치 보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후보 캐리어 식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다중 캐리어들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측정치 보고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방법보다 더 고속인 주파수간 또는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다른 상위 주파수 캐리어를 서빙 캐리어로서 가지는 모바일에 대해 수행된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하위 주파수 캐리어를 서빙 캐리어로서 가지는 모바일에 대해 수행된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방법에 따라 생성될 수 있는 각각의 캐리어들에 대한 커버리지 영역(coverage zone)들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들이 병기되어 있고 설명으로서만 제공되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첨부 도면들 및 이하에 제공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이제 본 발명의 일부 예시적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충분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서, 층들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화를 위하여 과장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적 실시예들이 본원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특정 구조적 및 기능적 세부사항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지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대안적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만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다양한 변경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지만, 이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에서 예로서 도시되어 있고 본원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존재하지 않고, 반대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경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커버하게 된다. 도면들의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요소들에는 동일한 번호들이 병기되어 있다.
용어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이러한 요소들이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용어들은 하나의 요소를 또 다른 요소와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제 1 요소가 제 2 요소로 칭해질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요소가 제 1 요소로 칭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및/또는"은 관련되는 목록화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어느 하나 및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요소가 또 다른 요소에 "접속되는" 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칭해질 때, 상기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결합되거나 개재된 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요소가 또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칭해질 때, 개재된 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다른 단어들(예를 들어, "사이" 대 "직접적으로 사이", "인접한" 대 "직접적으로 인접한", 등)이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다면, 복수의 형태들을 또한 포함하게 된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용어 "포함한다", "포함하는"이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및/또는 구성요소들의 존재를 지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이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점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일부 대안적인 구현예들에서, 기록된 기능들/동작들이 도면들에 기록된 순서와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도시된 2개의 도면들이 포함된 기능/동작들에 따라, 실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때때로 반대 순서로 실행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모바일"은 모바일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사용자, 사용자 장비(UE), 가입자, 사용자, 리모트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단말기, 수신기, 등과 동의어로서 간주될 수 있고, 이하에서 종종 그렇게 칭해질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자원들의 리모트 사용자를 나타낼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기지국 송수신기(BTS), 기지국, 노드B, 등과 동의어로서 간주될 수 있고/있거나, 그렇게 칭해질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들 사이의 데이터 및/또는 음성 커텍티비티(connectivity)를 제공하는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모바일 및 기지국 각각은 송신 및 수신 능력들을 가질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모바일로의 송신은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통신이라고 칭해진다. 모바일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송신은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 통신이라고 칭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캐리어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0)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에 통신적으로 결합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105)를 포함한다. 명확화를 위하여, 단일 기지국(110)만이 도시되어 있다. RNC(105)는 다수의 유선 및/또는 무선 링크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에 통신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RNC(105) 및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110) 사이에서 통과된 신호들은 라우터(router)들, 스위치들, 네트워크들,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110)은 적어도 하나의 셀(115)과 연관된다. 각각의 셀(115)은 소정의 반경을 갖는 지리적인 에어리어에 대응한다. 기지국(110)은 다중 캐리어들을 통해 송신 및 수신을 지원한다. 복수의 모바일들(120)이 언제라도 셀(11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모바일들(120)은 다운링크 상에서 기지국(110)의 하나 이상의 캐리어를 리스닝(listening)하지만, 업링크 상에서 기지국(110)의 하나의 캐리어 상에서만 송신한다. 그러나, 모바일 스테이션들(120)은 또한 다운링크 상에서 다른 기지국들로부터의 캐리어를 리스닝할 수 있다. 모바일(120)이 업링크 상에서 송신하는 캐리어는 모바일(120)에 대한 서빙 캐리어라고 칭해진다. 따라서, 서빙 캐리어는 모바일(120)의 업링크 트래픽(uplink traffic)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운링크 상에서 시그널링을 제공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 모바일(120)로의 다운링크 통신은 캐리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한 것일 수 있다. 특히, 모바일들(120)은 다중 캐리어들에 접속하여 캐리어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모바일(120)에 대해 현재 서빙 캐리어로부터 새로운 서빙 캐리어로의 핸드오프가 필요한 경우에, 모바일(120)은 핸드오프할 수 있는 후보 캐리어들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즉, 모바일(120)은 이미 서빙 캐리어 이외의 캐리어들과 접속들을 확립하였고, 후보 캐리어들의 식별과 연관된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이러한 비-서빙 캐리어들 중 하나로 핸드오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설정 동안, 모바일(120)은 캐리어들을 식별하고, (후술되는 바와 같은) 측정치 보고 요청 또는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은) 핸드오프 명령들을 수신하기 전에 캐리어들을 리스닝하기 시작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다. 도 2의 방법은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0)과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지만, 이 실시예가 도 1의 무선 전기통신 시스템(100)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도 2가 단일 모바일에 대한 방법을 설명하지만, 상기 방법이 하나 이상의 모바일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인식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성능들이 병렬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0)에서, RNC(105)가 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 상에서 행해진 다운링크 측정들에 대한 측정치 보고(들)를 제공하도록 모바일(120)에 명령한다. 응답하여, 단계(S12)에서, 모바일(120)이 다운링크에 대하여, 자신(120)이 접속되는 캐리어들 중 하나 이상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신호 파라미터들을 측정하고, 후보 캐리어들을 식별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이러한 측정들을 행한다. 결과적으로, 단계(S14)에서, RNC(105)가 모바일(120)이 후보 캐리어들의 식별을 수행해야 하는 것과 연관된 지연 없이 업링크 상에서 측정치 보고(들)을 기지국(110)을 통하여 수신한다.
단계(S16)에서, RNC(105)가 측정치 보고(들)에 기초하여 서빙 캐리어로서 비-서빙 캐리어로 스위칭하도록 모바일(120)에 명령할지를 결정한다. 측정치 보고들의 다양한 변형들 및 이러한 측정치 보고들을 사용하여 업링크 핸드오프를 판정하는 기초가 존재할 수 있고 개발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측정치 보고들 및 업링크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기초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반적인 업링크 핸드오프 방법이 이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도 2로 리턴하면, RNC(105)가 서빙 캐리어로부터 핸드오프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경우에, 프로세싱은 단계(S10)로 리턴한다. 그러나, RNC(105)가 서빙 캐리어로부터 핸드오프하도록 결정하는 경우에, RNC(105)가 단계(S18)에서 기지국(110)을 통하여 모바일(120)로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한다. 응답하여, 모바일(120)은 새로운 서빙 캐리어를 통하여 업링크 상에서 송신하기 시작할 것이다.
다음으로,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기지국(110)이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캐리어들을 지원한다고 가정하고, 하나의 캐리어가 다른 캐리어보다 상위 주파수 캐리어이다. 예를 들어, 상위 주파수 캐리어는 1900 MHz일 수 있고, 하위 주파수 캐리어는 850 MHz일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들(120)은 다운링크 상에서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 둘 모두를 리스닝하지만,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 중 하나를 통해서만 업링크 상에서 송신한다. 본 발명이 상기에 제공된 가정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 및 이러한 가정들이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해서 행해졌다는 점이 본 명세서로부터 인식될 것이다.
도 3은 상위 주파수 캐리어를 서빙 캐리어로서 가지는 모바일(120)에 대해 RNC(105)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0)에서, RNC(105)가 상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한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송신하도록 모바일(120)에 명령한다. 응답하여, 단계(S32)에서, 모바일(120)이 다운링크 상에서 상위 주파수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발생시킨다.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는 다운링크 상에서 상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하여, 모바일(120)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120)은 후보 캐리어 식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측정치 보고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모바일(120)은 다운링크 상에서 상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 코드 전력(Received Signal Code Power: RCSP)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RCSP가 제 1 전력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는지를 나타내는 보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 특정 측정치 보고 또는 보고 메커니즘은 이미 현재의 3GGP 사양에서의 EVENT 1F 보고를 통하여 지원된다.
단계(S34)에서, RNC(105)가 모바일(120)에 의해 송신되는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수신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측정치 보고는 후보 캐리어 식별 프로세스 지연 없이 수신된다. 그 후, 단계(S36)에서, RNC(105)가 측정치 보고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이 제 1 경로 손실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단계(S38)에서, RNC(105)가 하위 주파수 캐리어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모바일(120)에 송신한다. 단계(S32)와 관련하여 상술된 예시적 측정치 보고를 가정하면, 상기 측정치 보고가 측정된 RCSP가 제 1 전력 문턱값 아래로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단계(S36)에서, RNC(105)가 경로 손실이 제 1 경로 손실 문턱값을 초과하였다고 결정하고, 단계(S38)에서 하위 주파수 캐리어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모바일(120)에 송신한다.
경로 손실이 제 1 경로 손실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예를 들어, 측정치 보고가 측정된 RCSP가 제 1 전력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프로세싱이 단계(S30)로 리턴한다.
도 4는 하위 주파수 캐리어를 서빙 캐리어로서 가지는 모바일(120)에 대해 RNC(105)에 의해 수행되는 업링크 핸드오프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50)에서, RNC(105)가 하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한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송신하도록 모바일(120)에 명령한다. 응답하여, 단계(S52)에서, 모바일(120)이 다운링크 상에서 하위 주파수 캐리어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발생시킨다.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모바일(120)은 후보 캐리어 식별 프로세스를 수행하지 않고 측정치 보고를 발생시킨다.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는 다운링크 상에서 하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하여, 모바일(120)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경로 손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모바일(120)은 다운링크 상에서 하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하여 수신된 신호 코드 전력(RCSP)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RCSP가 제 2 전력 문턱값을 초과하는지를 나타내는 보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 특정 측정치 보고 또는 보고 메커니즘은 이미 현재의 3GPP 사양에서의 EVENT 1F 보고를 통하여 지원된다.
단계(S54)에서, RNC(105)가 모바일(120)에 의해 송신되는 경로 손실 측정치 보고를 수신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이 측정치 보고는 후보 캐리어 식별 프로세스 지연 없이 수신된다. 그 후, 단계(S56)에서, RNC(105)가 측정치 보고에 기초하여 경로 손실이 제 2 경로 손실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는지를 결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단계(S58)에서, RNC(105)가 상위 주파수 캐리어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모바일(120)에 송신한다. 단계(S52)와 관련하여 상술된 예시적 측정치 보고를 가정하면, 상기 측정치 보고가 측정된 RCSP가 제 2 전력 문턱값을 초과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단계(S56)에서, RNC(105)가 경로 손실이 제 2 경로 손실 문턱값 아래로 떨어졌다고 결정하고, 단계(S58)에서 상위 주파수 캐리어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모바일(120)에 송신한다.
경로 손실이 제 2 경로 손실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지 않은 경우에(예를 들어, 측정치 보고가 측정된 RCSP가 제 2 전력 문턱값을 초과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프로세싱이 단계(S50)로 리턴한다.
인식되는 바와 같이, 하위 캐리어 주파수는 감쇠됨이 없이 상위 주파수 캐리어보다 훨씬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3 및 도 4의 경로 손실 기반 업링크 핸드오프 방법은 유리하게도, 셀의 에지에 있는 모바일들(120)에 하위 주파수 캐리어(예를 들어, 850 MHz)를 할당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주파수 캐리어(1900 MHZ)를 셀의 내부 부근의 모바일들에 할당함으로써 캐리어들 상의 부하를 평형화할 수 있다. 이것은 더 유리한 캐리어 주파수 때문에 셀 에지에서의 모바일들에 대해 상위 데이터 레이트들을 허용하는 추가된 효과를 갖는다. 즉, 제 1 및 제 2 경로 손실 문턱값들, 또는 더 구체적으로, 제 1 및 제 2 전력 문턱값들이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 커버리지 영역들의 크기를 확립하기 위하여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 사이의 전파 특성들의 차이들에 기초하여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리지 영역들은 상기 영역들의 중첩을 실질적으로 감소 또는 제거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위 주파수 캐리어가 1900 MHz이고 하위 주파수 캐리어가 850 MHz라고 가정하면, 이러한 2개의 캐리어들 사이에 10 dB 경로 손실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커버리지 영역들에서 감소 또는 제거된 중첩을 성취하기 위하여 제 2 전력 문턱값이 제 1 전력 문턱값 더하기 10 dB와 동일하게 세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전력 문턱값들은 히스테리시스 효과(hysteresis effect)를 확립하고 모바일이 2개의 캐리어들 사이를 핑-퐁(ping-pong)하지 않도록 세팅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단일 기지국으로부터의 캐리어에 대한 캐리어간 핸드오프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핸드오프 방법들이 다수의 기지국들로부터의 캐리어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핸드오프 방법이 RNC로서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이 기지국,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이와 같이 설명되기 때문에, 상기 본 발명이 많은 방식들로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이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들이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며, 모든 이와 같은 변경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 된다.

Claims (11)

  1. 다중 캐리어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에 있어서,
    다중 캐리어는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하위 주파수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는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보다 주파수가 더 높고,
    다운링크 상에서 상기 다중 캐리어들 중 서빙 캐리어에 대해 모바일에서 측정된 경로 손실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측정치 보고를 상기 모바일로부터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수신하는 단계(534)로서, 상기 서빙 캐리어는 상기 모바일이 업링크 상에서 통신하는 캐리어인, 상기 수신 단계(534); 및
    상기 서빙 캐리어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이 충족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다중 캐리어들 중 비-서빙 캐리어(non-serving carrier)로 핸드오프하도록 하는 명령을 상기 모바일에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536, 538)로서, 상기 문턱값 요건의 충족은 수신된 경로 손실에 기초하고, 상기 다중 캐리어 각각은 연관된 문턱값 요건을 가지는, 상기 송신 단계(536, 538)를 포함하고,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에 대한 상기 연관된 문턱값 요건들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 및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의 전파 특성들의 차이들에 기초하여 확립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제 1 전력 문턱값보다 더 작은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 1 전력 문턱값보다 더 작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제 2 전력 문턱값보다 더 큰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제 2 전력 문턱값보다 더 크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전력 문턱값보다 더 큰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수신된 전력이 상기 전력 문턱값보다 더 크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제 1 문턱값보다 더 큰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상기 제 1 문턱값보다 더 크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제 2 문턱값보다 더 작은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상기 제 2 문턱값보다 더 작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인 경우에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문턱값보다 더 작은지를 나타내는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측정치 보고가 상기 서빙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상기 문턱값보다 더 작고 상기 서빙 캐리어가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 핸드오프 명령을 송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는 후보 캐리어 식별 지연 없이 상기 측정치 보고를 수신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주파수 캐리어를 셀의 에지(edge)에 있는 상기 모바일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 주파수 캐리어를 셀의 내부 부근에 있는 상기 모바일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방법.
KR1020107013348A 2007-12-19 2008-12-15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KR101154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000,967 US8515425B2 (en) 2007-12-19 2007-12-19 Uplink carrier handoff and method for path loss based triggering of uplink carrier handoff
US12/000,967 2007-12-19
PCT/US2008/013702 WO2009085128A1 (en) 2007-12-19 2008-12-15 Uplink carrier handoff and method for path loss based triggering of uplink carrier handof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5183A KR20100085183A (ko) 2010-07-28
KR101154218B1 true KR101154218B1 (ko) 2012-06-18

Family

ID=4053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348A KR101154218B1 (ko) 2007-12-19 2008-12-15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515425B2 (ko)
EP (1) EP2232917B1 (ko)
JP (1) JP5109203B2 (ko)
KR (1) KR101154218B1 (ko)
CN (1) CN101904199B (ko)
AT (1) ATE536719T1 (ko)
AU (1) AU2008343965A1 (ko)
BR (1) BRPI0821610A2 (ko)
IL (1) IL206027A0 (ko)
MX (1) MX2010006233A (ko)
RU (1) RU2010129110A (ko)
WO (1) WO20090851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11555B2 (en) * 2008-03-13 2013-04-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Quality based handover procedure between co-located cells
EP2262334B1 (en) * 2008-03-31 2020-03-25 Sharp Kabushiki Kaisha 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apparatus
JP5173667B2 (ja) * 2008-08-11 2013-04-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ユーザ装置、無線基地局及び方法
US9271204B2 (en) * 2008-11-17 2016-02-23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management based on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US9491671B2 (en) * 2008-11-17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EP2285036A1 (en) * 2009-08-12 2011-02-16 Alcatel Lucent Method of reporting scheduling information
PL2472965T3 (pl) 2009-09-15 2017-06-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Sposób przetwarzania synchronizacji połączenia wstępującego, urządzenie użytkownika i stacja bazowa
US9014141B2 (en) 2010-04-29 2015-04-2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arrier-aggregation-based handover method
KR101699023B1 (ko) * 2010-07-14 2017-01-23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핸드오버의 수행장치 및 방법
US8798636B2 (en) 2011-03-28 2014-08-05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ier selection and scheduling in wireless systems
CN102300253B (zh) * 2011-07-18 2014-10-08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上行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EP2764717B1 (en) * 2011-10-07 2017-04-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ing form factor information in radio network operations
EP2806691A1 (en) 2013-05-24 2014-11-26 Fujitsu Limited Cell handover and activation in heterogeneous networks
EP2830240B1 (en) * 2013-07-26 2015-10-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election of a radio cell sector
US9521602B2 (en) * 2013-08-09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of high frequency communications in a low frequency wireless network
EP3197218B1 (en) 2014-11-28 2020-10-1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allocating multiple component carriers,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9609651B1 (en) 2015-01-08 2017-03-28 Sprint Spectrum L.P. Exchanging uplink and downlink carrier frequencies
US9363713B1 (en) * 2015-05-18 2016-06-07 Sprint Spectrum L.P. Exchange of network signaling values between base stations to improve handover performance
CN108810944B (zh) * 2017-05-04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载波切换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CN111525996B (zh) * 2017-09-08 2022-02-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KR20200052314A (ko) 2017-09-08 2020-05-14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기기
CN111432442B (zh) * 2019-01-09 2021-09-14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上行载波的切换方法和装置
CN112188543B (zh) * 2019-07-01 2022-07-01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Srvcc切换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4950A2 (en) * 2005-08-26 2007-03-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s in an ofdm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1506B1 (en) * 1999-01-21 2003-08-26 Lucent Technologies Inc. Enhanced channel allocation among multiple carriers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519461B1 (en) * 1999-10-29 2003-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type switching from a common channel to a dedicated channel based on common channel load
US6690936B1 (en) * 2000-10-31 2004-02-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ir-interface effici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EP1220557A1 (en) 2000-12-29 2002-07-03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a communication resource
GB2384391A (en) * 2002-01-09 2003-07-23 Hewlett Packard Co Load balancing in data transfer networks
US20030224730A1 (en) 2002-04-29 2003-12-04 Peter Muszynski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on of downlink carriers in a cellular system using multiple downlink carriers
US20040022217A1 (en) * 2002-04-29 2004-02-05 Sari Korpela Method and apparatus for soft handover area detection using inter-band measurements
US7363039B2 (en) * 2002-08-08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7453912B2 (en) * 2004-04-15 2008-11-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multiple carriers based on signal energy measurements
CN101044705A (zh) 2004-10-07 2007-09-26 夏普株式会社 基站装置、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发送方法
KR100957314B1 (ko) * 2005-02-16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셀룰라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트래픽 로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1850610A4 (en) 2005-02-18 2010-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MULTIBAND RADIOCOMMUNIC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7616956B2 (en) 2005-03-15 2009-11-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request report extensions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20090323637A1 (en) * 2006-07-28 2009-12-31 Kyocera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Controller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2008219446A (ja) * 2007-03-05 2008-09-18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端末
US8391192B2 (en) * 2007-05-14 2013-03-05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switching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4950A2 (en) * 2005-08-26 2007-03-0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ells in an ofdm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36719T1 (de) 2011-12-15
CN101904199A (zh) 2010-12-01
BRPI0821610A2 (pt) 2016-05-03
IL206027A0 (en) 2010-11-30
US8515425B2 (en) 2013-08-20
JP2011508515A (ja) 2011-03-10
EP2232917B1 (en) 2011-12-07
CN101904199B (zh) 2013-07-24
KR20100085183A (ko) 2010-07-28
AU2008343965A8 (en) 2010-07-01
JP5109203B2 (ja) 2012-12-26
AU2008343965A1 (en) 2009-07-09
MX2010006233A (es) 2010-09-30
EP2232917A1 (en) 2010-09-29
WO2009085128A1 (en) 2009-07-09
RU2010129110A (ru) 2012-01-27
US20090163208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4218B1 (ko)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 및 업링크 캐리어 핸드오프의 경로 손실 기반 트리거링을 위한 방법
KR101184195B1 (ko) 다중-캐리어 시스템들에서 업링크 커버리지를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9462514B2 (en) Configuration of HS-DSCH serving cell change improvements
US9635595B2 (en) Radio base station, method in a radio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method in a relay station
JP4720977B2 (ja) 基地局制御装置、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近隣セルリストフィルタリング方法
US8135407B2 (en) Network evaluated hard hardover using predictions
US10952090B2 (en) Signal measurement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user equipment
KR101140236B1 (ko)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및 모바일 사용자 단말과 접속을위해 기지국 안테나들을 선택하는 방법
WO2009108723A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wireless service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hang et al. Adaptive handoff initiation method for improving throughput in data-oriented communication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