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057B1 -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057B1
KR101154057B1 KR1020050062257A KR20050062257A KR101154057B1 KR 101154057 B1 KR101154057 B1 KR 101154057B1 KR 1020050062257 A KR1020050062257 A KR 1020050062257A KR 20050062257 A KR20050062257 A KR 20050062257A KR 101154057 B1 KR101154057 B1 KR 10115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zer
distance
light
output unit
ligh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562A (ko
Inventor
이건학
이종창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0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24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fixed angles and a base of variable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에서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식장치에 있어서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확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인식장치의 인식자 인식 가능 거리 또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에 있어서 거리확인 장치는 인식 가능한 거리에 있는 상기 인식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인식부의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한 각도로 가시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RFID, 인식장치, 인식자, 휴대단말기, 레이저, LED

Description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READER HAVING RANGE CHECK APPARATUS}
도 1은 인식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단말기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의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가시광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확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방식을 이용하는 인식자 수단 또는 스마트 카드의 사용자들은 인식장치가 상기 인식자 수단 또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할 때까지 이를 계속해서 인식장치에 근접시키고 기다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인식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단말기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인식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의 경우 인식 가능 영역에 인식자가 없으면 상기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인식장치를 인식자에 근접시키거나 인식장치의 방향을 계속 변경하는 등의 동작을 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양한 값을 가지는 인식자들이 특정 공간에 응집해 있을 경우에 사용자는 그 중의 한 인식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인식장치의 방향을 정확히 조준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대략 눈짐작으로 그 방향을 조준하기 때문에 원하는 인식자를 쉽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식장치에 있어서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확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에 있어서 거리확인 장치는 인식 가능한 거리에 있는 상기 인식자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인식부의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한 각도로 가시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 이 상의 광출력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의 정면도이다.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는 인식 가능한 거리에 있는 인식자를 인식하는 인식부(100)와 거리확인 장치를 위해 구비되는 광출력부를 구동시키는 거리측정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거리측정 구동부(200)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광출력부가 구동되므로 필요시에만 거리확인 장치를 이용하여 가시광 출력으로 인한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인식부(100)의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한 각도로 가시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를 포함한다.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일정한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레이저를 출력할 수 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빛을 발광하는 램프에도 빛을 한 곳으로 집중시키는 렌즈를 구비시켜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를 구현할 수 있 다. 한편, 도 2의 실시예에서는 광출력부를 2개로 예를 들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광출력부는 2개 이상이 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상기 인식부(100)의 상, 하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지만, 이와 다르게 좌, 우로 배치될 수 도 있다.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상호 빛의 방향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모양의 빛 분출구로 구비해 각각 상이한 모양으로 가시광을 출력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상기 광출력부A(300)는 '-'자 모양의 빛 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출력부B(310)는 'o'자 모양의 빛 분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광출력부A(3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은 '-' 자가 되고, 상기 광출력부B(310)에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은 'o'자가 된다. 또한,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상호 빛의 방향성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색으로 가시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 서로 상이한 색의 렌즈 또는 필터를 구비시키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인식장치의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상기 인식부(100)의 상, 하에 소정 간격을 두고 일정한 각도로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소정 간격과 일정한 각도는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 교차점이 생성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면, 상기한 구성의 인식장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모습을 도 4의 측면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가 구비된 인식장치에서 가시광을 출력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인식장치의 인식부(100)의 상, 하에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각각 상이한 모양 또는 색의 가시광을 출력한다.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각각 출력되는 가시광은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교차점을 생성한다. 즉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상기 광교차점이 생성될 수 있도록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는 상호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며 배치된 각도에 따라 상호간의 소정 간격이 결정된다. 그러면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거리에 광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해서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가시광의 모습을 도 5의 예시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확인 장치의 광출력부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가시광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빛의 직진성과 반사성을 이용하는 발명으로써, 빛의 직진성에 의해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각각 출력되는 2개의 가시광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다. 상기 일정한 각도는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광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해서 설계된 수치로써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가시광은 상기 최대 인식 가능 거리인 s2에서 교차된다. 즉 인식장치에서 s2까지의 거리는 인식장치가 인식자 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가 되고 s2를 초과한 거리는 인식자를 인식할 수 없는 거리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가시광은 빛의 반사성에 의해 인식자의 면에 도달하면 그 빛의 모양이 나타난다. 상기 빛의 모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 구비된 빛 분출구에 따라 결정되며 빛의 색 역시 빛 분출구에 구비된 랜즈 또는 필터에 따라 결정된다.
가시광이 도달한 상기 인식자의 면에 나타나는 각각의 빛 모양의 배치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식자가 인식장치와 떨어진 거리에 따라 변경된다. 즉 거리 s1에 인식자가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각각 출력되는 가시광은 최대 인식 거리인 s2에 도달하기 전에 s1에 위치한 상기 인식자의 면에 반사됨으로써 a와 같이 상호 떨어져 배치된 빛의 모양이 나타난다. 즉 상기 광출력부A(3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이 'o'자이고, 상기 광출력부B(3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이 '-'이므로 a와 같은 모양이 인식자의 면에 나타난다. 사용자는 상기 인식자의 면에 나타난 a와 같은 모양을 보고 인식자가 인식장치의 인식 거리 내에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식자가 s2, 즉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배치되어 있으면,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각각 출력되는 가시광은 s2 지점에서 교차된다. 즉 s2 지점에서 광교차점이 생성됨으로써 b와 같이 상기 광출력부A(3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 'o'와 상기 광출 력부B(300)에서 출력되는 가시광의 모양 '-'이 겹쳐진다.
반면에, 상기 인식자가 s3 또는 s4, 즉 상기 인식부(100)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최대 인식 가능 거리인 s2를 벗어나면 인식자의 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빛의 모양은 c 또는 d와 같다. 여기서, 인식자의 면이 인식장치와 거리가 멀어지면 상기 인식자의 면에 나타나는 'o' 모양과 '-'모양의 거리는 비례적으로 멀어짐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식자의 면에 나타난 'o' 모양과 '-' 모양의 거리를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인식자가 인식 거리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인식자의 면에 c 또는 d와 같은 모양이 나오면, 사용자는 인식자가 인식장치의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서 벗어났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인식장치를 인식자로 가깝게 이동시켜 인식장치가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동작을 취할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광출력부A(300)와 광출력부B(310)에서 각각 출력되는 가시광이 인식자가 아니라도 소정의 면에 반사되어 나타나는 모양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까 기존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던 인식장치의 인식자 인식 거리를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인식장치에 있어서 인식자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정보를 제공하는 거리확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인식장치의 인식자 인식 가능 거리 또는 지점을 확인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눈으로 인식장치의 인식자 인식 가능 지점을 확인할 수 있으니까 인식장치를 정확하게 인식자를 향해 조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레이저 등을 가시광으로 이용하면 본 발명은 원거리 인식장치에서도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리확인 장치는 저전력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종래에 인식장치가 인식자를 인식하지 못해서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인식자치를 인식자에 접근시키는 것에 비해 절전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인식장치의 인식자 인식 가능 거리를 확인함으로써 다양한 값을 가지는 인식자들이 특정 공간에 응집해 있을 경우에도 인식자를 향해 인식장치를 정확히 조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인식장치가 내장된 휴대단말기 사용자는 매장에 진열된 제품 표면에 부착된 인식자를 인식할 때 보다 편리하게 조준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인식자를 인식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인식장치에서 상기 인식자의 인식을 위한 거리확인 장치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상기 인식자의 인식 가능 거리에 광 교차점을 생성하기 위한 각도로 미리 정해진 모양의 가시광을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광출력부와,
    상기 인식장치와 상기 인식자와의 거리 확인을 위해 상기 광출력부를 구동하는 거리 측정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광출력부는 각각 출력하는 빛이 상호 다른 모양이 되도록 상호 다른 모양의 빛 분출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광출력부는 각각 출력하는 빛은 상호 다른 색이 되도록 상호 다른 색의 렌즈 또는 필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레이저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LED(Light Emitting Diode)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출력부는 빛을 한곳으로 집중시키는 렌즈를 구비한 램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교차점은 상기 인식자의 최대 인식 가능 거리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확인 장치.
KR1020050062257A 2005-07-11 2005-07-11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KR10115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57A KR101154057B1 (ko) 2005-07-11 2005-07-11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57A KR101154057B1 (ko) 2005-07-11 2005-07-11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562A KR20070007562A (ko) 2007-01-16
KR101154057B1 true KR101154057B1 (ko) 2012-06-11

Family

ID=38010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257A KR101154057B1 (ko) 2005-07-11 2005-07-11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0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02A (ko) * 2015-03-25 2016-10-06 허봉식 운동 경기용 거리 표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529A (ja) 2002-06-25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レーザー測距装置及び方法
JP2004157065A (ja) 2002-11-08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レーダ装置
JP2004361261A (ja) 2003-06-05 2004-12-24 Mitsutoyo Corp 距離検出装置
KR20050103562A (ko) * 2004-04-26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맞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529A (ja) 2002-06-25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レーザー測距装置及び方法
JP2004157065A (ja) 2002-11-08 2004-06-03 Nissan Motor Co Ltd レーダ装置
JP2004361261A (ja) 2003-06-05 2004-12-24 Mitsutoyo Corp 距離検出装置
KR20050103562A (ko) * 2004-04-26 2005-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맞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4902A (ko) * 2015-03-25 2016-10-06 허봉식 운동 경기용 거리 표시장치
KR101679143B1 (ko) * 2015-03-25 2016-11-23 허봉식 운동 경기용 거리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562A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67404B1 (en) Imaging and peripheral enhancements for mobile devices
EP2945095B1 (en) Indicia-reader housing with an integrated optical structure
KR20170100015A (ko) 차량용 표지판 식별 시스템
USRE36528E (en) Optical scanning head
US5448659A (en) Waveguide-type image transmission device and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EP3115924B1 (en) Scanner including a switchable mirror
KR20030070184A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US11574137B2 (en) Handheld ID-reading system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assembly
US10192155B2 (en) Multi-dimensional barcode and method of, and system for, electro-optically reading the barcode by image capture
US20170124375A1 (en) Fingerprint image capturing device and fingerprint image capturing module thereof
ES2936433A2 (es) Lectores de códigos de barras con una o varias cámaras 3D
EP2575073A2 (en) Control of an imaging scanner
KR101154057B1 (ko) 거리확인 장치를 구비한 인식장치
JP2009508163A (ja) 電気光学読取り機における非重金属の光学的帯域通過フィルタ
US10803267B2 (en) Illuminator for a barcode scanner
US9704007B2 (en) Illumination with wedge-shaped optical element
KR100557037B1 (ko) 홍채 인식 시스템의 눈위치 표시장치
KR101335915B1 (ko) 얼굴인식장치
JP2005122440A (ja) 光学情報読取装置
US10216969B2 (en) Illuminator for directly providing dark field and bright field illumination
CN116976373A (zh) 对彩色条形码进行解码
US20020134914A1 (en) Uniform data card illumination for optical reader
EP3296919B1 (en) Machine-readable symbol reader with distributed illumination and/or image capture
KR200324925Y1 (ko) 바코드정보처리장치용 바코드스캐너 및 바코드정보처리장치
TWM496811U (zh) 雙視窗二維條碼掃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