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777B1 - 걸레받이 - Google Patents

걸레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777B1
KR101153777B1 KR1020090075416A KR20090075416A KR101153777B1 KR 101153777 B1 KR101153777 B1 KR 101153777B1 KR 1020090075416 A KR1020090075416 A KR 1020090075416A KR 20090075416 A KR20090075416 A KR 20090075416A KR 101153777 B1 KR101153777 B1 KR 101153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board
main body
wall
co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772A (ko
Inventor
윤정환
Original Assignee
윤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환 filed Critical 윤정환
Priority to KR102009007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7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걸레가 벽면에 접촉하여 벽지가 지저분해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단위의 유닛이 다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유닛은 벽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방을 개폐하여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공간으로 전선 등을 수납할 수 있어 벽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못과 같은 걸레받이의 고정부재가 외면 드러나지 않으며, 걸레받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들을 수납할 수 있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걸레받이, 덮개, 수납

Description

걸레받이{Baseboard}
본 발명은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걸레가 벽면에 접촉하여 벽지가 지저분해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벽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못과 같은 걸레받이의 고정부재가 외면에 드러나지 않으며, 걸레받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들을 수납할 수 있는 걸레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걸레받이란, 청소용 걸레 등으로 바닥을 청소할 때 걸레가 벽면에 접촉하여 벽지가 지저분해지거나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벽체와 바닥면이 맞닿는 부위에 맞대어 설치하는 띠형상의 마감재로서 주로 일반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빌딩, 상가 등에 활용된다.
또한, 걸레받이는 벽 마감재와 바닥 마감재가 만나는 부분을 명확히 구분해주는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벽과 바닥재가 만나는 부분에서의 미관상, 기능상의 오차를 가려 주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들어, 강화 마루의 경우는 마루의 수축. 팽창으로 인해 벽에서 최소 8mm이상 반드시 띄워야 하는데 이 경우 발생하는 틈새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벌레나 먼지 같은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걸레받이를 활용하여 미관을 수려하게 하고 틈새를 막을 수 있게 한다.
종래의 걸레받이는 일반주택이나 아파트에 사용될 경우 바닥이 장판일 때는 비닐, 목재 재질 또는 PVC나 MDF 등의 재료를 주로 사용하며, 바닥이 온돌마루 또는 강화마루일 경우엔 바닥재가 나무 분위기인 만큼 원목이나 원목 무늬의 필름을 입힌 MDF를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공공건물이나 아파트, 상가 등에 사용될 경우 바닥재가 대리석이나 비닐 재질일 때는 걸레받이도 같은 재질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바닥 또는 벽이 어떠한 마감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특정한 재질과 형성의 걸레받이를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재질과 형성의 걸레받이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목재 또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는 걸레받이는 벽체의 하단부에 접착제를 도포시켜 접착하거나 못을 박아 간단하게 고정시켜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걸레받이를 접착제로서 벽체의 하단부에 접합시켜서 설치하는 경우에는, 실내외간의 온도차에 의하여 벽체에 습기가 발생 됨에 따라 쉽게 탈락 되고, 걸레받이를 못으로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그 걸레받이의 외면에 못 자국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걸레받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들로 인해 미관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벽체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고 못과 같은 걸레받이의 고정부재와 내부 공간이 외면에 드러나지 않으며, 걸레받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들을 수납할 수 있는 걸레받이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와 바닥면이 맞닿는 부위에 덧대어 걸래가 벽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단위의 유닛이 다수개 연결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유닛은 벽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방을 개폐하여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의 공간에 전선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는 벽면을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벽체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벽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 등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다수개의 걸레받이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설치 또는 사용 중 걸레받이를 보수하거나 교체해야될 때 문제가 되는 부분만을 제거하고 새로운 걸레받이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적이며 경제적이다.
그리고,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어떠한 곳에 사용되는 선인지 쉽게 선별할 수 있으므로 전선관리가 용이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발명에 의하여 외부로 전원을 인출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절곡된 벽체에서 사용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걸레받이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는 벽체에 결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전방을 개폐하는 덮개(20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되 전선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이 개구되고,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는 전선 등이 벽체를 따라 지나갈 수 있도록 양측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00)는 후면이 벽체에, 저면이 바닥에 밀착고정되는데, 벽체 하단 또는 바닥과 같이 외부 충격을 많이 받을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되는 걸레받이의 특성상 강한 충격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강력 접착제으로 부착하거나 못을 박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덮개(200)는 본체부(100)의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개구된 전방에 형성되되, 전선 등을 수납하거나 빼내기 편하도록 개폐될 수 있게 형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는 전방과 양측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가지되, 상단면은 위에서 바라봤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200)는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이 'ㄱ'형상을 가지되, 상단면이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면에 형성된 절곡된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으로 일부면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의 상단면에 절곡된 부분으로 덮개(200)의 돌출되게 형성된 일부면이 삽입되어, 개구된 본체부(100)의 전방을 덮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부(100)는 절곡된 부분의 내측 모서리 양단에는 축결합홈(102)이 형성되고, 덮개(200)는 끝단 모서리의 양단에는 축결합돌기(202)가 형성되어, 상기 축결합홈(102)으로 상기 축결합돌기(202)가 끼워져 축결합됨으로서 상기 덮개(200)가 위로 회전을 하며 본체부(100)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기존의 걸레받이는 설치 또는 사용 중 제품 불량, 파손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할 경우 걸레받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모두 제거하고 새롭게 설치해야 하므로 비생산적이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벽면을 따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본체부(100)를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 본체부(100)는 일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홈(104)를 형성하고, 반대측면의 상단과 하단에 결합돌기(106)가 형성되어, 하나의 본체부(100)에 형성된 결합홈(104)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100)의 결합돌기(106)가 억지끼움됨으로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 또는 사용 중 걸레받이를 보수하거나 교체해야될 때 문제가 되는 부분만을 제거하고 새로운 걸레받이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걸레받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떠한 면적을 가지는 공간에도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부(100)에는 벽면을 따라 지나가는 전선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빈 공간에 여러 전선이 수납되면 수납되는 과정에서 서로 얽히게 되어 전선의 선별이 어려워지고 밀폐된 공간에 쌓여 있기 때문에 수납공간으로 습기가 차거나 분진이 발생되면 합선 등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걸레받이는 벽면을 따라 지나가는 다양한 종류의 전선을 수납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홀더(302)가 균일적으로 배치된 홀더판(300)이 구성된다.
그러므로,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선을 얽히지 않고 깔끔 하게 정리할 수 있어 어떠한 곳에 사용되는 선인지 쉽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홀더판(300)은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탈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바,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후크홈(108)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판(300)에는 후방으로 후크돌기(304)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홈(108)에 상기 후크돌기(304)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벽면 하단에 위치한 걸레받이에 전선 등을 수납하기 위해 힘들게 엎드려 작업을 할 필요 없이 홀더판(300)을 떼어내어 편한 자세에서 전선을 정리한 후 본체부(10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홀더판(300)은 전방을 개폐할 수 있는 홀더덮개(306)가 구성되어,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먼지 등이 전선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덮개(306)는 홀더판(300)의 전방이 개폐되도록 홀더판(300)의 하단에 축결합되어, 홀더덮개(306)를 개방시켜 전선을 수납하고 홀더덮개(306)를 폐쇄시킨 후 홀더판(300)을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결합시킨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는 벽면을 따라 견고하게 고정되어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에도 벽체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벽체를 따라 지나가는 전선 등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구된 본체부(100)의 전방을 가릴 수 있는 덮개(200)가 구성되어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 실내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다수개의 본체부(100)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설치 또는 사용 중 걸레받이를 보수하거나 교체해야될 때 문제가 되는 부분만을 제거하고 새로운 걸레받이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기존의 걸레받이에 비하여 생산적이며 경제적이다.
그리고,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 어떠한 곳에 사용되는 선인지 쉽게 선별할 수 있으므로 전선관리가 용이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걸레받이는 단순히 전선을 내부에 수납하는것 뿐 아니라 전원을 내부에서 직접 제공하거나 전선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콘센트가 형성된 부분에 설치되는 걸레받이는 덮개(200)의 상단에 개폐창(204)이 천공되게 형성되어, 상기 개폐창(204)을 통해 콘센트로부터 시작되는 전선이 삽입되거나 내부로 지나가는 전선 중 콘센트에 끼워지는 전선이 돌출되어 콘센트에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덮개(200)는 상기 개폐창(204)을 개폐할 수 있는 창덮개(206)가 구비되는데, 사용시에는 개방시켜 전선을 돌출시키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내부가 드러나지 않도록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200)는 상기 창덮개(206)가 끼워지는 호형상의 가이드홈(208)이 형성되어, 창덮개(206)가 가이드홈(208)을 따라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하며 개폐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창덮개(206)는 호 형상의 가이드홈(208)과 동일한 호형상의 플라스틱 재질을 가지거나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00)의 전면부에는 내측으로 지나가는 전선의 삽입과 돌출이 가능하도록 전선홈(210)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홈(210)은 다양한 형태의 전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선의 사용 빈도에 따라 적합한 갯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면에는 콘센트가 자체적으로 구비되어 벽체의 전원연결선에 연결되면서, 내부에 수납되는 전선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내부에서 직접 전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전선홈(210)으로 플러그를 삽입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 구조의 특성, 실내 배선 방식 등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걸레받이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전선이 외부로 돌출될 필요없이 내부에서 직접 공급받을 수 있어 실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 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는 절곡된 벽체에서도 서로 분리됨이 없이 상호 연결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기 본체부(100)가 축결합으로 서로 연결되어 회동될 수 있다.
다수개의 본체부(100) 중 하나 이상의 본체부(100) 일측면 양단에 수평홈(110)을 형성하고, 또 다른 하나 이상의 본체부(100) 일측면 양단에 돌기(112)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홈(110)이 형성된 본체부(100)와 돌기(112)가 형성된 본체부(100)가 축결합됨으로서 연결되는 바, 연결된 두 개의 걸레받이를 꺾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한 쌍의 걸레받이를 절곡된 벽체의 절곡된 각도에 대응되게 회전시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걸레받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구조의 특성, 배선 방식 등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걸레받이를 선택적으로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실내 구조에도 설치할 수 있어 높은 효용성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걸레받이의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외부로 전원을 인출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절곡된 벽체에서 사용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걸레받이가 실제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부 200 : 덮개
206 : 창덮개 300 : 홀더판

Claims (9)

  1. 단위의 유닛이 벽체와 바닥면이 맞닿는 부위에 다수개 연결되어 걸래가 벽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레받이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벽체에 부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방을 개폐하여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덮개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의 공간에 전선이 수납되되,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평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수평홈에 대응되는 1개 이상의 돌기가 구비되어 한 쌍의 유닛을 힌지결합하여 절곡된 벽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시켜 설치할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덮개는 상부에서 축결합하여 덮개의 하중에 의해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3. 제 1항에 있어서,
    단위의 유닛은 공통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임의의 유닛을 선택적으로 분리연결가능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돌기와 타측에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여 구비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결합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의 공간에서는 전선을 고정하는 홀더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홀더판이 본체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판에는 하부에서 축결합하는 홀더덮개가 부가로 구비되어 홀더덮개의 하중에 의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창덮개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내부의 공간을 지나는 전선이 인출되는 개폐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창덮개는 상기 개폐창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벽체의 전원공급선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센트가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레받이.
KR1020090075416A 2009-08-14 2009-08-14 걸레받이 KR101153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16A KR101153777B1 (ko) 2009-08-14 2009-08-14 걸레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416A KR101153777B1 (ko) 2009-08-14 2009-08-14 걸레받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72A KR20110017772A (ko) 2011-02-22
KR101153777B1 true KR101153777B1 (ko) 2012-06-05

Family

ID=43775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416A KR101153777B1 (ko) 2009-08-14 2009-08-14 걸레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6325B (zh) * 2018-04-08 2023-12-12 博洛尼智能科技(青岛)有限公司 一种踢脚线及其安装结构
CN110499896A (zh) * 2018-05-16 2019-11-26 深圳市君盈建筑科技有限公司 集成有弱电电线的踢脚线系统及具有该系统的墙板
CN111998424A (zh) * 2020-09-17 2020-11-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控制装置及踢脚线电暖器
KR200496102Y1 (ko) * 2021-07-02 2022-11-03 주식회사 성원이엔텍 조립형 플라스틱 걸레받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57Y1 (ko) * 2000-05-03 2000-11-01 현대합성목재주식회사 전선배선용 걸레받이구조
KR100679933B1 (ko) * 2006-11-15 2007-02-08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구조
KR100753004B1 (ko) * 2007-05-17 2007-08-30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257Y1 (ko) * 2000-05-03 2000-11-01 현대합성목재주식회사 전선배선용 걸레받이구조
KR100679933B1 (ko) * 2006-11-15 2007-02-08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조립식 걸레받이구조
KR100753004B1 (ko) * 2007-05-17 2007-08-30 (주)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772A (ko) 2011-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777B1 (ko) 걸레받이
CA2817246C (en) Vacuum assembly
WO2008113002A1 (en) Cleaning utensil with flexible peripheral regions
TW200538079A (en) Cleaning tool and holding member used for the same
KR200201257Y1 (ko) 전선배선용 걸레받이구조
KR100753004B1 (ko) 공동주택 실내용 걸레받이 구조
KR200466368Y1 (ko) 창틀 청소용 솔
KR100938174B1 (ko) 선박용 걸레받이
CN202636822U (zh) 铝合金窗底槽清洁器
KR200455515Y1 (ko)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
KR20100090857A (ko) 걸레받이
CN206673195U (zh) 一种插座
KR101240671B1 (ko) 거울 고정장치
KR20100122708A (ko) 걸레받이
RU2376925C2 (ru) Пылесос с конструктив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из вспученного полипропилена
KR101442182B1 (ko) 청소도구 거치장치
KR200473215Y1 (ko) 우산꽂이
KR200442992Y1 (ko) 건물 출입구의 벽면 부착형 신발받침대
KR100462246B1 (ko) 청소용구함
JP6311208B2 (ja) 洗面化粧台
KR100497641B1 (ko) 주방 가구용 걸레받이
CN216962372U (zh) 壁挂式夹持型置物架
CN215670814U (zh) 一种线槽式踢脚线
JPH1126115A (ja) 壁埋込コンセント
KR20070000458U (ko) 상하 탈부착 걸레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