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548B1 -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548B1
KR101153548B1 KR1020090026472A KR20090026472A KR101153548B1 KR 101153548 B1 KR101153548 B1 KR 101153548B1 KR 1020090026472 A KR1020090026472 A KR 1020090026472A KR 20090026472 A KR20090026472 A KR 20090026472A KR 101153548 B1 KR101153548 B1 KR 10115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ontact
roll
plating bat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035A (ko
Inventor
전형일
문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26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548B1/ko
Publication of KR2010010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23C2/00342Moving elements, e.g. pumps or mixers
    • C23C2/00344Means for moving substrates, e.g. immersed rollers or immersed 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23C2/52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with means for measuring or sen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용융아연도금욕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에 잠겨 있는 도금조 롤의 샤프트가 장착되는 부쉬의 마모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는 도금조 롤의 샤프트와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가 편심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를 구비한 접촉유닛; 상기 접촉유닛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편심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를 측정토록 제공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접촉유닛이 연결되고, 측정유닛이 내장되며, 도금조의 도금액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토록 냉각기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러한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에 의하면, 접촉유닛과 측정유닛을 통해 도금조 롤의 샤프트 편심 여부를 측정하여 도금조 롤이 장착되는 부쉬의 마모 상태를 진단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적시에 부쉬를 교환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도금조 롤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요철부에 의해 승강되는 접촉유닛의 이동거리를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하여 도금조 롤과 강판의 슬립유무를 알 수 있어 슬립 발생시 부쉬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융아연도금욕조, 도금조 롤, 편심, 부쉬

Description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APPARATUS FOR CHECKING DRIVE STATE OF ROLL WHICH IS PORVIDED INSIDE GALVANIZING BATH}
본 발명은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섭씨 460도 내외의 용융아연도금조에 담겨져 강판을 안내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의 용융아연도금공정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annealing) 처리된 강판(S)을 아연도금조(10)의 용융아연 속으로 통과시켜 강판(S)의 양면에 아연도금을 하는 공정이다.
이러한 공정에서 강판(S)은 스나우트(20)를 통과하여 아연도금조(10)로 유입되고, 이후 강판(S)은 도금조 롤(30), 예를 들어 싱크롤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하여 아연도금조(10)로부터 유출된다.
아연도금조(10)로부터 빠져나온 강판(S)의 양면에는 용융아연도금액이 코팅되고, 이후 에어 나이프(40) 사이를 강판(S)이 통과하여 아연도금 부착량이 조정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연도금조(10)에 수용된 용융아연도금액에 잠겨져 있는 도금조 롤(30), 예를 들어 싱크롤의 샤프트(32)는 베어링블럭(50)에 구비되는 메탈 씰 형태의 부쉬(52)로 지지된다. 즉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는 베어링블럭(50)의 부쉬(52)에 장착된다.
상기한 도금조 롤(30)은 연속 진행되는 강판(S)의 강판장력(T)과 도금조 롤(30)의 중량에 따른 힘(W)과의 차이에 의한 밀착력으로 인하여 강판(S)의 진행방향을 따라 무동력으로 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되는 도금조 롤(30)은 설치초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2)와 메탈 씰 형태의 부쉬(52) 간에 수직틈새와 수평틈새가 발생하지 않지만,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부쉬(52)가 마모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쉬(52)와 샤프트(32) 간의 수직틈새(VG)와 수평틈새(HG)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틈새(VG)와 수평틈새(HG)가 발생한 상태에서 도금조 롤(30)이 사용되면, 수직틈새(VG)와 수평틈새(HG)로 용융아연 및 산화아연, 그리고 드로스 등 이물질이 들어가 마모를 더욱 가속시키고, 이에 따라 도금조 롤(30)의 진동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도금조 롤(30)이 파손되거나 제품품질에 진동마크 등의 결합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쉬(52)의 마모상태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교체시기를 알수 없어 부쉬(52)를 자주 교체해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쉬(52)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욕조 내의 용융아연도금액에 잠겨 있는 도금조 롤의 샤프트가 장착되는 부쉬의 마모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금조 롤의 샤프트 편심에 의해 발생되는 강판과 도금조 롤 사이의 슬립유무를 점검할 수 있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는 도금조 롤의 샤프트와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가 편심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를 구비한 접촉유닛; 상기 접촉유닛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편심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를 측정토록 제공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접촉유닛이 연결되고, 측정유닛이 내장되며, 도금조의 도금액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토록 냉각기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도금조 롤은 싱크롤로 제공되며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싱크롤의 샤프트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1,2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접촉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샤프트에 구비되는 요철부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2 접촉부재의 일측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2 장착유닛에 제1,2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재의 타측은 상기 싱크롤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서포트에 이탈 방지토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제1,2 접촉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편심시 상기 제1,2 접촉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2 거리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제1,2 접촉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제1,2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2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제1,2 진동센서는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편심 또는 편심과 회전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유닛과 측정유닛을 통해 도금조 롤의 샤프트 편심 여부를 측정하여 도금조 롤이 장착되는 부쉬의 마모 상태를 진단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적시에 부쉬를 교환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금조 롤의 샤프트에 구비되는 요철부에 의해 승강되는 접촉유닛의 이동거리를 측정유닛을 통해 측정하여 도금조 롤과 강판의 슬립유무를 알 수 있어 슬립 발생시 부쉬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100)는 일예로서, 하우징(120), 접촉유닛(140), 측정유닛(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접촉유닛(140)이 연결되고, 측정유닛(160)이 내장되면서 도금조(1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은 측정유닛(160)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접촉유닛(14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20)은 내측에 접촉유닛(140)의 일측이 장착되는 제1 장착유닛(122)과 제2 장착유닛(124)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장착유닛(122)은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장착대(122a)와 안내부재(122b)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대(122a)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착대(122a)의 단부에 안내부재(122b)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부재(140)는 안내부재(122b)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장착유닛(124)은 제1 장착유닛(122)과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장착유닛(124)은 수직장착대(124a), 수평장착대(124b)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장착대(124b)는 수직장착대(124a)로부터 수평방향(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수평장착대(124b)에 접촉유닛(1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하우징(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유닛(160)의 오작동을 방지토록 냉각기체가 내부로 공급되어 배출되는 유입구(126)와 유출구(12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120)이 도금조(10)의 도금액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도금액의 온도가 대략 500 도 내외이므로, 도금액으로부터의 열전달에 의해 하우징(120)의 내부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20)의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유닛(160)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20)에는 냉각기체가 유입,유출되는 유입구(126)와 유출구(128)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유닛(140)은 도금조 롤(30)과 접촉되며,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접촉유닛(140)의 일단이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유닛(140)은 샤프트(32)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접촉유닛(140)은 접촉부재(142)와 탄성부재(144)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재(142)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2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 샤프트(32)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재(142)는 샤프트(32)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1 접촉부재(152)와 제2 접촉부재(15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1,2 접촉부재(152,1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샤프트(32)의 회전시 샤프트(32)에 구비되는 요철부(34)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1 접촉부재(152)는 샤프트(32)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우징(120)의 제1 장착유닛(12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접촉부재(15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44)가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턱(152a)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1 접촉부재(152)는 제1 장착유닛(122)의 안내부재(122b)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이에 따라 제1 접촉부재(152)는 안내부재(122b)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결국, 도금조 롤(30), 예를 들어 싱크롤의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 샤프트(32)에 의해 제1 접촉부재(152)는 안내부재(122b)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재(152)는 일단부에, 즉 샤프트(32)의 상면에 접촉되는 제1 접촉부재(152)의 끝단부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패드(152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부재(152)는 도금조 롤(30), 예를 들어 싱크롤의 회전시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에 구비되는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재(152)가 샤프트(32)에 접촉된 상태에서 샤프트(32)가 회전되면, 제1 접촉부재(152)와 요철부(34)가 매 회전시마다 1번씩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1 접촉부재(152)는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제2 접촉부재(154)는 샤프트(32)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일측이 하우징(120)의 제2 장착유닛(124)의 수평장착대(124b)에 장착되고, 타측이 도금조 롤(30), 예를 들어 싱크롤이 장착되는 프레임(미도시)의 베어링블럭(50)에 구비되는 서포트(54)에 이탈 방지토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서포트(54)를 중심으로 제2 접촉부재(154)가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접촉부재(154)의 타측은 서포트(54)에 힌지결합으로 설치될 수 있고, 제2 접촉부재(154)의 일측은 수평장착대(124b)에 수평방향(도 5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촉부재(154)는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 샤프트(32)에 의해 서포트(54)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 제2 접촉부재(154)의 타측은 샤프트(32)가 편심된 방향으로 샤프트(32)에 의해 이동되고, 제2 접촉부재(154)의 일측은 서포트(54)를 중심으로 샤프트(32)가 편심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2 접촉부재(154)는 수평장착대(124b)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턱(154a)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이탈방지턱(154a)이 수평장착대(124b)에 지지되어 제2 접촉부재(154)는 수평장착대(124b)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2 접촉부재(154)는 타측 단부에, 즉 샤프트(32)의 측면에 접촉되는 단부에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패드(154b)를 구비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제1 탄성부재(156)와 제2 탄성부재(15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2 접촉부재(152,154)는 제1,2 탄성부재(156,158)를 매개로 하우징(120)의 제1,2 장착유닛(122,124)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156)는 일단이 제1 장착유닛(122)의 안내부재(122b)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1 접촉부재(152)의 지지턱(152a)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부재(152)는 제1 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32)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샤프트(3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에도 제1 접촉부재(152)는 샤프트(3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32)의 회전시 제1 접촉부재(152)가 요철부(34)에 의해 상승하더라도 제1 탄성부재(156)으로부터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다시 하강하여 샤프트(32)에 다시 접촉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158)는 일단이 제2 장착유닛(124)의 수직장착대(124a)에 지지되고 타단이 제2 접촉부재(154)의 일단에 지지되어 제2 접촉부재(154)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촉부재(154)의 타단이 샤프트(32)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샤프트(32)에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샤프트(32)가 편심되는 경우에도 제2 접촉부재(154)는 샤프트(32)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측정유닛(160)은 제1 거리감지센서(162), 제2 거리감지센서(164), 제1 진동 센서(166), 및 제2 진동센서(16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측정유닛(160)은 제1,2 접촉부재(152,154)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샤프트(32)의 편심시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거리감지센서(162)는 제1 접촉부재(152)의 승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거리감지센서(162)는 샤프트(32)의 편심시 샤프트(32)에 의해 승강되는 제1 접촉부재(152)의 승강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거리감지센서(162)는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측정된 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거리감지센서(162)는 제1 접촉부재(152)가 샤프트(32)에 구비되는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될 때, 승강되는 거리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제어부(18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거리감지센서(164)는 제2 접촉부재(152)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우징(12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거리감지센서(164)는 샤프트(32)의 편심시 샤프트(32)에 의해 수평방향(도 5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 접촉부재(152)의 일측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거리감지센서(164)도 제어부(1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거리감지센서(164)에 의해 측정된 값은 제어부(180)로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도 연결될 수 있으며,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로부터 측정된 값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측정유닛(160)은 제1,2 접촉부재(152,154)에 연결되도록 하우징(120)에 설치되며, 샤프트(32)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제1,2 진동센서(166,16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1 진동센서(166)는 일예로서, 제1 접촉부재(15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진동센서(168)는 제2 접촉부재(154)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제어부(1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2 접촉부재(152,154)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샤프트(3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측정하여 제어부(180)로 전달하는데, 샤프트(3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샤프트(32)의 편심시 증가하게 되고 이때 제1,2 진동센서(166,168)로부터 측정된 진동값도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1,2 진동센서(166,168)도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2 진동센서(166,168)로부터 측정된 값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샤프트(32)의 회전시 이물질이 샤프트(32)와 샤프트(32)가 안착되는 부쉬(52, 도 2 참조)에 끼여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측정유닛(160)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샤프트(32)의 편심 또는 편심과 회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에 의해 측정된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이동 거리와 제1,2 진동센서(166,168)에 의해 측정된 진동값에 대한 신호로 제어부(180)는 샤프트(32)의 편심 발생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결국, 제어부(180)는 샤프트(32)의 편심이 기설정된 편심률보다 큰 경우 도금조 롤(30)이 장착되는 부쉬(52, 도 2 참조)가 마모되었다고 판단하여 부쉬(52)의 교환을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접촉부재(152)가 샤프트(32)의 회전시 샤프트(32)의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될 때의 승강 거리를 측정한 제1 거리감지센서(16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어부(180)는 샤프트(32)의 단위시간당 회전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한 샤프트(32)의 단위시간당 회전속도와 강판의 이동속도를 비교하여 도금조 롤(30)과 강판(S)과의 슬립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접촉유닛(140)과 측정유닛(160)을 통해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 편심 여부를 측정하여 도금조 롤(30)이 장착되는 부쉬(52)의 마모 상태를 진단 예측할 수 있으므로, 적시에 부쉬(52)를 교환할 수 있어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에 구비되는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되는 접촉유닛(140)의 이동거리를 측정유닛(160)을 통해 측정하여 도금조 롤(30)과 강판(S)의 슬립유무를 알 수 있어 슬립 발생시 부쉬(52)를 교환할 수 있으므로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 구동상태 점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 구동상태 점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금조 롤(30)이 장착되는 부쉬(52, 도 2 참조)가 마모되면,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가 편심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32)가 편심된 상태에서 회전되면 제1 접촉부재(152)는 편심된 정도(도 6에서는 상부측으로 편심됨)에 따라 승강된다.
또한, 제2 접촉부재(154)의 타단은 샤프트(32)에 의해 수평방향(도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2 접촉부재(154)의 일단은 서포트(54)를 중심으로 회동, 즉 샤프트(32)의 편심방향의 반대측으로 수평 이동된다.
이때, 제1,2 접촉부재(152,154)는 제1,2 탄성부재(156,158)를 매개로 하우징(120)의 제1,2 장착유닛(122,124)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샤프트(32)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샤프트(32)와의 접촉부에는 마모방지패드(152b,154b)가 구비되어 샤프트(32)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접촉부재(152,154)가 이동되면,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는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이동 거리를 측정한다.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에 의해 측정된 이동 거리에 대한 신호는 제어부(180)로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샤프트(32) 의 편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샤프트(32)의 편심정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는 직접 디스플레이부로 측정된 값에 대한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이동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2 접촉부재(152,154)에 설치되는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제1,2 접촉부재(152,154)로 전달되는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샤프트(32)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이 제1,2 접촉부재(152,154)로 전달되고,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제1,2 접촉부재(152,154)로 전달되는 진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제1,2 진동센서(166,168)은 제어부(180)에 연결되어 측정된 진동량에 대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전달된 진동량에 대한 신호에 따라 샤프트(32)의 편심여부 및/또는 샤프트(32)와 부쉬(52)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부로 샤프트(32)의 편심정도 및/또는 샤프트(32)와 부쉬(52)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편심정도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2 진동센서(166,168)는 직접 디스플레이부에 연결되어 측정된 진동량에 대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로 송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진동량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유닛(160)의 제1,2 거리감지센서(162,164)와 제1,2 진동센서(166,168)을 통해 측정한 제1,2 접촉부재(152,154)의 이동 거리와 진동량에 의해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2) 편심여부 및/또는 샤프트(32)와 부쉬 사이에 이물질이 끼여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금조 롤(30)의 샤프트(30)가 장착되는 부쉬(52)의 마모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한편, 제1 접촉부재(152)는 샤프트(32)에 구비되는 요철부(34)에 의해 승강될 수 있도록 샤프트(32)에 접촉된다. 따라서, 샤프트(32)의 회전시 제1 접촉부재(152)는 요철부(34)에 의해 매 1회전 당 한번씩 승강될 수 있다.
이때, 제1 접촉부재(152)의 승강여부를 제1 거리감지센서(162)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어부(180)는 샤프트(32)의 회전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80)는 샤프트(32)의 회전속도와 강판(S)의 이송속도를 비교하여 도금조 롤(30)과 강판(S)과의 슬립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도금조 롤(30)이 싱크롤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금조(10) 내에 배치되는 스테빌라이징롤(stabilizing roll, 도 1 참조)(또는 안정화 롤이라고도 함)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100)는 스테빌라이징롤의 구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도금조 내에 침지되어 도금되는 강판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금조 롤의 설치 후 초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금조 롤의 설치 후 사용에 따른 마모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120 : 하우징
140 : 접촉유닛
160 : 측정유닛
180 : 제어부

Claims (9)

  1. 도금조 롤의 샤프트와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도록 제공되되, 상기 샤프트가 편심되는 경우 상기 샤프트에 의해 이동되는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를 구비한 접촉유닛;
    상기 접촉유닛에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편심시 상기 하나 이상의 접촉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거나, 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여 상기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를 측정토록 제공되는 측정유닛; 및
    상기 접촉유닛이 연결되고, 측정유닛이 내장되며, 도금조의 도금액 탕면 상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배치되는 측정유닛의 오작동을 방지토록 냉각기체가 내부로 공급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 롤은 싱크롤로 제공되며, 상기 접촉유닛은 상기 싱크롤의 샤프트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상면과 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1,2 접촉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1,2 접촉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샤프트에 구비되는 요철부에 의해 이동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접촉부재의 일측은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2 장착유닛에 제1,2 탄성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부재의 타측은 상기 싱크롤의 프레임에 구비되는 서포트에 이탈 방지토록 설치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제1,2 접촉부재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편심시 상기 제1,2 접촉부재의 이동거리를 측정하는 제1,2 거리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유닛은
    상기 제1,2 접촉부재에 연결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회전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하는 제1,2 진동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2 거리감지센서와 상기 제1,2 진동센서는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편심 또는 편심과 회전상태를 측정하는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9. 삭제
KR1020090026472A 2009-03-27 2009-03-27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KR10115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472A KR101153548B1 (ko) 2009-03-27 2009-03-27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472A KR101153548B1 (ko) 2009-03-27 2009-03-27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035A KR20100108035A (ko) 2010-10-06
KR101153548B1 true KR101153548B1 (ko) 2012-06-11

Family

ID=4312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472A KR101153548B1 (ko) 2009-03-27 2009-03-27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32B1 (ko) * 2017-12-2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도금 포트롤 진동 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818A (ja) * 1990-10-12 1992-05-21 Sumitomo Metal Ind Ltd ロール摩耗量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48819A (ja) * 1990-10-12 1992-05-21 Sumitomo Metal Ind Ltd ロールプロフィール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231853A (ja) * 1992-02-19 1993-09-07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浴中ロールの偏心量及び曲り量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8818A (ja) * 1990-10-12 1992-05-21 Sumitomo Metal Ind Ltd ロール摩耗量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148819A (ja) * 1990-10-12 1992-05-21 Sumitomo Metal Ind Ltd ロールプロフィール測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5231853A (ja) * 1992-02-19 1993-09-07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浴中ロールの偏心量及び曲り量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035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667B1 (ko) 검측장치가 구비된 전동부재
US98561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lubricant content of elevator ropes
KR20080059327A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KR101153548B1 (ko) 도금조 롤의 구동상태 점검장치
CN101255539A (zh) 一种对沉没辊结渣的检测和清除方法及装置
KR101005647B1 (ko) 야금용기용 슬라이드 게이트 및 야금용기용 슬라이드 게이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CN101393174A (zh) 大包下渣振动检测装置
CA2643965A1 (en) Apparatus for guiding a strip
JP2013205270A (ja) パンタグラフの異常検知方法
JP2022000324A (ja) 鋸ベルトの残余寿命を予測する方法およびベルト鋸機
KR101418359B1 (ko) 가이드 롤러의 마모 감지장치
KR101332950B1 (ko) 롤 진단 방법
WO2003056215A1 (en) Wear indicator for a seal of a suction roll of a paper or board machine
CN101553332A (zh) 用于连铸机的测量系统
US20230034388A1 (en) A sealing arrangement for detecting thickness of a sealing element of a seal
CN113624496A (zh) 一种用于测试滚轮轴承寿命的试验机
KR101961830B1 (ko) 브러시 롤의 마모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사 방법
CN216208656U (zh) 一种衬套检测工装
FI118775B (fi) Menetelmä ja laite kenkätelan kunnonvalvonnassa
CN105004848A (zh) 高速带钢表面微小凸出缺陷实时探测装置
RU242867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трущихся материалов и масел
KR20100072640A (ko) 침지롤 저널 베어링부의 마모갭 보상 장치
KR101281304B1 (ko) 스트랜드 세그먼트 서브롤의 이상 구동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00136732A (ko) 싱크롤의 이상 유무 진단 시스템 및 용융아연 도금 장치의 최적 운전 제어 방법
KR20110072785A (ko) 선재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