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373B1 -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373B1
KR101153373B1 KR1020100102451A KR20100102451A KR101153373B1 KR 101153373 B1 KR101153373 B1 KR 101153373B1 KR 1020100102451 A KR1020100102451 A KR 1020100102451A KR 20100102451 A KR20100102451 A KR 20100102451A KR 101153373 B1 KR101153373 B1 KR 101153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locking
slide
ar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40932A (en
Inventor
최세범
Original Assignee
(주) 프렉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프렉코 filed Critical (주) 프렉코
Priority to KR1020100102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373B1/en
Publication of KR20120040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9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3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대면하는 전면에 키패드부를 지닌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가 제2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개폐가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제2 바디에 평면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 슬라이딩부재와, ⅱ)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2 슬라이딩부재와, ⅲ)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과, ⅳ)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제1 바디를 틸트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구성되는 틸트 힌지 모듈과, ⅴ)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을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바디에 구성되는 로킹 모듈과, ⅵ)상기 제1 바디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로킹 모듈에 의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의 구속을 해제하는 언로킹부를 포함한다.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display portion on a front surface, and a second body having a keypad portion on a front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A first body is configured in a portable terminal that slides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iii) a plate-shaped first sliding member which is hinged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plane, ii) the second A plate-shaped second sliding memb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and iii)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body. A slide hinge module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when the first body is slide-opened; A tilt hinge modul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in correspondence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rotate, and iii) at the second body to lock the tilt hinge module when the first body is opened and closed. And a locking module configured to be configured in the first body and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tilt hinge module by the locking module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의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드 폰 또는 쿼티(qwerty) 폰에 적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ve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pplicable to a wide phone or a qwerty phone.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가 아닌 장소에서 이동 중에 통신 및 방송 등의 서비스를 무선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폰, PDA, 노트북, 및 DMB폰 등의 휴대 단말기가 많이 사용된다.In general,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notebook computers, and DMB phones are widely used to wirelessly use services such as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while moving in places other than a fixed location.

상기 휴대 단말기는 정보화 시대에 따른 생활의 편의성을 누리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필수품 중의 한가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 초, 중, 고등학생과 노인 등에 이르기까지 보급 대상이 매우 광범위하다.The mobile terminal is one of the essential necessities that are indispensable in order to enjoy the convenience of lif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ge. Especially, the mobile terminal is widely distribut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elderly.

상기와 같이 휴대 단말기는 최근 들어 수요량과 사용자층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계속해서 새로운 디자인이나 기능이 부여된 제품을 기대하기에 이르렀다.As mentioned above, as the demand and user base rapidly increase in recent years,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expected to expect a product to which new design or function is given.

상기 휴대 단말기는 키패드가 구비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되는 덮개가 본체에 대하여 상호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본체에 대한 덮개의 개폐 구조에 따라 크게 폴딩 방식, 슬라이딩 방식, 및 스윙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main body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cover provided with a display panel so as to be mutually open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an be.

이 중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이 편리하고 고장이 적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최근 들어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 중의 하나이다.Among them, the portable terminal that opens and closes the cover by a sliding method is one of the most applied methods in recent years because of various advantages such as ease of use, less trouble, and a stylish design.

상기 슬라이딩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하는 휴대 단말기의 기본 구조는 본체로부터 덮개를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덮개의 상하 슬라이딩은 슬라이드식 힌지장치를 통하여 구현된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mobile terminal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by the sliding method is configured to slide the cover up and down from the main body, the vertical sliding of the cover is implemented through a sliding hinge device.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는 덮개를 일정 구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 자동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덮개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In the slid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the cover is slide-moved for a certain section, the slide hinge is automatically moved in the remaining section to open and close the cover.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 장치는 본체에 대하여 덮개를 평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휴대 단말기의 사용상 불편함이 많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the hinge device for a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re is much inconvenience in using the portable terminal because the cover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moved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즉, 종래 기술에서는 힌지장치를 통하여 덮개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음성통화, 메시지 전송 등 휴대 단말기의 고유한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므로,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 감상, DMB 시청, 게임,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서비스 등을 이용하기에 다소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 cover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through the hinge device so that the cover is configured to perform a uniqu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such as a voice call or a message transmiss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somewhat inconvenient to use multimedia services such as file viewing, DMB viewing, games, and the Internet.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다양화되고, 고속 대용량의 파일 전송이 가능해지고 있는데 반해, 장문의 문자 또는 메일 등의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가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while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high-speed large-capacity file transfer is possible in the related art, it is also inconvenient to input various text information such as long text or e-mail.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휴대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덮개를 슬라이드-틸트 방식으로서 개폐시킬 있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다양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장문의 문자 또는 메일 등의 다양한 문자 정보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와이드 폰 또는 쿼티폰에 적용 가능한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를 제공한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cover to be opened and closed in a slide-tilt manner from the main body of the mobile terminal, so that various multimedia services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through the display panel, and various text information such as a long text or an e-mail. Provides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pplicable to a wide phone or a qwerty phone that can be conveniently inpu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는,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대면하는 전면에 키패드부를 지닌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가 제2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개폐가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상기 제2 바디에 평면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 슬라이딩부재와, ⅱ)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2 슬라이딩부재와, ⅲ)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과, ⅳ)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제1 바디를 틸트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구성되는 틸트 힌지 모듈과, ⅴ)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을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바디에 구성되는 로킹 모듈과, ⅵ)상기 제1 바디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로킹 모듈에 의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의 구속을 해제하는 언로킹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display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and a second body having a keypad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The first body is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a slide opening and clos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i) a plate-shaped first sliding member which is hinged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plane, ii) A plate-shaped second sliding member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and iii) hing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A slide hinge module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when the slide is opened and closed; and iii)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A tilt hinge module configur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tilt the body, and iii) the first hinge body to lock the tilt hinge module when the first body is opened or closed. And a locking module constituting the second body, and iii) an unlocking unit configured to be released on the first body and releasing the tilt hinge module by the locking module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부는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제1 바디의 관성력에 의한 반동으로서 상기 로킹 모듈에 의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의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unlocking unit is configured to restrain the tilt hinge module by the locking module as a reaction due to the inertia force of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You can turn it off.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아암과, 상기 힌지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e tilt hinge module is coupled to the hinge arm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o the hinge arm. It may include a first torsion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의 전면 상부 양측에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inge arm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through a first rotation shaft.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은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제1 장착 돌기와,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이 지지되는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로킹 모듈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 돌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e hinge arm may include a first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is mounted, a first support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is supported, and a locking of the locking module.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form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mad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은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클로즈되는 때,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을 압축하며 상기 제2 바디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를 통해 상기 로킹 모듈과의 로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inge arm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and rotates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when the first body is tilted closed. Locking with the locking module can be made through.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힌지 아암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 아암과, 상기 로킹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e locking module includes a locking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hinge arm, and a second torsion spring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arm.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에 제2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힌지 아암과 상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locking arm may be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to be complementary to the hinge arm via a second axis of rota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제2 장착 돌기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이 지지되는 제2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걸림 돌기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킹 돌기와, 상기 언로킹부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걸림 돌기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locking arm is engaged with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mounted, a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supported,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The lock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unlock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부는 상기 로킹 아암의 제2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는 판 스프링 타입의 언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e unlocking unit may include a leaf spring type unlocker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response to a second lock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arm.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는, 상기 제2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에 상기 언로커가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unlocker may be configured in a first guide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힌지 아암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 second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inge arm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오픈되는 시점에 상기 힌지 아암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 third guide groove may be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to guide the rotation of the hinge arm at the time when the first body is tilted ope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3 가이드 홈과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second guide groove may be formed with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groove.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되는 때 상기 힌지 아암을 일정 구간 더욱 회전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protrusion may further rotate the hinge arm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first body is tilt-closed and sliding-closed.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2 바디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결합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hinge coupling unit for hinge coupling the first sliding member to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하단부 양측에 일체로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각 고정 브라켓과 상기 돌출부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e hinge coupling unit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and a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iding member. It may include a hinge pin hinged to each of the fixing bracket and the project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he fixing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opper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sliding member.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스토퍼 홈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the first stopper may be formed as a stopper groov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 및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의 전면 상부 양측에 형성된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mobile terminal, the hinge arm and the locking arm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mount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기 힌지 아암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mounting groove may form a second stopper for regula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hinge arm.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에는 그 로킹 아암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돌기로서의 제3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in the slide-tilt hinge device for the portable terminal, the locking arm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third stopper as a stopper protrusion for regula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ocking arm.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제1 바디가 제2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오픈되는 시점에 제1 바디를 일정 각도로 틸팅시킬 수 있으므로, 쿼티 자판 배열의 키패드부를 통해 다양한 문자 정보를 보다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 파일 감상, DMB 시청, 게임,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ody may be tilted at an angle at a time when the first body is slid op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so that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keypad of the QWERTY keyboard arrangement. It is possible to input more conveniently, and through the display unit, multimedia services such as viewing photos or video files, watching DMB, games, and the Internet can be more conveniently used.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힌지 결합유닛 부위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틸트 힌지 모듈 및 로킹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틸트 힌지 모듈 및 로킹 모듈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에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제1 바디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to 1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2.
4A and 4B are side configuration diagrams showing a hinge coupling unit portion applied to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lt hinge module and a locking module applied to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tilt hinge module and a locking module applied to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irst body of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to 7G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and the like in order to distinguish the names of the components in the same relationship, and the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A to 1C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to which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휴대 단말기(1)는 음성/화상 통화,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하면서, 문자 입력이나 DMB, 동영상, 게임, 인터넷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ortable terminal 1 to which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performs basic functions such as voice / video call and message transmission, while inputting text, DMB, video, game, Internet, etc. An exampl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use a multimedia service.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덮개로서의 제1 바디(3)와, 본체로서의 제2 바디(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제1 바디(3) 및 제2 바디(5)는 폭 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장방형 바디로서 이루어진다. The portable terminal 1 includes a first body 3 as a cover and a second body 5 as a main body, and the first body 3 and the second body 5 have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thereof. It consists of a relatively long rectangular body.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본 실시예에 의한 힌지장치를 통하여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오픈된 상태에서 양방향(상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 틸팅될 수 있게 구성된다.Here, the portable terminal 1 is a bidirectional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open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3 slid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through the hin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configured to be tilted at a certain angl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휴대 단말기(1)를 평면 방향으로 뉘여 놓고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각종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위를 향하는 면을 상면 또는 전면, 아래를 향하는 면을 하면 또는 배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llowing various components are described on the basis of the mobile terminal 1 laid out in a planar direction, and the upward facing surface is defined as the upp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the downward facing surface, or the rear surface. can do.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에 있어 제1 및 제2 바디(3, 5)의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들 바디(3, 5)의 폭 방향을 전후 방향 또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ortable terminal 1, the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 and 5 may be def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width directions of the bodies 3 and 5 may be def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r the slide direction. Can be defined

이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사용자를 기준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의 위치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실시예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efinition of such a direction is a relative meaning. Since the dire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 with respect to the user,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direc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reference direc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따라서, 상기 휴대 단말기(1)는 도 1a에서와 같이 제1 바디(3)의 배면이 제2 바디(5)의 전면과 대면한 상태에서, 도 1b에서와 같이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슬라이드 오픈이 이루어지고, 도 1c에서와 같이 제1 바디(3)가 전면 방향(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 각도(대략 20도)로 상향 경사지게 틸팅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ortable terminal 1, as shown in FIG. 1A, the first body 3 is formed as shown in FIG. 1B whil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2 The slide is moved forward with respect to the body 5 and the slide is opened, and as shown in FIG. 1C, the first body 3 is rotated in the front direction (upward direction) and tilted upward at an angle (about 20 degrees). Can be.

즉, 상기 제1 바디(3)는 제2 바디(5)의 전방 측에서 제2 바디(5)의 전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the first body 3 maintains the inclined state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at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body 5.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바디(3)는 제2 바디(5)에 대하여 배면 방향(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바디(3)의 배면이 제2 바디(5)의 전면과 대면하게 틸팅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irst body 3 rotates in the rear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whil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Can be tilted.

그리고, 상기 제1 바디(3)는 제2 바디(5)에 대하여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제2 바디(5)와 대면한 상태(슬라이드 클로즈)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3 may slide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nd maintain a state (slide close) facing the second body 5.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상태를 슬라이드 오픈 모드로 정의하며, 제1 바디(3)가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향 경사지게 틸팅되는 상태를 틸트 오픈 모드로 정의하고,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바디(3)의 배면이 제2 바디(5)의 전면과 대면하게 틸팅되는 모드를 틸트 클로즈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3 slides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is defined as the slide open mode, and the first body 3 is tilted upwardly while being rotated upward. The state is defined as a tilt open mode, and the first body 3 is rota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while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is tilted to face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The mode to be defined can be defined as a tilt close mode.

상기에서와 같이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및 회전 작동하는 휴대 단말기(1)를 당 업계에서는 통상 "슬라이드-틸트 타입의 휴대 단말기" 또는 "슬라이드-팝업 타입의 휴대 단말기"라고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1 in which the first body 3 slides and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is generally known in the art as a "slide-tilt type portable terminal" or "slide-pop-up type. Portable terminal ".

이 경우, 상기 제1 바디(3)의 전면에는 액정 화면,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부(7)가 구성되고, 제2 바디(5)의 전면에는 알파벳과 한글 등의 입력이 가능한 쿼티(qwerty) 자판 배열(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 배열)의 키패드부(9)가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 display unit 7 such as a liquid crystal screen or a touch screen is configur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body 3, and a qwerty capable of inputting alphabets and Korean characters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A keypad portion 9 of a keyboard arrangement (preferably at least four arrangements) can be constructed.

대안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바디(5)의 전면에 키패드부(9)가 구성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키패드의 자판 배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서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알파벳과 한글 등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As an alternati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keypad 9 on the front of the second body 5, and by inputting characters such as alphabets and Korean characters in a touch screen manner by displaying the keyboard layout of the keypad. It may be provided with a possible display unit.

즉,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1)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와이드(wide) 폰 이라고 하는 쿼티(qwerty) 폰 또는 게임 폰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 to which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 qwerty phone or a game phone commonly referred to in the art as a wide phone.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휴대 단말기(1)가 상기에서와 같이 이동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에만 적용되는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스마트 폰, PDA, PMP, 핸드헬드(handheld) PC, MP3/MP4 플레이어, 넷북,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However,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that the mobile terminal 1 is applied only to a mobile phone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as above, but is not limited to a smart phone, PDA, PMP, handheld PC, MP3 / It may be applied to portable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MP4 players, netbooks, notebooks, game consoles, and the like.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는 CDMA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게임 아이템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DMA module,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IrDA), a wired / wireless LAN card, and a predetermined microprocessor for performing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such as a game item. You may.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슬라이드 오픈 및 클로즈 모드가 이루어지고,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오픈된 상태에서 전면 및 배면 방향(상하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틸트 오픈 및 클로즈 모드가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ortable terminal 1, the first body 3 slides in a straight line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nd the slide open and close modes are performed. Tilt open and close modes can be achieved while rotating along the front and back directions (up and down directions) while 3) is slide open.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는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오픈 및 틸트 오픈을 통한 키패드부(9)의 개방 시, 제1 바디(3)의 디스플레이부(7)가 항상 사용자 측을 향한다.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 opens the keypad 9 through the slide open and the tilt open of the first body 3, the display 7 of the first body 3 always faces the user side. .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단말기(1)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100)의 구성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lide-tilt hing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1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rawings. do.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artially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FIG. 2.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10), 힌지 결합유닛(20), 제2 슬라이딩부재(40), 슬라이드 힌지 모듈(50), 틸트 힌지 모듈(70), 로킹 모듈(80), 및 언로킹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lide-tilt hinge device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e hinge coupling unit 20,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 The slide hinge module 50, the tilt hinge module 70, the locking module 80, and the unlocking unit 90, and will be described for each configuration as follows.

상기에서, 제1 슬라이딩부재(10)와 제2 슬라이딩부재(40)의 용어는 상대적인 것으로, 휴대 단말기(1)의 제1 및 제2 바디(3, 5)에 별개로서 설치되고, 서로 맞물리며 반대 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s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are relative, and ar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3 and 5 of the portable terminal 1, and interlocked with each other. It means that the relative sliding motion in the direction is made.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제1 슬라이딩부재(10)와 제2 슬라이딩부재(40)가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움직이지 않는 부분으로 각각 구분되어질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nd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may be divided into portions in which a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and portions in which they do not move.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0)를 고정한 경우, 제2 슬라이딩부재(40)는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대하여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는 무빙(moving) 플레이트로서 이해될 수 있고, 제1 슬라이딩부재(10)는 고정(fixing) 플레이트로서 이해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sliding member 10 is fixed,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may be understood as a moving plate in which a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e first sliding member 10 can be understood as a fixing plat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뒤에서 더욱 설명될 힌지 결합유닛(20)을 통해 휴대 단말기(1)의 제2 바디(5)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liding member 10 is formed in a plate shap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5 of the mobile terminal 1 through the hinge coupling unit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hinge may be rotatably coupled at an angle.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10)는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몸체부(11)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그 몸체부(11)의 양측 사이드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있는 홈부재(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sliding member 10 includes a body part 11 having a plate shape of a metal material and a synthetic resin, and a groove member integrally fixed to both side parts of the body part 11 and forming guide grooves. (15) is ma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결합유닛(20)은 제2 바디(5)와 제1 슬라이딩부재(10)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coupling unit 20 is for hinge coupling the second body 5 and the first sliding member 10.

이러한 힌지 결합유닛(20)은 앞서 개시한 도면들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 브라켓(21), 돌출부(31), 및 힌지핀(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hinge coupling unit 20 includes the fixing bracket 21, the protrusion 31, and the hinge pin 35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FIGS. 4A and 4B.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의 제2 바디(5)는 전면 중앙 양측에 고정 브라켓(21)을 장착하기 위한 제1 장착홈(4)을 형성하고, 뒤에서 더욱 설명될 틸트 힌지 모듈(70)을 장착하기 위한 제2 장착홈(6)을 형성하고 있다.Here, the second body 5 of the portable terminal 1 forms a first mounting groove 4 for mounting the fixing bracket 21 on both sides of the front center, and the tilt hinge module 7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for mounting the grooves is formed.

상기에서, 고정 브라켓(21)은 제2 바디(5)의 전면 중앙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바, 언급한 바 있는 제2 바디(5)의 제1 장착홈(4)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1)에는 포크 형태의 제1 힌지 결합 돌기(23)가 형성된다.In the above, the fixing bracket 21 is fixed to the front center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5, respectively, bar fastening such as bolts to the first mounting groove 4 of the second body 5 mentioned above It is fixedly installed by means. The fixing bracket 21 is formed with a fork-type first hinge coupling protrusion 23.

상기 돌출부(31)는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하단부 양측에 일체로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1)에는 고정 브라켓(21)에 결합될 수 있는 포크 형태의 제2 힌지 결합 돌기(33)가 형성된다.The protrusion 31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e protrusion 31 has a fork-shaped second hinge coupling protrusion 33 that can be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21 is formed.

그리고 상기 힌지핀(35)은 고정 브라켓(21)과 돌출부(31)를 힌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힌지점으로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hinge pin 35 is for hinge coupling the fixing bracket 21 and the protrusion 31 and is formed as a hinge poin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상기 힌지핀(35)은 돌출부(31)의 제2 힌지 결합 돌기(33)에 형성된 힌지 구멍(36)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이의 양단부가 고정 브라켓(21)의 제1 힌지 결합 돌기(23)에 고정될 수 있다.The hinge pin 35 is rotatably fitted into the hinge hole 36 formed in the second hinge coupling protrusion 33 of the protrusion 31, and both ends thereof have the first hinge coupling protrusion 23 of the fixing bracket 21. It can be fixed to.

이 경우, 상기 고정 브라켓(21)에는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스토퍼(25)가 형성되는 바, 제1 스토퍼(25)는 돌출부(31)에 대응하여 제1 힌지 결합 돌기(23)에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스토퍼 홈(27)으로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fixing bracket 21 is formed with a first stopper 25 for regula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nd the first stopper 25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 31. It consists of the stopper groove 27 inclined diagonally to the 1 hinge engagement protrusion 23.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볼트 또는 리벳 등과 같은 미도시된 체결수단을 통하여 제1 바디(3)의 배면에 고정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is made of a plate shape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is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0 so as to be slidable, fastening means not shown, such as bolts or rivets I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first body (3) through.

이 경우, 상기 제2 슬라이딩부재(4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레일부(41)가 형성되는 바, 이 레일부(41)는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있어 홈부재(15)의 가이드 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is case, rail portions 41 are formed at both edges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and the rail portions 41 are formed in the guide grooves of the groove member 15 in the first sliding member 10. Slidably coupl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은 휴대 단말기(1)의 제2 바디(5)에 대한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개폐 시,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10, 40)에 수평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lide hinge module 50 i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10, 40) when the slid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body (3) relative to the second body (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o provide elastic for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은 당 업계에서 "탄성 링크 모듈"이라고도 하며,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오픈되거나 클로즈 되는 경우, 제2 슬라이딩부재(40)가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대하여 일정 구간 슬라이드 이동 될 때까지 사용자가 제1 바디(3)에 힘을 가하게 되면, 나머지 이동 구간에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lide hinge module 50 is also referred to in the art as an "elastic link module", and when the first body 3 is opened or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may be first. When the user applies a force to the first body 3 until the slide member is moved for a certain period with respect to the sliding member 10,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body 3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in the remaining moving section. To be done.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10, 40) 사이에 한 쌍으로서 구비되며, 한 쪽 끝 부분이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다른 한 쪽 끝 부분이 제2 슬라이딩부재(4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Here, the slide hinge module 50 is provided as a pai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10 and 40,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hing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e other end is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이러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은 일 예로서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힌지 결합되는 소용돌이 모양의 탄성부재(51)와, 제2 슬라이딩부재(40)에 힌지 결합되는 바디(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lide hinge module 50 includes, for example, a spiral elastic member 51 hing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nd a body 53 hinged to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Is done.

상기 탄성부재(51)는 직선 형태에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와이어 스프링으로서, 힌지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51 is a wire spring wound in a spiral shape in a straight line shape, and may be hing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rough a hinge pin (not shown).

그리고, 상기 바디(53)는 탄성부재(51)에 있어 소용돌이 모양으로 감긴 부분을 상하 측에서 평면적으로 지지하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이루어지며, 힌지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2 슬라이딩부재(4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53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for supporting the portion wound in a spiral shape in the elastic member 51 in a planar view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 second sliding member (not shown) through a hinge pin (not shown) It can be hinged to 40).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트 힌지 모듈(70)은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을 통해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제1 바디(3)를 상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lt hinge module 70 is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ody 3 when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through the slide hinge module 50. It is to rotate in a direction.

즉, 상기 틸트 힌지 모듈(70)은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일정 구간으로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제1 바디(3)에 전면 방향(상측)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1 슬라이딩부재(10)를 통해 제1 바디(3)를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틸팅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tilt hinge module 70 has an elastic force acting in the front direction (upper side) on the first body 3 when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in a predetermined section.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tilt the first body 3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hrough the first sliding member 10.

이러한 틸트 힌지 모듈(70)은 제1 바디(3)의 배면에 대응하여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 구성되는 바, 한 쌍의 힌지 아암(71)과 제1 토션 스프링(7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is tilt hinge module 70 is configur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as described abov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a pair of hinge arms 71 ) And a first torsion spring 79.

앞서 개시한 도면들과 함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틸트 힌지 모듈(70)의 구성을 살펴 보면, 상기 힌지 아암(71)은 제1 바디(3)의 배면에 대응하여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ilt hinge module 70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together with the above-described drawings, the hinge arm 71 corresponds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and the second body 5.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힌지 아암(71)은 제2 장착홈(6)에 제1 회전축(A1)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hinge arm 7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via the first rotation shaft A1.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아암(71)은 소정 폭을 지니며 대략 기역(ㄱ)자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제1 회전축(A1)을 통해 제2 장착홈(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부분(72a)과, 제1 부분(72a)에 일체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제1 바디(3)의 배면으로 밀착될 수 있는 제2 부분(72b)으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hinge arm 71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ase block (a). The first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through the first rotation shaft A1. A portion 72a and a second portion 72b which are integrally bent to the first portion 72a and which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여기서, 상기 제1 부분(72a)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1 토션 스프링(79)이 장착될 수 있는 제1 장착 돌기(73)가 형성되는 바, 이 제1 장착 돌기(7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회전축(A1)이 일체로 형성된다.Here, the first portion 72a is formed with a first mounting protrusion 73 to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79 can be moun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73 is described above. The bar first rotating shaft A1 is integrally formed.

상기 제1 부분(72a)과 제2 부분(72b)의 연결 부분에는 제1 토션 스프링(79)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돌기(75)를 형성하고 있다.A first support protrusion 75 for supporting an end of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irst portion 72a and the second portion 72b.

그리고, 상기 제2 부분(72b)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로킹 모듈(80)과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제1 걸림 돌기(77)를 형성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2 부분(72b)의 단부 즉, 제1 바디(3)의 배면에 밀착되는 부위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portion 72b is provided with a first locking protrusion 77 which can be engaged with the locking module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portion 72b, that is, the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first body 3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 경우, 상기 힌지 아암(71)은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틸트 클로즈되고 슬라이드 개폐가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토션 스프링(79)을 압축하며 제2 장착홈(6) 내에서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걸림 돌기(77)를 통해 로킹 모듈(80)과의 로킹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hinge arm 71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nd slides are opened and closed. The locking with the locking module 80 is made throug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while rotating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within).

한편, 상기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는 제1 바디(3)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재(10)를 일정 각도(대략 20도)로 회전시킬 있게 힌지 아암(71)의 회전 범위를 일정 각도로 규제하기 위한 제2 스토퍼(8)를 형성하고 있다(도 2 및 도 3 참조).On the other hand, the hinge arm 71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to rotate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t a predetermined angle (about 20 degrees) through the first body 3. The second stopper 8 for regula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lens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see FIGS. 2 and 3).

이 경우, 상기 제2 스토퍼(8)는 힌지 아암(71)의 제1 부분(72a)에 대응하는 홈 내벽면으로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second stopper 8 is formed as a groove inner wal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portion 72a of the hinge arm 71.

그리고, 상기 제1 토션 스프링(79)은 힌지 아암(71)을 통해 제1 바디(3)를 항상 위로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first torsion spring 79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3 is always lifted up through the hinge arm 71.

상기 제1 토션 스프링(79)은 나선 형태로 코일링 되며 양단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구조의 토션 스프링으로서 이루어지는 바, 힌지 아암(71)의 제1 장착 돌기(73)에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torsion spring 79 is coiled in a spiral form and is formed as a torsion spring having a conventional structure having both ends in a straight form, and may be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73 of the hinge arm 71.

즉, 상기 제1 토션 스프링(79)은 나선 형태로 제1 장착 돌기(73)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제2 장착홈(6)의 바닥면으로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힌지 아암(71)의 제1 지지 돌기(75)에 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s mounted on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73 in the form of a spiral,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and the other end of the hinge arm 71. )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75.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 있는 로킹 모듈(80)은 제2 바디(5)에 대한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이동 개폐 시, 틸트 힌지 모듈(70)의 힌지 아암(71)을 제2 바디(5)에 로킹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cking module 80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body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opens and closes, the hinge arm 71 of the tilt hinge module 70 is seconded. For locking to the body 5.

즉, 상기 로킹 모듈(80)은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클로즈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오픈되거나 틸트 클로즈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클로즈되는 경우, 힌지 아암(71)이 제2 장착홈(6) 내에서 제1 토션 스프링(79)을 압축하며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케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locking module 80 is slide-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3 is slide-opened or tilt-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3 is slide-closed, the hinge arm 71 is form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s compressed to maintain the rotation state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더욱 설명하면, 상기 로킹 모듈(80)은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과정에 힌지 아암(71)이 제1 토션 스프링(79)을 통해 제1 바디(3)의 배면에 밀착되지 않게 함으로써 제1 바디(3)와 힌지 아암(71) 간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more detail, the locking module 80 may prevent the hinge arm 71 from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through the first torsion spring 79 during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body 3. This is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first body 3 and the hinge arm 71.

이러한 로킹 모듈(80)은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틸트 힌지 모듈(70)의 힌지 아암(71)에 대응하여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 구성되는 바, 한 쌍의 로킹 아암(81)과 제2 토션 스프링(8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ocking module 80 is configur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corresponding to the hinge arm 71 of the tilt hinge module 70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d a pair of locking arms 81 and a second torsion spring 89.

상기 로킹 아암(81)은 틸트 힌지 모듈(70)의 힌지 아암(71)에 대응하여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킹 아암(81)은 제2 장착홈(6)에 제2 회전축(A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ocking arm 81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in correspondence with the hinge arm 71 of the tilt hinge module 70. The locking arm 81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via the second rotation shaft A2.

구체적으로, 상기 로킹 아암(81)은 대략 (┘)자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제2 회전축(A2)을 통하여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에 힌지 아암(71)과 상호 보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ocking arm 81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ubstantially (┘) block, the hinge arm 71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through the second rotation axis (A2) Complementary rotatably coupled.

상기 로킹 아암(81)은 제2 장착홈(6)의 바닥면으로 지지되는 제1 부분(82a)과, 제1 부분(82a)에 일체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힌지 아암(71)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부분(82b)으로 이루어진다.The locking arm 81 is integrally bent to the first portion 82a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and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82a and engaged with the hinge arm 71. The second portion 82b.

여기서, 상기 제1 부분(82a)과 제2 부분(82b)의 연결 부분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토션 스프링(89)이 장착될 수 있는 제2 장착 돌기(83)가 형성되는 바, 이 제2 장착 돌기(83)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회전축(A2)이 일체로 형성된다.Here,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83, o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may be mounted, is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portion 82a and the second portion 82b. The second mounting shaft 8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rotating shaft A2 mentioned above.

상기 제2 부분(82b)에는 제2 토션 스프링(89)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 돌기(85)를 형성하고 있다.The second portion 82b is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protrusion 85 for supporting the end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그리고, 상기 제2 지지 돌기(85)는 힌지 아암(71)에 형성된 제1 걸림 돌기(77)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킹 돌기(86)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부분(82b)의 상단부에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언로킹부(90)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걸림 돌기(88)를 형성하고 있다.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85 integrally forms a locking protrusion 86 that engages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formed on the hinge arm 71, and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cond portion 82b from behind.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88 is formed to engage with the unlocking unit 90 to be described further.

또한, 상기 로킹 아암(81)는 이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제3 스토퍼(84)를 일체로 구성하는 바, 이러한 제3 스토퍼(84)는 스토퍼 돌기로서의 제1 부분(82a)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locking arm 81 integrally constitutes a third stopper 84 that regulates its rotation range, and this third stopper 84 consists of a first portion 82a as a stopper protrusion.

상기에서, 제2 토션 스프링(89)은 로킹 아암(81)에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선 형태로 코일링 되며 양단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구조의 토션 스프링으로서 구비되는 바, 로킹 아암(81)의 제2 장착 돌기(83)에 장착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i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locking arm 81, and is provided as a torsion spring having a conventional structure, which is coiled in a spiral form and both ends thereof are in a straight form. 81 may be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83.

즉, 상기 제2 토션 스프링(89)은 나선 형태로 제2 장착 돌기(83)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가 제2 장착홈(6)의 바닥면으로 지지되고 다른 일측 단부가 로킹 아암(81)의 제2 지지 돌기(85)에 지지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is mounted to the second mounting protrusion 83 in the form of a spiral,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arm 81.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85.

따라서, 제1 바디(3)가 틸트 오픈된 상태에서 틸트 클로즈되는 경우, 힌지 아암(71)이 제2 장착홈(6) 내에서 제1 토션 스프링(79)을 압축하며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로킹 아암(81)은 로킹 돌기(86)가 힌지 아암(71)의 제1 걸림 돌기(77)에 의해 바이어스됨으로써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in the tilted open state, the hinge arm 71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and the second body 5 The locking arm 81 is biased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of the hinge arm 71 to overcome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It rotates in one direction.

그리고, 상기 로킹 아암(81)은 힌지 아암(71)의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돌기(86)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힌지 아암(71)을 구속(로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arm 8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86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of the hinge arm 71 and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The hinge arm 71 is locked (locked).

반대로, 상기 로킹 아암(81)은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뒤에서 더욱 설명될 언로킹부(90)에 의해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힌지 아암(71)의 로킹(구속)을 해제하고,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On the contrary, the locking arm 81 is hinged while rotating in one direction while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by the unlocking portion 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The locking (restraining) of the arm 71 is released, and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언로킹부(90)는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로킹 아암(81)에 의한 힌지 아암(71)의 구속을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unlocking portion 90 is for releasing the restraining of the hinge arm 71 by the locking arm 81 at the time when the first body 3 is slide open.

상기 언로킹부(90)는 로킹 모듈(80)의 로킹 아암(81)에 대응하여 제1 바디(3)의 저면 양측에 구성되는 바,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제1 바디(3)의 관성력에 의한 반동으로서 로킹 아암(81)에 의한 힌지 아암(71)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The unlocking unit 9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ody 3 in response to the locking arm 81 of the locking module 80, and the first body 3 when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It is comprised as a structure which can unlock the hinge arm 71 by the locking arm 81 as reaction by the inertia force of (3).

이러한 언로킹부(90)는 도 6a에서와 같이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8)에 대응하여 제1 바디(3)의 배면에 형성되는 바,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제2 걸림 돌기(88)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언로커(91)를 포함한다.The unlocking part 9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88 of the locking arm 81 as shown in FIG. 6A, and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And the unlocker 91 in which the engagement with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88 occurs.

상기 언로커(91)는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8)에 대응하여 제1 바디(3)의 배면에서 제2 바디(5)의 전면을 향하여 일정 폭으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unlocker 91 may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5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width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8 of the locking arm 81. have.

상기 언로커(91)는 탄성 변형 가능한 판 스프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며, 그 판 스프링의 단부에는 제2 걸림 돌기(88)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임펙트 돌기(9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The unlocker 91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leaf spring type, and integrally forms an impact protrusion 93 formed at the end of the leaf spring to engage with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88.

이와 같은 언로커(91)는 도 3 및 도 6a에서와 같이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개폐 시,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8)를 가이드 하는 제1 가이드 홈(95)에 형성될 수 있다.Such an unlocker 91 has a first guide groove 95 for guiding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8 of the locking arm 81 when the first body 3 is opened or closed as shown in FIGS. 3 and 6A. Can be formed on.

상기 제1 가이드 홈(95)은 제2 걸림 돌기(88)에 대응하여 제1 바디(3)의 배면 양측에 그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방향(폭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first guide groove 95 is formed in both sides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3 in the slide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3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8.

한편, 상기 제1 바디(3)에는 도 3,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제1 가이드 홈(95)에 근접하여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방향(폭 방향)을 따라 힌지 아암(71)을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 홈(97)을 형성하고 있다. Meanwhile, the first arm 3 has a hinge arm 71 close to the first guide groove 95 in the sliding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3, as shown in FIGS. 3, 6A, and 6B. ), A second guide groove 97 is formed.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슬라이드 오픈되며 제1 바디(3)의 관성력에 의한 반동으로서 언로커(91)를 통해 로킹 아암(81)에 의한 힌지 아암(71)의 로킹을 해제하고 그 힌지 아암(71)에 의해 제1 바디(3)가 틸트 오픈되는 시점에, 상기 힌지 아암(71)의 회전 궤적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3 가이드 홈(98)을 제2 가이드 홈(97)에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3 slides open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nd the locking arm 81 through the unlocker 91 as a reaction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first body 3. Thir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hinge arm 71 at the time when the hinge arm 71 is unlocked and the first body 3 is tilted open by the hinge arm 71. (98) is formed in the second guide groove (97).

상기 제3 가이드 홈(98)은 제2 가이드 홈(97)의 바닥면에 일정 구간으로 형성되는 바, 제1 바디(3)가 일정 각도(대략 20도)로 틸트 회전될 수 있게 힌지 아암(71)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The third guide groove 98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guide groove 97, the hinge arm (1) so that the first body 3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20 degrees) It also functions to regulate the rotation range of 71).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제2 가이드 홈(97)에는 제3 가이드 홈(98)과 연결되는 돌출부(99)를 더 형성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guide groove 97 is further formed with a protrusion 99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groove 98.

즉, 상기 돌출부(99)는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 되는 구간에서 제2 가이드 홈(97)에 제3 가이드 홈(98)과 연결되며 일정 구간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ing portion 99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predetermined s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groove 98 in the second guide groove 97 in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body 3 is tilted and sliding closed. .

이러한 돌출부(99)는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 되는 때 힌지 아암(71)을 제2 바디(5)의 수평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그 힌지 아암(71)을 로킹 아암(81)에 확실하고 견고하게 로킹시키기 위한 것이다.This protruding portion 99 rotates the hinge arm 71 by further rotating the hinge arm 7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and sliding closed. ) To lock firmly and firmly.

부연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제1 바디(3)가 틸트 오픈된 상태에서 제2 바디(5)에 대하여 틸트 클로즈 되는 경우, 힌지 아암(71)이 회전하여 이의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아암(81)의 로킹 돌기(86)에 로킹될 때, 로킹 돌기(86)에 대한 제1 걸림 돌기(77)의 불완전한 걸림으로 인해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돌기(86)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바디(3)의 슬라이딩 클로즈 시 제1 바디(3)와 힌지 아암(71) 간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while the first body 3 is tilted open, the hinge arm 71 rotates to lock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When locked to the locking projection 86 of the arm 81,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is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jection 86 due to the incomplete locking of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with respect to the locking projection 86. Friction may occur between the first body 3 and the hinge arm 71 upon sliding closing of the first body 3.

이에 상기 제1 바디(3)는 힌지 아암(71) 간의 마찰에 의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 되는 때 돌출부(99)를 통해 힌지 아암(71)을 제2 바디(5)의 수평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그 힌지 아암(71)을 로킹 아암(81)에 확실히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first body 3 does not slide smoothly by friction between the hinge arms 71, in order to prevent th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closed and slide-closed is prevented. By further rotating the hinge arm 7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via 99, the hinge arm 71 can be reliably locked to the locking arm 81.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100)의 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lide-tilt hinge device 100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nd the following drawings.

도 7a 내지 도 7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A to 7G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ng state of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7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의 제2 바디(5)에 대하여 제1 바디(3)가 완전히 클로즈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딩부재(10)는 제2 슬라이딩부재(40)의 한 쪽(전방) 끝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2 슬라이딩부재(40)가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힌지점인 힌지핀(35)을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7A, in a state where the first body 3 is completely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of the portable terminal 1, the first sliding member 10 may be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It is located at the end of one side (front) of. That is,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is in a state not deviating from the hinge pin 35 which is the hinge poin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이 때, 슬라이드 힌지 모듈(50: 도 2 참조)은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10, 40)에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거나 작은 크기의 압축 탄성력이 작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lide hinge module 50 (refer to FIG. 2) may not have elastic force or small compression elastic force acting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10 and 40.

여기서, 틸트 힌지 모듈(70)의 힌지 아암(71)은 제2 바디(5)의 제2 장착홈(6) 내에서 제1 토션 스프링(79)을 압축하며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이하에서는 편의 상 일측 방향이라고 한다)으로 회전된 상태로 로킹 모듈(80)의 로킹 아암(81)에 로킹된 상태에 있다. Here, the hinge arm 71 of the tilt hinge module 70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of the second body 5 and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It is in the state locked to the locking arm 81 of the locking module 80 in the state rotated in the following (it is called a one direction for convenience hereafter).

이 경우, 상기 힌지 아암(71)은 이의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아암(81)의 로킹 돌기(86)에 로킹되면서 제1 바디(3)를 들어 올리는 방향(이하에는 편의상 일측 방향이라고 한다)으로의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 있다.In this case, the hinge arm 71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lifts the first body 3 while being locked by the locking projection 86 of the locking arm 81 (hereinafter referred to as one-side direction for convenience). Rotation is constrained.

그리고, 상기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8)는 제1 바디(3)에 있어 제1 가이드 홈(95)의 홈 영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힌지 아암(71)의 원형 부분은 제2 가이드 홈(97)의 홈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8 of the locking arm 81 is located in the groove area of the first guide groove 95 in the first body 3, and the circular portion of the hinge arm 71 is formed in the second area. It is located in the groove area of the guide groove 97.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7b에서와 같이 제1 바디(3)를 제2 바디(5)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드 오픈시킨다.In this st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B, the first body 3 is slid open forwar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즉,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바디(3)와 제2 바디(5)가 대면한 상태에서, 제1 바디(3)를 전체 이동 구간 중 일정 구간 전방으로 밀어 내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50: 도 2 참조)에 의해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이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ody 3 and the second body 5 face each other, the first body 3 is pushed forward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entire moving section, and in the remaining sections, The slide movement of the first body 3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slide hinge module 50 (see FIG. 2).

상기한 슬라이드 힌지 모듈(50)의 작용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탄성 링크 모듈의 작용과 동일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action of the slide hinge module 50 is the same as the action of the elastic link module commonly used in the art,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 아암(71)이 제1 토션 스프링(79)을 극복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로킹 아암(81)에 의해 로킹되어 있으므로, 힌지 아암(71)이 제1 토션 스프링(79)에 의해 제1 바디(3)의 제2 가이드 홈(97: 도 7a 참조)에 밀착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제1 바디(3)의 슬라이드 오픈 시 제1 바디(3)와 힌지 아암(71) 간에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hinge arm 71 is locked by the locking arm 81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arm 71 overcome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and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hinge arm 71 i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 So as no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groove 97 (refer to FIG. 7A) of the first body 3, which causes the first body 3 and the hinge arm 71 to slide open in the first body 3. There is no friction between).

이러는 시점에, 언로킹부(90)의 언로커(91)는 로킹 아암(81)에 의한 힌지 아암(71)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는데, 도 7c의 (a)에서와 같이 언로커(91)의 임펙트 돌기(93)는 제1 바디(3)의 관성력에 의한 반동으로서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8)와 충돌하게 된다.At this point, the unlocker 91 of the unlocking unit 90 can release the locking of the hinge arm 71 by the locking arm 81, as shown in FIG. 7C (a). The impact protrusion 93 of the collides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8 of the locking arm 81 as a reaction caused by the inertia force of the first body 3.

그러면, 상기 로킹 아암(81)은 도 7c의 (b)에서와 같이, 언로커(91)에 의해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로킹 돌기(86)가 힌지 아암(71)의 제1 걸림 돌기(77)로부터 이탈되면서 힌지 아암(71)의 구속(로킹)을 해제하게 된다.Then, the locking arm 81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by the unlocker 91, as shown in (b) of FIG. 7C, the locking protrusion 86 ) Is released from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of the hinge arm 71 to release the restraint (locking) of the hinge arm 71.

이렇게 언로커(91)에 의한 힌지 아암(71)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에서, 제1 바디(3)의 관성력에 의해 언로커(91)의 임펙트 돌기(93)는 로킹 아암(81)을 더욱 회전시키면서 제2 걸림 돌기(88)로부터 이탈된다.In this state in which the restraint of the hinge arm 71 by the unlocker 91 is released, the impact protrusion 93 of the unlocker 91 further causes the locking arm 81 to be inerted by the inertia force of the first body 3. While rotating, it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88.

여기서, 제1 슬라이딩부재(10)는 제2 슬라이딩부재(40)의 다른 한 쪽(후방) 끝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바, 제2 슬라이딩부재(40)는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힌지점인 힌지핀(35)을 벗어나게 된다( 도 7b 참조).Here, the first sliding member 10 is located at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is the hinge poin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The hinge hinge pin 35 is moved out (see FIG. 7B).

따라서, 상기 힌지 아암(71)은 언로커(91)에 의해 로킹이 해제됨에 따라, 제2 슬라이딩부재(40)가 제1 슬라이딩부재(10)의 힌지점인 힌지핀(35)을 벗어나는 순간, 도 7c의 (c)에서와 같이 제1 토션 스프링(7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ccordingly, as the hinge arm 71 is unlocked by the unlocker 91, the second sliding member 40 moves away from the hinge pin 35, which is a hinge point of the first sliding member 10. As shown in FIG. 7C, the first torsion spring 79 rotates in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와 같이 힌지 아암(71)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도 7d에서와 같이 제1 바디(3)를 상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대략 20도) 만큼 틸트 회전(틸트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As the hinge arm 71 rotates in on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D, the first body 3 may be til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bout 20 degrees) in the upward direction. It becomes possible.

이 경우, 상기 힌지 아암(71)은 제2 가이드 홈(97)의 제3 가이드 홈(98)에 가이드되면서 회전하게 되는 바, 제1 바디(3)는 제3 가이드 홈(98)에 의해 힌지 아암(71)의 회전 범위가 규제됨에 따라 일정 각도로 틸트 회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hinge arm 71 is rotated while being guided to the third guide groove 98 of the second guide groove 97, and the first body 3 is hinged by the third guide groove 98. As the rotation range of the arm 71 is regulated, it becomes possible to tilt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한편, 상기 로킹 아암(81)은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며, 제3 스토퍼(84: 도 5a 및 도 5b 참조)에 의해 회전 범위가 규제된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arm 8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and by the third stopper 84 (see FIGS. 5A and 5B). The rotation range is regulated.

여기서, 본 실시예는 힌지 결합유닛(20)의 돌출부(31)가 고정 브라켓(21)의 제1 스토퍼(25)에 스토핑되고, 힌지 아암(71)이 제2 바디(5)의 제2 스토퍼(8)에 스토핑되면서 제1 슬라이딩부재(10)가 일정 각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2 바디(5)에 대한 제1 바디(3)의 틸트 오픈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sion 31 of the hinge coupling unit 20 stops at the first stopper 25 of the fixing bracket 21, and the hinge arm 71 is the second of the second body 5. As the first sliding member 10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while being stopped at the stopper 8, the tilt opening angle of the first body 3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may be kept constant.

다른 한편으로, 상기에서와 같이 제1 바디(3)가 제2 바디(5)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틸트 오픈된 상태에서, 제1 바디(3)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바디(3)는 제1 슬라이딩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2 바디(5)에 대하여 틸트 클로즈 되며, 슬라이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3 is tilted open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s described above, when an external force act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3, The first body 3 is tilt-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as the first sliding member 10 rotates downward, and maintains the slide-open state.

이러는 과정에, 도 7e에서와 같이 힌지 아암(71)은 제2 장착홈(6) 내에서 제1 토션 스프링(79)을 압축하며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로킹 아암(81)은 로킹 돌기(86)가 힌지 아암(71)의 제1 걸림 돌기(77)에 의해 바이어스됨으로써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FIG. 7E, the hinge arm 71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79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6 and rotates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As the locking projection 86 is biased by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77 of the hinge arm 71, the locking projection 86 overcomes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그리고, 상기 로킹 아암(81)은 힌지 아암(71)의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돌기(86)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제2 토션 스프링(89)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힌지 아암(71)을 구속(로킹)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cking arm 8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86 by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of the hinge arm 71 and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torsion spring 89. The hinge arm 71 is locked (locked).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 7f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 아암(71)이 제2 가이드 홈(97) 내의 돌출부(99)에 의해 바이어스되면서 제2 바디(5)의 평면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게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7F, the hinge arm 71 is further rotated in the planar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while being biased by the protrusion 99 in the second guide groove 97. .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되는 때 돌출부(99)를 통해 힌지 아암(71)을 제2 바디(5)의 수평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그 힌지 아암(71)을 로킹 아암(81)에 확실히 로킹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arm 71 is locked by further rotating the hinge arm 7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through the protrusion 99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closed. The arm 81 can be locked securely.

즉,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 되는 경우, 힌지 아암(71)이 로킹 아암(81)에 로킹될 때, 로킹 돌기(86)와 제1 걸림 돌기(77)의 불완전한 걸림으로 인해 제1 걸림 돌기(77)가 로킹 돌기(86)로부터 이탈되면서 제1 바디(3)의 슬라이딩 클로즈 시 제1 바디(3)와 힌지 아암(71) 간에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closed, when the hinge arm 71 is locked to the locking arm 81, the first protrusion 3 may be caused by incomplete locking of the locking protrusion 86 an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77. As the locking protrusion 77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86, friction may occur between the first body 3 and the hinge arm 71 when sliding the first body 3.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3)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 되는 때 돌출부(99)를 통해 힌지 아암(71)을 제2 바디(5)의 수평 방향으로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힌지 아암(71)이 돌출부(99)를 벗어나는 순간 그 힌지 아암(71)을 로킹 아암(81)에 확실히 로킹시킬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inge arm 71 is further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5 through the protrusion 99 when the first body 3 is tilted and sliding closed. The hinge arm 71 can be reliably locked to the locking arm 81 at the time of leaving this protrusion 99.

또 다른 한편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바디(3)를 제2 바디(5)에 대하여 슬라이드 클로즈시킬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 있는 과정의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되므로 이하에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body 3 is slide-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5, since th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

여기서, 상기 제1 바디(3)가 슬라이드 클로즈되는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도 7g에서와 같이 언로커(91)가 로킹 아암(81)의 제2 걸림 돌기(86)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first body 3 is slide-closed, the unlocker 91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86 of the locking arm 81 as shown in FIG. 7G. .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invention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1... 휴대 단말기 3... 제1 바디
4... 제1 장착홈 5... 제2 바디
6... 제2 장착홈 7... 디스플레이부
8... 제2 스토퍼 9... 키패드부
10... 제1 슬라이딩부재 11... 몸체부
20... 힌지 결합유닛 21... 고정 브라켓
23... 제1 힌지 결합 돌기 25... 제1 스토퍼
27... 스토퍼 홈 31... 돌출부
33... 제2 힌지 결합 돌기 35... 힌지핀
36... 힌지 구멍 40... 제2 슬라이딩부재
41... 레일부 50... 슬라이드 힌지 모듈
51... 탄성부재 53... 바디
70... 틸트 힌지 모듈 71... 힌지 아암
72a, 82a... 제1 부분 72b, 82b... 제2 부분
73... 제1 장착 돌기 75... 제1 지지 돌기
77... 제1 걸림 돌기 79... 토션 스프링
80... 로킹 모듈 81... 로킹 아암
83... 제2 장착 돌기 84... 제3 스토퍼
85... 제2 지지 돌기 86... 로킹 돌기
88... 제2 걸림 돌기 89... 제2 토션 스프링
90... 언로킹부 91... 언로커
93... 임펙트 돌기 95... 제1 가이드 홈
97... 제2 가이드 홈 98... 제3 가이드 홈
99... 돌출부 A1... 제1 회전축
A2... 제2 회전축
1 ... mobile terminal 3 ... first body
4 ... 1st mounting groove 5 ... 2nd body
6 ... 2nd mounting groove 7 ... Display part
8 ... second stopper 9 ... keypad
10 ... first sliding member 11 ... body portion
20 ... Hinge coupling unit 21 ... Fixing bracket
23 ... 1st hinge engaging projection 25 ... 1st stopper
27 ... stopper groove 31 ... overhang
33 ... 2nd hinge engaging projection 35 ... Hinge pin
36 ... hinge hole 40 ... second sliding member
41.Rail section 50 ... Slide hinge module
51 ... elastic member 53 ... body
70 ... tilt hinge module 71 ... hinge arm
72a, 82a ... First Part 72b, 82b ... Second Part
73 ... 1st mounting protrusion 75 ... 1st supporting protrusion
77 ... 1st jamming 79 ... Torsion spring
80 ... Locking module 81 ... Locking arm
83 ... 2nd mounting protrusion 84 ... 3rd stopper
85 ... 2nd support projection 86 ... Locking projection
88 ... 2nd locking projection 89 ... 2nd torsion spring
90 ... Unlocking section 91 ... Unlocker
93 ... Impact projection 95 ... 1st guide groove
97 ... 2nd guide groove 98 ... 3rd guide groove
99 ... protrusion A1 ... first axis of rotation
A2 ... 2nd axis of rotation

Claims (14)

전면에 디스플레이부를 지닌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와 대면하는 전면에 키패드부를 지닌 제2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가 제2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개폐가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 바디에 평면상에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1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 형상의 제2 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딩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드 힌지 모듈;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제1 바디를 틸트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구성되는 틸트 힌지 모듈;
상기 제1 바디의 슬라이드 개폐 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을 로킹시키기 위해 상기 제2 바디에 구성되는 로킹 모듈; 및
상기 제1 바디에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로킹 모듈에 의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의 구속을 해제하는 언로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은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 아암과, 상기 힌지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의 전면 상부 양측에 제1 회전축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제1 장착 돌기와,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이 지지되는 제1 지지 돌기와, 상기 로킹 모듈과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1 걸림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A first body having a display unit on the front surface, and a second body having a keypad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facing the first body, wherein the first body is configured in a mobile terminal that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A plate-shaped first sliding member rotatably hinged to the secon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on a plane;
A plate-shaped second sliding member fixed to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ing member;
A hinge hing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the slide hinge module providing elastic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members when the first body is opened and closed;
A tilt hinge module configur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to tilt the first body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A locking module configured on the second body to lock the tilt hinge module when the first body is opened and closed; And
A unlocking unit configured in the first body and releasing the restraint of the tilt hinge module by the locking module when the first body slides open;
The tilt hinge module includes a hinge arm rotat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a first torsion spring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hinge arm.
The hinge arm is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ody through a first rotation shaft, the first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is mounte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torsion spring is supported,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ntegrally forms a first locking protrusion that engages with the locking modul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부는,
상기 제1 바디가 슬라이드 오픈된 시점에, 상기 제1 바디의 관성력에 의한 반동으로서 상기 로킹 모듈에 의한 상기 틸트 힌지 모듈의 구속을 해제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nlocking unit,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when the first body is the slide open, the release of the tilt hinge module by the locking module as a reaction by the inertial force of the first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은,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클로즈되는 때, 상기 제1 토션 스프링을 압축하며 상기 제2 바디의 평면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1 걸림 돌기를 통해 상기 로킹 모듈과의 로킹이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arm is
When the first body is tilted closed, a slide-tilt hing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compresses the first torsion spring and rotates in a plane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thereby locking with the locking module throug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모듈은,
상기 힌지 아암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킹 아암과,
상기 로킹 아암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cking module,
A locking arm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body corresponding to the hinge arm;
And a second torsion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said locking arm.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에 제2 회전축을 통하여 상기 힌지 아암과 상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이 장착되는 제2 장착 돌기와, 상기 제2 토션 스프링이 지지되는 제2 지지 돌기와, 상기 제1 걸림 돌기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로킹 돌기와, 상기 언로킹부와의 걸림이 이루어지는 제2 걸림 돌기를 일체로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locking arm is
Installed on the second body rotatably with the hinge arm via a second rotational axis,
A second mount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mounted, a second support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torsion spring is supported, a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is engaged;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o form a unit.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부는 상기 로킹 아암의 제2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형성되는 판 스프링 타입의 언로커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걸림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 형성된 제1 가이드 홈에 상기 언로커가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nlocking unit includes a leaf spring type unlocker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of the locking arm,
And an unlocker formed in a first guide groove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in response to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배면에는 상기 힌지 아암에 대응하는 제2 가이드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오픈되는 시점에 상기 힌지 아암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3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hinge arm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body,
The second guide groove is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third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hinge arm when the first body is tilted open.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 홈에는 상기 제3 가이드 홈과 연결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바디가 틸트 클로즈되며 슬라이딩 클로즈되는 때 상기 힌지 아암을 일정 구간 더욱 회전시키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econd guide groove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connected to the third guide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a slide-tilt hinge for a mobile terminal, which further rotates the hinge arm for a certain period when the first body is tilt closed and sliding closed. Devic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를 상기 제2 바디에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결합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힌지 결합유닛은 상기 제2 바디의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하단부 양측에 일체로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각 고정 브라켓과 상기 돌출부를 힌지 결합하는 힌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hinge coupling unit for hinge coupling the first sliding member to the second body,
The hinge coupling unit may include a fixing bracket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second body, a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extending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first sliding member, and a hinge coupled to each of the fixing brackets and the protrusion.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pin.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재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스토퍼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여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스토퍼 홈으로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xing bracket is formed with a first stopper for regulating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sliding member,
And the first stopper is a stopper groov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portion.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아암 및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바디의 전면 상부 양측에 형성된 장착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장착홈은 상기 힌지 아암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제2 스토퍼를 형성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hinge arm and the locking arm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unting grooves formed on both front upper sides of the second body,
And said mounting groove forms a second stopper for regulating the range of rotation of said hinge arm.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에는 그 로킹 아암의 회전 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 돌기로서의 제3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틸트 힌지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slide-tilt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ocking arm is integrally formed with a third stopper as a stopper protrusion for regulating the rotational range of the locking arm.
KR1020100102451A 2010-10-20 2010-10-20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1011533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51A KR101153373B1 (en) 2010-10-20 2010-10-20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451A KR101153373B1 (en) 2010-10-20 2010-10-20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32A KR20120040932A (en) 2012-04-30
KR101153373B1 true KR101153373B1 (en) 2012-06-07

Family

ID=46140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451A KR101153373B1 (en) 2010-10-20 2010-10-20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3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8B1 (en) 2017-04-10 2018-09-28 에스티커넥터(주) Portable device with dual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749B1 (en) * 2012-11-28 2014-01-27 주식회사 코바텍 Socket structure for mobile phone module function tests
EP4163760A4 (en) 2020-07-14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WO2022014976A1 (en)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83B1 (en) 2006-06-07 2006-09-06 (주)쉘-라인 Slide type multimedia player capable of til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83B1 (en) 2006-06-07 2006-09-06 (주)쉘-라인 Slide type multimedia player capable of til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88B1 (en) 2017-04-10 2018-09-28 에스티커넥터(주) Portable device with du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32A (en) 2012-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487B2 (en) Sliding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US7650671B2 (en) Slide hinge module and slide type equipment utilizing the same
KR100998937B1 (en) Combined mechanism for sliding movement and rotating movement and a portable electronic appliance employing the same
US7991442B2 (en)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39866B1 (en) Hinge device of folding type mobile phone
US8290549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EP2194693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CN101795544B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and hinge unit
EP2267986B1 (en) Electronic device and moving mechanism thereof
KR100619183B1 (en) Slide type multimedia player capable of tilting
KR101153373B1 (en)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US8620396B2 (en) Slide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CN104023097B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KR100681356B1 (en) Slide/hinge apparatus of portable unit
EP2397929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rotatable member
US7136687B2 (en) Electrical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a top module and a bottom module
KR101153372B1 (en)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747455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101186654B1 (en)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200451338Y1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of a combined slide and swing type
KR101188848B1 (en) Slide-tilt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996404B1 (en) Slide type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tilting
KR20120136616A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apable of multiple opening and closing
JP5233946B2 (en) Electronic device and hinge for the device
KR101120159B1 (en)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of folding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