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120B1 -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 Google Patents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120B1
KR101153120B1 KR1020100097239A KR20100097239A KR101153120B1 KR 101153120 B1 KR101153120 B1 KR 101153120B1 KR 1020100097239 A KR1020100097239 A KR 1020100097239A KR 20100097239 A KR20100097239 A KR 20100097239A KR 101153120 B1 KR101153120 B1 KR 101153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user device
viewer
image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5609A (ko
Inventor
차형경
Original Assignee
차형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경 filed Critical 차형경
Priority to KR102010009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1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28Adjusting depth or dispa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5Aspects relating to the "3D+depth" image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고,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Method For Depth Adaptation of Autostereoscopic Image and User Equipment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UI(User Interface)를 살펴보면, 스마트폰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2개 손가락으로 화면을 터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펴는 것처럼 움직이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커지는 등 점차 사용자의 행동 친화적인 방식으로 발달하고 있다.
한편, 최근 휴대폰, PDA 등의 이동 기기, 또는 컴퓨터, 노트북 등의 기기에서 3D 디스플레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사용자에 따라 보다 강한 깊이감(depth)를 느끼기를 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는 반면, 인지 과정에서의 불편함 등으로 약한 깊이감을 느끼기를 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깊이감"이란 사용자가 영상의 전체 또는 부분이 스크린과 대비하여 돌출되거나 스크린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행동 친화적인 깊이감 조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장착된 2개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시청자 안면의 특정 부위와 상기 2개 카메라를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를 통해 판정할 수 있다.
상기 깊이감은 상기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깊이감 조정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좌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상기 우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좌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상기 우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기기의 깊이감 조정 모드 선택 정보로서 제 1 모드 또는 제 2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며, 상기 제 2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는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번갈아 교차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단에서, 시청자의 좌안에 상기 좌측 영상이 상기 시청자의 우안에 상기 우측 영상이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패럴랙스 배리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행동 친화적인 깊이감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는 패럴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패럴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입체영상 생성 칩에서 합성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 판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상대적인 이동을 통해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먼저,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는 휴대폰, PDA 등의 이동 기기, 또는 컴퓨터, 노트북 등의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을 가정한다. 또한, 이하에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을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랜티큘러 어레이 방식 및 홀로그램 방식 등 역시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체 영상(또는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법은 인간의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함으로써 구현되며,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이와 같이 두 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조명하기 위하여 별도의 안경착용이 필요한지 여부에 따라 크게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와 비안경식 (나안방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관찰자가 특수한 안경을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지만, 비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상술한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직접 스크린을 주시하는 것만으로도 입체영상을 느낄 수 있어 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안경식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렌티큘러 (lenticular) 방식에 의한 장치와 패럴랙스-배리어 (parallax-barrier) 방식에 의한 장치로 크게 구분된다.
이하에서 패럴랙스-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는 패럴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2는 패럴랙스-배리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패럴랙스-배리어 방식에 의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두 눈에 각각 대응하는 수직방향(도 2의 Y-Y' 방향)을 향하는 좌측영상(L)과 우측영상(R)을 수평방향(도 2에서 X-X'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그 전단에 배리어(20; barrier)라 불리는 수직방향을 향하는 막대 형태의 차단막을 포함한다. 이러한 입체영상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영상(L)에 해당하는 빛은 좌안으로만 입사되고, 우측영상(R)에 해당하는 빛은 우안으로만 입사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배리어(20)를 배치하며, 이를 통해 분할된 2 개의 좌, 우 영상(L, R)이 분리 관측되어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방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입체 영상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교대로 배치되어 저장된 입체 영상 컨텐츠가 필요하다.
도 3는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영상 촬영 기능이 있는 휴대폰 등 기존의 이동 기기(Mobile Equipment)용 카메라 모듈 2개를 이용하여, 각각 도 3의 (1)과 같은 좌측 영상(L)과 도 3의 (2)와 같은 우측 영상(R)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영상 처리 기능을 가지는 이동 기기는 1개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이동 기기의 벡엔드 칩셋(back-end chipset) 또는 간단히 벡엔드를 통해 처리하는 기능만을 포함하며, 본 문서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동기를 맞추어 합성하고, 입체감을 조정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문서에서는 이와 같은 이동 기기에 입체 영상 생성 칩을 삽입하며, 이를 통해 입체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영상(L)과 우측 영상(R)은 정지화상일 수도 있고, 동영상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 모듈을 통한 일반적인 영상 컨텐츠에 해당한다. 또한, 각각의 카메라 모듈은 CMOS 또는 CCD를 지원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사항에 해당한다.
도 4은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입체영상 생성 칩에서 합성한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은 입체 영상 생성칩에 입력되어 각각 세로방향 열을 단위로 분할되어 가로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합성된다. 이와 같이 공간적으로 교대로 배치된 좌우 영상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패럴랙스 베리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좌안에는 좌측 영상만 보이고, 우안에는 우측 영상만이 보여 전체적으로 입체 영상으로 인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입체영상 생성 방법에 대한 일반론을 바탕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 조정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입체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수단 및 사용자에 따라 인지되는 입체감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따라서는 보다 강한 깊이감(depth)을 느끼기를 원할 수도 있고, 인지 과정에서의 불편함 등을 이유로 보다 약한 깊이감을 느끼기를 원할 수도 있다. 여기서, "깊이감"이란 사용자가 영상이 스크린과 대비하여 돌출되거나 스크린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깊이감에 대한 사용자별 다른 선호도는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키지만, 터치형 휴대폰/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기기의 화면에 입체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황에서 깊이감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종료시키고, 깊이감을 조정한 후 다시 디스플레이를 재시작하는 경우, 조작이 불편할뿐만 아니라 깊이감이 원하는 정도로 조정되었는지를 조작 중에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입체영상의 깊이감의 경우, 최근 스마트폰에서 화면 확대를 위해 손가락을 대고 화면을 늘이는 방식 등, 사용자 행동 패턴 친화적인 방식을 생각하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가 입체영상을 시청 중에 깊이감이 자동적으로 조정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였다.
(1) 일반적으로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좀더 실감나는 입체영상을 보고 싶다면, 그 시청자는 사용자 기기 방향으로 얼굴을 좀더 접근할 것이다.
(2) 반대로,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어지러움을 느끼거나, 너무 강한 입체감으로 인하여 불편함을 느낀다면, 그 시청자는 사용자 기기에서 좀더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굴을 움직일 것이다.
이와 같은 가정하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먼저,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도록 조정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 판정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 휴대폰 등에는 입체영상 촬영을 위해 2개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고 있는 기기들이 많다. 만일, 시청자가 사용자 기기에 다가가는 경우, 도 5에서 각도 a와 같이 2개 카메라와 시청자 안면의 특정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가 증가하게 되며, 시청자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도 5에서 각도 b와 같이 2개 카메라와 시청자 안면의 특정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 사이의 각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각도가 증가하는 정도에 따라 자연스럼게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다만, 도 5와 달리 사용자의 안면 인식 기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도를 판정할 수 있으나, 도 5의 방식에 비해 다소 복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상대적인 이동을 통해 조정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 영상을 구성하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합성 위치에 따라, 사용자에게 해당 사물이 스크린(401) 전면(예를 들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402"로 지칭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될 수도, 스크린(401) 후면(예를 들어,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403"으로 지칭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합성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좌우 배치의 상대적 이동(shift)을 통해 조정하여 깊이감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입체감을 조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상대적 이동을 통한 입체감 조정은 기존의 이동 기기 구성에 입체 영상 생성 칩의 입체영상 프로세서, 구체적으로 입체 영상 프로세서의 입체감 조정 모듈를 통해 구현될 수도, 이와 달리 이동 기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된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의 배치 관계에 따라 스크린(401) 전면에 "402"로 지칭된 위치에 사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우측 영상을 좌우 방향 중 우측 방향인 "A"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좌측 방향인 "A'" 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사용자에게는 좌우 영상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이들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402a"로 지칭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어 결과적으로 사물이 더욱 스크린(4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동일한 영상 내에서 스크린(401) 후면에 위치("403"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사물에 대해, 우측 영상을 "A"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좌우 영상 사이의 간격으로 인하여 이들 우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403a"로 지칭된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어 결과적으로 사물이 스크린(401) 쪽(즉,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결국, 우측 영상을 "A"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물을 전체적으로 "a"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전체적인 깊이감을 조정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린(401) 전면에 "402"로 지칭된 위치에 사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경우, 우측 영상을 좌측 방향인 "B"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우측 방향인 "B'" 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이들 영상이 "402b" 위치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인지되어, 결과적으로 스크린(401) 쪽(즉,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스크린(401) 후면에 "403"으로 지칭된 위치에 사물이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대상 역시, 우측 영상을 "B"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에게는 이들 영상이 "403b" 위치에 위치하는 것과 같이 인지되어, 결과적으로 스크린(4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지게 된다.
결국, 우측 영상을 "B" 방향으로, 좌측 영상을 "B'"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사물을 전체적으로 "b"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전체적인 입체감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깊이감 조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통해 입체영상을 시청하면서 느껴지는 입체감의 정도에 따른 움직임을 파악하여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깊이감의 조정은 저장된 컨텐츠에 대해 수행되어 바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깊이감이 조정된 상태에서 다시 재 저장되어 이후 재생에 바로 이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입체영상생성 방법 및 입체영상 생성칩은 각 사용자 조건에 최적화된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시 깊이감을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조정하는 것을 제안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좌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우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좌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우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사용자 기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다른 가정을 해본다.
(1)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어쩔 수 없이 사용자 기기 방향으로 얼굴을 접근시키는 경우(예를 들어, 붐비는 전철안),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의 깊이감이 너무 강하다면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다.
(2) 반대로,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시청하던 시청자가 사용자 기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얼굴을 이동하는 경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의 깊이감이 너무 약하다면 입체감을 거의 느끼지 못할 것이다.
이와 같은 가정하에,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와 반대로,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감소시키고,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2가지를 깊이감 조정 모드로서 먼저 설정하여, 시청자가 미리 제 1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첫번째 실시형태와 같이, 시청자가 미리 제 2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두번째 실시형태와 같이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기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입체영상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번갈아 교차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전단에서, 시청자의 좌안에 상기 좌측 영상이 시청자의 우안에 우측 영상이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입체영상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입체영상디스플레이 모듈은 패럴랙스 배리어 모듈, 렌티큘러 어레이 모듈 등 임의의 모듈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여,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을 증가시키고,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한다. 물론, 본 프로세서는 상술한 2번째 또는 3번째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서의 각 구성이 명시적인 실시형태들과 같이 조합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되는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켜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UI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는 상기 사용자 기기에 장착된 2개의 카메라를 통해, 상기 시청자 안면의 특정 부위와 상기 2개 카메라를 연결하는 직선의 각도를 통해 판정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UI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은 상기 입체영상을 구성하는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조정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UI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감 조정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좌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상기 우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좌측 영상을 우측 방향으로, 상기 우측 영상을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UI 제공 방법.
  5. 사용자 기기와 시청자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고; 그리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켜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UI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UI 제공 방법.
  6. 삭제
  7. 시청자와의 거리에 따라 입체영상의 깊이감(depth)를 조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입체영상의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이 번갈아 교차되는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전단에서, 시청자의 좌안에 상기 좌측 영상이 상기 시청자의 우안에 상기 우측 영상이 선택적으로 보이도록 배치된 입체영상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조정하는 UI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는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를 판정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기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증가시키고, 상기 사용자 기기와 상기 시청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상기 입체영상의 깊이감을 감소시키도록 설정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기기.
KR1020100097239A 2010-10-06 2010-10-06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101153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39A KR101153120B1 (ko) 2010-10-06 2010-10-06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7239A KR101153120B1 (ko) 2010-10-06 2010-10-06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609A KR20120035609A (ko) 2012-04-16
KR101153120B1 true KR101153120B1 (ko) 2012-06-04

Family

ID=4613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7239A KR101153120B1 (ko) 2010-10-06 2010-10-06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1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10B1 (ko) * 2005-08-3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의 깊이감 조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810B1 (ko) * 2005-08-31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영상의 깊이감 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609A (ko) 201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4190B2 (en) Optimization of a multi-view display
US9554126B2 (en) Non-linear navigation of a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display
TWI471820B (zh) 行動終端機及其操作控制方法
TWI461960B (zh) 一種通信方法和通信系統
EP2618581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52811B1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60291327A1 (en) Glass-type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2014045474A (ja) 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US9032334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3-dimensional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20120154378A1 (en) Determining device movement and orientation for three dimensional views
CN102223549A (zh) 三维图像显示装置及三维图像显示方法
KR20140038366A (ko) 움직임 패럴랙스를 가지는 3-차원 디스플레이
TW201201569A (en) Display device
US970619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5341126B2 (ja) 検出領域拡大装置、表示装置、検出領域拡大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WO2014136144A1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18157331A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
KR10188808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47620A (ko) 입체적 효과 조정을 위한 상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50372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53120B1 (ko) 입체영상의 깊이감 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사용자 기기
KR101629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70127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JP2013219485A (ja) 立体画像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表示方法
KR101978790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