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691B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691B1
KR101152691B1 KR1020050052966A KR20050052966A KR101152691B1 KR 101152691 B1 KR101152691 B1 KR 101152691B1 KR 1020050052966 A KR1020050052966 A KR 1020050052966A KR 20050052966 A KR20050052966 A KR 20050052966A KR 101152691 B1 KR101152691 B1 KR 10115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munication medium
communication
predetermined
digital multi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225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5005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691B1/ko
Publication of KR20060133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2Specific keyboar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2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by placing content in organized collections, e.g. local EPG data reposit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6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및 정보 저장매체에 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서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리턴채널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Device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Stor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무선 단말기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무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입력모드 기반의 HRC 키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동작모드 기반의 HRC 키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HRC 프로그램이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한 바람직한 플랫폼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HRC 프로그램의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HRC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무선 단말기 17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75 : 메뉴부 180 : 확인부
185 : 독출부 190 : 통신 처리부
195 : 통신채널 연결대상 700 : 정보 입력부
705 : 통신매체 호출부 710 : 통신 매체부
715 : 통신매체 연동부 72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동부
본 발명은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수신장치의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로서, 이동 중이거나 고정된 장소에서 핸드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차량용 등 개인형 단말기를 통해 CD수준의 음질과 데이터 및/또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며,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지상파 디지털 방송(Terrestrial-Digital Video Broadcasting; T-DMB) 및/또는 위 성 디지털 방송(Satellite-Digital Video Broadcasting; S-DMB)으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이동수신이 가능하며, 방송 수신 중에 소정의 리턴채널을 통해 네트워크 상의 장치(또는 서버)와 연결할 수 있는 양방향성을 제공하지만, 상기 리턴채널이 상기 수신 중인 디지털 방송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통신채널로 한정되기 때문에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양방향 통신에 대한 다양성을 부가하기에는 난해한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메모리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고,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 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및 정보 저장매체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 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메모리부 및/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IC카드 리더기를 통해 연동하는 소정의 IC칩 및/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T-DMB)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S-DMB)을 통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Short Message Service) 및/또는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및/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메센저 송신 매체인 경우, 메신저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인 경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통신 매체인 경우, ARS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근거리 통신 매체인 경우,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매체는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와, 이메일 송신 매체와, 메신저 송수신 매체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와, ARS 통신 매체와, 근거리 통신 매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는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이메일 송신 매체정보( 또는 접속정보)와, 메신저 송수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ARS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근거리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셋탑박스(Set-Top-Box) 및/또는 상기 셋탑박스가 내장된 디지털 텔레비전 및/또는 디지털 방송 수신카드가 구비된 컴퓨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고정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와, 디지털 방송 수신모듈이 구비된 개인 통신 단말기(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단말기 및/또는 개인 디지털 셀룰러 단말기(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및/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기 및/또는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또는 스마트폰(Smart Phone) 및/또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및/또는 휴대 인터넷 단말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이동형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는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는 기능;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 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는 기능;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연계하여,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는 기능;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메신저 송신 매체인 경우, 메신저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인 경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ARS 통신 매체인 경우, ARS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근거리 통신 매체인 경우,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대응하는 정보 운용방법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방송 수신수단에서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 수신수단에서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는 단계;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연계 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운용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메신저 송신 매체인 경우, 메신저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인 경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ARS 통신 매체인 경우,
ARS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근거리 통신 매체인 경우,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기록매체에는 상기 정보 운용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정보 운용 시스템은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는 기능과,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는 기능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와 연 계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는 기능과,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또는 장치); 상기 서버(또는 장치)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접속 대상 또는 통신 채널 연결 대상 장치(또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버(또는 장치)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입력받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버(또는 장치)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메신저 송신 매체인 경우, 메신저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인 경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ARS 통신 매체인 경우, ARS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근거리 통신 매체인 경우,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기능을 더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듈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설명하며, 상기 프로그램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또는 장치)를 편의상 관리서버라고 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접속 대상 또는 통신 채널 연결 대상 장치(또는 서버)를 편의상 장치 및/또는 서버라고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무선 단말기(100)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단말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상기 이동 통신단말의 바람직한 기능구성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하여 이동 통신단말 이외에 다른 무선망(예컨대, 휴대 인터넷, 또는 초고속하향패킷전송기술(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 HSDPA)에 접속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또는 유선망(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에 접속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카드가 구비된 데스크탑 컴퓨터(또는 노트북), 또는 셋탑박스)의 기능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청구 범위가 본 도면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100)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단말기(100)는 외 형상 몸체(Body)와 스피커와 마이크, 키패드, LCD(Liquid Crystal Display), 안테나와 배터리(12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내부적으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뎀, CPU/MPU(Central Processing Unit/ Micro Processing Unit), 보코더 등의 기능을 내장한 소정의 모뎀칩(예컨대, 미국 퀄컴(Qualcomm)사의 MSM 시리즈 모뎀칩)과, 각종 메모리 소자, 하나의 안테나에서 송수신 신호를 분리해 주는 듀플렉서 필터,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파워 앰프, 고출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A), 고출력 송신 신호가 반대로 되돌아오는 현상을 막아주는 아이솔레이터(Isolator), 원하는 대역 외 불요파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RF/IF SAW 필터, 송신 경로의 주파수 상향회로, 수신경로의 주파수 하향 변환회로, 기준 클럭원에 해당하는 VCTCXO(Voltage Controlled 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주파수 상하향 변환의 국부신호로 사용되는 UHF 주파수 합성기, 및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코덱칩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내부 구성요소는 점차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집적화 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모뎀칩에는 상기와 같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 외에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 및/또는 부가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함께 직접화 되고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는 기본적으로 제어부(105)와 사운드 처리부(110)와 화면 출력부(115)와 키 입력부(120)와 무선 처리부(135)와 근거리 통신부(140)와 메모리부(165)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25)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DMB 처리부(130)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디지털 카메라(150)와 카메라부(145)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60) 및 상기 IC칩(160)에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읽고/쓰기 위한 IC칩 리더부(155) 등을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모뎀칩에 구비되는 CPU/MPU를 포함하는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고, 소정의 메모리 소자로부터 무선 단말기(100) 특유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BUS) 및 이를 위해 구비되는 소정의 전자회로(또는 집적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소정의 메모리 소자 및/또는 칩셋으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특유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처리되는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의 총칭(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운용을 위해 무선 단말기(100)의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을 편의상 본 제어부(105) 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함.)으로서,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이에 의해 무선 단말기(100)에 구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기능들이 실현되며,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실현하기 위해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 및 관리하는 상기 제어부(105)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소정의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던 운영체제 루틴, 시스템 관리 루틴, 및/또는 시스템 변수들이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어 운영체제,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 및/또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변수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5)는 본 발명에 의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 및 운용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115)는 화면 출력을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Driver)로서 상기 제어부(105)(예컨대, LCD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루틴)에 의해 키 입력부(120)를 통해 발생하는 키 데이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각종 정보, 신호, 및/또는 컨텐츠(예컨대, 문자 컨텐츠, 이미지 컨텐츠, 및/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정의 화면출력장치(예컨대, LCD 패널)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비디오 다중화기(Multiplexer)와 미디어 칩(Media Chip)에 구비되는 비디오 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115)는 화면출력장치(LCD)가 연동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및 운용을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화면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화면 출력부(115)는 사용자의 선택 및/또는 저장된 설정에 의해 초기화 상태 또는 통화 대기 상태 또는 엑세스 세부 상태 또는 통화 채널 상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상태 화면을 출력하거나,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0)는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엔코딩(Encoding)하여 제어부(105)로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105)가 추출 및/또는 생성하는 소정의 사운드 신호를 디코딩(Decoding)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정의 오디오 다중화기와 미디어 칩에 구비되는 오디오 코덱(Codec)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운드 처리부(110)는 마이크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며, 또는 상기 사운드 처리부(110)는 스피커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사운드 출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바라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처리부(110)는 사용자의 선택 및/또는 저장된 설정에 의해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신호를 입력 및/또는 출력하거나, 또는 무선 단말기(100)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사운드(예컨대, 효과음, 벨소리, 통화연결음)를 출력하거나, 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키 입력부(120)는 소정의 숫자키(Number Key) 및/또는 문자키(Character Key) 및/또는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Key Button)을 구비한 소정의 키패드(Keypad)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특정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예컨대, MH_KEY_PRESSEVENT, MH_KEY_REPEATEVENT, MH_KEY_RELEASEEVENT)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키 이벤트를 상기 제어부(105)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현재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를 독출(예컨대, 각각의 무선 단말기(100)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특정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키 테이블로부터 상기 키 이벤트에 키 데이터 독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키 이벤트와 매칭되어 정의된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12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한 상기 키패드는 상호 연동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키 입력수단의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키 입력수단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DMB 처리부(130)를 통해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키입력수단 을 통해 소정의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실행(또는 동작)시키는 명령과 매칭되는 키(이하, HRC(Hot Return Channel) 키라고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HRC 키는 도면3과 같이 키패드에 구비된 별도의 HRC키 버튼으로 구비되거나, 및/또는 도면4a 또는 도면4b와 같이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종래 키 버튼에 정의되지 않은 키 이벤트(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에서 정의되지 않는 키 이벤트)에 상기 HRC 키를 정의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DMB 처리부(130)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T-DMB) 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S-DMB)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규격을 따르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 이터 및/또는 정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독출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 처리부로 제공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독출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정보 데이터를 상기 화면 출력부(115)로 제공하여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독출된 정보 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정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DMB 처리부(1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면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DMB 처리부(130)는 지상파 디지털 방송(T-DMB)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거나, 및/또는 위성 디지털 방송(S-DMB)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정보 데이터를 독출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 수신부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상기 제어부(105)(예컨대,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와 연계하여 위치등록 및/또는 슬롯모드(Slot Mode) 및/또는 전력제어(Power Control) 및/또는 핸드오프(Hand-off) 및/또는 호처리(Call Processing) 절차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이동 통신망의 종단에 해당하는 기지국과 무선 주파수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RF 처리기능(예컨대, 안테나 제어, 무 선 주파수 신호의 변조, 합성, 증폭 및/또는 필터링 등을 수행)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상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무선 단말기(100)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정보 또는 신호를 CDMA 스택으로 가공 처리하거나,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CDMA 스택으로부터 소정의 정보 또는 신호를 독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처리부(135)는 이동 통신망 상에 정의된 호처리 절차를 통해 소정의 통화단말과 음성 통화를 위한 소정의 통화채널을 연결하거나, 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예컨대, 무선 메시지, 무선 인터넷)을 위한 소정의 단말 또는 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채널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양방향 통신을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서버측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DMB 처리부(130)와 무선 처리부(135)는 스위치를 통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안테나(예컨대, 스마트 안테나)를 공유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형 안테나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140)는 적외선(Infrared Ray) 통신 및/또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및/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및/또는 무선랜(Wireless LAN) 및/또는 와이파이(Wi-Fi), 초광대역통신(Ultra Wide Band; UWB)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소정의 단말(또는 장치)과 근거리 무선 통신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하드웨어적으로 상기 적외선 통신, RF 통신, 블루투스, 무선랜, 와이파이, 초광대역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익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 처리부 이외에 상기 근거리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측과 통신채널을 연결(예컨대, 근거리 통신부(140)과 연결되는 소정의 근거리 통신 장치를 소정의 네트워크 접속점(Access Point)으로 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서버측과 통신채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부(150)는 소정의 광학부와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로 이루어진 디지털 카메라(155)로부터 래스터(Raster) 기반의 CCD 화상정보를 비트맵 방식으로 독출하고, 상기 화상정보를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카메라부(150)는 화상정보 형태의 RFID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IC칩 리더부(155)는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IC칩 규격을 통해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IC칩 관련 기능구성(예컨대,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IC칩 에이전트 프로그램)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60) 사이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ISO/IEC 7816 및/또는 ISO/IEC 14443 등을 포함하는 규격을 참조하면, 고객 무선 단말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IC칩(160)은 전원 공급(VCC), 리셋 신호(RST), 클럭 신호(CLK), 접지(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VPP), 및/또는 입출력(I/O) 등과 같은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155)와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와,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및/또는 코프로세서(Coprocessor)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메모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에는 IC카드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전원 공급(VCC) 접촉점을 통해 IC칩 리더부(155)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COS가 소정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IC칩(16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160)과 IC칩 리더부(155) 사이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칩(160)에는 소정의 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결제수단 정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유료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기 위한 수신제한(Conditional Access System; CAS) 정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신 매체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부(165)는 무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예컨대, 프로그램 루틴(또는 코드)에 의한 동작이 수행될 때 입련綏쨉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의 총칭으로서, 읽기 전용 메모리에 해당하는 ROM(Read Only memory)과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FM), 및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ROM은 삭제되면 안되는 시스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플래시 메모리에는 운영체제 루틴, 호처리 프로그램 루틴, 및/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를 통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루틴과 이를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며, 상기 EEPROM에는 단말기 등록관련 파라미터와 전화번호(예컨대, 주소록) 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중에 추출 및/또는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 및/또는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신 매체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는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송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이메일 송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메신저 송수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ARS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와, 근거리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165)에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특정 입력모드 및/또는 동작모드에서 상기 키 입력수단의 키 버튼을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또는 신호)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와,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키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는 키 테이블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현재 활성화된 특정 프로그램에서 판독하는 경우(예컨대, 상기 키 입력부(120)에 의해 발생된 소정의 키 이벤트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현재 동작중인 특정 프로그램이 받아서 이용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65)에는 상기 키 테이블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165)에 상기 키 테이블이 구 비되는 경우, 상기 키 테이블에는 상기 HRC 키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에 대한 동작기능을 정의하는 소정의 키 테이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HRC 키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특정 프로그램에서 처리하도록 한정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65)에는 상기 HRC 키를 정의하는 키 테이블 정보가 포함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는 상기 키 입력부(120) 및/또는 화면 출력부(115)와 연동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 HR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 상기 키 입력부(120)로부터 HRC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결과 HRC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통신 매체 선택메뉴를 출력시키는 메뉴부(175)와, 상기 통신 매체 선택메뉴를 통해 소정의 통신 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결과 통신 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 매체를 확인하는 확인부(180)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는 독출부(185)와,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통신 처리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프로그램(이하 "HRC 프로그램"이라 한다)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DMB 처리부(130)가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및/또는 소정의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소정의 HR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HRC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HRC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및/또는 소정의 HRC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또는 동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HRC 인터페이스 및/또는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중첩되어 출력(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 상위에 위치하는 창(Window) 형태로 출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당업자의 의도 또는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의 특성에 따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일부 기능을 인터럽트하여 출력(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으로부터 전환된 통신기능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메뉴부(175)와 연동하여 소정의 통신 매체 선택메뉴를 포함하는 메뉴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거나, 및/또는 상기 통신 매체 선택메뉴로부터 선택(또는 입력)되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확인부(18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190)가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매체를 통해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통신 처리부(190)와 연동하여 상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소정의 정보를 독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가 SMS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단문 메시지를 입력받기 위한 소정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독출함으로써, 상기 통신처리부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단문 메시지 처리용 시스템 파일(예컨대, 단문 메시지용 DLL(Dynamic Linking Library) 파일) 또는 시스템 함수(예컨대, 단문 메시지용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함수)를 호출하여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예컨대, MT SMS)으로 상기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통신 처리부(190)가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는 상기 통신 처리부(190)와 연동되는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동하여 상기 통신 매체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통신 매체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기반의 무선 인터넷이라면, 상기 통신 처리부(190)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WAP 브라우져(예컨대, 무선 인터넷을 위한 통신매체 프로그램)를 실행(또는 동작)하여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예컨대, WAP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WAP 브라우져로 수신되는 무선 인터넷 화면(예컨대, 무선 인터넷을 위한 통신기능 인터페이스)을 상기 화면에 출력한다.
상기 메뉴부(175)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 상기 키 입력부(120)로부터 HRC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결과 HRC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DMB 처리부(130)를 통해 현재 수신 중인 방송 채널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메모리부(165)로부터 상기 방송 채널에 대응하여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통신매체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매체 선택메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상기 DMB 처리부(130)를 통해 수신 중인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 정보가 SMS와 이메일과 무선 인터넷과 자동응답서비스(ARS)라면, 상기 메뉴부(175)는 "1. 단문메시지", "2. 메일발송", "3. 무선인터넷", "4, 콜센터"를 포함하는 통신매체 선택메뉴를 출력한다.
상기 확인부(18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메뉴부(175)를 통해 출력된 상기 통신 매체 선택메뉴로부터 소정의 통신 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확인결과 통신 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키 이벤트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 매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출부(185)는 상기 메모리부(165)(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IC칩(160))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상기 메모리부(165)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독출부(185)는 상기 메모리부(165)에 구비된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저장영역에 대한 접근정보(예컨대,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에 대한 파일 포인터)를 생성하고, 상기 접근정보를 통해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저장영역에 접근하여 상기 확인된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상기 IC칩(160)에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독출부(185)는 소정의 개인식별정보(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를 통해 상기 IC칩(160)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하고, 상기 IC칩(160)으로부터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기 위한 APDU 기반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명령어를 통해 상기 IC칩(160)으로부터 상기 확인된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한다.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독출된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판독하여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소정의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이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및/또는 이메일 등과 같이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을 따른다면,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소정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정의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통신매체에 대응하는 소정의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7a를 통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이 메신저 및/또는 무선 인터넷 및/또는 자동응답서비스 및/또는 근거리 통신과 같이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을 따른다면, 상기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통신매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을 실행(또는 동작)시켜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에 접속하고, 상기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부터 소정의 응답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7b를 통해 설명한다.
본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HRC 기능을 통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에는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및/또는 이메일 및/또는 메신저 및/또는 무선 인터넷 및/또는 자동응답서비스 및/또는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서버와 개인 컴퓨터와 휴대단말과 이동단말과 통화단말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HRC 기능의 탑재 및/또는 그 관리와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소정의 관리서버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채널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무선 단말기(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기반하는 이동 통신망에 접속하는 이동 통신단말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무선 단말기(10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상기 이동 통신단말의 바람직한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하여 이동 통신단말 이외에 다른 무선망(예컨대, 휴대 인터넷, 또는 초고속하향패킷전송기술(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 HSDPA)에 접속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 또는 유선망(예컨대,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VDSL(Very high-data rate Digital Subscriber Line))에 접속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듈이 구비된 데스크탑 컴퓨터(또는 노트북), 또는 셋탑박스(Set-Top-Box))의 바람직한 구조(예컨대,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 단말이 데스크탑 컴퓨터라면, 상기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방송 신호 수신부와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디코더부와 DMB 디코더부와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DMB 모듈이 메인보드 슬롯에 탑재되는 구조)를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청구 범위가 본 도면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동 통신망에 연결된 무선 단말기(100)의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면2를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100)에는 DAB 모듈(205)과 DMB 디코더(210)를 포함하는 DMB 처리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DAB 모듈(205)과 DMB 디코더(210)는 PCB에 탑재되는 주문형 반도체 또는 IC칩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 중에 데이터 서비스 모드에 스트림 모드를 통하여 비디오 서비스를 부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DAB 모듈(205)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데이터 서비스 모드에 대응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DMB 디코더(210)는 상기 스트리밍 데이터를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로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MB 디코더(210)에 의해 디코딩된 비디오 데이터는 비디오 다중화기(220)를 통해 비디오 엔코더(225)를 거쳐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LCD 화면에 출력되며, 상기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 다중화기(230)를 통해 오디오 코덱부(235)를 거쳐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는 이동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소정의 무선 모뎀칩(예컨대, MSM 시리즈)이 구비되며, 상기 무선 모뎀칩에는 상기 DMB 처리부(130)와 상호 연동하는 DMB 제어부(2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DMB 제어부(215)에 의해 상기 DMB 처리부(130)에서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여 소정의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정보 데이터가 독출되는 것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무선 모뎀칩에는 상기 비디오 다중화기(220)와 비디오 엔코더(225) 및 오디오 다중화기(230)와 오디오 코덱부(235)를 제어하는 코덱 제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는 상기 무선 모뎀칩과 연동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RF 모듈(245)이 구비되며, 본 도면2의 실시 예에서 상기 RFID 모듈은 소정의 스위치부(250)를 통해 상기 DMB 처리부(130)와 안테나를 공유한다.
상기 스위치부(25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이동 통신용 무선 신호와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스위칭한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입력모드 기반의 HRC 키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국내 삼성전자에서 제조하는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 입력수단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키 버튼에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HRC키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HRC키 버튼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대한 소정의 입력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정의하는 키 테이블을 예시한 것으로서,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 숫자 '4'와 한글 자음 'ㄱ', 'ㅋ' 및 영문 'G', 'H', 'I'를 입력할 수 있는 키 버튼(이하 "4키 버튼"이라 한다)과 본 발명에 따른 HRC키 버튼의 동작 방식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하여 다른 단말기 제조사에 대응하는 다양한 키 입력수단에 있어서, 별도의 HRC키 버튼을 구비한 경우에 대한 키 테이블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4a 또는 도면4b와 같이 소정의 입력모드에서 별도의 HRC키 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종래 키 버튼 중 소정의 키 버튼을 HRC키 버튼으로 활용하는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입력모드는 한글 입력모드와 영문 입력모드와 숫자 입력모드 등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상기 키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을 통해 발생하는 키 이벤트는, 상기 키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하는 'MH_KEY_PRESSEVENT' 이벤트와, 상기 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일정시간(예컨대, 본 도면3에서는 편의상 2초로 설정)이 경과했을 때 자동 발생하는 'MH_KEY_REPEATEVENT' 이벤트와, 상기 키 버튼은 누른 후 떼었을 때 발생하는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관용적으로 키 입력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MH_KEY_REPEATEVENT' 이벤트와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사용되는 경우, 'MH_KEY_PRESSEVENT' 이벤트는 사용되지 않는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한글 입력모드에서 상기 4키 버튼의 'MH_KEY_PRESSEVENT' 이벤트는 정의되지 않으며,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 트가 발생하는 경우 숫자 '4'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1회 발생하면 한글 자음 'ㄱ'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연속 2회 발생(2초 이내)하면 한글 자음 'ㅋ'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연속 3회 발생(2초 이내)하면 한글 자음 'ㄲ'이 입력되도록 정의되며, 만약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연속 4회 발생(2초 이내)하면, 상기 한글 자음 'ㄱ'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토글되도록 정의된다.
또한, 영문 입력모드에서 상기 4키 버튼의 'MH_KEY_PRESSEVENT' 이벤트는 정의되지 않으며,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숫자 '4'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1회 발생하면 영문 'G'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연속 2회 발생(2초 이내)하면 영문 'G'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연속 3회 발생(2초 이내)하면 영문 'I'이 입력되도록 정의되며, 만약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연속 4회 발생(2초 이내)하면, 상기 영문 'G'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토글되도록 정의된다.
또한, 숫자 입력모드에서 상기 4키 버튼의 'MH_KEY_PRESSEVENT' 이벤트는 숫자 '4'에 대응하는 키 데이터가 입력되고,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는 단축기 '4'를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는 정의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한글 입력모드와 영문 입력모드와 숫자 입력모드에 있어서, 상기 HRC키는 각각의 입력모드에서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도록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상관없이 상기 HRC 키 버튼을 일정시간(2초 이상) 누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HRC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기능(예컨대,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업그레이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HRC키는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HRC 프로그램을 동작(또는 실행)하도록 정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에서 상기 HRC 키 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상기 HRC 프로그램이 동작(또는 실행)되어 상기 화면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메뉴가 출력된다.
도면4a와 도면4b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른 동작모드 기반의 HRC 키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기 구비된 소정의 키 버튼(예컨대, 도면4a의 경우 메뉴키 버튼, 도면4b의 경우 통화키 버튼)을 본 발명에 따른 별도의 HRC키 버튼으로 활용하고, 상기 HRC키 버튼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대한 소정의 동작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정의하는 키 테이블을 예시한 것으로서, 효율적인 설명을 위해 도면4a는 메뉴키 버튼에 상기 HRC키 기능을 구비한 후 통화대기 상태에서의 상기 메뉴키 동작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본 발명에 따른 HRC키 기능을 비교하여 설명한 것이고, 도면4b는 통화키 버튼에 상기 HRC키 기능이 구비한 후 통화대기 상태에서의 상기 통화키 동작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본 발명에 따른 HRC키 기능을 비교하여 설명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을 참조하여 소정의 동작모드에서 HRC키로서 동작하도록 상기 도면3과 같이 정의된 별도의 HRC키 버튼을 통해 HRC키 기능을 정의하는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의 동작모드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구성의 종류와 특징에 따라 복수개 존재(예컨대,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무선 단말기(100)는 카메라 동작모드가 존재하고, 금융IC칩(160)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100)는 금융거래 동작모드 또는 결제 동작모드 등이 존재)하며,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키 버튼의 키 동작은 각각의 동작모드에 대응하여 정의된다.
도면 4a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키 버튼은 통화대기 상태에서 'MH_KEY_REPEATEVENT' 이벤트와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는 정의되지 않으며, 소정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MH_KEY_PRESSEVENT'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무선 단말기(100) 관리 기능을 실행하도록 정의된다.
또한, 본 도면4a에 있어서, 상기 메뉴키 버튼은 본 발명을 위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도록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상관없이 상기 HRC 키 버튼을 일정시간(2초 이상) 누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HRC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기능(예컨대,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업그레이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HRC 프로그램을 동작(또는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에서 상기 HRC 키 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상기 HRC 프로그램이 동작(또는 실행)되어 상기 화면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메뉴가 출력된다.
도면 4b를 참조하면, 상기 통화키 버튼은 통화대기 상태에서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는 정의되지 않으며, 소정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MH_KEY_PRESSEVENT' 이벤트는 최근 통화 목록을 출력하도록 정의되고, 상기 'MH_KEY_REPEATEVENT' 이벤트는 이전 통화번호(예컨대, 가장 최근에 통화한 전화번호)로 호접속을 실행하도록 정의된다.
또한, 본 도면4b에 있어서, 상기 통화키 버튼은 본 발명을 위해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도록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상관없이 상기 HRC 키 버튼을 일정시간(2초 이상) 누르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HRC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 기능(예컨대,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업그레이드)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에서 상기 HRC 프로그램을 동작(또는 실행)하도록 정의되며, 이에 의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중(또는 수신 후)에서 상기 HRC 키 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상기 HRC 프로그램이 동작(또는 실행)되어 상기 화면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메뉴가 출력된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총 X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을 수신하는 무선 단말기(100)에 있어서, SMS 및/또는 EMS 및/또는 MMS 및/또는 이메일 및/또는 메신저 및/또는 무선 인터넷에 대응하는 데이터 통신매체 기능구성과, 자동응답서비스에 대응하는 음성통화 통신매체 기능구성이 구비된 무선 단말기(100)의 메모리부(165) 및/또는 IC칩(16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하여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 정보) 데이터를 구현하는 다양하게 실시 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데이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열(Column)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신매체 기능구성에 대응하는 행(Row)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행과 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존재하며,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구비되는 무선 단말기(100)의 기능구성 특징, 및/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의 존재여부 등에 따라 일부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HRC키 버튼에 대응하여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데이터 중에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에 대응하는 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 정보(예컨대, 유효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매체 정보)를 추출하여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메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통신매체 선택메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과 상기 통신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을 확인하고,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방식에 따라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 보)를 통해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는 오직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도면4b와 같이 통화키 버튼이 HRC키로 정의되고,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자동응답서비스를 위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만 포함하고 있다면, 상기 도면4b와 같이 HRC키로 정의된 통화키 버튼을 눌렀다 뗌으로써 상기 'MH_KEY_RELEASEEVENT'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는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메뉴 출력을 생략하고, 상기 자동응답서비스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음성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HRC 프로그램이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한 바람직한 플랫폼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기반 플랫폼에서 상기 HRC 프로그램이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 속)을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부(710)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상호 연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하여 다른 플랫폼(예컨대, 상기 무선 단말기(100)가 휴대 인터넷 단말인 경우, 상기 휴대 인터넷 단말에 구비된 플랫폼)에서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한 플랫폼 구성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WIPI 플랫폼은 휴대용 하드웨어(Handset Hardware) 구성과 네이티브 시스템 프로그램(Native System Software)이 위치하는 최하위 계층과, 상기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플랫폼의 하드웨어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추상화 계층(Handset Adaptation Layer; HAL)과, 상기 추상과 계층의 상위에 위치하며 WIPI 런타임 엔진(Run-time Engine)을 구비한 계층과, 상기 WIPI 런타임 엔진 상위에 위치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WIPI 기반으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프로그램이 이용하는 기본 API(예컨대, C/C++ 기반 API와 JAVA 기반의 API)와 확장형 API 등을 구비한 API 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WIPI 플랫폼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및/또는 설치 및/또는 삭제와 같은 프로그램 관리 기능과, 상기 프로그램과 연계되는 API 및 컴포넌트(Component)들의 추가 및/또는 갱신 기능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DLL)를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 관 리자 계층과, 상기 응용프로그램 관리자에 의해 추가 및/또는 갱신된 API 및/또는 컴포넌트들이 구비되는 동적 컴포넌트 계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기능구성을 지원(또는 수행)하기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탑재되는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API 계층 및/또는 동적 컴포넌트 계층 상위에 위치하는데, 본 발명을 위한 HRC 프로그램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통신매체 프로그램 역시 상기 API 계층 및/또는 동적 컴포넌트 계층 상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WIPI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프로세스간 연동(또는 공유) 기능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거나, 및/또는 상기 동적 컴포넌트 계층 또는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 계층에 구비된 통신매체 기능구성을 호출하여 상기 도면5에 도시된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7a와 도면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HRC 프로그램의 기능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a는 상기 통신매체 선택메뉴를 통해 선택된 통신 매 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을 따르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전송 과정이 상기 동적 컴포넌트 계층 및/또는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 계층에 구비된 통신매체 기능구성의 호출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상기 HRC 프로그램의 통신 처리부(190) 기능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본 도면7b는 상기 통신매체 선택메뉴를 통해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을 따르고, 상기 접속 과정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한 상기 HRC 프로그램의 통신 처리부(190) 기능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a와 도면7b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의 기술적 특징과 당업자에 의도 따른 다양한 HRC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7a를 참조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의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독출부(18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선 정보입력 후 접속 방식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독출되는 경우, 상기 선 정보입력을 위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으로 소정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입력 정보를 독출하는 정보 입력부(700)와,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에 구비된 동적 컴포넌트 계층 및/또는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 계층에 구비된 통신 매체부(710)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호출하는 통신매체 호출부(7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가 SMS라면, 상기 SMS를 발송하는 통신 매체부(710)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 상의 동적 컴포넌트 및/또는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위치하는데, 상기 정보 입력부(70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단문 메시지 입력을 위한 소정의 단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예컨대, 단문 메시지 입력 창)를 출력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단문 메시지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통신매체 호출부(705)는 상기 동적 컴포넌트 계층 및/또는 상기 네이티브 프로그램 계층으로부터 상기 단문 메시지 발송을 위한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호출하고, 상기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통해 상기 입력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발송한다.
도면7a를 참조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의 통신 처리부(190)는 상기 독출부(185)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독출되는 경우, 상기 선 접속을 위해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에 구비된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는 통신매체 연동부(715)와, 상기 통신 매체 프로그램이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70)와 연동하여 상기 화면으로 상기 통신 매체 프로그램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동부(720)를 포함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통신매체 연동부(715)는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에 구비된 프로세스간 연동(또는 공유) 기능을 통해 상기 독출된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매개변수로 하여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이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에 접속하도록 연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통신매체 프로그램이 상기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에 접속한 결과, 상기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부터 소정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 출력이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동부(720)는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 상위에 위치하는 창의 형태로 연동하여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화면 및/또는 사운드 출력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인터럽트하고,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가 무선 인터넷이라면, 상기 통신채널 연동부는 상기 독출부(185)에 의해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WAP 브라우져로 제공하여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WAP 서버에 접속하도록 연동하고, 상기 WAP 브라우져가 상기 WAP 서버로부터 소정의 WML(Wireless Markup Language) 및/또는 mHTML(mobile 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연동부는 상기 WML/mHTML 문서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기능 인터페이스(예컨대, 수신된 WML/mHTML에 대응하는 무선 인터넷 화면)를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창 형태로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 출력을 인터럽트한 후,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화면으로 전환하며, 이후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WAP서버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가 음성통화 기반의 자동응답서비스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연동부(720)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과 사운드 출력을 인터럽트하고, 상기 통신채널 연동부는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네이티브 프로그램에 위치한 호접속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선택된 통신매체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음성통화 연결을 위한 호접속을 처리하도록 연동한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른 HRC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을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중에, 상기 키 입력수단 구비된 소정의 HRC키 버튼 및/또는 HRC키 기능을 구비한 키 버튼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키 이벤트를 판독하여 그에 대응하는 HRC키 동작을 수행하는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 면8을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 플랫폼 및/또는 당업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HRC키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T-DMB 및/또는 S-DMB 기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중(80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키 입력수단 구비된 소정의 HRC키 버튼 및/또는 HRC키 기능을 구비한 키 버튼으로부터 소정의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805).
만약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HRC키 이벤트가 발생했다면(81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발생한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LEASEEVENT'인지 확인한다(815).
만약 상기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LEASEEVENT'가 아니라면(82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PEATEVENT'인지 확인하는데(825), 만약 상기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PEATEVENT'도 아니라면(예컨대, 키 입력수단에서 발생한 키 이벤트가 'MH_KEY_PRESSEVENT'라면)(830), 상기 HRC 프로그램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소정의 HRC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반면 상기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PEATEVENT'라면(830), 상기 HRC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상의 관리서버에 접속하고(835),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소정의 HRC 관리메뉴(예컨대,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추가/갱신 등)를 수신하고(840), 상기 HRC 관리메뉴에 대응하는 소정의 HRC 관리기능을 수행한다(845).
반면 상기 HRC키 이벤트가 'MH_KEY_RELEASEEVENT'라면(82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수신중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채널정보를 추출하고(850), 상기 메모리부(165)(또는 IC칩(160))로부터 상기 채널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 정보를 추출하고(855), 상기 통신매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서 이용 가능한 소정의 통신매체를 선택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매체 출력메뉴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한다(860).
상기와 같이 통신매체 출력메뉴가 출력된 후,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키 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통신매체 출력메뉴로부터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865).
만약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 키 이벤트가 발생한다면(87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매체 선택 키 이벤트를 판독하여 소정의 통신매체 선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부(165)(또는 IC칩(160))으로부터 상기 통신매체 선택정보에 대응하여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추출한다(880).
상기와 같이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한 소정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추출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 보)를 판독하여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한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프로세스를 확인하는데(885), 만약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프로세스가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확인되면(890), 도면9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고, 반면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프로세스가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으로 확인되면, 도면10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8의 과정에서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프로세스가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HRC 프로그램에서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통신매체를 통해 선 정보입력 후 전송 방식으로 통신채널 연결하는 각각의 실시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으로 상 기 선택된 통신매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데(900),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에 중첩되는 창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을 인터럽트하여 전화된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출력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소정의 정보 입력 완료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와 정보 입력 확인 키가 포함되고,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 입력 확인 키에 대응하는 소정의 키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소정의 정보 입력 완료 키 이벤트가 발생하면(예컨대,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 입력이 완료되면)(91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소정의 입력 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입력 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915).
예컨대, 상기 입력 정보가 단문 메시지라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단문 메시지가 80바이트 이내의 문자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지 확인함으로써, 상기 입력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93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소정의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재입력하도록 요청한다(925).
반면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유효성이 인증되면(92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호출하고(930), 상기 호출된 시스템 파일(또는 시스템 함수)을 통해 상기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상기 입력 정보를 전송한다(935).
상기 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에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삭제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으로 전환시킨다(940).
도면10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는 상기 도면8의 과정에서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 프로세스가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HRC 프로그램에서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통해 소정의 통신채널 연결대 상(195)과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를 참조하여 상기 무선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각의 통신매체를 통해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으로 통신채널 연결하는 각각의 실시방법을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선 접속 후 정보입력 방식으로 통신채널 연결대상(195)과 소정의 통신채널을 연결(또는 접속)하기 위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인터럽트할 요소를 확인한다(1000).
예컨대,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무선 인터넷에 대응하고, 상기 무선 인터넷을 위한 WAP 브라우져가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의 전체화면으로 출력되는 경우,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을 인터럽트함으로써, 상기 화면에 상기 WAP 브라우져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가 자동응답서비스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사운드를 인터럽트함으로써, 상기 음성통화 채널연결이 정상적으로 처리되도록 한다.
만약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중 상기 인터럽트할 요소가 확인되면,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요소를 인터럽트하며(1010), 상기 인터럽트할 요소가 확인되지 않는다면(예컨대, 상기 선택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매체 프로그램이 사운드 입출력을 이용하지 않고,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에 창 형태로 출력 가능하면)(101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요소를 인터럽트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인터럽트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통신매체 프로그램을 실행(또는 동작)하여 상기 통신매체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채널 연결대상(195)으로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을 시도한다(1015).
만약 상기 통신매체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통신채널 연결(또는 접속)이 확인되면(1020),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화면에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1025),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매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기능(예컨대, 무선 인터넷 서비스, 메신저 서비스, 음성통화 서비스 등)을 수행하며(1030), 상기 통신기능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정의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통신매체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통신기능이 완료될 때까지 반복된다(1035).
만약 상기 HRC 프로그램이 상기 통신매체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상기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완료되면(1035),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HRC 프로그램은 상기 무선 단말기(100) 화면에서 상기 통신 기능 인터페이스를 삭제하고,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화면으로 전환시킨다(1040).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통해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를 수신 중(및/또는 수신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매체를 통해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또는 서버, 시스템)와 통신채널을 연결하여 실시간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통해 소정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를 수신 중(및/또는 수신 후),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에 기 포함된 리턴채널 이외에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채널을 확보하여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4)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정보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를 채널정보 데이터와 연계 처리하여 저장하는 메모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에서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중이거나, 또는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데이터를 수신 후, 키입력수단을 통해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선택 메뉴를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매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 선택 신호(또는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 내지 제N(N = 1,2,3,...,N)통신 매체정보(또는 제N통신 접속정보) 중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채널정보에 대응하며, 상기 확인된 통신 매체에 부합되는 어느 하나의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통신 매체정보(또는 접속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매체에 접속하거나, 또는 통신 채널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상기 선택 신호(또는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 매체를 확인한 결과,
    상기 통신 매체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SMS 또는 EMS 또는 MMS를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이메일 송신 매체인 경우,
    송신 대상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서버(또는 장치)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메신저 송신 매체인 경우,
    메신저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무선 인터넷 통신 매체인 경우,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통신 매체인 경우,
    ARS 시스템과 통신채널을 연결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통신 매체가 근거리 통신 매체인 경우,
    근거리 통신 대상 장치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50052966A 2005-06-20 2005-06-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115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66A KR101152691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966A KR101152691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25A KR20060133225A (ko) 2006-12-26
KR101152691B1 true KR101152691B1 (ko) 2012-06-15

Family

ID=3781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966A KR101152691B1 (ko) 2005-06-20 2005-06-20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0380A (zh) * 2021-05-25 2021-08-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本地原生程序的调用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570A (ko) * 1998-07-23 2001-06-25 암만 챨스 비.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KR20050057745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모바일 티브이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3570A (ko) * 1998-07-23 2001-06-25 암만 챨스 비. 포털로 서비스하는 대화식 텔레비젼 프로그램 안내 시스템
KR20050057745A (ko) * 2003-12-10 2005-06-16 주식회사 에어크로스 모바일 티브이 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225A (ko) 200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0662B1 (en) Partially delegated over-the-air provisioning of a secure element
KR100627718B1 (ko) 문자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전화 번호에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521309B1 (ko)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473005B2 (en) FM transmitter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00105434A1 (en) Data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using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8494578B2 (en) Method for display of dual standby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115269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보운용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20050122720A (ko) 음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방법 및 시스템
KR20060104324A (ko) 캐릭터 합성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시스템
KR101127142B1 (ko) 개인화된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기, 운용장치, 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0706980B1 (ko) 서브 화면에 위치되며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컨텐츠메뉴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US2006013641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messages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070054694A1 (en) Method for activating specific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09601B1 (ko) 심카드 선택적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20070075010A (ko) 단문 문자 메시지에서 금융 정보를 추출하여 모바일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1408914B1 (ko) 특정 데이터 제공 방법
KR101408915B1 (ko) 데이터 제공 방법
KR20060027487A (ko) 데이터 다운로딩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11906B1 (ko) 가변폭 폰트 문자를 고정폭 폰트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03613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대역 검색 방법
KR101847050B1 (ko) 어플리케이션 설치/운영 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
KR100675158B1 (ko) 인터넷 뱅킹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171577A1 (en) External memories architecture to enable software partition and customization for mobile terminals with insertable communications cards
KR20060114496A (ko) 무선단말 화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4926419B2 (ja) 移動体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