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634B1 - 기능성 양말 - Google Patents

기능성 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634B1
KR101152634B1 KR1020100025545A KR20100025545A KR101152634B1 KR 101152634 B1 KR101152634 B1 KR 101152634B1 KR 1020100025545 A KR1020100025545 A KR 1020100025545A KR 20100025545 A KR20100025545 A KR 20100025545A KR 101152634 B1 KR101152634 B1 KR 101152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ankle
socks
cotton
in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501A (ko
Inventor
이백용
Original Assignee
이백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용 filed Critical 이백용
Priority to KR102010002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634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3Hosiery with intermediate sections of different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2Reinforc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12Means at the upper end to keep the stockings up
    • A41B11/121Elastic or flexible yarns knitted into the upper e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말에 있어서 기능성을 향상하여 계절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바닥면은 땀의 흡수를 위해서 면사를 투입하고, 발목부와 발등부는 모노 필라민트사와 나이론사의 혼사로 땀의 흡수는 물론 탄성력을 향상시켜 착용감을 높였으며, 연결부는 얇은 나이론사를 통해서 통풍성을 향상시키고, 발목조임부는 탄성사를 이용하여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도한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양말{functional socks}
본 발명은 양말에 있어서 기능성을 향상하여 계절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바닥면은 땀의 흡수를 위해서 면사를 투입하고, 발목부와 발등부는 모노 필라민트사로 땀의 흡수는 물론 탄성력을 향상시켜 착용감을 높였으며, 연결부는 얇은 나이론사를 통해서 통풍성을 향상시키고, 발목조임부는 탄성사를 이용하여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도한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은 발에 신발을 신기 전에 끼워 신은 상태를 유지하여 땀의 흡수를 돕고, 발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양말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종래의 양말은 전술된 땀의 흡수률을 향상시키는 것과 발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것을 주안점으로 창안되었고, 개발이 이루어졌다. 특별히 양말에 기능성을 투입하여 제작한 예는 운동선수나 산악인 등 특별한 목적을 가진 사람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지 전술된 기능만을 만족하면서 신어왔던 것이다. 이러한 방식의 양말은 그 제작방법의 단순함으로 인하여 비롯되었기에 종래의 양말 제작방법을 설명하며 그 문제점을 살펴본다.
종래의 양말 제작방법은 다수의 경사를 직기(네피어 직기)의 종광에 건 상태에서 위사를 경사의 사이로 돌려 직조를 하고 있다. 이때 종래의 직기는 상기 경사를 사용함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타종의 섬유사를 걸지 못하고 동일한 섬유사를 끼워 양말을 직조하였다. 물론 특별한 경우에는 다른 방식으로 활용하고도 있지만 일반적인 양말을 생산할 때에는 이 방법을 준수했던 것이다.
사실상 양말이란 발의 온도를 유지하고 보온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양말은 현재 여름의 경우 얇은 위사와 경사를 이용하여 직조하고 있고, 겨울의 경우 보다 굵은 위사와 경사를 이용하여 직조하고 있다. 계절에 따라 신을 수 있는 양말을 구분한 것이다. 이는 모두 상기 직조기술의 후진성에 의해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런데 요즘의 경우, 직조기기와 직조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경사를 걸어 직조할 수 있게 되었지만, 양말의 오래된 관습에 의해서 큰 비약적인 진보는 없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말에 있어서 기능성을 향상하여 계절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 양말의 바닥면은 땀의 흡수를 위해서 면사를 투입하고, 발목부와 발등부는 모노 필라민트사와 나이론사의 혼사로 땀의 흡수는 물론 탄성력을 향상시켜 착용감을 높였으며, 연결부는 얇은 나이론사를 통해서 통풍성을 향상시키고, 발목조임부는 탄성사를 이용하여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유도한 기능성 양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기능성 양말은, 면사(11)와 스판사(K)의 직조로 이루어진 바닥면(10); 상기 바닥면(10)의 상부로 발등과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되, 모노 필라민트사(21)를 직조하여 형성하는 발목부(30)와 발등부(20); 상기 바닥부(10)와 발목부(30), 발등부(20)의 연결부위에 일자 형태로 나이론사(22), 모노필라민트사(21) 및 스판사(K)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40); 및 상기 발목부(30)의 상단에 탄성사(P)와 모노 필라민트사(21)로 직조되는 발목조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판사(K),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 및 탄성사(P)의 특성에 따라 바닥면은 두툼하여 흡수력이 높고, 연결부(40)는 통풍성을 갖추며,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부(40)는, 발가락 부분에서 복사뼈 부분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발가락 부분에서 발뒤꿈치까지 연장되고;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면사(11)는, 그 섬유의 두께가 같이 직조되는 스판사(K)에 비하여 두꺼우며; 상기 면사(11)의 두께는, 지름이 0.1-1mm 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발목조임부(50)를 형성하는 탄성사(P)는, 고무사이거나 스판사(K)이고; 상기 바닥면(10), 발목부(30)와 발등부(20), 연결부(40) 및 발목조임부(50)의 두께는, 바닥면 > 발목조임부 ≥ 발목부와 발등부 > 연결부의 순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 필라민트사(21)의 두께는, 10-20 데니어 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양말의 바닥면은 두툼하고 발목부와 발등부의 두께는 얇은 형태로 제작하여 착용감을 높이고, 착용시 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닥면의 경우 면사를 투입하여, 땀의 흡수율이 높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양말의 전체적인 구성에 모두 스판사를 투입하여 탄성력을 높여 착용감을 향상시켰으며, 흡수율의 향상 및 복원성을 높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양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보다 세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양말에 대한 샘플 제품 사진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된 도 1 내지 도 3과 함께 설명하되, 먼저 본 발명의 양말이 기능성을 가져오게 하는 섬유와 실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을 설명하고,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섬유사와 화학사는 면사, 탄성사, 스판사, 모노 필라민트사 및 나이론사 등이 있다. 이 섬유사와 화학사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첫째; 면사의 경우, "cotton yarn"이라고 하는데 투입되는 원료에 따라 순면사(99% 이상의 면을 함유)?혼방면사?낙면사(落綿絲) 등으로 분류된다. 실의 굵기에 따라서는 영국식 면사번수(Ne로 약기)를 기준으로 하여 극태면사(10Ne 이하)?태면사(11~24Ne)?중사(25~40Ne)?중세사(41~60Ne)?세사(61~120Ne)?극세사(121Ne 이상) 등으로 분류되고, 구조에 따라서는 보통 방적사라고 하는 것은 단사를 말하며, 단사에는 꼬임의 방향에 따라 좌연단사(左撚單絲)와 우연단사(右撚單絲)가 있다. 단사를 두 가닥 이상 단사의 꼬임과 반대 방향으로 꼬임을 주어 합쳐 놓은 것을 연사(撚絲)라고 하며, 두 가닥을 꼬아 합친 것을 쌍사(雙絲) 또는 이합연사라 하고, 세 가닥 이상 합친 것을 삼합연사?사합연사라 한다.
용도에 따라서는 면직사?면편사?면레이스사?면봉제사?면조물사(綿組物絲)?면어망사 등이 있고, 특수가공사로 가스사?의견사(擬絹絲)?표백사?염색사 등이 있다.
특히 이러한 면사의 경우, 천연의 섬유질을 사용하기에 흡수력이 높고, 고가인 경우가 많다. 고급 양말의 경우 이러한 면사의 비중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양말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서는 꼭 필요한 섬유이다.
다음으로 스판사와 탄성사가 있는데, 사실상 상기 스판사는 탄성사의 일종이다. 탄성사를 크게 분류하면 고무사와 스판사로 구분되는데, 탄성사는 자체 복원력을 갖추고 있어서 일정한 길이로 늘어난 후에 다시 원래의 길이로 복원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스판사는, 인조섬유 중에서 합성섬유에 포함되며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라 하여 우레탄고중합체의 구조이다. 이를 스판텍스라고도 칭하는데 이 스판텍스(=스판사)는 미국 연방 무역 위원회(federal trade commission)에서 1960년 4월 부터 시행한 섬유제품 품질표시법의 시행규칙에 따라 명명한 일반명이다. 위 위원회의 규정에 의하면 우레탄 결합을 갖는 연속적인 고리가 섬유를 구성하는 화학구조의 80%이상 점유하는 것이라고 되어 있다. 상기 스판텍스는 500~700% 또는 그 이상의 신도, 즉 늘어나는 성질을 가진 탄성섬유를 의미하고, 탄성사라고 하는 것 중에서 폴리우레탄 이외의 조성으로 된 탄성섬유는 스판텍스라고 하지 않는다. 즉, 폴리우레탄 이외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탄성섬유는 고무사나 일반적인 다른 용어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스판텍스 섬유의 용도는 신축성이 좋아 여성 속옷 중에서도 브레지어 및 거들 등 파운데이션류, 수영복, 양말류 특히 스타킹, 스포츠 셔츠 등 그 쓰임이 광범위하고, 탄성섬유가 최초로 개발된 것은 독일에서 역시 폴리우레탄계의 퍼얼론유라는 것이었는데 지금은 스판텍스(스판사)가 일반화된 명명이며 유럽 쪽에서는 엘라스탄이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상품은 미국 듀폰사의 라이크라(Lycra)이며신장성 및 그 회복력이 뛰어나고 고른 품질을 인정받고 있으며, 일부 라이크라라는 섬유가 스판텍스가 아닌 특별한 섬유로 알고 있는 경우가 있고 또 그렇게 홍보하여 소비자를 기만하는 기업들이 있는데 잘못된 상식이며 이것은 단순한 스판텍스의 미국 듀폰사의 상표명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 초 부터 태광산업이 최초로 개발하여 에이스란(Acelan)이란 상표명으로 생산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동국, 제일합섭, 효성이 가세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하실 것은 스판텍스는 대부분 다른 섬유 속으로 감추어져 있어 보이지가 않으며 단순히 신축성이 있는 기능만을 할 뿐이다.
다음으로 고무사를 설명하자면, 고무는 두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gum이라고 하여 탄성고무로서 열대식물인 고무나무에서 분비되는 유액에서 얻는 고형 물질이며 분비물에서 얻어지는 무정형의 물질로서 콜로이드 물질의 하나이며 습기를 가하면 젤라틴 상태로 되고 건조를 하면 굳어진다. 츄잉껌을 만들 때 그 기본이 되는 껌베이스란 것이다. 또 하나는 rubber이라고 하는 고무인데, 이것은 실온에서 고무탄성을 보유하는 고분자 물질로서 고무나무에서 분비된 라텍스용액을 방출, 황화시켜서 제조한다.
바로 후자와 같은 것을 이용하여 얻은 섬유를 일명 고무사라고 한다.
스판사와 고무사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스판사가 월등히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가격이 고무사 보다가 높다. 수영복 같은 경우는 바다의 염분(NaCl)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기 및 수영장의 크레졸에 포함된 염소기로 인하여 고무사는 스판텍스에 비해 급격히 노화되어 탄력을 잃어버린다. 스판텍스는 상당히 높은 신도, 즉 늘어나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염색성과 탄성회복력이 고무나 라텍스 등에 비해서 우수하다. 내약품성이 고무보다 우수하며 특히 염소기에 견디는 저항력이 고무보다 좋아서 수영복이나 섬유의 피로도가 빨리 오는 의류에 많이 사용한다. 스판텍스는 고무보다 강 신도가 우수하여 데니어 즉 가는 실도 생산할 수 있어서 제2의 피부역할을 하는 고탄력 스타킹 같은 얇은 제품도 생산할 수 있다. 결론은 섬유가 갖추어야 할 제반 물성이 스판텍스가 고무 보다가 월등히 우수하며 단지 가격면에서는 고무가 유리하다.
다음으로 모노 필라민트사는 석유화학 추출칩에서 추출한 폴리염화비닐(PVC)를 1가닥으로 추출한 한 가닥의 나이론으로서 탄성력은 떨어지나 인장력이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한 가닥의 나이론을 가연기로 꼬거나 회전가공시켜 나이론을 부풀리는 공정으로 얻어지는 나이론사는 모노 필라민트사에 비해 부드러우며 탄성력이 좋고 가벼운게 장점이다.
나이론사는 대부분 섬유로 될 수 있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1926년 독일의 화학자 H. 슈타우딩거가 “셀룰로스의 분자는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발표한 것을 계기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 후 W. H. 캐러더스가 뒤퐁사(社)에서 연구를 거듭하여 1938년 뉴욕세계박람회장에서 성과를 발표하였고, 이듬해부터 나일론 스타킹이 시판되기 시작하여 세계 최초의 본격적인 합성섬유로서 판매되었다.
그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본 발명은 면사(11)와 화학고무의 얇은 고무줄인 스판사(K)의 직조로 이루어진 바닥면(10)이 있고, 상기 바닥면(10)의 상부로 발등과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되, 모노 필라민트사(21)를 직조하여 형성하는 발목부(30)와 발등부(20)가 있으며, 상기 바닥부(10)와 발목부(30), 발등부(20)의 연결부위에 일자 형태로 나이론사(22), 모노필라민트사(21) 및 스판사(K)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목부(30)의 상단에 탄성사(P)와 모노 필라민트사(21)로 직조되는 발목조임부(50)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되 스판사(K),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 및 화학고무인 고무줄의 외주면을 폴리나 나이론을 꼬아서 만들어진 탄성사(P)의 특성에 따라 바닥면은 두툼하여 흡수력이 높고, 연결부(40)는 통풍성을 갖추며,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폴리염화비닐을 한 가닥으로 사출성형한 10-20데니어인 한 가닥의 나이론인 모노필라민트사(21)로 직조됨으로서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양말이나 그 구조적인 면에서는 별반 차이가 없다. 대다수의 모든 양말이 발에 신은 상태에서 발을 전면적으로 감싸는 싸개의 형태이기에 발바닥과 면접하는 바닥면(10)을 가지고 있고, 발등을 덮는 발등부(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발등부(20)의 일측으로는 발목부분을 덮을 수 있는 발목부(30)가 일체로 형성되고 발목부(30)의 상단으로는 양말의 발목부(30)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발목조임부(50)가 형성된다. 즉, 대다수의 모든 양말이 이러한 구조로 제작되어 온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양말의 구조와 전혀 다르지 않다. 단지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양말의 구조를 그대로 실현하면서도 그 기능성을 추가하기 위해서 양말의 재료가 되는 섬유를 다양한 형태로 직조한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의 양말의 바닥면(10)은 면사(11)와 화학고무의 얇은 고무줄인 스판사(K)를 통해서 직조된다. 보통 양말을 직조할 때 면사(11)를 사용하게 되면 그 제작비용이 증가하여 고가의 양말이 된다. 면사의 경우 땀 흡수력이 높고, 착용감이 훌륭하여 양말을 제작하기 위한 섬유로는 최적인 것이다. 단지 땀을 흡수하게 되면 늘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 면사와 같이 직조되는 화학고무의 얇은 고무줄인 스판사(K)의 복원력을 통해서 말끔히 해결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양말은 고가의 면사(11)를 투입하되, 양말의 바닥면(10)에만 투입하여 양말의 제조원가를 떨어트림과 동시에 땀의 분출이 높고, 흡수율이 좋아야만 하는 발바닥만을 감싸도록 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모노 필라민트사(21) 만을 투입하여 직조를 한다. 실례로 경사로 모노 필라민트사(21) 종강에 끼운 상태에서 위사로 모노 필라민트사(21)를 돌려 직조하는 방식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양말은 도시된 도 1 내지 3에서처럼, 상기 발목부(30)와 발등부(20)에 연결되는 바닥부(10) 사이에 별도의 연결부(40)를 직조한다. 이 부분은 도시된 것처럼 나이론사(22), 모노 필라민트사(21)와 스판사(K) 만의 직조로 이루어지는데 통풍을 위해서 경사의 간격을 넓히고 그 재질을 나이론사(22)와 모노 필라민트사(2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이론사(22)는 화학사로서 땀의 흡수는 안되지만 보온성이 뒤떨어져 통풍을 향상시키고, 모노 필라민트사는 가볍고 인장력이 훌륭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양말에서 최 상단에 위치하는 발목조임부(50)는 탄성사(P)와 모노 필라민트사(21)로 직조되는데, 양자 모두 탄성력을 갖추고 있기에 발목부(30)가 발목에 밀착되는 힘에 비하여 다소 강한 탄성력으로 발목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걸어다니거나 움직임을 발한다 해도, 그에 의해서 흘러내리거나 벗겨지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양말의 구조적인 특징은 다양한 질감을 가진 다수의 면사(11), 스판사(K),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 및 탄성사(P)를 투입하여 양말을 직조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양말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필요한 발의 부위에 적당한 질감의 섬유를 밀착시켜 착용감을 증대시켰다.
그럼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과 함께 살펴본다. 본 발명의 양말은 도시된 도 1과 도 2에서처럼, 상기 연결부(40)는, 발가락 부분에서 복사뼈 부분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발가락 부분에서 발뒤꿈치까지 연장된 실시예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의 도면은 발가락 부분에서 복사뼈 부분까지 연장된 연결부(4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의 도면은 발가락 부분에서 발뒤꿈치까지 연장된 연결부(40)를 도시한 것이다. 각자 특별한 구별 점은 없지만, 모양과 형상에 차이가 있으며, 상기 연결부(40)에 특별한 상표나 로고를 새길 때 무늬 모양으로서 미감을 북돋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40)는, 그 조직이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와 스판사(K)를 이용하여 직조하기에 보다 견고할 소지가 높다. 이러한 연결부(40)는 나이론 재질이기에 땀을 흡수하지 않으면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같이 직조되는 스판사(K)에 의해서 연결부(40)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이 높다. 따라서 마치 양말의 창과 같이 땀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변형률을 향상시켜 착용감을 높인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는 상기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면사(11)는, 그 섬유의 두께가 같이 직조되는 스판사(K)에 비하여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도 1과 도 2에 섬유의 두께를 차등 있게 도시하고 있는데, 면사(11)의 경우 다소 두툼한 두께의 면사 상태로 직조를 하고, 스판사(K)는 다소 얇은 두께로 직조를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면사(11)의 간격을 좁혀 밀도를 좁히는 방법으로도 바닥면(1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스판사(K)와 면사(11)의 두께를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두꺼운 면사(11)와 스판사(K)를 이용하여 직조한 바닥면(10)은 다른 부위에 비하여 보다 두껍게 직조되는 까닭에 양말의 내구성은 향상되고, 디딜 때 느끼는 안락감이 크다. 또한 상기 면사 간의 간격을 좁히고 넓히는 직조 방법을 통해서 바닥면의 두께도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면사(11)의 두께는, 지름이 0.1-1mm인 섬유사를 사용한다. 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다수의 실험을 통해서 실시된 양말을 통해 취득한 경험칙으로 상기 면사(11)의 두께가 바닥면(10)을 직조할 때 같이 직조되는 스판사(K)의 두께에 비하여 다소 두껍게 직조한 것이다. 사실상 스판사(K)의 경우 상기 면사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지름을 보유하고 있는데, 약 0.07-0.5mm 정도의 두께이고, 이러한 서로 다른 두께의 섬유사들이 직조되어 하나의 면을 형성하게 되면 보다 큰 두께면을 갖추게 된다. 이러한 양말의 잇 점은 바닥면(10)이 두껍고 다른 발목부(30), 발등부(20) 등이 얇은 관계로 여름에는 물론 겨울에 같이 신어도 무방하다.
부연하자면, 양말의 바닥면(10)이 두껍다면, 신발과 함께 신었을 경우에 보다 따뜻함을 느낄 수 있기에 겨울에 신어도 무방하지만, 이를 여름철에 신는다 해도 흘러내린 땀이 두꺼운 바닥면(10)으로 흡수되고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얇은 관계로 시원함을 동시에 느낄 수도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최적의 활용범위를 찾다가 여름이나 겨울에도 같이 신을 수 있는 양말을 실시한 결과 바닥면(10)을 이루는 면사(11)의 두께가 0.1-1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발목조임부(50)를 형성하는 탄성사(P)는, 고무사이거나 폴리에스테르사(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섬유사와 화학사의 설명에서 이미 설명된 내용이지만, 상기 탄성사(P)는 고무사나 폴리에스테르사(21')와 같이 탄성을 가진 실을 칭한다. 폴리에스테르사(21')의 경우 고무사에 비하여 다소 고가인 점이 문제이지만 땀의 흡수성, 질감의 부드러움 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결국 본 발명에서 생산된 양말은 다음과 같이 제작함이 가장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10), 발목부(30)와 발등부(20), 연결부(40) 및 발목조임부(50)의 두께는, 바닥면 > 발목조임부 ≥ 발목부와 발등부 > 연결부의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일반적인 양말은 동일한 두께의 위사와 경사를 이용하여 직조하기 때문에 발 바닥부위나 발등 및 발목부의 두께가 동일하다. 이러한 양말은 여름철에는 보다 얇은 두께의 양말을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두툼한 두께의 양말을 직조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등산용 양말과 같은 특수한 기능성 양말의 경우에 바닥부를 더 두껍게 직조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등산용 양말은 고가이고 너무 두툼하기에 일상생활을 하면서 신기는 힘들었다. 또한 이러한 등산용 양말을 직조할 때에는 특별히 면사(11)와 스판사(K)만을 투입하여 직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기에 본 발명과 같이 다양한 기능성을 추구하기는 힘들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고, 평상시에도 신을 수 있는 양말을 직조하되, 겨울철은 물론 여름철에도 같이 신을 수 있는 양말을 직조하고자 한다. 더욱이 겨울철에는 발의 온도를 유지하고 착용의 안락함을 배려하면서도 여름철에는 땀의 흡수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양말의 각 부분의 두께와 투입되는 섬유사의 종류를 달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양말의 기능성을 가장 증진시키는 방법은 양말의 일부를 형성하는 바닥면(10)의 경우 가장 두꺼운 형태로 직조하고, 다음으로 발목조임부(50), 발목부(30)와 발등부(20) 다음으로 연결부(40)를 순서로 직조한다. 바닥면(10)은 땀을 흡수시켜야하고, 바닥에 디딜 경우에 발에 전달되는 압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해서 보다 폭신한 상태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착용감이 높고 땀 흡수력이 높은 면사(11)와 스판사(K)를 직조하여 바닥면을 형성하되, 면사의 두께가 두꺼운 형태로 직조하면서도, 그 경사의 간격 밀도를 좁혀 조밀하게 직조하는 방식으로 바닥면(10)의 두께를 높였다(도 3에 도시). 다음으로 발목조임부(50)는 발목부(30)의 끝단에서 발목을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두 겹으로 포개기도 하지만 발목부(30)에 비하여는 다소 두꺼운 형태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탄성사(P)와 모노 필라민트사(21)를 투입하여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탄성사(P)는 물론 모노 필라민트사(21)도 약간의 탄성이 있으며 땀의 흡수력과 피부와의 마찰에서 보다 부드러움을 전가할 수 있기에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발등부(20), 발목부(30)의 두께가 다음으로 두껍고 연결부(40)의 두께가 가장 얇은 형태로 직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등부(20)와 발목부(30)의 경우 모두 모노 필라민트사(21)를 이용하여 직조하는데, 상기 모노 필라민트사(21)는 전술된 면사(11)에 비하여 그 두께가 얇기에 바닥면(10)에 비하여 아주 얇은 형태로 직조된다. 물론 그 경사의 간격을 벌려 밀도도 낮게 유지하기에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낼 수도 있다.
한편 가장 얇은 형태의 연결부(40)는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와 스판사(K)를 이용하여 직조하고, 그 경사의 간격이 넓기에 통풍구의 역할을 하며 얇은 형태를 취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은 바닥은 두툼하여 사람이 지면에 발을 디딜 경우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땀이 흘러내릴 경우에 면사이고 두툼한 바닥면을 통한 흡수력이 높다.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그 두께가 얇기에 여름과 겨울에 신어도 무방하면서도, 모노 필라민트사(21)의 부드러움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켰다. 연결부(40)는 가장 얇은 형태를 취하기에 마치 통풍구의 역할을 할 수 있어 사계절 모두 착용할 수 있는 양말이 되는 것이다. 참고로 양말이란 신발과 바지의 내부로 들어가기에 사실상 여름철이나 겨울철에도 그리 두꺼울 필요가 없다. 단지 바닥면(10) 만이 두툼한 것이 기능성을 높이고 활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모두 스판사를 투입하여 직조하기에 탄성이 높고, 착용감이 훌륭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모노 필라민트사(21)의 두께를 10-20 데니어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많은 실험을 통해서 양말을 제작하여 실시한 사항으로 이 두께의 모노 필라민트사를 사용하는 것이 착용의 안락감, 편안함이 높았다.
10; 바닥면 11; 면사
20; 발등부 21; 모노 필라민트사
22; 나이론사 30; 발목부
40; 연결부 50; 발목조임부
21'; 폴리에스테르사 K; 스판사
P; 탄성사

Claims (7)

  1. 면사(11)와 스판사(K)의 직조로 이루어진 바닥면(10);
    상기 바닥면(10)의 상부로 발등과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하되, 석유화학 추출칩에서 추출한 폴리염화비닐(PVC)를 1가닥으로 추출한 한 가닥의 나이론인모노 필라민트사(21)를 직조하여 형성하는 발목부(30)와 발등부(20);
    상기 바닥면(10)과 발목부(30), 발등부(20)의 연결부위에 일자 형태로 나이론사(22), 모노필라민트사(21) 및 화학고무의 얇은 고무줄인 스판사(K)로 직조되어 형성되는 연결부(40); 및
    상기 발목부(30)의 상단에 탄성사(P)와 폴리에스테르사(21')로 직조되는 발목조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스판사(K), 모노 필라민트사(21), 나이론사(22) 및 화학고무인 고무줄의 외주면을 폴리나 나이론을 꼬아서 만들어진 탄성사(P)의 특성에 따라 바닥면은 두툼하여 흡수력이 높고, 연결부(40)는 통풍성을 갖추며, 발목부(30)와 발등부(20)는 통풍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40)는, 발가락 부분에서 복사뼈 부분까지 형성되거나 또는 발가락 부분에서 발뒤꿈치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면(10)을 형성하는 면사(11)는,
    그 섬유의 두께가 같이 직조되는 스판사(K)에 비하여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면사(11)의 두께는, 지름이 0.1-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 필라민트사(21)의 두께는,
    10-2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양말.
  6. 삭제
  7. 삭제
KR1020100025545A 2010-03-23 2010-03-23 기능성 양말 KR101152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545A KR101152634B1 (ko) 2010-03-23 2010-03-23 기능성 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545A KR101152634B1 (ko) 2010-03-23 2010-03-23 기능성 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01A KR20110106501A (ko) 2011-09-29
KR101152634B1 true KR101152634B1 (ko) 2012-06-04

Family

ID=44956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545A KR101152634B1 (ko) 2010-03-23 2010-03-23 기능성 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127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하우쿨 기능성 양말
KR102542289B1 (ko) 2022-09-02 2023-06-13 김종용 스마트 웨어러블 양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9154A (zh) * 2014-10-15 2016-05-11 浙江宝娜斯袜业有限公司 一种抑菌五指袜及其生产方法
KR101593372B1 (ko) * 2015-06-30 2016-02-12 복진범 양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양말
KR200486312Y1 (ko) * 2017-07-12 2018-04-30 엄기현 벗겨짐 방지 기능이 구비된 고신축성 양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416Y1 (ko) 2005-08-26 2006-03-14 진병하 통풍 및 보강부를 갖는 기능성 양말
KR100652145B1 (ko) 2003-06-21 2006-11-29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439364Y1 (ko) 2007-03-12 2008-04-11 주식회사 레보레노 스포츠 양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145B1 (ko) 2003-06-21 2006-11-29 정창민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KR200411416Y1 (ko) 2005-08-26 2006-03-14 진병하 통풍 및 보강부를 갖는 기능성 양말
KR200439364Y1 (ko) 2007-03-12 2008-04-11 주식회사 레보레노 스포츠 양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127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하우쿨 기능성 양말
KR102542289B1 (ko) 2022-09-02 2023-06-13 김종용 스마트 웨어러블 양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615622B1 (ko) 2022-09-02 2023-12-20 김종용 스마트 웨어러블 양말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501A (ko) 201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076733U (zh) 针织部件和由针织部件形成的物品
US11365494B2 (en) Knitted component with a fused surface region located on a tubular knit structure
TWI672105B (zh) 具有包含緩衝區之編織組件的鞋面之鞋類物件及其製造方法
CN100553506C (zh) 功能性压缩袜
CN109714997B (zh) 包含羊毛的鞋及其鞋帮的制造方法
US9624608B2 (en) Architecturally reinforced denim
KR101152634B1 (ko) 기능성 양말
CN106400264A (zh) 服装及其制作方法
KR100652145B1 (ko) 기능성 압박 양말 및 그 제조방법
CN203137148U (zh) 一种保健泳衣面料
KR200481569Y1 (ko) 종아리 흘림방지용 기능성 양말
US20210030116A1 (en) Shoe components having varying modulus zones
CN214594535U (zh) 一种抗菌透气飞织鞋面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JP6777675B2 (ja) 通気防水靴を製造する方法
CN208164447U (zh) 一种经编鞋面复合织物
KR101893935B1 (ko) 운동용 덧신 및 그 제조방법
CN112450503A (zh) 一种制造男士护脚毛巾袜的方法
CN216875065U (zh) 一种抗菌型保健袜子
CN220800068U (zh) 一种适用于糖尿病足的抗菌透气袜
CN211960924U (zh) 一种脚跟防滑脱短袜
CN217038918U (zh) 一种具有高拉伸弹性针织袜
CN218682135U (zh) 一种防水透湿舒适风衣
TWM610760U (zh) 輕壓力機能運動襪
CN113279122A (zh) 一种减小尺寸延伸的纬编针织面料及鞋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