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1100B1 -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1100B1
KR101151100B1 KR1020090124387A KR20090124387A KR101151100B1 KR 101151100 B1 KR101151100 B1 KR 101151100B1 KR 1020090124387 A KR1020090124387 A KR 1020090124387A KR 20090124387 A KR20090124387 A KR 20090124387A KR 101151100 B1 KR101151100 B1 KR 101151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data transmission
dat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691A (ko
Inventor
임순용
양미정
박애순
정광렬
신재욱
천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4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100B1/ko
Priority to EP10195047.5A priority patent/EP2337401B1/en
Publication of KR20110067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협력 전송 기법 및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법을 선택하여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시스템이 개시된다.
서빙 기지국은 단말기에 대한 채널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 주위의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한다.
Figure R1020090124387
협력 전송 기법,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 서빙 기지국, 협력 기지국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APPRATUS FOR SELECTING DATA TRANSMITTING BASESTATION}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과 관련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핸드 오버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커버리지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110, 120)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각 기지국(110, 120)은 커버리지(111, 121) 내의 단말기(130)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커버리지(111, 121) 내의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1 기지국(110)으로부터 커버리지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130)까지의 거리는 매우 멀다. 따라서 제1 기지국(110)에서 전송한 신호는 강한 감쇄를 겪어 그 세기가 약해진다. 단말기(130)가 수신한 신호의 세기가 약해지므로 단말기(130)의 통화 품질은 열화된다.
각 기지국(110, 120)의 커버리지(111, 121)는 서로 일정 부분 겹친다. 따라서 커버리지 외곽에 위치한 단말기(130)는 제1 기지국(110) 및 제2 기지국(12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의 (b)는 단말기가 제1 기지국으로부터 제2 기지국으로 핸드오버하고, 제2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개념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기지국(14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품질보다 제2 기지국(15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품질이 우수하다면, 단말기(160)는 제1 기지국(140)에 인접한 제2 기지국(150)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기지국을 선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하는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 상기 산출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협력 기지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단말기에 대한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제2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들 중에서,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할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단말기에 대하여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a)는 협력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240)는 복수의 기지국(210, 220, 230)으로부터 모두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240)는 각 기지국(210, 220, 230)의 커버리지(211, 221, 231)가 겹치는 지역에 위치한다.
협력 전송 기법에 따르면, 단말기(240)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모든 기지국(210, 220, 23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240)는 각 기지국(210, 220, 230)들 중에서, 채널 상태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의 (b)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기(280)는 각 기지국(250, 260, 270)의 커버리지(251, 261, 271)가 겹치는 지역에 위치한다. 단말기(280)는 각 기지국(250, 260, 270)들 중에서 최적의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최적의 기지국은 단말기(280)와 각 기지국(250, 260, 270)간의 채널 상태 또는 각 기지국(250, 260, 270)이 단말기(28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률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단계(S341)에서 서빙 기지국(320)은 단말기(310)로 제1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320)은 단말기(310)가 접속한 기지국이다.
단계(S342)에서 협력 기지국(330)은 단말기(310)로 제2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협력 기지국(330)은 서빙 기지국(320)에 인접한 기지국으로서, 단말기(310)는 서빙 기지국(320)과 협력 기지국(330)의 커버리지가 겹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단계(S350)에서 단말기(310)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에 대한 채널을 추정하여 채널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협력 기지국(330)과 단말기(310)간의 채널을 제1 무선 채널이라고 하고, 서빙 기지국(320)과 단말기(310)간의 채널을 제2 무선 채널이라 하자. 단말기(310)는 제1 무선 채널 및 제2 무선 채널을 모두 추정하여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S351)에서 단말기(310)는 서빙 기지국(320)으로 채널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S360)에서 서빙 기지국(320)은 협력 기지국(330)으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서빙 기지국(320)의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 정보는 다운링크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양 및 데이터의 종류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S361)에서 협력 기지국(330)은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한다.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협력 기지국(330)이 단말기(31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330)은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단말기(310)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 각각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을 산출하여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가상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제1 무선 채널의 상태가 좋지 않다면, 협력 기지국(330)은 단말기(31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많은 개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없다. 협력 기지국(330)은 단말기(310)에 대하여 적은 개수의 무선 자원만을 할당할 수 있고, 할당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적은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1 무선 채널의 상태가 좋다면, 협력 기지국(330)은 단말기(310)에 대하여 많은 개수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고, 각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S362)에서 협력 기지국(330)은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서빙 기지국(320)으로 전송한다.
단계(S370)에서 서빙 기지국(320)은 제2 무선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서빙 기지국(320)이 단말기(31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단계(S371)에서 서빙 기지국(320)은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31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330)이 둘 이상인 경우에도 서빙 기지국(320)은 서빙 기지국(320) 및 협력 기지국들(330) 중에서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 만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310) 주변의 복수의 기지국들(320, 330) 중에서 하나의 기지국 만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다면, 서빙 기지국(320)은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선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320)은 단말기(310) 주변의 복수의 기지국(320, 330)들 중에서 데이터 전송량이 가장 많은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320)은 둘 이상의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서, 서빙 기지국(320)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데이터 전송량을 가지는 기지국들을 모두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320)은 협력 전송 기법을 선택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단계(S380)에서 서빙 기지국(320)은 협력 기지국(330)으로 데이터 전송 기지국 정보를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 기지국 정보는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 기지국에 대한 식별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서빙 기지국(420)과 협력 기지국(430)이 협력 전송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기(410)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빙 기지국(420)이 단말기(410)에 대하여 협력 전송 기법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복수의 기지국(420, 430)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다.
단계(S440)에서 서빙 기지국(420)은 단말기(41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협력 기지국(430)은 단말기(4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420)이 전송하는 데이터와 협력 기지국(430)이 전송하는 데이터는 동일한 데이터이다. 즉, 단말기(410)는 동일한 데이터를 서빙 기지국(420) 및 협력 기지국(430)으로부터 수신한 다.
또한 서빙 기지국(420)과 협력 기지국(430)은 동일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기(410)로 전송한다. 즉, 서빙 기지국(4200과 협력 기지국(430)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동일한 시간 구간에 단말기(41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4의 (b)는 서빙 기지국(460)또는 협력 기지국(470)이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기(410)로 전송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빙 기지국(420)이 단말기(410)에 대하여 동적 선택 기법을 적용하기로 결정한 경우, 하나의 기지국만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다. 도 4의 (b)에서는 협력 기지국(470)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되었으나, 채널 상태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460)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단계(S480)에서 협력 기지국(470)은 단말기(45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빙 기지국(500)은 전송부(510), 수신부(520), 제어부(530) 및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540)를 포함한다.
전송부(510)는 단말기(550)로 제1 파일럿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기(550)는 제1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500)과 단말기(550)간의 무선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여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서빙 기지국(500)과 단말기(550)간의 무선 채널을 제1 무선 채널이라고 하자. 이 경우 전송부(510)가 전송한 제1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단말기(550)가 생성한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라 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550)는 협력 기지국(560)으로부터 제2 파일럿 신호를 수신한다. 협력 기지국(560)과 단말기(550)간의 무선 채널을 제2 무선 채널이라고 하자. 단말기는 제2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제2 무선 채널의 상태를 추정하고,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수신부(520)는 제1 무선 채널 상태에 정보 또는 제2 무선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550)로부터 수신한다.
전송부(510)는 서빙 기지국(500)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550)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서빙 기지국(500)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560)으로 전송한다.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서빙 기지국이 데이터를 단말기(550)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560)은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생성한다.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협력 기지국(560)이 단말기(55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이다. 협력 기지국(560)은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550)에 대하여 가상적으로 데이터 스케쥴링을 수행함으로써,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생성한다.
협력 기지국(560)은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단말기(550)에 대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할당된 무선 자원 각각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을 산출하여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가상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수신부(520)는 협력 기지국(560)으로부터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540)는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생성한다.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서빙 기지국(500)이 단말기(550)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이다.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540)는 협력 기지국(560)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서빙 기지국(500)과 협력 기지국(560) 중에서 단말기(55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한다. 제어부(530)는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와 제2 전송량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30)는 서빙 기지국(500)과 협력 기지국(560)중에서 데이터 전송량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560)이 하나인 경우뿐만 아니라, 협력 기지국(560)이 둘 이상인 경우에도 제어부(530)는 서빙 기지국(500) 및 협력 기지국들(560) 중에서 가장 우수한 기지국 하나 만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30)는 복수의 기지국(500, 560)들 중에서 데이터 전송량이 가장 많은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30)는 둘 이상의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예로서, 제어부(530)는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데이터 전송량을 가지는 기지국들을 모두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500)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 경우에, 전송부(510)는 단말기(55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530)가 서빙 기지국(500) 및 협력 기지국(560)을 모두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한 경우에, 협력 기지국(560)도 서빙 기지국(500)과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기(50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협력 기지국(600)은 수신부(610),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620) 및 전송부(630)를 포함한다.
전송부(630)는 단말기(650)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한다. 단말기(650)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협력 기지국(600)과 단말기(650)간의 제2 무선 채널을 추정하고,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단말기(650)는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640)으로 전송한다.
단말기(650)는 서빙 기지국(640)으로부터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서빙 기지국(640)과 단말기(650)간의 제1 무선 채널을 추정할 수 있다. 단말기(650)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서빙 기지국(6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610)는 서빙 기지국(640)으로부터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 치하는 단말기(650)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서빙 기지국(640)이 단말기(650)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620)는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650)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한다.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협력 기지국(600)이 단말기(650)로 가상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620)는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650)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각 무선 자원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을 산출하고, 각 무선 자원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에 기반하여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송부(630)는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서빙 기지국(640)으로 전송한다.
서빙 기지국(640)은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단말기(65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기지국(640)은 전송부(630)가 전송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와 서빙 기지국(640)의 단말기(650)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비교하여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협력 기지국(600)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 경우에, 수신부(610)는 서빙 기지국(640)으로부터 데이터 전송 지시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630)는 데이터 전송 지시에 기반하여 단말기(650)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협력 기지국(600)뿐만 아니라 서빙 기지국(640)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빙 기지국(640)은 전송부(630)가 전송한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단말기(650)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기지국 제어 장치(700)는 수신부(710) 및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720)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에서는 서빙 기지국이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기지국들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가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할 수 있다.
수신부(710)는 단말기(750)에 대한 제1 기지국(73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단말기(750)에 대한 제2 기지국(74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한다. 제1 기지국(73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제1 기지국(730)과 단말기(750)간의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제2 기지국(74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제2 기지국(740)과 단말기(750)간의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산출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각 기지국(730, 740)은 단말기(750)로 파일럿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기(750)는 각각 수신한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각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각 기지국이 소정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로 가상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720)는 제1 기지국(73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제2 기지국(740)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제1 기지국(730) 및 제2 기지국(740) 중에서 단말기(75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한다.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720)는 제1 기지국(730) 및 제2 기지국(740) 중에서 데이터 전송량이 더 큰 기지국을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720)는 제1 기지국(730) 및 제2 기지국(740) 모두를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지국(730) 및 제2 기지국(740)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서 핸드 오버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협력 전송 기법 또는 동적 기지국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최적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단계별로 설명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3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선택된 기지국을 이용하여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빙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협력 기지국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21)

  1.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에 인접한 협력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협력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된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협력 기지국간의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1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빙 기지국.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운링크 버퍼의 상태인 서빙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협력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가상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인 서빙 기지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제2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하는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전송량과 상기 제2 데이터 전송량을 비교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서빙 기지국.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지국을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서빙 기지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빙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과 상기 협력 기지국을 모두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상기 협력 기지국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빙 기지국.
  10.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서빙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하는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
    상기 산출된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협력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빙 기지국간의 제1 무 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협력 기지국 간의 제2 무선 채널의 상태에 대한 정보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협력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협력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가상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인 협력 기지국.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 추가적으로 전송되는 협력 기지국.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량 산출부는 상기 데이터 스케쥴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각 무선 자원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을 산출하고, 상기 각 무선 자원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에 기반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산출하는 협력 기지국.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서빙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데이터 전송량 정보와 상기 서빙 기지국의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량 정보을 비교하여 산출된 데이터 전송 지시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데이터 전송 지시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전송하는 협력 기지국.
  16. 단말기에 대한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대한 제2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 및 상기 제2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에서 상기 단말기에 대한 데이터 전송 기지국을 선택하는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상기 제1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산출되고, 상기 제2 기지국의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상기 제2 기지국과 상기 단말기간의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산출된 기지국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무선 채널의 상태는 상기 각 기지국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파일럿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기지국 제어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데이터 전송량 정보는 상기 각 기지국이 소정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로 가상적으로 전송한 데이터의 전송량에 대한 정보인 기지국 제어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 중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량이 더 큰 기지국을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부는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을 모두 상기 데이터 전송 기지국으로 선택하고,
    상기 제1 기지국 및 상기 제2 기지국은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기지국 제어 장치.
KR1020090124387A 2009-12-15 2009-12-15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KR101151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87A KR101151100B1 (ko) 2009-12-15 2009-12-15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EP10195047.5A EP2337401B1 (en) 2009-12-15 2010-12-15 Apparatus for selecting data transmission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387A KR101151100B1 (ko) 2009-12-15 2009-12-15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691A KR20110067691A (ko) 2011-06-22
KR101151100B1 true KR101151100B1 (ko) 2012-06-04

Family

ID=4361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387A KR101151100B1 (ko) 2009-12-15 2009-12-15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337401B1 (ko)
KR (1) KR1011511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7287A1 (en) * 2013-01-22 2015-11-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sche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8007A (ja) * 2002-03-20 2003-12-05 Nec Corp 無線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並びに無線リソース管理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JP2007174337A (ja) * 2005-12-22 2007-07-05 Toshiba Corp セルラ通信システム、管理局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7401A1 (en) 2011-06-22
KR20110067691A (ko) 2011-06-22
EP2337401B1 (en)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5786B1 (ko) 핸드오버 방법, 기지국 및 단말 기기
US10972924B2 (en) Beam-based multi-connection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KR100564075B1 (ko) 무선 리소스 할당 방법, 무선 리소스 할당 장치, 및 이동통신 시스템
EP2238800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ignaling channel quality information in a network that employs relay nodes
KR100961746B1 (ko)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자원할당 장치 및 방법
US9467210B2 (en) Transmission parameter adaptation in cooperative signal communication
KR10098025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구간에서의 상향링크 파일럿 전송 장치 및 방법
US9730190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00069063A1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s
TWI583231B (zh) 用於無線通訊系統之基地台、裝置對裝置使用者裝置、傳輸方法、回報方法及資源調整方法
JP537389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KR2006012854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EP2930982A9 (en) Mitigating dl-ul interference
KR20080049596A (ko) 랜덤액세스 방법 및 랜덤액세스 응답 방법
JP4983809B2 (ja) 基地局装置及びセル切り替え決定方法
US8452284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ell selection communication method
CN114554520A (zh) 干扰测量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JP2014060786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US9131375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CN111786710B (zh) 一种切换方法、通信设备、终端设备及存储介质
US2013032964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route selection method
US8913949B2 (en) Base station, relay station, and method
KR101151100B1 (ko) 데이터 전송 기지국 선택 장치
KR201300333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 및 통신 제어 방법
JP2023036366A (ja) 基地局装置、リピータ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ならびにこれら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