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892B1 -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892B1
KR101150892B1 KR1020100111481A KR20100111481A KR101150892B1 KR 101150892 B1 KR101150892 B1 KR 101150892B1 KR 1020100111481 A KR1020100111481 A KR 1020100111481A KR 20100111481 A KR20100111481 A KR 20100111481A KR 101150892 B1 KR101150892 B1 KR 101150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peed
response
traffic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0124A (ko
Inventor
손현승
이성훈
금대현
박광민
김영재
홍재승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00111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8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0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0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교차로 및 건널목에서 정지신호를 무시하거나 과속하는 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을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은, 마스터 제어장치 및 슬레이브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Description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TRAFFIC REGULATION VIOLATION MONITOR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법규위반을 감시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교통법규 위반 감시시스템은 경찰관에 의한 인위적인 차량 단속과 감시 장치에 의한 무인 교통법규 위반 감시로 구분된다. 인위적인 차량 단속은 각 교차로나 도로에 경찰관이 배치되어 차량마다 검문검색을 실시하고 교통법규를 위반한 차량 정보를 경찰관이 소지한 무전기로 전달한다. 무인 교통법규 위반 감시는 자동차의 속도를 속도감지기로 인지하고 교통법규 상의 기준속도를 초과하는 차량에 대해서는 카메라를 작동하여 자동차를 촬영한다.
종래의 교통법규 위반 감시시스템은 단지 과속 차량에 대한 감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다른 교통법규 위반 차량을 단속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유도하는 데에 다소의 어려움이 있었다. 보통, 교차로 및 건널목 등의 차량 정지선에는 교통법규 위반 감시에 대한 아무런 장비도 설치되지 않아 교통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사후처리 등의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범죄차량에 대한 검거는 목격자 및 감시카메라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므로 정보가 다소 불확실하거나 정보를 관할 경찰관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교차로 및 건널목에서 정지신호를 무시하거나 과속하는 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시광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교차로 및 건널목에서 정지신호를 무시하거나 과속하는 차량을 단속할 수 있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은, 마스터 제어장치 및 슬레이브 제어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는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은, 마스터 제어단계 및 슬레이브 제어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단계는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상기 슬레이브 제어단계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제어단계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가시광 무선통신은 기존의 전파통신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기존의 교통 체계에 사용되고 있는 인프라인 교통 신호등과 자동차의 전조등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경제적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교차로 및 건널목에서 정지신호를 무시하거나 과속을 일삼는 위반차량을 감시 및 단속할 수 있으며, 더욱이 범죄나 도난차량을 추적 검거하는 데에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가시광 무선 통신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2는 교통신호등의 변화를 나열한 것이다.
도 3은 교통신호등의 통신 영역을 나타낸다.
도 4는 교통신호를 무시하는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의 송수신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는 자동차의 과속을 감시하기 위한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의 송수신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프로토콜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7은 교통신호등과 자동차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8은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자동차에 설치된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마스터 제어단계를 나타내는 신호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슬레이브 제어단계를 나타내는 신호흐름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가시광 통신은 가시광선(400~700nm)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이다.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이나 표시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의 가시광선을 눈에 보이지 않는 속도로 점멸시켜 정보를 보내는 기술로 전원 콘센트에 꽂아 고속 인터넷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에 조명 기구를 연결, 인터넷에 접속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가시광 통신은 빛 차단 시 정보가 실외로 새어나갈 염려가 없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에 비해 안전성이 높으며,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사용해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다.
도 1은 가시광 무선 통신의 개념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시광 무선통신은 LED와 같은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110)로부터 발산되는 가시광 영역의 신호를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를 이용하여 광검출기(120, Photo Detector)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기술이다.
LED는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성질을 이용하여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전기에서 빛으로 바꾸는 속도가 약 30나노미터에서 250나노미터에 달하는데, 이렇게 빠른 스위칭(on-off)을 데이터로 변조하여 통신할 수 있다. 사람은 초당 100이상 깜박이면, 깜박임을 인식하지 못하고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한다. 통신에 의한 깜박임이 있지만, 계속적으로 켜진 것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조명의 기능도 유지된다. 포토다이오드는 LED와는 반대로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는 교통신호등의 변화를 나열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통신호등은 녹색, 주황색 및 적색의 순서로 계속하여 변환한다. 본 발명에서는 교통신호등의 변화를 정차신호구간 및 주행신호구간으로 구별하여 사용한다.
정차신호구간(A)은 주황색 교통신호 시간구간과 적색 교통신호 시간구간의 일부분으로 구성된다. 주행신호구간(B)은 적색 교통 신호 시간 구간의 나머지, 녹색 교통신호 시간구간 전체로 구성된다. 주행신호구간(B)은 경우에 따라서는 주황색 교통신호 시간구간의 일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교통신호등의 통신 영역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건널목 또는 교차로와 교통신호등의 가시광 통신영역을 구분할 수 있다.
도 4는 교통신호를 무시하는 차량을 감시하기 위한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의 송수신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교통신호등에는 마스터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자동차에는 슬레이브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교통신호등과 마스터 제어장치 그리고 자동차와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혼용할 것이다. 마스터 제어장치 및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자동차가 교통법규에 따라 건널목 또는 교차로 앞에 정지해야 하는 시간 영역인 "① 정차신호구간"에서 마스터 제어장치는 "③ 정지명령(정차명령)"을 송신한다. 이때 "③ 정지명령"에는 교통신호등의 고유번호(ID)가 포함된다.
"③ 정지명령"을 수신한 자동차에 설치된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④ 정지명령응답"을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로 송신한다.
"④ 정지명령응답"에는 차량의 고유번호(ID)인 자동차번호와 현재의 차량속도가 포함된다.
교통법규에 따라 적색신호가 점멸되기 전인 "② 주행신호구간"이 된다면, 교통 신호등은 "⑤ 출발명령"을 차량으로 송신한다.
"⑤ 출발명령"에는 "④ 정지명령응답"을 통해 수신 받은 차량의 고유번호인 자동차번호가 포함된다.
"⑤ 출발명령"을 수신한 자동차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⑥ 출발명령응답"을 교통신호등으로 송신한다.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는 정지명령응답 및 출발명령응답에 포함된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동차가 신호를 위반하였는가에 대하여 판단한다.
도 5는 자동차의 과속을 감시하기 위한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의 송수신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물리적인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교통신호등의 가시광 통신 영역이 될 것이며, 자동차의 과속 감시는 주행시간구간동안 이루어진다.
"① 주행신호구간"에서 도 3의 "교통 신호등의 가시광 통신 영역"을 통과하는 차량의 속도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교통신호등은 "② 속도정보요청(속도요청)"을 송신한다.
이 때 "② 속도정보요청"에는 교통신호등의 고유번호가 포함된다.
"② 속도정보요청"을 수신한 자동차는 이에 대한 응답으로 "③ 속도정보 요청응답(속도요청응답)"을 교통신호등으로 송신한다.
"③ 속도정보 요청응답"은 차량의 고유번호인 자동차번호와 현재의 속도를 포함한다.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는 속도정보 요청응답에 포함된 자동차의 속도를 저장하고, 현재 자동차의 속도와 미리 저장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해당 자동차가 신호를 위반하였는가에 대하여 판단한다.
도 6은 교통신호등과 자동차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프로토콜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토콜 프레임은, 송신노드의 ID, 데이터 및 수신노드의 ID로 구성된다. 그러나 정지명령의 경우 불특정 다수의 자동차에 지시를 전달하므로, 수신노드의 ID는 포함되지 않는다.
도 7은 교통신호등과 자동차의 통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는 마스터 통신 노드가 되고 자동차에 설치된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슬레이브 통신 노드가 될 것이다.
도 8은 교통신호등에 설치된 마스터 제어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 제어장치(800)는 마스터 송수신기(810),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820), 마스터 감시제어기(830), 마스터 메모리(840) 및 LAN(850)을 구비한다.
마스터 메모리(840)는 슬레이브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교통신호등의 ID, 시각 정보 및 도로의 제한속도 등을 저장한다. LAN(850)은 마스터 메모리(8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제시스템(860)에 전달하거나 교통신호 제어기(미도시)로부터 교통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마스터 송수신기(810)는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870, LED)를 이용하여 마스터 전기신호를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가시광 통신용 수광장치(870, PD)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820)는 정지명령(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마스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마스터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인 마스터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통신 프레임 송수신기(810)로부터 수신한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슬레이브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마스터 감시제어기(830)는 상기 교통신호등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820)로 전달하고,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로부터 수신한 슬레이브 프레임에 포함된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마스터 메모리(840)에 저장시킨다.
마스터 감시제어기(830)는,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송신한 슬레이브 제어장치들 중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지 않은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ID는 저장 및 통제시스템(860)에 통보하고,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수신한 속도정보 응답신호에 포함된 자동차의 현재 속도와 마스터 메모리(850)에 저장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ID를 저장 및 통제시스템(860)에 통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
여기서 통제시스템(860)의 예로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이 있다.
도 9는 자동차에 설치된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제어장치(900)는, 슬레이브 송수신기(910),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920), 슬레이브 감시제어기(930), 슬레이브 메모리(940) 및 인터페이스(950)를 구비한다.
인터페이스(950)는 IVN(In-Vehicle Network, 960)를 이용하여 차량의 전기장치와 접속하여 차량의 현재 속도 등을 수신하며, CAN 및 FlexRay를 포함한다. 슬레이브 메모리(940)는 마스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시각 정보, 차량의 ID 및 차량의 속도 등을 저장한다. 슬레이브 송수신기(910)는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970, LED)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마스터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가시광 통신용 수광장치(970, PD)를 이용하여 마스터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마스터 전기신호를 수신한다.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920)는 정지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슬레이브 프레임을 생성하고 슬레이브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인 슬레이브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송수신기(910)로부터 수신한 마스터 전기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마스터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슬레이브 감시제어기(930)는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따른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920)으로 전달하고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920)로부터 수신한 마스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속도정보 지시신호를 슬레이브 메모리(940)에 저장한다.
IVN(In-Vehicle Network, 960)는 차량의 현재 속도 등을 자동차의 계기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망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은 마스터 제어단계 및 슬레이브 제어단계로 구별된다.
마스터 제어단계는,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슬레이브 제어단계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한다.
특히, 마스터 제어단계 및 슬레이브 제어단계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하 마스터 제어단계 및 슬레이브 제어단계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마스터 제어단계를 나타내는 신호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터 제어단계(1000)는, 정차신호구간 판단단계(1010), 마스터 송수신단계(1020), 주행신호구간 판단단계(1030), 주행신호구간 처리단계(1040) 및 정차신호구간 처리단계(1050)를 구비한다.
정차신호구간 판단단계(1010)는 정차신호구간인가를 판단한다. 마스터 송수신단계(1020)는 정차신호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정차명령지시신호를 송신하고 정차명령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주행신호구간 판단단계(1030)는 마스터 송수신단계 수행 후, 주행신호구간인가를 판단한다. 주행신호구간 처리단계(1040)는 주행신호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출발명령지시를 송신하고, 출발명령응답의 응답여부에 따라 출발명령응답을 저장하거나 교통법규 위반사항(위반저항 1)을 저장한다. 정차신호구간 처리단계(1050)는 정차신호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아니오)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위반 여부에 따라 상기 속도정보응답신호를 저장하거나 제한속도 위반사항(위반저장 2)을 저장한다.
여기서 주행신호구간 처리단계(1040)는, 출발명령지시 송신단계(1041), 출발명령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42), 출발명령응답 저장단계(1043) 및 위반사실 저장단계(1044)를 구비한다.
출발명령지시 송신단계(1041)는 출발명령지시신호를 송신한다. 출발명령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42)는 출발명령지시에 대응되는 출발명령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 출발명령응답 저장단계(1043)는 출발명령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예) 상기 출발명령응답을 저장한다. 위반사실 저장단계(1044)는 출발명령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건널목 또는 교차로에서 교통신호에 따라 정차 후 출발해야 한다는 교통법규를 위반하였다는 법규위반 사실을 저장한다.
여기서 위반사실 저장단계(1044)는, 해당 차량의 ID, 해당 차량의 사진, 위반 시간 및 적발한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또한 정차신호구간 처리단계(1050)는, 속도정보요청 송신단계(1051), 속도정보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52), 속도위반 판단단계(1053), 속도위반 저장단계(1054) 및 속도정보응답 저장단계(1555)를 구비한다.
속도정보요청 송신단계(1051)는 차량의 속도정보를 요청하는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한다. 속도정보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52)는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속도정보 응답신호의 수신 영부를 판단한다. 속도위반 판단단계(1053)는 상기 속도정보응답에 포함된 차량의 속도를 도로의 제한속도와 비교하여 속도위반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위반 저장단계(1054)는 속도위반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차량의 속도위반 사실을 저장한다. 속도정보응답 저장단계(1555)는 속도위반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아니오) 상기 속도정보응답을 저장한다.
속도위반 저장단계(1054)는, 해당 차량의 ID, 해당 차량의 속도, 해당 차량의 위반 속도, 해당 차량의 사진, 위반 시간 및 적발한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슬레이브 제어단계를 나타내는 신호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제어단계(1110)는, 정차명령지시 판단단계(1110), 정차명령 조치단계(1120), 출발명령지시 판단단계(1130), 출발명령 조치단계(1140) 및 속도요청 조치단계(1150)를 구비한다.
정차명령지시 판단단계(1110)는 정차명령 지시신호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정차명령 조치단계(1120)는 정차명령을 수신한 경우(예) 차량의 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정차명령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출발명령지시 판단단계(1130)는 출발명령 지시신호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출발명령 조치단계(1140)는 출발명령을 수신한 경우(예) 차량의 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속도요청 조치단계(1150)는 정차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차량의 ID 및 차량의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요청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LED 120: 광검출기
810: 마스터 송수신기
820: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
830: 마스터 감시제어기 840: 마스터 메모리
850: LAN 860: 통제시스템
870: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수광장치
910: 슬레이브 송수신기
920: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
930: 슬레이브 감시제어기 940: 슬레이브 메모리
950: 인터페이스 960: 자동차 기기
970: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수광장치

Claims (16)

  1.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마스터 제어장치; 및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슬레이브 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 및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 제어장치는 교통신호등에 설치되며,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등의 ID 및 교통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자동차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ID 및 자동차의 속도 등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저장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에는 마스터 제어장치가 설치된 교통신호등의 ID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응답신호에는 자동차의 ID 및 속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는 정차신호구간에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의 가시광 통신 구역 내에 있는 모든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는 주행신호구간에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의 가시광 통신 구역 내에 있는 모든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송신되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는 주행신호구간에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의 가시광 통신 구역 내에 있는 모든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송신되며,
    상기 정차신호구간은 주황색 교통신호 시간구간 전체와 적색 교통신호 시간구간의 초기 일부 시간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신호구간은 나머지 적색 교통신호구간 및 녹색 교통신호구간 전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구간에 주황색 교통신호구간의 초기 일부의 시간구간을 더 포함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장치는,
    슬레이브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교통신호등의 ID, 시각 정보 및 도로의 제한속도 등을 저장하는 마스터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제시스템에 전달하거나 교통신호 제어기로부터 교통신호등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LAN;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마스터 전기신호를 슬레이브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가시광 통신용 수광장치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마스터 송수신기;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마스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마스터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인 상기 마스터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통신 프레임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슬레이브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 및
    상기 교통신호등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로 전달하고, 상기 마스터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슬레이브 프레임에 포함된 정차명령 응답신호,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마스터 감시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슬레이브 제어장치는,
    차량의 전기장치와 접속하여 차량의 현재 속도 등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마스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보, 시각 정보, 차량의 ID 및 차량의 속도 등을 저장하는 슬레이브 메모리;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를 이용하여 슬레이브 전기신호를 마스터 제어장치에 송신하고, 가시광 통신용 수광장치를 이용하여 마스터 제어장치로부터 송신된 마스터 전기신호를 수신하는 슬레이브 송수신기;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슬레이브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슬레이브 프레임을 전기적 신호인 상기 슬레이브 전기신호로 변환하며, 상기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마스터 전기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마스터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 및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따른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로 전달하고, 상기 슬레이브 통신 프레임 생성 및 분석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마스터 프레임에 포함된 정차명령 지시신호,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 및 상기 속도정보 지시신호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슬레이브 감시제어기를 구비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감시제어기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송신한 슬레이브 제어장치들 중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지 않은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ID는 저장 및 상기 통제시스템에 통보하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따라 수신한 상기 속도정보 응답신호에 포함된 자동차의 현재 속도와 상기 마스터 메모리에 저장된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를 위반하였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해당 슬레이브 제어장치의 ID를 저장 및 상기 통제시스템에 통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광 통신용 발광장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광 통신용 수광장치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를 포함하는 광감지기(Photo Detector)를 이용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프레임은 송신노드의 ID 및 데이터의 형태 및 송신노드의 ID, 데이터 및 수신노드의 ID의 형태 중 하나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슬레이브 프레임은 송신노드의 ID, 데이터 및 수신노드의 ID의 형태를 가지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9. 자동차의 교통신호 위반을 감시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정차명령 지시신호, 출발명령 신호 및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자동차로부터 정차명령 응답신호, 출발명령 응답신호 및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마스터 제어단계; 및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정차명령 응답신호를,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그리고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속도요청 응답신호를 각각 송신하는 슬레이브 제어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제어단계 및 상기 슬레이브 제어단계는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제어단계(1000)는,
    정차신호구간인가를 판단하는 정차신호구간 판단단계(1010);
    정차신호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정차명령지시신호를 송신하고 정차명령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마스터 송수신단계(1020);
    상기 마스터 송수신단계 수행 후, 주행신호구간인가를 판단하는 주행신호구간 판단단계(1030);
    주행신호구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출발명령지시를 송신하고, 출발명령응답의 응답여부에 따라 출발명령응답을 저장하거나 교통법규 위반사항(위반저항 1)을 저장하는 주행신호구간 처리단계(1040);
    정차신호구간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아니오)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속도정보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차량의 속도위반 여부에 따라 상기 속도정보응답신호를 저장하거나 제한속도 위반사항(위반저장 2)을 저장하는 정차신호구간 처리단계(1050)를 구비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차신호구간은 주황색 교통신호 시간구간 전체와 적색 교통신호 시간구간의 초기 일부 시간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신호구간은 나머지 적색 교통신호구간 및 녹색 교통신호구간 전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시간구간에 주황색 교통신호구간의 초기 일부의 시간구간을 더 포함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신호구간 처리단계(1040)는,
    상기 출발명령지시신호를 송신하는 출발명령지시 송신단계(1041);
    상기 출발명령지시에 대응되는 출발명령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출발명령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42);
    출발명령응답신호가 수신된 경우(예) 상기 출발명령응답을 저장하는 출발명령응답 저장단계(1043); 및
    출발명령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아니오), 건널목 또는 교차로에서 교통신호에 따라 정차 후 출발해야 한다는 교통법규를 위반하였다는 법규위반 사실을 저장하는 위반사실 저장단계(1044)를 구비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위반사실 저장단계(1044)는,
    해당 차량의 ID, 해당 차량의 사진, 위반 시간 및 적발한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정차신호구간 처리단계(1050)는,
    차량의 속도정보를 요청하는 속도정보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속도정보요청 송신단계(1051);
    상기 속도정보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속도정보 응답신호의 수신 영부를 판단하는 속도정보응답 수신여부 판단단계(1052);
    상기 속도정보응답에 포함된 차량의 속도를 도로의 제한속도와 비교하여 속도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속도위반 판단단계(1053);
    속도위반이라고 판단된 경우(예) 차량의 속도위반 사실을 저장하는 속도위반 저장단계(1054); 및
    속도위반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아니오) 상기 속도정보응답을 저장하는 속도정보응답 저장단계(1555)를 구비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위반 저장단계(1054)는,
    해당 차량의 ID, 해당 차량의 속도, 해당 차량의 위반 속도, 해당 차량의 사진, 위반 시간 및 적발한 장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제어단계(1100)는,
    상기 정차명령 지시신호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정차명령지시 판단단계(1110);
    정차명령을 수신한 경우(예) 차량의 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정차명령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정차명령 조치단계(1120);
    상기 출발명령 지시신호를 수신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출발명령지시 판단단계(1130);
    출발명령을 수신한 경우(예) 차량의 ID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는 출발명령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출발명령 조치단계(1140); 및
    정차명령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아니오) 차량의 ID 및 차량의 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속도요청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속도요청 조치단계(1150)를 구비하는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KR1020100111481A 2010-11-10 2010-11-10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KR101150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81A KR101150892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1481A KR101150892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24A KR20120050124A (ko) 2012-05-18
KR101150892B1 true KR101150892B1 (ko) 2012-05-29

Family

ID=4626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481A KR101150892B1 (ko) 2010-11-10 2010-11-10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17A (ko) * 2001-02-02 2002-08-09 권중열 참깨를 원료로 하는 냉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127B1 (ko) 2021-05-13 2022-03-02 유니셈 (주) 이륜차 무인 단속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91B1 (ko) 2015-10-15 2017-04-07 주식회사 티케이씨 웨이퍼 도금장치
KR101895011B1 (ko) 2016-01-14 2018-09-05 (주)삼성정보통신 도로 라인 인식을 통한 교통 법규 위반 단속 시스템
KR20180085290A (ko) 2017-01-18 2018-07-26 정남진 패턴 기반의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71262B1 (ko) 2017-01-20 2019-04-22 송관호 통행 예측을 기반으로 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0379173A (zh) * 2019-07-24 2019-10-25 南京邮电大学 一种基于共享单车多模态数据的非机动车交通违规行为识别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286A (ko) * 2005-02-03 2006-08-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 위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1723A (ko) * 2009-04-09 2009-05-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286A (ko) * 2005-02-03 2006-08-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신호 위반 방지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51723A (ko) * 2009-04-09 2009-05-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시광 통신 장치를 이용한 지능형 교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17A (ko) * 2001-02-02 2002-08-09 권중열 참깨를 원료로 하는 냉면 및 그 제조방법
KR102368127B1 (ko) 2021-05-13 2022-03-02 유니셈 (주) 이륜차 무인 단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0124A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892B1 (ko)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및 교통법규위반 감시시스템 운영방법
US10643468B2 (en) Traffic light control device, method, and system
CN106463049B (zh) 用来经由环境感知和传感器校准和验证支持自主车辆的系统和方法
TWI536330B (zh) 停車管理系統與燈源裝置
US9478129B1 (en) Vehicl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CN107567005B (zh) 基于人工免疫系统的车联网车辆异常行为检测方法及系统
WO2018232906A1 (zh) 一种智能路灯监控方法及装置
KR20130067152A (ko) 센서 노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충돌 정보 전달 방법
CN105788355A (zh) 一种基于Beacon技术的停车位监测系统与方法
CN203982581U (zh) 基于led光通信技术的交通系统
CN105355088B (zh) 提高危险路段安全性能的预警安全系统及其控制方法
JP2021114463A (ja) ヘッドライトインテリジェント制御装置
CN110667655A (zh) 一种基于5g通信技术的永磁磁浮轨道交通控制系统与方法
CN109208995A (zh) 智能交通杆及智能道路系统
KR20140078094A (ko)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CN110111594A (zh) 高速公路事故预警及自主求救智能行走警示牌
bin Wan Hussin et al. Review of traffic control techniques for emergency vehicles
CN205264047U (zh) 一种提高危险路段安全性能的预警安全装置
WO2020125042A1 (zh) 基于灯光的车辆端通信方法
CN204086950U (zh) 一种智能停车场物联网系统
CN206594826U (zh) 用于高速公路的智能行车交通诱导控制系统
CN102509463A (zh) 提示驾驶员是否获得优先信号的系统及方法
CN102737517B (zh) 可以进行优先信号提示的公交优先控制系统及方法
CN107180553A (zh) 一种智能导向停车场管理系统及方法
CN207883138U (zh) 一种基于nb地磁的车位防侵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