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538B1 -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Google Patents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538B1 KR101150538B1 KR1020110103119A KR20110103119A KR101150538B1 KR 101150538 B1 KR101150538 B1 KR 101150538B1 KR 1020110103119 A KR1020110103119 A KR 1020110103119A KR 20110103119 A KR20110103119 A KR 20110103119A KR 101150538 B1 KR101150538 B1 KR 1011505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retaining wall
- mudguard
- hole
- block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5—Geotextiles
- E02D2300/0089—Geotextiles non-wo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구축에 사용되는 보강토 옹벽 블럭의 옹벽 전방에 별도의 흙받이가 구비되어 굴광성, 굴지성을 갖는 일반식물은 물론, 관상용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옹벽 구조물에 식생이 용이해지고,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 패턴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어 주변 환경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하천과 같은 장소에 시공된 경우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가 마련되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블럭구조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 및 상기 수평굴곡부의 좌우 양측으로 곡면의 파형이 이어지는 경사굴곡부가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전방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후방식생공이 형성된 식물식생공과, 상기 블럭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각각 소정 깊이만큼 천공된 다수개의 핀삽입공과, 상기 블럭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 및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로 형성된 후방날개부와, 상기 블럭의 전방 상부에서 움푹하게 파인 안착홈으로 구성된 블럭본체부와, 상기 블럭의 축조시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핀삽입공에 내설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전방식생공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흙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블럭구조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 및 상기 수평굴곡부의 좌우 양측으로 곡면의 파형이 이어지는 경사굴곡부가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전방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후방식생공이 형성된 식물식생공과, 상기 블럭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각각 소정 깊이만큼 천공된 다수개의 핀삽입공과, 상기 블럭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 및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로 형성된 후방날개부와, 상기 블럭의 전방 상부에서 움푹하게 파인 안착홈으로 구성된 블럭본체부와, 상기 블럭의 축조시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핀삽입공에 내설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전방식생공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흙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구축에 사용되는 보강토 옹벽 블럭의 옹벽 전방에 별도의 흙받이가 구비되어 굴광성, 굴지성을 갖는 일반식물은 물론, 관상용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옹벽 구조물에 식생이 용이해지고,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 패턴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어 주변 환경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하천과 같은 장소에 시공된 경우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가 마련되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이라 함은 아파트 단지조성, 도로의 절토부, 성토부, 사면의 안정성 확보,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수로 및 제방공사에 사용되어 배면의 토체와 그 토체속에 매설된 보강재 그리고 전면의 옹벽 블록 또는 판으로 이루어진 전면부로 구성된 옹벽을 말한다.
이 보강토 옹벽블럭은 토목공사에 의하여 형성된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법면을 지탱하여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 지형적 요인과 시공 후 옹벽에 가해지는 압력 분포 등을 고려하여 시공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보강토 옹벽블럭은 식재공간이 형성되어 씨앗을 뿌려 햇빛과 물이 공급됨으로써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축조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실용신안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4425호 '식생 보강토 옹벽용 블록'에서는 블록의 식재공간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통로를 통해 식물 성장에 필요한 물이 저속으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식재공간에서 성장한 식물이 통로로 나와 옹벽을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 식생 보강토 옹벽용 블록(100)은 내부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재공간(110)이 구비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는 식물 성장에 필요한 물과 햇빛을 식재공간(110)에 공급하도록 상기 식재공간(110)과 연통되는 통로(120)가 형성되어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빗살형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블록(100)의 축조 시 하부에 위치한 블록(100)의 통로(120)에 물의 유입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전방 양측면에 후방으로 경사지게 전방경사면(130)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경사면(130)에는 상하로 복수개의 홈(13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은 번식력이 강한 식물의 굴성 운동을 이용한 식물 생장 운동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은 햇빛과 수분이 식재공간 내부로 간접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 생장 운동에 빠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옹벽 구조물이 시공된 이후에는 식재공간 내부에서 씨앗이 발아하지 못한 경우 씨앗의 재살포가 어렵게 되어 불규칙적으로 식물 성장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전체적인 미관을 해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식물의 줄기는 상기 식재공간에서부터 뻗어나오기 때문에 그만큼 성장 시간이 더디게 진행되어 시공이 완료된 후에 식물 성장을 위한 경과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고, 상기 식재공간(110)에서 뿌리를 내리고 상기 통로(120)를 향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게 되는 식물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줄기 또는 잎이 상기 통로(120)의 외부 방향으로 불규칙적으로 자라게 됨으로써 옹벽 전체 구조물의 주변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별도의 흙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옹벽 구조물의 시공중 또는 시공 후에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고, 수직 쌓기, 뒷물림 쌓기, 조합 쌓기 등 다양한 패턴으로 옹벽 구조물이 축조될 경우에도 상기 흙받이를 통해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주변 경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식물의 중력에 의해 작용하는 굴지성에 의해 뿌리가 식생공간으로 깊게 자리잡게 되어 식물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중 공간에 옹벽이 축조된 경우에는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가 마련되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다단으로 적층되어 블럭구조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 및 상기 수평굴곡부의 좌우 양측으로 곡면의 파형이 이어지는 경사굴곡부가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전방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후방식생공이 형성된 식물식생공과, 상기 블럭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각각 소정 깊이만큼 천공된 다수개의 핀삽입공과, 상기 블럭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 및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로 형성된 후방날개부와, 상기 블럭의 전방 상부에서 움푹하게 파인 안착홈으로 구성된 블럭본체부와, 상기 블럭의 축조시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핀삽입공에 내설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전방식생공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흙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상기 안착홈은 반원형의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블럭본체부 전방 상부에서 상기 전방식생공 내측 방향으로 움푹하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는 바닥면이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태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과,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은 상기 흙받이가 상기 안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조형부와 상기 전방식생공 사이에 양측이 걸려 전후방으로 지지되기 위한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상기 흙받이는 상기 전방벽에 상기 전면조형부의 수평굴곡부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지는 곡면의 파형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받침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전방식생공 내측과 통하도록 뚫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에 별도의 흙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옹벽 구조물의 시공중 또는 시공 후에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고, 수직 쌓기, 뒷물림 쌓기, 조합 쌓기 등 다양한 패턴으로 옹벽 구조물이 축조되는 경우에도 상기 흙받이를 통해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주변 경관이 미려해지며, 식물의 중력에 의해 작용하는 굴지성에 의해 상기 흙받이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식생공간으로 깊게 자리잡게 되어 식물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고, 식물 성장 공간이 외부로 직접 노출됨으로써 빗물 등의 수분과 광합성 작용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수중 공간에 옹벽이 축조된 경우에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가 마련되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 보강토 옹벽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식생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축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수직쌓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여러 실시예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를 이용하여 블럭 전면부의 다양한 패턴의 실시예를 도시한 시공상태도.
도 2는 도 1의 식생 보강토 옹벽용 블럭의 축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수직쌓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여러 실시예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를 이용하여 블럭 전면부의 다양한 패턴의 실시예를 도시한 시공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하에서는 "보강토 옹벽 블럭"이라 한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수직쌓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여러 실시예 축조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이 하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의 축조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도 8의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의 조합쌓기를 이용하여 블럭 전면부의 다양한 패턴의 실시예를 도시한 시공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블럭본체부(10), 고정핀(20), 흙받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럭본체부(10)는 전제척으로 전면조형부(11), 식물식생공(12), 핀삽입공(13), 후방날개부(14), 안착홈(15)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조형부(11)는 블럭체가 다단으로 축조되어 전면방향의 조형미를 돋보이게 한다. 상기 전면조형부(11)는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111)와 상기 수평굴곡부(111)의 좌우 양측으로 이어지는 경사굴곡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굴곡부(111)는 블럭체의 전면 중앙에서 수평 방향을 따라 파형 곡선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굴곡부(112)는 상기 수평굴곡부(111)가 끝나는 지점 양측방향에서 후방을 향하여 소정 경사각만큼 방향이 꺾여 파형 곡선이 연속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에, 상기 전면조형부(11)는 블럭체 전면의 조형미를 돋보이게 할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흐름이 블럭체의 전면을 타고 자연스럽게 흐르게 되며, 빗물 등의 수분이 파형곡선을 타고 수직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식물식생공(12)은 전방식생공(121)과 후방식생공(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식물식생공(12)은 축조된 보강토 옹벽 블럭체의 내부에서 초목류의 식생이 가능하도록 상하 관통되어 소정 내부공간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전방식생공(121)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전방식생공(121)은 블럭체가 축조될 때 식물의 성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방식생공(122)은 상기 전방식생공(121)의 후방 즉, 상기 블럭본체부(10)의 후방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후방식생공(122)은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태와 비슷하게 형성되고, 전면벽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 경사만큼 꺽여지게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전방식생공(121)과 상기 후방식생공(122) 사이의 경계벽이 전방을 향하여 소정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후방식생공(122)은 보강토 옹벽 블럭체가 축조될 때 수압이나 토압에 의하여 옹벽이 붕괴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보강토가 채워져 블럭체가 견고하게 버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핀삽입공(13)은 후술하게 되는 상기 고정핀(20)이 삽입되기 위한 구성인 것으로, 상기 블럭본체부(10)가 다단으로 축조될 때 블럭본체부(10) 서로가 상기 고정핀(20)에 의해서 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소정 깊이만큼 관통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핀삽입공(13)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양측 상부면을 따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위치에서 양측 각각에 한 쌍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핀삽입공(13)이 형성된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뒷물림 쌓기로 시공할 경우 그 경사각에 따라 고정핀(20)을 한 쌍의 핀삽입공(13)에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핀삽입공(13)은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뒷물림 쌓기 시공 시 여러 경사각도로 시공되어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형성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착홈(15)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 상부 부분에서 움푹하게 파이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5)은 후술하는 상기 흙받이(30)의 구성이 안착되기 위한 홈이다. 상기 안착홈(15)은 반원형의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블럭본체부(10) 전방 상부에서 상기 전방식생공(121) 내측 방향으로 움푹하게 절개되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과 상기 전방식생공(121) 내측 방향은 상기 안착홈(15)에 의해 서로 통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20)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상기 핀삽입공(13)의 구성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양측 방향에 형성된 상기 핀삽입공(13)에 내설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고정핀(20)은 사각형 형태로 길게 형성된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상단 부분에서 외측으로 소정 돌출된 형태의 걸림부(22)로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핀(20)은 상기 블럭본체부(10)가 수직 쌓기 또는 뒷물림 쌓기와 같은 옹벽 시공법으로 축조되는 경우 상하방향으로 이웃하는 블럭본체부(10) 중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블럭본체부(10)의 핀삽입공(13)에 상기 고정핀(20)의 몸체부(21)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부(22) 부분이 상기 핀삽입공(13)의 상단부에 걸려 하방에 위치한 상기 블럭본체부(10) 상부로 소정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돌출된 상기 핀삽입공(20)의 걸림부(22)는 상부에 위치되는 블럭본체부(20)의 전방식생공(121) 내측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상하로 이웃하는 상기 블럭본체부(20) 서로는 상기 고정핀(20)가 더불어 상기 후방식생공(122)에 채워져 다짐지는 보강토에 의해 전후방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 부분에 흙받이(30)가 구비된 것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흙받이(30)는 받침부(31)와, 전방벽(32)과, 후방벽(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31)는 화분과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이 상기 안착홈(15)에 대응되는 형태의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방벽(32) 및 후방벽(33)은 상기 받침부(31) 전방과 후방을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받침부(31) 내부에 흙을 채워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벽(32)과 상기 후방벽(33)은 상기 흙받이(30)가 상기 안착홈(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면조형부(11) 즉, 수평굴곡부(111)의 중앙 상단 부분과 상기 전방식생공(121)의 중앙 상단 부분 각각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각각의 걸림턱(32a,33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턱(32a,33a)은 상기 받침부(31)의 전방과 후방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소정 돌출된 형태의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흙받이(30)가 상기 안착홈(15)에 간편하게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조형부(11)와 상기 전방식생공(121) 사이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흙받이(3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홈(15)에 간편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어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의 축조 시 시공이 간편해지고, 유지?보수를 위한 교체 시공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발생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은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옹벽 전방에 각각의 흙받이(30)가 구비되어 굴광성, 굴지성을 갖는 일반식물은 물론, 관상용 식물 등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축조된 옹벽 구조물에 단시간에 식생이 가능해지고, 옹벽 구조물의 전면부 패턴을 다양하게 꾸밀 수 있어 주변 환경이 미려해지게 된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흙받이(30)의 구성을 통해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수직 쌓기, 뒷물림 쌓기의 다양한 시공법에 모두 접목하여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의 구성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흙받이(30)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 부분에서 외측으로 노출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 등의 수분 공급이 수월하고, 채광이 용이하여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보다 효과적인 장점을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상기 흙받이(30)는 상기 전방벽(32)에 상기 전면조형부(11)의 수평굴곡부(111)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지는 곡면의 파형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33)에는 상기 받침부(31)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전방식생공(121) 내측과 통하도록 뚫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와 같은 기술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공간(110)에서 성장한 식물의 굴광성을 유도하여 식물이 성장하면서 통로(120) 방향으로 이동하여 통로(120) 외부로 나와 옹벽을 장식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보강토 옹벽 블럭은 블럭체의 전면으로 단순하게 통로(120)가 뚫려있는 구조인 것으로 식재공간(110) 내부로 직접적인 채광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식물이 성장이 잘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식재가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시공 시에 선행되어야 하므로 식재공간(110)에서 자란 식물의 넝쿨이 불규칙적으로 번지게 될 경우 관리가 힘들어 오히려, 주변 미관을 해치게 되는 주범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 상부에 별도의 흙받이(3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흙받이(30) 내부에서 다양한 종류의 식물이 식생 가능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보다 친환경적인 식생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흙받이(30)는 상기 받침부(31)에 식물의 씨앗을 뿌려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시공중 또는 시공 후에도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 쌓기, 뒷물림 쌓기, 조합 쌓기 등 다양한 시공 방법에 모두 접목시킬 수 있어 다양한 패턴으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축조될 경우에도 상기 흙받이를 통해 식물의 식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주변 경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식물의 중력에 의해 작용하는 굴지성에 의해 뿌리가 식생공간으로 깊게 자리잡게 되어 식물이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흙받이(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벽(32)에 상기 전면조형부(11)의 수평굴곡부(111)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지는 곡면의 파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흙받이(30)가 축조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상기 블럭본체부(10)와 일체감을 느낄 수 있어 이질감이 느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흙받이(30)의 후방벽(33)이 상기 전방식생공(121) 내측과 통하도록 뚫리게 형성함으로써 식물의 자생력에 의해 안정적인 식생이 가능하게 되고, 축조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외관이 깔끔하고 정돈된 느낌의 패턴을 꾸밀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흙받이(30)는 종전과 달리 블럭체 각각에 별도로 부설된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식물이 안전하고 규칙적인 형태로 식생할 수 있는 화분과 같은 역할을 수행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하천과 같은 장소에 시공된 경우에는 수중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어소 공간부가 마련되어 생태계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수로나 하천변 및 저수지의 제방을 축조하는 경우 수로나 하천 및 저수지의 저수된 물에 잠기는 부분의 옹벽 축조용 블럭이 물속에 서식하는 물고기나 양서류 및 파충류 등이 천적이나 급한 물살 등으로부터 피하거나 도피할 수 있는 도피처나 어로와 같은 장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의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은 초목류를 심을 수 있는 식생공간이나 전면의 자연석 질감을 통해 축조된 옹벽이나 제방이 주위의 환경과 어울리도록 하기는 하나, 물속에 서식하는 물고기나 양서류 및 파충류 등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하천 주변에 보강토 옹벽 구조물이 축조된 경우에는 상기 블럭본체부(10) 내부에서 어류(F) 등의 수생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강토 옹벽 블럭(1)이 하천 주변에 축조되면 수중에 잠긴 블럭본체부(10)의 전방으로 상기 흙받이(30) 부분의 내부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옹벽 구조체 주변에 서식하는 수생식물이 드나들 수 있는 서식공간이 제공되는 것이고, 상기 흙받이(30)의 후방벽(33)이 뚫리게 형성된 경우,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과 상기 전방식생공(121)의 내측 공간이 통하게 되어 어류(F)와 같은 수생식물들이 드나들 수 있는 어로와 서식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방식생공(121) 내부에 수생식물들의 서식처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축조 시공 시 상기 흙받이(30)의 구성을 생략함으로써 어류(F) 등의 수생식물들이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15)을 통해 쉽게 블럭본체부(10)의 내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토 옹벽 블럭(1)은 보강토 옹벽블럭 구조물의 축조 시공 시 조합 쌓기와 같은 시공법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전면부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면조형부(11)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크기의 비율이 비슷한 조합블럭(1')이 구비되어 보강토 옹벽블럭을 구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합블럭(1')은 상기 블럭본체부(10)의 전면조형부(11)와, 전방식생공(121)이 동일하거나 거의 비슷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축조된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상하로 이웃하는 블럭끼리 상기 고정핀(20)에 의해 서로 지지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조합블럭(1')의 형태는 어떤 형태이든 크게 상관없는 것이고, 바람직한 옹벽 구조물의 형태를 갖추기 위해서 길이와 폭의 크기가 대동소이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과 조합블럭(1')을 이용한 조합 쌓기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은 조합 쌓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옹벽 구조물 전면부의 패턴을 다양한 형태의 조경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한 시공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블럭본체부(10)와 상기 조합블럭(1')은 상하로 서로 이웃하게 축조되어 상기 고정핀(20)에 의해 상호간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블럭본체부(10)는 상기 흙받이(30) 부분이 상부에 축조되는 상기 조합블럭(1')의 가장자리 즉, 상기 조합블럭(1')끼리 측면 방향으로 이웃하여 서로 만나는 부분에서 상부로 노출되게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도 10 및 도 11에 실시예로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토 옹벽 블럭(1)과 상기 조합블럭(1')은 서로 연속되게 번갈아가며 상하방향으로 축조되거나, 상기 보강토 옹벽 블럭(1)이 연속하여 2층 또는 그 이상의 층으로 연속되게 축조되고, 그 사이에 상기 조합블럭(1')이 축조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축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고,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축조가 완료되면 상기 블럭본체부(10)의 후방식생공(122)과 상기 조합블럭(1')에 구비될 수 있는 식생공에 보강토를 채워 수압이나 토압으로 인하여 보강토 옹벽 구조물의 변위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고, 상기 흙받이(30)에 일반식물은 물론, 관상용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초식류(T)를 식재한 후 최상층에 마감블럭을 설치하여 지반을 다져 시공을 마무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상기와 같은 조합블럭(1')과의 조합 쌓기로 축조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본체부(10)의 하단에 토사유출을 막기 위해 부직포로 형성된 그리드(G)를 설치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 보강토 옹벽 블럭(1)은 상기 조합블럭(1')의 조합 시공에 의해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보다 환경친화적인 옹벽구조체의 구축이 가능해지게 되어 보강토 옹벽 구조체의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보강토 옹벽 구축용 블럭의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흙받이(30)의 구성을 통해 블럭체 각각에 식재된 초식류(T)의 안정적인 식생과 유지?관리가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보강토 옹벽 블럭
10 블럭본체부
11 전면조형부
111 수평굴곡부
112 경사굴곡부
12 식물식생공
121 전방식생공
122 후방식생공
13 핀삽입공
14 후방날개부
141 후방돌출부
142 측방돌출부
15 안착홈
20 고정핀
21 걸림부
22 몸체
30 흙받이
31 받침부
32 전방벽
33 후방벽
1 보강토 옹벽 블럭
10 블럭본체부
11 전면조형부
111 수평굴곡부
112 경사굴곡부
12 식물식생공
121 전방식생공
122 후방식생공
13 핀삽입공
14 후방날개부
141 후방돌출부
142 측방돌출부
15 안착홈
20 고정핀
21 걸림부
22 몸체
30 흙받이
31 받침부
32 전방벽
33 후방벽
Claims (3)
- 다단으로 적층되어 블럭구조체를 이루는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에 있어서,
블럭 전면의 중앙에 곡면의 파형으로 형성된 수평굴곡부 및 상기 수평굴곡부의 좌우 양측으로 곡면의 파형이 이어지는 경사굴곡부가 형성된 전면조형부와,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전방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부에는 상하 관통된 후방식생공이 형성된 식물식생공과, 상기 블럭의 양측 상부에서 적정 간격을 두고 각각 소정 깊이만큼 천공된 다수개의 핀삽입공과, 상기 블럭의 후방 중앙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 및 후방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돌출부로 형성된 후방날개부와, 상기 블럭의 전방 상부에서 움푹하게 파인 안착홈으로 구성된 블럭본체부와, 상기 블럭의 축조시 상부와 하부로 서로 이웃하는 블럭체 서로를 지지하도록 하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핀삽입공에 내설되어 상단부가 상부에 위치한 블럭의 상기 전방식생공에 걸려 지지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안착홈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흙받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홈은 반원형의 단면 형태를 이루도록 상기 블럭본체부 전방 상부에서 상기 전방식생공 내측 방향으로 움푹하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흙받이는 바닥면이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는 형태의 반원형으로 형성된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 상부로 개구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받침부의 전방에 형성된 전방벽과, 상기 받침부의 후방에 형성된 후방벽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과 후방벽은 상기 흙받이가 상기 안착홈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블럭본체부의 전면조형부와 상기 전방식생공 사이에 양측이 걸려 전후방으로 지지되기 위한 각각의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흙받이는 상기 전방벽에 상기 전면조형부의 수평굴곡부와 동일한 패턴으로 이어지는 곡면의 파형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벽에는 상기 받침부의 내부 공간이 상기 전방식생공 내측과 통하도록 뚫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119A KR101150538B1 (ko) | 2011-10-10 | 2011-10-10 |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119A KR101150538B1 (ko) | 2011-10-10 | 2011-10-10 |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0538B1 true KR101150538B1 (ko) | 2012-06-01 |
Family
ID=4668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3119A KR101150538B1 (ko) | 2011-10-10 | 2011-10-10 |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538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213Y1 (ko) | 2012-07-03 | 2012-10-24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보강토 옹벽블럭 구축용 고정핀 |
KR200470870Y1 (ko) * | 2012-07-03 | 2014-01-16 | 주식회사지이티-피씨 | 옹벽블록의 상단 마감용 마감블록 |
KR101385726B1 (ko) * | 2013-11-07 | 2014-04-15 | 안신철 |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
KR101797405B1 (ko) * | 2016-12-28 | 2017-11-14 | 공학봉 | 생장 활성화 기능을 갖는 식생 블록 |
KR20220060253A (ko) | 2020-11-04 | 2022-05-11 | 김석환 | 노이즈 감쇄를 위한 트랩 공간이 구비된 옹벽 블록 시스템 |
KR200496568Y1 (ko) * | 2018-08-22 | 2023-03-02 | 임환빈 |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6469B1 (ko) * | 2006-11-08 | 2007-01-30 |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 공동 주택단지 내에 설치되는 계단식 화단 |
-
2011
- 2011-10-10 KR KR1020110103119A patent/KR1011505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76469B1 (ko) * | 2006-11-08 | 2007-01-30 |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 공동 주택단지 내에 설치되는 계단식 화단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3213Y1 (ko) | 2012-07-03 | 2012-10-24 | 주식회사동림이엔지 | 보강토 옹벽블럭 구축용 고정핀 |
KR200470870Y1 (ko) * | 2012-07-03 | 2014-01-16 | 주식회사지이티-피씨 | 옹벽블록의 상단 마감용 마감블록 |
KR101385726B1 (ko) * | 2013-11-07 | 2014-04-15 | 안신철 | 옹벽 일체형 조명블록 |
KR101797405B1 (ko) * | 2016-12-28 | 2017-11-14 | 공학봉 | 생장 활성화 기능을 갖는 식생 블록 |
KR200496568Y1 (ko) * | 2018-08-22 | 2023-03-02 | 임환빈 | 횡방향 물결 쌓기가 가능한 옹벽블록 |
KR20220060253A (ko) | 2020-11-04 | 2022-05-11 | 김석환 | 노이즈 감쇄를 위한 트랩 공간이 구비된 옹벽 블록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0538B1 (ko) | 흙받이가 구비된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
CN105210771B (zh) | 景观树培育造型方法 | |
CN105862673A (zh) | 一种蜂巢砌块及其应用 | |
CN201627178U (zh) | 一种生态砌块 | |
KR101193330B1 (ko) | 식생경관 연출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KR20120051345A (ko) | 식물 생장이 가능한 친환경 보강토 옹벽 및 그 축조방법 | |
KR101029317B1 (ko) | 옹벽용 식생블록 | |
CN211793193U (zh) | 一种园林保护用花草护坡 | |
CN206844059U (zh) | 一种模块化护坡装置及模块化护坡结构 | |
CN202595701U (zh) | 一种植生渗滤砌块 | |
KR20220100127A (ko) | 보강토 옹벽구축용 블럭 | |
KR100664875B1 (ko) | 소하천 조경용 식생구조물 | |
KR100192709B1 (ko) | 하천의 조경조성방법 및 조경조성을 위한 구조물 | |
KR100680516B1 (ko) | 환경친화형 식생 옹벽블럭 | |
KR100938140B1 (ko) | 절개사면 녹화처리용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JP3026347U (ja) | 背面に集水ボックスを設けた土留緑化壁 | |
CN205604183U (zh) | 一种蜂巢砌块、蜂巢护坡及蜂巢挡土墙 | |
JP2007037408A (ja) | 苔の栽培方法及び苔の栽培装置 | |
CN109056759A (zh) | 高陡边坡大型乔木种植固坡系统 | |
CN221072459U (zh) | 装配式生态友好型护岸组合结构 | |
KR100866335B1 (ko) | 친환경적인 황토식생블럭을 이용한 사면보강구조 | |
KR20130010792A (ko) | 물 저장기능을 갖는 옹벽 축조용 블록 | |
CN205116111U (zh) | 一种堆叠式生态砌块 | |
CN216973009U (zh) | 一种用于生态园林建设的植草砖 | |
KR20070000664U (ko) |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1 Year of fee payment: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