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282B1 - Layered drainage system - Google Patents
Layered drainag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0282B1 KR101150282B1 KR1020110099774A KR20110099774A KR101150282B1 KR 101150282 B1 KR101150282 B1 KR 101150282B1 KR 1020110099774 A KR1020110099774 A KR 1020110099774A KR 20110099774 A KR20110099774 A KR 20110099774A KR 101150282 B1 KR101150282 B1 KR 1011502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drain
- drain trap
- inlet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C2201/60—Reducing noise in plumb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층 건물의 공동 주택 내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가 배출되는 배출관과 오수가 배출되는 오수관을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하고, 층간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배관 시공이 간편하면서 배관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층상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system of a bathroom or a toilet in a multi-storey apartment house, and more particularly, a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sewage and a sewage pipe for discharging sewage may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and floor noise may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yered drainage system in which piping can be easily arranged and pipes can be freely arranged.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 화장실에는 세면기와 욕조 및 트렌치의 하수를 배출하기 위해서 배수장치와 양변기의 오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콘크리트 슬래브을 통과하여 아래층의 천정을 통해 파이프 덕트에 설치된 하수 입상관과 오수 입상관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the toilets of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have sewage standing pipes installed in pipe ducts through the concrete slab through the concrete slab, and drainage devices for draining sewage from toilets and bathtubs and trenches. It is configured to connect to sewage standing pipe.
따라서, 하수와 오수의 배수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층간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noise due to the drainage of sewage and sewag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inter-layer noise.
또한, 배수장치의 배출구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콘크리트 슬래브에 매설됨으로써, 배수관의 노후화에 따른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슬래브에 누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손상된 배수관의 위치 파악이 곤란하고 나아가 배관의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age outlet of the drainage device is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if a crack occurs due to the aging of the drainage pipe, leakage occurs in the concrete slab. A problem occurs.
또한, 개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아래층 세대의 천정을 통하여 공사해야하므로 아래층세대에서 수리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renovation is required, construction must be performed through the ceiling of the downstairs household, so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of repairing the downstairs household.
또한, 건물의 구조에 따라 배관의 배치가 제약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따라, 마감층이 두터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rangement of the piping is restricted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ishing layer is thick.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욕실 또는 화장실의 배수에 따른 배관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층간소음을 최소화하고 배관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으면서 배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층상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easy to construct the piping according to the drainage of the bathroom or toilet, can shorten the construction time, while minimizing the noise between floors and freely arrange the pip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layered drainage system that facilitates maintenance of pip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상오수관 및 입상배출관이 배치되는 복층 건물의 욕실 또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층상 배수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floor drainage system installed in the bathroom or toilet of a multi-storey building in which the granular sewage pipe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are disposed,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식벽체;와,Shelf-type wall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the bathroom or toilet; And,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둘레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와,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트렌치를 구비하되, 하단 일 부분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렌치의 일부가 상기 선반식벽체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는 배수트랩;과,A trench formed at the front, at least one inlet at a circumference, at least one outlet at a circumference, the main body being formed so as to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ench Is provided, the bottom portion is buried in the concrete slab, the inlet and the outlet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shelf wall drain portion trap is installed exposed from the shelf wall; And,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바닥에 고이는 물이 상기 트렌치의 구멍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층;과,Finishing layer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slab so that water collected in the bottom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flows into the hole of the trench;
상기 선반식벽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변기;와,A wall-mounted toilet mounted on the shelf wall; and,
상기 벽걸이형 변기와 상기 입상오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오수관;과,A sewage pipe connecting the wall-mounted toilet bowl and the granular sewage pipe and disposed inside the shelf wall;
상기 배수트랩의 배출구와 상기 입상배출관을 연결하고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 또는 상기 마감층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는 배수관;과,A drain pipe connect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drain trap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and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interior of the shelf wall or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layer;
상기 선반식벽체에 설치되는 세면기; 및A wash basin installed on the shelf wall; And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세면기를 연결하는 유입관;을 포함하되,Includes; Inlet pip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wash basin;
상기 유입관, 상기 오수관 및 상기 배수관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어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The inlet pipe, the sewage pipe and the drain pipe are arranged on top of the concrete slab to achieve an interlaminar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interlayer noise.
또한,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욕조; 및In addition, the bath tub is installed in a part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And
상기 욕조와 상기 유입관, 상기 욕조와 상기 배수관 또는 상기 욕조와 상기 배수트랩의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되,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ub and the inflow pipe, the tub and the drain pipe, or the inlet of the tub and the drain trap.
상기 연결관은 상기 욕조의 하부, 상기 마감층의 내부 및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ipe may be disposed at least on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thtub,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layer, and the interior of the shelf wall,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concrete slab.
또, 상기 선반식벽체는,In addition, the shelf wall,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1개 내지 4개의 벽면을 따라 연속해서 설치되거나, 1개 내지 4개의 벽면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It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one to four wall surfaces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or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n one to four wall surfaces.
또, 상기 배수트랩은,In addition, the drain trap,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선반식벽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배수트랩들의 배출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One or mor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and the shelf wall, the outlet of the drain trap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 상기 배수트랩은,In addition, the drain trap,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the end of the inlet may be formed by bending upward.
또, 상기 배수트랩은,In addition, the drain trap,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되, 배수방향을 자유롭게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배수트랩의 양측 및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it may be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drain trap to freely form the drain direction.
본 발명은, 배수트랩의 배출구를 배수트랩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함으로써, 배수관의 위치를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시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let of the drain trap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the construction of the drain pipe is arrang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crete slab, so the construction is very easy.
또한, 유입관, 배수관 및 오수관을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하거나 관통시키지 않고 선반식벽체의 내부 및 층상으로 배치함으로써, 유입관, 배수관 및 오수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배수관 및 오수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층간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관들을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욕실 및 화장실의 미관을 깔끔하면서도 미려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by placing the inlet pipe, drain pipe and sewage pipe into the interior and layered of the shelf wall without embedding or penetrating the concrete slab,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sy maintenance of the inlet pipe, drain pipe and sewage pipe. Accordingly, the noise generated in the drain pipe and the sewage pipe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ereby minimizing the noise between the floors. In addition, by arranging the tubes inside the shelf wall,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eauty of the bathroom and toilet can be neatly and beautifully formed.
또한, 배수트랩의 하단 일부만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only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is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overall construction time.
또한, 욕실 또는 화장실의 도어나 입상오수관 및 입상배출관의 위치에 관계없이 선반식벽체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서 유입관, 배수관 및 오수관의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즉, 건물의 구조에 관계없이 유입관, 배수관 및 오수관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oor or the granular sewage pipe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of the bathroom or toilet, the shelf wall can be freely installed, and thus, the inlet pipe, the drain pipe and the sewage pipe can be freely arranged. That i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reely arrange the inlet pipe, drain pipe and sewage pipe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또한, 배수트랩의 배출구를 유입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 배수트랩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고이게 하고, 고인 물이 유입구 및 배수구를 막아서 입상배출관으로부터 악취가 욕실 또는 화장실로 풍겨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utlet of the drain trap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let to collect a certain amount of water inside the drain trap, and prevents the accumulated water from leaking from the granular discharge pipe to the bathroom or toilet by blocking the inlet and the drain.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에서 배수트랩이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배수트랩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배수트랩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이 욕실 또는 화장실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ront of the layere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ayere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trap is disposed inside the shelf wall in the layere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trap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drain trap in the present invention.
6 to 12 are plan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oo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bathroom or a toile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은, 선반식벽체(2), 배수트랩(1), 마감층(3), 유입관(P3), 배수관(P4), 오수관(P5), 세면기(4), 벽걸이형 변기(5)를 포함한다. 여기에, 욕조(6) 및 연결관(P6)을 더 포함한다.
1 to 4, the layere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elf wall (2), drain trap (1), finishing layer (3), inlet pipe (P3), drain pipe ( P4), a sewage pipe (P5), a wash basin (4), a wall-mounted toilet (5). It further includes a
배수트랩(1)은, 본체(11) 및 트렌치(13)를 포함한다.The
본체(11)는, 대략 상단이 개구진 입체형의 통 형태로 전방이 단차져 형성되고, 단차진 부분에 하향 경사진 배수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의 하단 양측에는 본체(11)의 내부와 연결되는 유입구(112)가 상향 경사져 형성되고, 본체(11)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본체(11)의 양측 및 배면에 본체(11)의 내부와 연결되는 배출구(113)가 형성되며, 상단 개구에는 덮개(12)가 설치된다. 이때, 배수트랩(1)의 배출구(113)는 유입구(112) 및 배수구(11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여기서, 본체(11)는 건물 바닥의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전에 위치를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본체(11)의 하단 일부분을 매설시키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으면서 콘크리트슬래브(C)가 형성되며, 본체(11)가 콘크리트슬래브(C)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본체(11)는 본체(11)의 하단 일부분이 콘크리트슬래브(C)에 매설될 때 본체(11)의 유입구(112)의 끝단과 배출구(113)는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즉, 콘크리트슬래브(C)에 매설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이는 후술할 유입관(P3) 및 배출관이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에 설치될 때 유입관(P3) 및 배출관이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트렌치(13)는, 대략 사각의 패널이 절곡된 형태로 상면에는 다수의 구멍(131)이 관통형성된다. 그리고, 트렌치(13)는 본체(11)의 배수구(111)에 끼워져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걸러낸다. 이때, 트렌치(13)는 원형의 패널(미도시)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의 모양을 한정하지 않는다.
In the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트랩(1')은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생략하고 배수트랩(1')의 전방에 트렌치(13')가 세워져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감층에 떨어지는 생활하수가 트렌치(13')의 구멍(131)으로 즉, 선반식벽체(2) 쪽으로 유입되도록 배수트랩(1')에 끼워진 트렌치(13')를 제외한 본체(12) 및 덮개(12)의 나머지 부분은 선반식벽체(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3, the
따라서, 배수트랩의 구조가 다를지라도 유입구 및 배출구가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위치하고, 트렌치가 선반식벽체(2)로부터 노출되는 배수트랩이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Therefore, even if the structure of the drain trap is different, both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C), the trench can be used both if the drain trap exposed from the shelf wall (2).
선반식벽체(2)는, 대략 콘크리트벽체보다 두께가 얇은 벽체로, 측단면이 "ㄱ"자 또는 이와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벽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한 후 콘크리트슬래브(C)와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벽면에 고정한다. 이때, 선반식벽체는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벽면에 연속해서 즉, 평면의 형상이 "ㄱ"자, "ㄴ"자, "ㄷ"자 형태로 설치되거나 각각의 벽면에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선반식벽체(2)는 후술할 유입관(P3), 배수관(P4), 오수관(P5), 연결관(P6) 및 벽걸이형 변기(5)가 설치된 후에 시공된다. 여기서, 선반식벽체(2)는 이미 공지되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helf wall (2) is a wall thinner than the concrete wall, the side surfa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or symmetrical shape, and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R2) or toilet (R1). After placing it, fix it to the wall of the concrete slab (C) and the bathroom (R2) or toilet (R1). At this time, the shelf wall is continuous to the wall surface of the bathroom (R2) or the bathroom (R1), that is, the shape of the plane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b", "c", or separated on each wall It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shelf wall (2) is constructed after the inlet pipe (P3), drain pipe (P4), sewage pipe (P5), connecting pipe (P6) and wall-mounted toilet (5)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Here, the shelf wall (2) is already known and publicly implemented bar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마감층(3)은,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생활하수가 배수트랩(1)으로 유입되도록 트렌치(13)의 높이에 맞춰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마감층(3)의 상면에 생활하수가 발생하면 생활하수는 트렌치(13)의 구멍(131)을 통해 배수트랩(1)에 유입된다. 이때, 마감층(3)은 마감층(3)의 상면에 떨어지는 생활하수가 배수트랩(1)으로 흐르도록 소정 경사져 형성된다. 이는 당 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으고, 이미 널리 공지되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유입관(P3)은, 배수트랩(1)이 콘크리트슬래브(C)에 고정된 후 일단이 유입구(112)와 연결되고, 타단은 세면기(4) 또는 욕조(6)와 연결되도록 위치를 결정하여 배치한다. 이때, 유입관(P3)의 타단은 선반식벽체(2)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다.
Inlet pipe (P3), after the
배수관(P4)은, 배수트랩(1)이 콘크리트슬래브(C)에 고정된 후 일단이 배출구(113)와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에 설치된 입상배출관(P1)과 연결된다.
The drain pipe (P4), after the
오수관(P5)은, 일단이 후술할 벽걸이형 변기(5)와 연결되고, 타단은 건물에 설치된 입상오수관(P5)(P2)과 연결되어 선반식벽체(2)의 내부에 배치된다.
The sewage pipe (P5), one end is connected to the wall-mounted
세면기(4)는, 선반식벽체(2)로부터 돌출된 유입구(112)의 타단과 연결되어 선반식벽체(2)의 외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세면기(4)의 생활하수는 유입관(P3)을 타고 배수트랩(1)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세면기(4)에는 "S"자 형태의 관(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S"자 형태의 관은 이미 공지되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벽걸이형 변기(5)는, 선반식벽체(2)의 내부에 골조프레임(미도시)을 설치한 후 설치된 골조프레임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오수관(P5)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때, 벽걸이형 변기(5)가 설치된 후에는 선반식벽체(2)가 벽걸이형 변기(5)의 후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벽걸이형 변기(5)를 고정하고 있는 골조프레임은 선반식벽체(2)의 내부에 배치되어 밖으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깨끗한 미관을 형성할 수 있다.
The wall-mounted
욕조(6)는,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한 부분에 설치되고, 후술할 연결관(P6)을 통해서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욕조(6)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는 연결관(P6)을 통해서 배수트랩(1)에 유입된다. 이때, 욕조(6)는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벽면에 밀착하여 설치되거나 선반식벽체(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욕조(6)는 둘레 또는 하부에 연결관(P6)이 지나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욕조(6)와 연결되는 연결관(P6)이 욕조(6)의 하부 또는 둘레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마감층(3)의 내부를 거쳐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와 연결되거나, 선반식벽체(2)의 내부를 통해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와 연결될 수 있다.
The
연결관(P6)은, 일단은 욕조(6)와 연결되고 타단은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와 연결된다. 이때, 연결관(P6)의 타단은 유입관(P3)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는, 세면기(4)와 욕조(6) 사이에 배수트랩(1)이 배치된 경우에는 배수트랩(1)의 양측에 형성된 유입구(112)에 유입관(P3) 및 연결관(P6)을 각각 연결하면 되지만, 배수트랩(1)의 한쪽으로 세면기(4)와 욕조(6)가 배치되면 세면기(4)의 배수방향과 욕조(6)의 배수방향이 동일하여 유입관(P3)과 연결관(P6)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세면기(4) 및 욕조(6)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가 유입관(P3)에서 합류하여 배수트랩(1)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ipe (P6), one end is connected to the
여기서, 욕실(R2) 및 화장실(R1)에 복수의 배수트랩(1)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배수트랩(1)과 배수트랩(1)은 각각의 배수관(P4)이 연결되어 입상배출관(P1)과 연결될 수 있고, 또는 배수트랩(1)의 배출구(113)와 배수트랩(1)의 배출구(113)를 배수관(P4)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배수트랩(1)이 배수관(P4)을 통해 입상배출관(P1)에 연결되면, 또 하나의 배수트랩(1)은 배수트랩(1)과 입상배출관(P1) 사이에 연결된 배수관(P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실(R1)의 내부에 욕실(R2), 샤워부스(R3) 등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에 배수트랩(1)을 설치하여 생활하수를 배수시킬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drain traps (1) may be installed in the bathroom (R2) and the toilet (R1), where the drain trap (1) and the drain trap (1) is connected to each of the drain pipe (P4)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 It may be connected to P1), or the
상술한, 유입관(P3), 배수관(P4) 및 연결관(P6)은 내경이 40mm 내지 60mm의 배관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마감층(3)의 두께를 40mm 내지 80mm로 얇게 형성할 수 있고, 유입관(P3), 배수관(P4) 및 연결관(P6)을 마감층(3)에 매설할 수 있어서 건물의 구조에 상관없이 배관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관(P5) 및 배수관(P4)은 욕조(6)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inflow pipe P3, the drain pipe P4, and the connection pipe P6 use piping with an internal diameter of 40 mm to 60 mm.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thin thickness of the finishing layer (3) to 40mm to 80mm, it is possible to embed the inlet pipe (P3), drain pipe (P4) and connecting pipe (P6) in the finishing layer (3). Thus, the piping can be arranged freely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sewage pipe P5 and the drain pipe P4 may be disposed under the
여기서, 본 발명에서 유입관(P3), 연결관(P6) 또는 배수관(P4)이 연결되지 않은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는 밀폐시켜서 사용한다.
Here, the
또한, 배수관(P4)의 구배를 위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수절목(미도시)을 설치하여 콘크리트슬래브(C)에 철근(미도시)으로 침투 또는 철근구조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배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배수관(P4)은 구배홈에 살짝 얹혀져 일부가 콘크리트슬래브(C)에 매설될 수 있다.In addition, before the concrete is poured for drafting the drain pipe (P4), a tree (not shown) is installed, and the grooves (not shown) penetrate into the concrete slab (not shown) to be infiltrated by a groove o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amage the steel structure. Not shown). At this time, the drain pipe (P4) is slightly put on the gradient groove can be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C).
상술한 수절목을 설치하여 구배홈을 형성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고 당 업계에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Forming the gradient grooves by installing the above-mentioned cut tree is already known and is publicly practic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4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layered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상 배수 시스템이 욕실(R2) 또는 화장실(R1)에 시공이 된 상태에서, 세면기(4) 및 욕조(6)에서 생활하수가 발생하면 유입관(P3) 및 연결관(P6)을 통해 배수트랩(1)으로 생활하수가 모이고 생활하수는 배수관(P4)을 거쳐 입상배출관(P1)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벽걸이형 변기(5)에서 오수가 발생하면 오수관(P5)을 거쳐 입상오수관(P5)(P2)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세면기(4) 또는 욕조(6)에서 생활하수가 넘쳐 마감층(3)으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트렌치(13)의 구멍(131)으로 생활하수가 유입되어 배수트랩(1)에 모이게 되며, 배수트랩(1)에 모인 생활하수는 배수관(P4)을 거쳐 입상배출관(P1)을 통해 배출된다.When the floor drai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bathroom (R2) or the toilet (R1), when living sewage occurs in the basin (4) and the bathtub (6), the inlet pipe (P3) and the connection pipe Living sewage is collected into the
한편, 화장실(R1)과 샤워부스(R3)가 나눠진 경우에는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과 샤워부스(R3)에 설치된 배수트랩(1)이 서로 연결되는데, 입상배출관(P1)과 가까운 배수트랩(1)이 입상배출관(P1)과 먼저 연결되고, 입상배출관(P1)으로부터 먼 배수트랩(1)은 입상배출관(P1)과 가까운 배수트랩(1)과 배수관(P4)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이 입상배출관(P1)과 가까우면,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이 입상배출관(P1)과 연결되고, 샤워부스(R3)에 설치된 배수트랩(1)은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과 배수관(P4)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샤워부스(R3)에서 발생한 생활하수는 샤워부스(R3)에 설치된 배수트랩(1)에 모여서 배수관(P4)을 타고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에 모이게 된다. 그리고 화장실(R1)에 설치된 배수트랩(1)에 모인 생활하수는 입상배출관(P1)과 연결된 배수관(P4)을 거쳐 입상배출관(P1)을 통해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oilet (R1) and the shower booth (R3) is divided, the drain trap (1) installed in the toilet (R1) and the drain trap (1) installed in the shower booth (R3)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granular discharge pipe (P1) Drain trap (1) close to the first connection with the granular discharge pipe (P1), drain trap (1) far from the granular discharge pipe (P1) is connected to the drain trap (1) and drain pipe (P4) close to the granular discharge pipe (P1). do. For example, when the
여기서, 유입관(P3)을 통해 배수트랩(1)에 생활하수가 모이면 본체(11)의 내부에 생활하수가 차오르고 계속해서 수위가 높아지면 본체(11)에 모인 생활하수가 배출구(113)를 통해 빠져나간다. 이때, 배수가 끝나면 생활하수는 본체(11)의 내부에 일정량이 항상 남게 된다. 즉, 본체(11)의 내부에 남아있는 생활하수는 유입구(112) 및 배수구(111)를 막고 있는 상태가 된다.Here, if the living sewage is collected in the
가령, 입상배출관(P1)으로부터 악취가 배수관(P4)을 타고 세면기(4), 욕조(6) 또는 트렌치(13)의 구멍(131)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데, 배수트랩(1)의 내부에 남아있는 생활하수가 유입구(112) 및 배수구(111)를 막고 있어서 입상배출관(P1)으로부터 배출되는 악취가 욕실(R2) 또는 화장실(R1)의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dor from the granular discharge pipe P1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ipe P4 through the
또한, 배수트랩(1)의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유입구(112) 및 배출구(113)에 연결되는 유입관(P3), 배수관(P4) 및 연결관(P6) 또한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유입관(P3), 배수관(P4) 및 연결관(P6)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벽걸이형 변기(5)에 연결된 오수관(P5)을 선반식벽체(2)의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오수관(P5)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disposing the sewage pipe (P5) connected to the wall-mounted toilet bowl (5) inside the shelf wall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oise generated in the sewage pipe (P5) to be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게다가, 유입관(P3), 배수관(P4), 연결관(P6) 및 오수관(P5)이 모두 콘크리트슬래브(C)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각각의 관들이 손상되더라도 콘크리트슬래브(C)를 뜯지 않고 보수할 수 있어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inlet pipe (P3), drain pipe (P4), connecting pipe (P6) and sewage pipe (P5) are all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C), so even if the respective pipes are damaged without repairing the concrete slab (C) It is easy to maintain.
특히, 본 발명은 배수트랩(1), 선반식벽체(2) 및 40mm 내지 60mm의 유입관(P3), 배수관(P4) 및 연결관(P6)을 사용하기 때문에 건물의 구조에 상관없이 배관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drain trap (1), shelf wall (2) and inlet pipe (P3), drain pipe (P4) and connecting pipe (P6) of 40mm to 60mm regardless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Can be placed freely.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 embodiment is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s necessar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Shall not be construed as being understood. Therefore,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easily implement other for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ame scop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practice the invention in the same and equal range.
1, 1'; 배수트랩
11; 본체
111; 배수구
112; 유입구
113; 배출구
12; 덮개
13, 13'; 트렌치
131; 구멍
2; 선반식벽체
3; 마감층
4; 세면기
5; 벽걸이형 변기
6; 욕조
P1; 입상배출관
P2; 입상오수관
P3; 유입관
P4; 배수관
P5; 오수관
P6; 연결관
R1; 화장실
R2; 욕실
R3; 샤워부스
C; 콘크리트슬래브1, 1 '; Drain trap
11; main body
111; waterspout
112; Inlet
113; outlet
12; cover
13, 13 '; Trench
131; hole
2; Shelf
3; Finishing layer
4; washbasin
5; Wall-mounted toilet
6; tub
P1; Winning discharge pipe
P2; Granular sewage pipe
P3; Inlet pipe
P4; drain
P5; Sewage pipe
P6; Connector
R1; restroom
R2; bathroom
R3; Shower booth
C; Concrete slab
Claims (6)
상기 욕실 또는 화장실의 벽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선반식벽체;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와, 둘레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와, 둘레에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본체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끼워지는 트렌치를 구비하되, 상기 본체의 하단 일 부분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에 매설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가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의 배수구와 상기 트렌치가 상기 선반식벽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설치되는 배수트랩;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바닥에 고이는 물이 상기 트렌치의 구멍으로 흘러들어가도록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설치되는 마감층;
상기 선반식벽체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변기;
상기 벽걸이형 변기와 상기 입상오수관을 연결하고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오수관;
상기 배수트랩의 배출구와 상기 입상배출관을 연결하고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배수관;
상기 선반식벽체에 설치되는 세면기; 및
상기 유입구와 상기 세면기를 연결하는 유입관;을 포함하되,
상기 유입관, 상기 오수관 및 상기 배수관이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어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In the floor drainage system installed in the bathroom or toilet of a multi-storey building in which the granular sewage pipe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are arranged,
Shelf-type walls are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wall of the bathroom or toilet;
A trench formed at the front, at least one inlet at a circumference, at least one outlet at a circumference, the main body being formed so as to b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enc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embedded in the concrete slab,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disposed inside the shelf wall, the drain and the trench of the main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elf wall Drain trap;
A finishing layer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so that water accumulated on the bottom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flows into the hole of the trench;
A wall-mounted toilet mounted to the shelf wall;
A sewage pipe connecting the wall-mounted toilet bowl and the granular sewage pipe and disposed inside the shelf wall;
A drain pipe connecting the outlet of the drain trap and the granular discharge pipe and disposed inside the shelf wall;
A wash basin installed on the shelf wall; And
Includes; Inlet pipe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wash basin;
The inflow pipe, the sewage pipe and the drain pipe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crete slab layer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revent inter-level noise.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한 부분에 설치되는 욕조; 및
상기 욕조와 상기 유입관, 상기 욕조와 상기 배수관 또는 상기 욕조와 상기 배수트랩의 유입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은 상기 욕조의 하부, 상기 마감층의 내부 및 상기 선반식벽체의 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슬래브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athtub installed in a part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And
And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at least one of the tub and the inflow pipe, the tub and the drain pipe, or the inlet of the tub and the drain trap.
The connecting pipe is disposed in at least on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the interior of the finishing layer and the interior of the shelf wall, layer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slab.
상기 선반식벽체는,
상기 욕실 또는 상기 화장실의 1개 내지 4개의 벽면을 따라 연속해서 설치되거나, 1개 내지 4개의 벽면에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lf wall,
Layer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tinuously installed along one to four walls of the bathroom or the toilet, or separately installed on one to four walls.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콘크리트슬래브 및 상기 선반식벽체에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배수트랩들의 배출구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drain trap,
At least one installed on the concrete slab and the shelf wall, stratifi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of the drain trap is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되, 상기 유입구의 끝단이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trap,
The inle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stratifi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of the inlet is formed by bending upward.
상기 배수트랩은,
상기 배출구가 상기 배수트랩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형성되되, 배수방향을 자유롭게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배수트랩의 양측 및 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상 배수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ain trap,
The outlet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drain trap, the stratified drai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drain trap to freely form the drain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9774A KR101150282B1 (en) | 2011-09-30 | 2011-09-30 | Layered drainag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99774A KR101150282B1 (en) | 2011-09-30 | 2011-09-30 | Layered drainag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50282B1 true KR101150282B1 (en) | 2012-05-24 |
Family
ID=4627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99774A KR101150282B1 (en) | 2011-09-30 | 2011-09-30 | Layered drainag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0282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2216B1 (en) * | 2011-08-09 | 2013-09-27 | 전영세 | On floor drainage apparatus |
KR101404871B1 (en) * | 2012-11-06 | 2014-06-09 | 송병진 | Drainage System using the Wall of the Same Floor |
JP2019124117A (en) * | 2019-03-29 | 2019-07-25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Building structure |
KR102122577B1 (en) * | 2020-02-11 | 2020-06-15 | 동양비엠에스(주) | Apartment Leak Alarm System |
CN113775002A (en) * | 2021-09-30 | 2021-12-10 | 上海柏涛建筑设计有限公司 |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hotel toile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637A (en) * | 2008-07-30 | 2009-08-28 | (주)엘지하우시스 | Piping structure |
KR20100083061A (en) * | 2009-01-12 | 2010-07-21 | 김민수 | Bad smell interception an opening for manhole |
KR20110022362A (en) * | 2009-08-27 | 2011-03-07 | 장동원 | A drain sewage trap |
KR20110047103A (en) * | 2009-10-29 | 2011-05-06 |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 Plumbing system in bathroom with double piping |
-
2011
- 2011-09-30 KR KR1020110099774A patent/KR1011502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1637A (en) * | 2008-07-30 | 2009-08-28 | (주)엘지하우시스 | Piping structure |
KR20100083061A (en) * | 2009-01-12 | 2010-07-21 | 김민수 | Bad smell interception an opening for manhole |
KR20110022362A (en) * | 2009-08-27 | 2011-03-07 | 장동원 | A drain sewage trap |
KR20110047103A (en) * | 2009-10-29 | 2011-05-06 |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 Plumbing system in bathroom with double piping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2216B1 (en) * | 2011-08-09 | 2013-09-27 | 전영세 | On floor drainage apparatus |
KR101404871B1 (en) * | 2012-11-06 | 2014-06-09 | 송병진 | Drainage System using the Wall of the Same Floor |
JP2019124117A (en) * | 2019-03-29 | 2019-07-25 |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 Building structure |
KR102122577B1 (en) * | 2020-02-11 | 2020-06-15 | 동양비엠에스(주) | Apartment Leak Alarm System |
CN113775002A (en) * | 2021-09-30 | 2021-12-10 | 上海柏涛建筑设计有限公司 |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hotel toilet |
CN113775002B (en) * | 2021-09-30 | 2023-02-10 | 上海柏涛建筑设计有限公司 |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for hotel toile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50282B1 (en) | Layered drainage system | |
KR101218810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 |
KR20110137931A (en) | Drain tray for bathroom floor coupled with drain pipe system laid on floor | |
KR101081970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of bathroom in multistory building | |
KR100967788B1 (en) | Bathroom constructing method capable of floor level up and pipe on slab | |
KR101312216B1 (en) | On floor drainage apparatus | |
KR101229689B1 (en) | Drain trap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 |
KR101188012B1 (en) | Drain trap and layered drainage system | |
KR20110047103A (en) | Plumbing system in bathroom with double piping | |
KR101313848B1 (en) | Drainage System on Floor of Flat Slab Type and Toilet Stool Sleeve Using the Same | |
KR101236143B1 (en) | Layered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s | |
KR101234877B1 (en) | Drain trap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 |
KR101229734B1 (en) | Drain trap for on-floor drainage piping system | |
KR101111528B1 (en) | Water sealing structure having drain trap for over floor drainage and plumbing system | |
KR101290817B1 (en) | Structure of prefabricated bathroom of discharge apparatus for leachate water | |
KR20170002282U (en) | Floor drain apparatus | |
RU2459046C2 (en) | Water closet and method of its operation | |
KR100918851B1 (en) | Frame for Installing Drain Pipe on Floor | |
KR200480115Y1 (en) | Assembly of Flange, Socket and Drainpipe for Piping Above Slab of Toilet Bow | |
KR101487394B1 (en) | Integrated drain-trap device for bathroom | |
KR20120043317A (en)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
KR101219057B1 (en) | Drainage Device on Floor Having | |
KR101511683B1 (en) | Integrated drain-trap device for bathroom | |
KR101130190B1 (en) | Drain Pipe System Laid On Floor of Bathroom | |
KR102104940B1 (en) | Execution Method Bathroom Above Floor Pipe of Remodel a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