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985B1 -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 Google Patents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985B1
KR101148985B1 KR1020090118027A KR20090118027A KR101148985B1 KR 101148985 B1 KR101148985 B1 KR 101148985B1 KR 1020090118027 A KR1020090118027 A KR 1020090118027A KR 20090118027 A KR20090118027 A KR 20090118027A KR 101148985 B1 KR101148985 B1 KR 101148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wer
emergency
building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400A (ko
Inventor
정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
Priority to KR102009011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9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21W2111/023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for pedestrian walk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역사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에서 본체 내부의 발광수단이 발광하면서 비상유도기능을 수행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집광판이 포함된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집광판을 통해 집적된 빛을 흡수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확산판이 포함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에서 광원과 집광판, 전원제어부, 파워모듈 등과 같이 물기와 습기에 약한 장치를 일체화한 전원제어부를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고장발생, 이에 따른 교체비용과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유지관리 기능의 획기적 향상 기대할 수 있으며, 비상유도등판으로 전기가 유입되지 않아 물기 및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비상유도등, 집광판, 확산판, 플라스틱 광섬유,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

Description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Emergence guide lamp with electric insul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역사등의 바닥에 설치되어 비상상황에서 본체 내부의 발광수단이 발광하면서 비상유도기능을 수행하는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철역사, 체육관, 공연장 등의 바닥에는 화재나 지진 및 정전 등과 같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상시전원과 비상전원이 공급되면서 항시 점등되어, 어두움 속에서도 사람들이 안전한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는 비상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1은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7-0001054호의 종래의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통체형상을 갖는 본체(1)의 내부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5)에 상시전원과 상시전원의 단절시에 전원을 공급하는 비상전원(2)이 공급되며, 발광다이오드(5)의 빛을 복수의 광섬유(7)로 수용하여 점등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비상안내표지(4)에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상유도등의 경우가 제대로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20W 이상의 빛을 발광해야 하나, 상기 종래 구성과 같이 발광다이오드(5) 한 개에서 발광되는 전력으로는 사실상 제대로 조명기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화재와 같이 연기가 자욱한 경우에는 실제로 비상유도등의 기능은 마비상태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구성의 비상유도등의 경우, 전원제어부와 비상안내표지(4)가 일체화되어 있어 건물이나 역사 등의 물청소가 빈번히 발생하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원제어부에 전기가 흐르면서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있어 부적합하며, 또한 습기에 취약하여 잦은 기기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빈번하여 바닥에 설치되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근본적인 개선방안이 필요한 현실이다.
또한, 종래의 비상유도등의 경우는 항상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이 공급되면서 발광을 하고 있어, 인적이 드문 시간에 불필요하게 바상유도등이 켜져 있어 전기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있어 국가 에너지 절약 정책상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현실이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에 광원을 설치하고, 발광되는 빛을 플라스틱광섬유(POF)를 이용하여 비상유도등판에 전달함으로써,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가 되더라도 전기가 절연되어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 없는 비상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광원에서 나오는 20W이상의 빛을 집적시켜서 플라스틱광섬유를 통해 전달하여 비상유도등판에 확산시킴으로 빛 전달을 극대화하면서 매우 강한 조명기능을 갖도록 구성된 비상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가 되는 경우 침수등에 따른 누전이나 감전의 위험이나 기기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기능을 내장한 비상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국가 에너지 정책에 일조하도록 주변밝기에 따라 밝기가 변하면서 불필요한 에너지낭비를 줄여 에너지를 절약에 일조할 수 있는 비상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집광판이 포함된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집광판을 통해 집적된 빛을 흡수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확산판이 포함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을 제시한다.
상기 전원제어부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상기 집광판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에는,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회로부는 상기 조도감지부에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에는, 상기 집광판에서 집적된 빛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광학볼록렌즈가 장착가공되며, 타단부에는 빛을 상기 확산판으로 확산하기 위하여 광학오목렌즈가 장착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과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가 구성된 전원제어부;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일렬라인을 따라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라 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라인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가 구성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을 제시한다.
상기 전원제어부에는,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할로겐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집광판이 포함된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집광판을 통해 집적된 빛을 흡수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확산판이 포함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을 제시한다.
상기 전원제어부에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상기 할로겐 램프에 공급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할로겐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에서 광원과 집광판, 전원제어부, 파워모듈 등과 같이 물기와 습기에 약한 장치를 일체화한 전원제어부를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고장발생, 이에 따른 교체비용과 시간을 절약함으로써 유지관리 기능의 획기적 향상 기대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두 번째로,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에서 비상유도등판으로 전기가 유입되지 않아 물기 및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세 번째로, 본 발명의 전원제어부에 구성된 조도제어부를 통한 자동 휘도 조절기능을 적용하여 주위 밝기에 따른 시인성을 확보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국가에너지 정책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 번째로, 본 발명의 집광판과 확산판을 통해 광원에서 나오는 20W이상의 빛을 집적시켜서 플라스틱광섬유를 통해 전달하여 비상유도등판에 확산시킴으로 빛 전달을 극대화하면서 매우 강한 조명기능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건물이나 역사등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 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비상유도등은, 건물이나 역사등의 벽체에 설치되는 전원제어부(100)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비상유도등판(300)으로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된다.
즉, 건물등의 벽체에 설치된 상기 전원제어부(100)의 집광판(150)을 통해 집적된 빛을 플라스틱 광섬유(POF, Plastic Optical Fiber, 200)가 흡수하여 건물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상기 비상유도등판(300)의 확산판(320)으로 전달하여 비상안내판(340)을 조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100)와 같이 물기와 습기에 약한 장치와 비상유도등판(300)과 같이 전기가 유입되지 않는 장치를 별도로 분리구성하여 신뢰성이 요구되는 지하철 역사의 바닥면과 같은 장소에 비상유도등에 적용함으로써 습기에 따른 고장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고장에 따른 시간, 비용을 줄일 수 있어 유지관리 기능의 획기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비상유도등판(300)에는 전기가 유입되지 않아 절연상태가 되어 물기 및 수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사고를 예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원제어부(10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110)과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120)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40)에서 집광판(150)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상기 발광다이오드(140)에 전압을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16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파워모듈(110)은 100~220V의 상용전원을 DC 전원으로 변경하여 제어회로부(120)를 통해 광원인 발광다이오드(140)의 주전원으로 사용하며, 집광판(150)은 발광다이오드(140)로 구성된 광원의 효율을 집적화하기 위해 반사효율이 높은 Ni계 재질의 코팅 집광판을 적용하여 빛을 집적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인 상기 발광다이오드(140)로부터 모든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의 특성상 일정방향으로 빛전달이 어려워 조명기능으로 사용상 제한의 문제점을 집광판(150)의 구조설계를 통해 빛이 퍼지는 현상을 집광하여 해결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100)에는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13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어회로부(120)는 상기 조도감지부(130)에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즉, 조도감지부(130)는 조명센서를 이용하여 지하철 등의 운영시간 동안은 발광다이오드가 강하게 발광하여 밝은 휘도를 가지도록 운영함으로써 지하철 이용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고, 지하철 등의 운영시간이 지나 지하철의 운영조명이 소등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정도를 낮추어 조명의 휘도를 줄여줌으로써 에너지 절약에 일익을 담당하면서 이용자들의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집광판과 확산판에서의 플라스틱 광섬유의 가공구조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빛의 전달특성을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데 빛의 집광기술에 따라 빛의 전달효율은 매우 차이가 날 수 있다. 즉, 빛의 집적화와 확산의 문제는 비상유도등의 조명상태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발명의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200)에는 상기 전원제어부(100)의 집광판(150)에서 집적된 빛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광학볼록렌즈(220)가 장착가공되며, 타단부에는 빛을 상기 비상유도등판(200)의 확산판(320)으로 확산하기 위한 광학오목렌즈(240)가 장착가공된다.
즉, 집광판(150)을 이용하여 광원인 발광다이오드(140)에서 나오는 20W 이상의 빛을 플라스틱 광섬유(200)에 집중시키면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200)에 가공된 광학볼록렌즈(220)를 통해 빛 전달을 집중으로 다량 흡수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플라스틱 광섬유(200)를 통해 전달되는 빛은 플라스틱 광섬유(200)의 다른 끝단에 가공된 광학오목렌즈(240)를 통해 확산되어 바닥면에 설치되는 비상유도등판(300)의 확산판(320)으로 넓은 방향으로 전달되어 비상안내판(340)에 외부 환경에 매우 강한 조명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확산판에서 플라스틱 광섬유(200)는 하나의 광원으로 역할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광섬유(200)의 배치는 조명의 균일한 휘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끝단을 광학오목렌즈(240)로 광학렌즈가공을 하여 확산방향을 넓히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다수의 플라스틱 광섬유(200)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200)는 굴절률이 큰 코어와 굴절율이 작은 클래딩에서 전반사를 통해 빛을 전달하게 되며, 전체 외경이 1~3mm 내외인 멀티모드 광섬유로 구성할 수 있으며, 광자의 신호를 이용해서 정보를 전송하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전송매체이며, 빛의 전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코어물질로 아크릴계 고분자인 PMMA(Poly Methyl Methacrylate)을 사용하고 클래딩 물질로는 불소계 고분자를 사용하여 투입광을 전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140)와 인쇄회로기판(160) 대신에 소형의 할로겐 램프(미도시)로 대체하여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는 전원제어부(100)를 할로겐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집광판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집광판(150)의 구조는 매우 작아질 수 있어 공간제약이 있는 곳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쉽게 할로겐램프의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을 갖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전원제어부(10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110)과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상기 할로겐 램프에 공급하는 제어회로부(120)와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할로겐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원제어부(400)에는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410)과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제어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420)가 구성된다.
또한, 비상유도등판(500)은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회로부(42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일렬라인을 따라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520)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라인 인쇄회로기판(540)과 상기 라인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560)와 비상안내판(580)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제어부(400)에는 상기 제어회로부(420)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5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4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에서는, 비상유도등판(500)에 구성되 는 라인 인쇄회로기판(540)에 일렬로 다수로 내장되는 라인 발광다이오드(520)를 이용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서 충분한 조명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집광판의 기하학적 설계에 따른 전원제어부가 커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540)를 통해 전기절연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집광판과 확산판에서의 플라스틱 광섬유의 가공구조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
100: 전원제어부 110: 파워모듈
120: 제어회로부 130: 조도감지부
140: 발광다이오드 150: 집광판
160: 인쇄회로기판
200: 플라스틱 광섬유 220: 광학볼록렌즈
240: 광학오목렌즈
300: 비상유도등판 320: 확산판
340: 비상안내판
400: 전원제어부 410: 파워모듈
420: 제어회로부 430: 조도감지부
500: 비상유도등판 520: 발광다이오드
540: 라인 인쇄회로기판 560: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
580: 비상안내판

Claims (8)

  1.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반구형의 집광판이 포함된 전원제어부;
    상기 집광판에서 집적된 빛을 흡수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광학볼록렌즈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광학오목렌즈가 형성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확산판이 포함된 비상유도등판;을 구비하되,
    상기 전원제어부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조도감지부에서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상기 집광판으로 빛을 발광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과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회로부가 구성된 전원제어부;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일렬라인을 따라 내장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빛을 발광하도록 전압을 인가하는 라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라인 인쇄회로기판이 삽입되는 유공압 방수용 투명 튜브가 구성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6. 삭제
  7.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서 발광하여 비상안내표시를 나타내는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건물이나 역사의 벽체에 설치되어 할로겐 램프에서 발광되는 빛을 집적하는 반구형의 집광판이 포함된 전원제어부;
    상기 전원제어부에서 집광판을 통해 집적된 빛을 흡수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건물이나 역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통해 빛을 전달받는 확산판이 포함된 비상유도등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원제어부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파워모듈;
    상기 파워모듈에서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전원을 상기 할로겐 램프에 공급하는 제어회로부; 및
    상기 제어회로부에서 주변의 밝기에 따라 상기 할로겐 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휘도를 조절하도록 주변의 밝기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제어회로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조도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8. 삭제
KR1020090118027A 2009-12-01 2009-12-01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KR101148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27A KR101148985B1 (ko) 2009-12-01 2009-12-01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8027A KR101148985B1 (ko) 2009-12-01 2009-12-01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00A KR20110061400A (ko) 2011-06-09
KR101148985B1 true KR101148985B1 (ko) 2012-05-22

Family

ID=4439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8027A KR101148985B1 (ko) 2009-12-01 2009-12-01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98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77A (ko) * 2001-12-27 2003-07-04 백정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사인보드의 발광장치
KR20090009952U (ko) * 2008-03-28 2009-10-01 정연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튜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6177A (ko) * 2001-12-27 2003-07-04 백정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사인보드의 발광장치
KR20090009952U (ko) * 2008-03-28 2009-10-01 정연일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400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2584B (zh) 太陽能照明系統
WO2009118796A1 (ja) 表示灯及び表示灯の発光方法
WO2007127104A3 (en) Solid state luminaires for general illumination
KR20090093490A (ko) 센서매입등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76106B1 (ko) 포트를 포함하는 장치
CN201836695U (zh) 一种led人体感应灯
CN204810323U (zh) 电子设备
KR101148985B1 (ko) 전기절연기능을 갖는 비상유도등
CN204300932U (zh) 一种可拆卸led消防灯
CN211348941U (zh) 一种具有发光面的led背光源
KR200439100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비상유도등
JP4721758B2 (ja) 省電力内照式サイン
CN103632620A (zh) 一种可发光的logo指示窗
TWI494021B (zh) 照明系統及照明驅動方法
KR20110129534A (ko) 야간 가이드용 조명 장치
CN104566127A (zh) 一种可拆卸led消防灯
CN216383842U (zh) 具有人体感应传感器检测功能的自动感应灯
KR20190045990A (ko) 전원안전모듈을 구비한 led 등기구
CN210345396U (zh) 浴室用下水隐形式树脂盆
JP6168643B2 (ja) 照明システム
KR101582823B1 (ko) 스마트 led 조명 장치
CN212934032U (zh) 一种便于安装的警告装置
CN210330414U (zh) 抽屉自感应照明浴室柜
RU114214U1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210891429U (zh) 光能传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