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766B1 -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766B1
KR101147766B1 KR20050128529A KR20050128529A KR101147766B1 KR 101147766 B1 KR101147766 B1 KR 101147766B1 KR 20050128529 A KR20050128529 A KR 20050128529A KR 20050128529 A KR20050128529 A KR 20050128529A KR 101147766 B1 KR101147766 B1 KR 10114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digital broadcasting
product code
data
audio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12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7333A (ko
Inventor
한상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12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766B1/ko
Publication of KR20070067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76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오디오 컨텐츠를 구매한 이용자에게만 해당 오디오 객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센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결제를 수행한 수신자에게만 MOT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PAD 서비스를 통한 오디오 컨텐츠의 스트리밍, MOT 프로토콜을 통한 오디오 컨텐츠의 다운로드,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결제 승인프로세스를 연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컨텐츠를 선택한 후 그에 대한 전자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MB, 데이터 서비스, PAD, MOT, 유료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METHOD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USING THE SAME, AND BROADCASTING CENTER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센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F-PAD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정의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MOT 헤더 확장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별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오디오 컨텐츠를 구매한 이용자에게 해당 오디오 객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디지털 방송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파 DMB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데,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이란,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전달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이다. 즉, 문자, 음성, 사진,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파일을 전송해주는 프로토콜인데, MOT에서 취급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로는 Java, HTML, JPEG, ASCII Text나 MPEG Video, MPEG Audio와 같은 MPEG 형태의 데이터가 있다.
한편, MOT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특정 파일을 전송하는 데 있어서, 디지털 방송 센터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가 어떤 수신기인지 고려하지 않고 불특정 다수에게 무차별적으로 전송하기 때문에, 특정 컨텐츠에 대해 과금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특정 파일을 유료화함으로써 소정의 서비스료를 지불한 사용자에게만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자결제를 수행한 수신자에게만 MOT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 하도록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PAD 서비스를 통한 오디오 컨텐츠의 스트리밍, MOT 프로토콜을 통한 오디오 컨텐츠의 다운로드, 및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결제 승인프로세스를 연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컨텐츠를 선택한 후 그에 대한 전자결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기술에 적용가능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는 지상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에 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a)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될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에 대한 구입 가능사실을 출력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c)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 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품코드는,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또는 UPC(Universal Product Code)/EAN(European Article Number)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될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에 대한 구입 가능사실을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전송하면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의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전자지갑의 잔액, 및 상기 오디오 객체의 금액과 비교 하여 전자결제 승인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해당하는 결제수단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의 금액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c) 단계는, (c1)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오디오 객체를 저장하거나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c2) 단계는, (c21) 상기 (c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를 저장하는 단계; (c22) 상기 (c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단계;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센터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을 통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b)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 객체를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스펙에 있어서의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이고,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상기 F-PAD의 타입(Type)이 10 이고, F-PAD의 타입 확장(Type ext)이 01 이며, 상품 코드를 Origin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스펙에 있어서의 MOT(Multimedia Object Transper)이고,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MOT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에 있어서, PLI 필드값은 11 이며, 파라미터 아이디(ParamID)는 010000(상품코드가 ISRC일 경우) 또는 010001(상품코드가 UPC/EAN일 경우)이며, 상기 상품코드를 데이터필드(DataField)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로서,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튜너부;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하고,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하는 채널 디코딩부;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자결제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및,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이미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의 구입가능 사실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 상기 상 품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이미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센터로서,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전송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 및 상품코드가 포함된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가 포함된 오디오 연동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는 오디오 연동 데이터 부호화기; 오디오 데이터, 상기 오디오 연동 데이터 필드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오디오 인코더;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품코드를 포함시키고 오디오 객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제2 멀티미디어 전송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객체를 패킷모드로 코딩하는 패킷모드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객체를 다중화시키는 패킷 다중화기; 및, 상기 오디오 프레임 또는 상기 오디오 객체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다중화시키는 주서비스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센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 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PAD 채널(310), MOT 채널(320)을 통해 디지털 방송센터(200)와 연계되어 있으며, 이동통신망(330)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300)와 연계되어 있다.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PAD 채널(310)을 통해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수신하고, MOT 채널(320)을 통해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오디오 오브젝트)를 다운로드 받는 수신기이며,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300)에 전자결제의 승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서, 그 구성요소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와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PAD 채널(310)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특히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중 PAD(Program Associate Data) 서비스를 위한 규격을 의미한다. PAD 서비스란, 오디오 연동 부가 데이터 서비스로서, 오디오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넣어서 함께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MOT 채널(320)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특히 지상파 DMB 서비스 중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MOT 프로토콜이란, 텍스 트, 이미지, 비디오 및 오디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의 전달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로서, MOT에서 취급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로는 Java, HTML, JPEG, ASCII Text나 MPEG Video, MPEG Audio와 같은 MPEG 형태의 데이터가 있다.
디지털 방송센터(200)는 PAD 채널(310)을 통해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방송을 전송하고, MOT 채널(320)을 통해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오디오 오브젝트)를 전송하는 방송센터이다. 그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과 함께 후술하고자 한다.
이동통신사 서버(300)는 이동통신망(330)을 통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로부터 오디오 컨텐츠(오디오 오브젝트)에 대한 전자결제의 승인요청이 수신되면, 전자결제를 수행한 후 그 결과를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서버이다. 이동통신사 서버(300)는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결제서버뿐만 아니라 전자결제 대행사 서버가 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튜너부(120), 채널 디코딩부(122), 오디오 디코딩부(124), 입력부(130), 이동통신 모듈(140), 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채널 디코딩부(122)에 의해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출력부(150)를 통해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의 구입가능 사실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 상기 상품코드 를 저장하고, 채널 디코딩부(122)에 의해 MOT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이미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이동통신 모듈(140)을 통하여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될 것을 조건으로 MOT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튜너부(120)는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채널 디코딩부(122)는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PAD(Program Associate Data) 채널이 수신되면,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 Date)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하고,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채널을 통해 MOT 데이터가 수신되면, MOT 데이터 중 MOT 헤더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한다.
오디오 디코딩부(124)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구입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이다.
이동통신 모듈(140)은 제어부(110)의 처리에 따라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자결제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이동통신망이란,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휴대 인터넷망, 무선 인터넷망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출력부(150)는 디스플레이(152), 스피커(154), 진동구동부(15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센터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센터(200)는 제1 MOT 부호화기(210), PAD 부호화기(220), 오디오 인코더(230), 제2 MOT 부호화기(240), 패킷모드 부호화기(250), 패킷 다중화기(260), 주서비스 다중화기(270)를 포함한다.
제1 MOT 부호화기(210)는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규격에 따라 코딩한다.
PAD 부호화기(220)는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 및 상품코드가 포함된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가 포함된 PAD 필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품코드는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또는 UPC(Universal Product Code)/EAN(European Article Number)일 수 있다. ISRC는 58비트로 구성되며, 각각 4비트로 이루어진 7개의 10진 부호 다음에 오는 6비트로 이루어진 5개 문자 부호로 표현된다. UPC/EAN의 경우 데이터 필드는 52비트로 구성되며, 각각 4비트로 이루어진 13개의 10진 부호로 표현된다.
한편, F-PAD 필드에 상품코드를 포함시켜서 코딩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F-PAD의 타입(Type)이 10이고, F-PAD의 타입 확장(Type ext)이 01이며, 상품 코드를 Origin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F-PAD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F-PAD 타입이 "10"인 경우, F-PAD 프레임은 'F-PAD ext'(2bits), 'Type 10 data field'(4bits)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F-PAD ext'가 "01"인 경우, 'Type 10 data field'(4bits)은 M/S flags(2bits), Rfa(1bits), Origin(1bits)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M/S 플래그(Music/Speech 플래그)는 2비트의 플래그 필드로, 오디오 컨텐츠가 음악(Music)인지 스피치(Speech)인지를 가리키거나 어떤 음악/스프치도 없음을 가리킨다. 한편, Rfa(Reserved for Future Addition)는 1비트 필드로 향후 추가를 위해 예약되어 있는 것으로서 정의되기 전까지는 0으로 설정된다. Origin(원본)은 1비트 필드로 ISRC 또는 UPC/EAN의 1비트를 전달한다.
오디오 인코더(230)는 오디오 데이터, PAD 필드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MOT 부호화기(240)는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헤더에 상품코드를 포함시키고 오디오 객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헤더에 상품코드를 포함시키는 것은, MOT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에 있어서, PLI 필드값은 11이며, 파라미터 아이디(ParamID)는 010000(상품코드가 ISRC일 경우), 또는 010001(상품코드가 UPC/EAN일 경우)이며, 상품코드를 데이터필드(DataField)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MOT 헤더 확장에 상품코드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파라미터를 새로 정의하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정의표가 도 5에 나타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파라미터 아이디(parameter Id)가 010000일 때 파라미터는 ISRC를 의미하며, 파라미터 아이디가 010001일 때 파라미터는 UPC/EAN이다. 물론 파라미디 아이디는 디지털 방송 규격 특히, DMB 규격에 정의되어 있는 값과 중복되지 않는 새로운 값이다. 이렇게 새롭게 정의한 파라미터 아이디 값을 이용하여 MOT 헤 더 확장을 구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에 사용되는 MOT 헤더 확장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LI가 "11"일 경우, MOT 헤더 확장은 PLI(2bits), ParamId(6bits), Ext(1bit), DataFieldLength Indication'n', DataField(n*8bits)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PLI는 "11"이 되고, ParamId는 "010000(상품코드가 ISRC일 경우), 또는 010001(상품코드가 UPC/EAN일 경우)"가 되며, DataField는 "ISRC 또는 UPC/EAN"이 된다.
패킷모드 부호화기(250)는 오디오 객체를 패킷모드로 코딩하는 구성요소이다.
패킷 다중화기(260)는 패킷모드 부호화기(250)의 출력인 오디오 객체를 다중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주서비스 다중화기(270)는 오디오 프레임 또는 오디오 객체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다중화시킨다.
디지털 방송센터(200)는 상기 구성요소 이외에도 주서비스 다중화기(270)의 출력과 FIB(Fast Information Block) 다중화기(미도시)의 출력을 다중화하여 Eureka-147 에 정의된 프레임 구조를 생성하는 DAB 프레임 다중화기(미도시), 및 DAB 프레임 다중화기(미도시)의 출력을 OFDM 방식으로 변조하는 OFDM 변조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을 네트워크 구성주체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디지털 방송센터(200)가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PAD(Program Associated Data) 채널을 통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이를 수신한다(S110 단계). 한편,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F-PAD의 타입(Type)이 10 이고, F-PAD의 타입 확장(Type ext)이 01 이며, 상품 코드를 Origin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일 수 있다.
S110 단계에서 디지털 방송센터(200)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PAD 채널이 수신되면, F-PAD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단계).
S120 단계에서 F-PAD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에 대한 구입 가능사실을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한다(S130 단계). 그러면 사용자는 PAD 서비스를 통해 오디오 방송을 들으면서, "본 오디오 컨텐츠는 유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보거나, 구입 가능사실을 암시하는 특정 소리를 듣거나 또는 구입 가능사실을 암시하는 특정 패턴의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사용자가 S130 단계에서 수신한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다운로드 받기위해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한다(S140 단계). 그런 다음, 사용자가 오디오 객체의 선결제하기를 원할 경우(S150 단계의 ' 예'), 이동통신망을 통한 전자결제를 수행한다(S160 단계). 구체적으로,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300)에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면서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요청한다(S162 단계:미도시). 이때, 결제수단정보는 방송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 식별코드 등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신용카드 정보, 휴대폰 번호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이동통신사 서버(300)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의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전자지갑의 잔액, 및 오디오 객체의 금액과 비교하여 전자결제의 승인을 수행하거나, 그 외 결제수단정보에 해당하는 결제수단으로 오디오 객체의 금액에 관한 전자결제의 승인을 수행한 후,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이를 수신함으로써 전자결제가 완료된다(S164 단계: 미도시).
이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디지털 방송센터(200)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채널을 통해 오디오 객체를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에 전송하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MOT 채널을 통해 MOT 데이터를 수신한다(S210 단계).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MOT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에 있어서, PLI 필드값은 11 이며, 파라미터 아이디(ParamID)는 010000(상품코드가 ISRC일 경우) 또는 010001(상품코드가 UPC/EAN일 경우)이며, 상기 상품코드를 데이터필드(DataField)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100)는 S210 단계에서 수신한 MOT 데이터 중 MOT 헤더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한다(S220 단계).
그런 다음, S220 단계에서 추출한 상품코드가 S140 단계에서 저장한 상품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30 단계). 만약, 일치할 경우(S230 단계의 '예'), S150 단계에서 선결제가 선택되지 않아 전자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S240 단계의 '아니오')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전자결제를 수행한다.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300)에 전자결제의 승인을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는 앞서 설명한 S160 단계와 동일하다.
반대로, S150 단계에서 선결제가 선택되어 전자결제가 완료된 경우(S240 단계의 '예'), MOT 데이터로부터 MOT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한다(S260 단계).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자결제를 수행한 수신자에게만 MOT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컨텐츠의 유료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컨텐츠 제작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서비스(PAD 서비스)를 통해 오디오 컨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정 오디오 컨텐츠를 미리 감상한 이후에 해당 오디오 컨텐츠의 구매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정 오디오 컨텐츠에 대한 구매를 선택하면, 휴대폰소액결제 또는 기타 전자결제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전자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는 MOT 프로토콜을 통해 오디오 객체(오디오 파일)를 다운로드받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운로드에 필요한 데이터 통신 비용을 추가적으로 부담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방송 센터는 특정 오디오 파일에 대한 특정 사용자의 구매의사 접수시점, 및 MOT 프로토콜을 통한 특정 오디오 파일을 전송시점을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정파되는 야간시간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오디오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가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으로서,
    (a)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될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에 대한 구입 가능사실을 출력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c)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코드는,
    ISRC(International Standard Recording Code), 또는 UPC(Universal Product Code)/EAN(European Article Nu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될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에 대한 구입 가능사실을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의 식별코드를 전송하면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의 식별코드 또는 사용자의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전자지갑의 잔액, 및 상기 오디오 객체의 금액과 비교하여 전자결제 승인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사용자가 상기 오디오 객체의 구입을 선택하면, 결제수단정보를 전송하면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이동통신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b2) 상기 이동통신사 서버가 상기 결제수단정보에 해당하는 결제수단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의 금액에 관한 전자결제 승인을 수행한 후 상기 전자결제 승인 성공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상기 (b) 단계에서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2) 상기 (c1)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오디오 객체를 저장하거나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2) 단계는,
    (c21) 상기 (c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를 저장하는 단계;
    (c22) 상기 (c1)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되지 않을 것을 조건으로 상기 오디오 객체에 관한 전자결제를 수행하는 단계;
    가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9. 디지털 방송센터가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a)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을 통해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b)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여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상기 오디오 객체를 상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는,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스펙에 있어서의 F-PAD(Fixed field of Programme Associated Data)이고,
    상기 (a) 단계에 있어서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에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상기 F-PAD의 타입(Type)이 10 이고, F-PAD의 타입 확장(Type ext)이 01 이며, 상품 코드를 Origin 필드에 포함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스펙에 있어서의 MOT(Multimedia Object Transper)이고,
    상기 (b) 단계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기 상품코드를 코딩하는 것은,
    MOT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에 있어서,
    PLI 필드값은 11 이며, 파라미터 아이디(ParamID)는 010000(상품코드가 ISRC일 경우) 또는 010001(상품코드가 UPC/EAN일 경우)이며, 상기 상품코드를 데이터필드(DataField)에 포함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12.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로서,
    디지털 방송센터로부터 방송 신호를 추출하는 튜너부;
    오디오 프레임을 통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 채널이 수신되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하고,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채널을 통해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 중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상품코드를 추출하는 채널 디코딩부;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디코딩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사 서버에 전자결제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 및,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 오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이미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스피커, 진동구동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 프레임으로부터 상품코드가 추출되면,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의 구입가능 사실을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오디오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디오 객체를 구입하기 위해 상기 상품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채널 디코딩부에 의해 멀티미디어 전송 헤더로부터 추출된 상품코드가 이미 저장된 상품코드와 일치할 경우,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하여 상기 오디오 객체에 대한 전자결제가 완료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부터 상기 오디오 객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14.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에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센터로서,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제1 멀티미디어 전송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컨텐츠에 관한 데이터, 및 상품코드가 포함된 오디오 연동 데이터의 고정 필드가 포함된 오디오 연동 데이터 필드를 구성하는 오디오 연동 데이터 부호화기;
    오디오 데이터, 상기 오디오 연동 데이터 필드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코딩하여 오디오 프레임을 구성하는 오디오 인코더;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헤더에 상품코드를 포함시키고 오디오 객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전송 프로토콜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제2 멀티미디어 전송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객체를 패킷모드로 코딩하는 패킷모드 부호화기;
    상기 오디오 객체를 다중화시키는 패킷 다중화기; 및,
    상기 오디오 프레임 또는 상기 오디오 객체를 디지털 방송규격에 따라 다중화시키는 주서비스 다중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센터.
KR20050128529A 2005-12-23 2005-12-23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KR10114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8529A KR101147766B1 (ko) 2005-12-23 2005-12-23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8529A KR101147766B1 (ko) 2005-12-23 2005-12-23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333A KR20070067333A (ko) 2007-06-28
KR101147766B1 true KR101147766B1 (ko) 2012-05-25

Family

ID=3836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128529A KR101147766B1 (ko) 2005-12-23 2005-12-23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466B1 (ko) * 2007-12-10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2246512B (zh) * 2008-12-11 2014-03-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用于发送和接收信号的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834A (ko) * 2003-02-11 2004-08-19 이예분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834A (ko) * 2003-02-11 2004-08-19 이예분 이동멀티미디어 방송을 이용한 위치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333A (ko)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1192B2 (en) Method of constructing and handling requests for data files
CN101129003B (zh) 选择/获得希望的多媒体内容
US201501241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video using visible light communication
JP2002501325A (ja) 電気通信方法
KR2007005597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버전의 전자 서비스가이드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47766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용단말기, 및 디지털 방송센터
JP440346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074428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광고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N102665101A (zh) 广告数据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KR100827156B1 (ko) 방송 화면 구성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dvb―h 시스템
KR100761539B1 (ko) 멀티미디어 정보와 함께 맞춤정보를 전달하는 맞춤정보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20156647A1 (en) Method for purchasing and payment of audio and/or video data
CN101374211A (zh) 播放数字媒体广播数据的方法和设备
JP4582653B2 (ja) コンテンツ・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CN102783192A (zh) 用于在呼叫等待时传输数字数据的方法及其系统和相应的移动终端
AU708319B2 (en) Scrambled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GB2472531A (en) Access to files related to digital broadcasts upon trigger signal receipt
JP2003510725A (ja) 電子的に発注することを可能にする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182582B2 (ja)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0732843B1 (ko) 디엠비 시스템과 디엠비 단말기에서의 컨텐츠 다운로드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디엠비 시스템
CN103188627B (zh) 在移动通信终端中免费发送消息的方法和装置
KR100820786B1 (ko) 콘텐츠 송수신 장치 및 콘텐츠 송수신 방법
EP2045936B1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CN100429886C (zh) 移动通信终端的音乐广播服务方法
JP4646672B2 (ja)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