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576B1 -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576B1
KR101147576B1 KR1020080071052A KR20080071052A KR101147576B1 KR 101147576 B1 KR101147576 B1 KR 101147576B1 KR 1020080071052 A KR1020080071052 A KR 1020080071052A KR 20080071052 A KR20080071052 A KR 20080071052A KR 101147576 B1 KR101147576 B1 KR 101147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ss
dwarf
delete delete
induced
tr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179A (ko
Inventor
배태웅
김준기
송인자
임평옥
송필순
이효연
강시용
선현진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1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5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4Processes of selection involving genotypic or phenotypic markers; Methods of using phenotypic markers for se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0Processes for modifying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1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 A01H1/122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 A01H1/123Processes for modifying agronomic input traits, e.g. crop yield for stress resistance, e.g. heavy metal resistance for herbicide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5/12Le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46Gramineae or Poaceae, e.g. ryegrass, rice, wheat or maize
    • A01H6/469Zoys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는 단계, (b)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및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왜성, 잔디

Description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Grass Having Dwarfism}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왜성(矮性; drawfism)은 생물의 크기가 그 종(種)의 표준 크기에 비하여 작게 자라는 형질, 또는 그런 형질을 가진 품종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왜성 형질은 농업 및 원예업의 다양한 관점에서 중요하다. 예컨대 식물 높이 또는 줄기 길이를 축소함으로써 새로운 미적 가치를 갖는 관상용 식물을 제조할 수 있고, 채소 또는 과일을 소형화함으로써 먹기에 적당한 크기(bite-sized)를 갖는 등의 새로운 상업적 가치를 갖는 농작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왜성은 이러한 산업적 용도 이외에, 실험용 식물의 소형화로 취급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연구실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잔디의 예초(刈草)는 잔디의 생육 시기가 빨라지는 4월부터 시작해서 7~9월에는 주 1회 정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잔디의 경우 왜성은 노동력의 절감과 직결되는 형질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바스타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변형 들잔디와 야생형 들잔디를 사용하고 그 들잔디의 개화 시기에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종자를 채종하고 그 종자를 발아시켜 성숙한 식물체로 성장시켰을 때, 유전자 변형 들잔디는 4.5%(223개체 중 10개체) 비율로 그리고 야생형 들잔디의 경우는 5.0%(238개체 중 12개체)의 비율로 왜성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인데, 본 발명의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방법은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는 단계; (b) 물리적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및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왜성(矮性)"은 잔디의 크기(size)(또는 생체량(biomass))이 야생형의 그것에 비하여 작은 형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잔디의 높이(height), 절간(internode) 및/또는 잎의 길이(length)와 넓이(width)가 야생형의 그것에 비하여 작은 형질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왜성이 유도된"의 의미는 그 돌연변이된 형질 즉, 왜성이 다음 세대에서도 발현될 수 있도록 유전자 변이가 일어난 경우를 의미한다. 여기서 다음 세대는 유성번식과 영양번식을 통하여 증식된 개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잔디는 개화 식물로서 유성번식 능력을 가지지만 또한 지하경와 지상포복경을 통한 영양번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왜성이 다음 세대에서도 발현된다"는 것의 의미는 수분?수정을 통한 유성번식한 경우 이외에 지하경과 지상포복경을 통하여 영양번식한 경우에도 그 번식한 개체에서 왜성의 형질이 나타난다는 것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잔디"는 한국형 잔디(Zoysia grass) 즉, 조이시아속 잔(Zoysia spp.)를 의미하며, 들잔디(Zoysia japonica), 금잔디(Zoysia matella), 비단잔디(Zoysia tenuifolia), 왕잔디(Zoysia macrotachya) 및 갯잔디(Zoysia sinica)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듯이, 야생형 잔디에 감마선을 처리한 경우뿐만 아니라 유전자 변형 들잔디에 감마선을 처리하였을 경우에도 왜성이 유도되었다는 점에서, 상기 "잔디"의 의미는 야생형 잔 디와 유전자 변형 잔디를 불문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유전자 변형 잔디"는 유전자 재조합, 화학적?물리적 돌연변이원의 처리 등의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의도한 특성이 유도된 잔디를 의미한다. 여기서 인위적으로 의도한 특성으로는 제초제 저항성, 왜성(倭性), 병충해 저항성 등이 예시될 수 있으며, 현재 개발된 유전자 변형 잔디로서는 바스타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대한민국 특허 제458138호; Toyama K, Bae CH, Kang JG, Lim YP, Adachi T, Riu KZ, Song PS, Lee HY(2003) Production of herbicide-tolerant zoysiagrass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Mol Cells. 16: 19-27), 왜성 들잔디(대한민국 특허 제0490281호; 미합중국 특허 제7045680호), 대한민국 특허 제045818호가 개시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유전자 변형 잔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스타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잔디의 꽃"이란 꽃의 각 기관인 암술, 수술, 꽃잎과 꽃받침이 분화된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개화는 꽃눈이 형성된 후에 꽃대가 형성되고 이로부터 꽃의 각 기관인 암술, 수술, 꽃잎과 꽃받침이 분화하고 그 분화한 꽃의 각 기관이 성숙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잔디의 꽃" 이란 꽃눈이 형성된 후 꽃의 각 기관이 분화된 시점부터 폐화되기까지의 상태에 있는 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이 잔디의 꽃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하였던 이유는, 개화 시기는 수분?수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여서 이 시기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할 경우 돌연변이 효율이 높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자들이 잔디의 종자에 돌연변이원을 처리하였을 때, 특히 화학적 돌연변이원(EMS, EES(ethyl ethane sulfonate), EO(Ethylene oxide), NMC등)을 처리하였을 때는 왜성이 유도되지 않았음을 밝힌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리적 돌연변이원으로서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X선, γ선(60Co), β선(32P, 35S등), 중성자 빔(hasegawa et al. 1995; Ling et al. 1991; wang et al. 1988; Honda et al; 2006; Naito et al.2005)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Co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상기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조사하느냐는 사용하고자 하는 돌연변이원의 종류에 따라서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물리적 돌연변이원의 강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은 다른 물리적 돌연변이원에 비해 조사량을 짧게 하더라도 목적하는 돌연변이를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얻을 수 있는 한, 그 물리적 돌연변이원의 종류, 그 물리적 돌연변이원의 처리 시간 등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다만 하기 실시예를 참조할 때 물리적 돌연변이원의 경우, 그 돌연변이원의 종류를 불문하고 선량이 10(GY) 내지 100(GY) 범위 내에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물리적 돌연변이원으로서는 60Co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하기 실시예에서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발명자들은 수분?수정 시기의 유전자 변형 잔디에 75(Gy) 선량으로 감마선을 처리한 경우에도 생존 개체수 총 2개체 중에서 1개체로 왜성이 유도됨을 확인한 바 있음을 밝힌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 종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왜성이 유도된 잔디 종자의 제조 방법은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는 단계, (b)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 및 (d) 그 왜성이 유도된 잔디로부터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지하경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지하경 제조 방법은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는 단계, (b)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 및 (d) 그 왜성이 유도된 잔디로부터 지하경을 채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지상포복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왜성이 유도된 잔디 지상포복경의 제조 방법은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을 처리하는 단계, (b)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 및 (d) 그 왜성이 유도된 잔디로부터 지상포복경을 채취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얻어진 종자나 지하경 그리고 지상포복경은 왜성을 갖는 잔디를 증식시킬 수 있는 재료로서 유용하다.
상기의 종자, 지하경 또는 지상포복경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잔디", "유전자 변형 잔디", "왜성", "물리적 돌연변이원" 등의 의미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왜성의 형질을 지닌 잔디 식물체, 그 식물체로부터 얻어진 왜성의 형질을 지닌 종자 및 그 식물체로부터 얻어지고 영양 번식 능력을 지니면서 왜성의 형질을 함께 지니는 줄기(즉 왜성의 형질을 지닌 지하경과 지상포복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체, 종자 및 줄기에 있어서, 특히 유전자 변형 잔디로서 감마선 처리에 의하여 왜성의 형질을 지니면서 또한 불임성의 형질을 함께 지니는(즉 불임성도 유도된) 지하경 또는 지상포복경이 바람직하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확인되듯이, 본 발명자들이 유전자 변형 들잔디에 감마선을 처리하였을 때 왜성이 유도되었을 뿐만 아니라 왜성이 유도된 개체 중 2개체에서는 불임성도 함께 유도되었다. 유전자 변형 식물체의 경우 화분 비산에 의하여 동종?근연종의 형질을 변화시켜 생태계를 교란?파괴시킬 위험성을 갖고 있다. 실제 제초제 저항성 캐놀라(Brassica napus)의 경우 3km 떨어진 곳에서 화분 비산에 의한 유전자 이동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으며(Rieger et al., 2002), 제초제 저항성 벤트그라 스(Creeping bantgrass)의 경우는 21km 떨어진 곳에서도 유전자 이동이 관찰되었다는 보고가 있다(Watrud et al., 2004).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국가는 관련 법률로서 유전자 변형 식물체의 제조?판매?수입을 허가할 경우에 위해성 심사 제도를 두어 이를 엄격하게 평가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자연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밀폐된 공간에서 재배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유전자 변형 식물체에서 불임성은 화분 비산에 의하여 생태계를 교란?파괴시킬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형질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유전자 변형 잔디가 왜성의 형질을 지니는 이외에도 불임성을 함께 지닐 경우에 왜성의 형질에 의한 노동력 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불임성의 형질에 의한 전술한 바의 문제점도 함께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불임성"은 유성생식이 불가능한 형질을 의미하며, 추대(bolting)되지 않거나, 추대되지 않음으로써 종자가 생성되지 않는 형질의 의미로서도 이해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불임성이 유도된"의 의미는 그 돌연변이된 형질 즉 불임성이 다음 세대에서도 발현될 수 있도록 유전적 변이가 일어난 경우를 의미한다. 조이시아속 잔디를 포함하여 잔디류는 지하경과 지상포복경을 통한 영양번식 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불임성이 다음 세대에서도 발현된다"는 것의 의미는 지하경과 지상포복경을 통하여 영양번식한 경우에도 그 영양번식한 개체에서 불임성의 형질이 나타난다는 것의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방법들에 의하여 얻어진 왜성의 형질을 지닌 지하경 또는 왜성의 형질을 지닌 지상포복경을 토양에 이식하는 단계 및 이를 번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왜성이 유도된 유전자 변형 잔디의 증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에서 지하경이나 지상포복경은 불임성의 형질을 함께 지니는 지하경이나 지상포복경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하경이나 지상포복경을 통하여 증식된 잔디는 전술한 바와 같이 노동력 절감의 효과뿐만 아니라 화분 비산에 의한 유전자 이동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상기에서 지하경이나 지상포복경을 토양에 이식할 때 그 토양은 토지의 토양이거나 화분의 토양일 수 있다.
또 상기 번식 단계에서 일광 조건, 온도 조건 등 통상적인 잔디의 재배 조건을 적용할 수 있으며, 번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일광 조건, 온도 조건 등을 변화시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왜성의 특성을 가지는 유전자 변형 들잔디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왜성이 유도된 유전자 변형 들잔디는 예초 작업이 덜 필요하게 되므로 노동력 절감의 효과 등을 지닌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실시예 1> 왜성이 유도된 유전자 변형 들잔디의 제조
<실시예 1-1> 감마선( 60 Co )조사 및 종자( M 1 )의 채종
본 실험에 사용되는 유전자 변형 들잔디는 바스타 제초제 저항성 bar 유전자가 도입된 유전자 변형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Toyama K, Bae CH, Kang JG, Lim YP, Adachi T, Riu KZ, Song PS, Lee HY(2003) Production of herbicide-tolerant zoysiagrass by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Mol Cell. 16: 19-27) 중 도입 유전자의 유전적 안정성이 검증된 T6 세대 직물체(Bae TW, Vanjildorj E, Song SY, Nishiguchi S, Yang SS, Song IJ, Chandrasekhar T, Kang TW, Kim JI, Koh YJ, Park SY, Lee J, Lee YE, Ryu KH, Riu KZ, Song PS, Lee HY(2008)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of genetically engineered herbicide-tolerant Zoysia jalonica . J. Environ. Qual. 37: 207-218)로서, 직경 25cm의 화분에 이식하여 자연광 조건으로 GMO 격리 온실에서 재배한 것이다.
감마선(60Co)의 조사는 개화 상태의 유전자 변형 들잔디(수분?수정 시기의 들잔디로서, 이삭 내에 약(Anther)이 2/3 이상 신장한 들잔디임)를 선별하여 실시 하였다.
감마선(60Co)의 처리는 0(무처리구), 10(Gy), 20(Gy), 30(Gy) 및 40(Gy), 50(Gy) 선량으로 제주대학교(대한민국 제주도 소재) 방사선 연구소의 조사 시설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감마선이 처리된 각 식물체를 제주대학교 온실 내 32℃±7의 자연광 조건에서 재배하여 3개월 후에 각 처리구로부터 종자(M1)를 채종하였다.
채종된 종자는 자연광 조건에서 3일간 건조한 후 -15℃에서 보관하였다가 종자 발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2> 종자(M1 )의 발아율 및 생존율 조사
먼저 발아율을 높이기 위하여, 감마선 조사 후 얻어진 M1 들잔디 종자를, 5M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Junsei, Japan)에 30분간 침적한 후 1M 아세트산(acetic acid)(Junsei, Japan)으로 5분 동안 중화시켜 종피를 연화시켰다.
다음 종자를 2% 차이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Daejung, Korea)에서 15분간 침적한 다음 멸균 수로 5회 세척하고, 그 세척된 종자를 흡습된 여과지 위에 파종하였다. 파종 후 암 조건에서 2일간 수분을 흡수시킨 후 3일 동안 32℃±2의 연속광(4000 lux) 조건에서 재배하여 발아를 유도하였다.
각 처리구의 발아율 및 생존율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발아율은 최초 발아된 식물체로부터 5주까지 생존한 식물체의 총 개수를 조사하여 계산하였고, 생존율은 종자로부터 발아된 유식물체를 화분에 옮겨 심고, 8개월간 생육 시켜 생존한 식물체의 총 개수를 조사하여 계산하였다.
감마선 처리된 유전자 변형 들잔디(M1)의 발아율 및 생존율
선량(GY) 종자의 수 발아한 종자 수(발아율(%)) 생존 개체수(생존율(%))
무처리구 100 74(74) 70(94)
10 150 84(56) 42(50)
20 150 61(41) 42(68)
30 200 94(47) 56(59)
40 300 93(31) 64(68)
50 300 66(22) 19(28)
<실시예 1-3> 생존 식물체( M1 )의 재배 및 왜성 표현형의 조사
상기 생존한 M1 식물체(무처리구 70개체 및 처리구 223개체)를 직경 10cm의 화분에서 25±7℃의 자연광 조건으로 3개월간 순화시킨 후, 직경 15cm 화분에 이식하고 2년간 25±7℃의 자연광 조건에서 재배하고, 다시 직경 25cm 화분에 옮겨 심어 25±7℃의 자연광 조건으로 GMO 격리 온실에서 2년간 재배하여 육안으로 초고와 엽폭을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왜성 표현형을 갖는가를 관찰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고, <도 1>에 무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A)와 처리구의 왜성 표현형을 갖는 식물체 중 하나(B)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을 실었다.
각 처리구 별 왜성이 유도된 개체수 및 비율
선량(GY) 생존 개체수 왜성이 유도된 개체수(비율%)
무처리구 70 0(0%)
10 42 2(4.8%)
20 42 2(4.8%)
30 56 3(5.3%)
40 64 1(1.6%)
50 19 2(4.0%)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무처리구에서는 왜성 표현형을 갖는 개체수가 없었고, 처리구에서는 왜성 표현형을 갖는 식물체가 4.5%(10/223)로 관찰되었다.
<실시예 2> 왜성이 유도된 야생형 들잔디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잔디는 한국형 잔디의 일종인 야생형 들잔디(Zoysia japonica Steud.)이며,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이삭 내에 약(Anther)이 2/3 이상 신장한 수분?수정 시기의 들잔디를 선별하여 감마선(60Co) 처리에 이용하였다.
감마선(60Co) 조사 선량 및 종자(M1)의 채종, 채종한 종자의 발아, 종자의 발아율 및 생존율의 조사, 그리고 왜성 표현형을 갖는가의 관찰 및 선별은 모두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종자의 발아율과 생존율 그리고 왜성이 유도된 개체수 및 비율을 각각 아래의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으며, 무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A)와 처리구의 왜성 표현형을 갖는 식물체 중 하나(B)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감마선 처리된 야생형 들잔디(M1)의 발아율 및 생존율
선량(GY) 종자의 수 발아한 종자 수(발아율(%)) 생존 개체수(생존율(%))
무처리구 100 81(81) 75(92)
10 150 78(52) 46(60)
20 150 76(50) 41(54)
30 200 89(44) 61(68)
40 300 87(29) 62(71)
50 300 82(27) 28(34)
각 처리구 별 왜성이 유도된 개체수 및 비율
선량(GY) 생존 개체수 왜성이 유도된 개체수(비율%)
무처리구 75 0(0%)
10 46 1(2.2%)
20 41 2(4.9%)
30 61 2(3.3%)
40 62 4(6.4%)
50 28 3(10.7%)
상기 <표 4>는 야생형 들잔디에 감마선을 처리한 경우에 유전자 변형 들잔디에 감마선을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비슷한 비율(5.0%(12/238))로 왜성 표현형을 갖는 식물체가 유도됨을 보여준다.
도 1은 유전자 변형 들잔디에서 왜성을 유도할 경우에 왜성이 유도되지 않은 무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A)와 왜성이 유도된 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B)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이다.
도 2는 야생형 들잔디에서 왜성을 유도할 경우에 왜성이 유도되지 않은 무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A)와 왜성이 유도된 처리구의 식물체 중 하나(B)를 비교할 수 있는 사진이다.

Claims (27)

  1. 삭제
  2. 삭제
  3. (a) 잔디의 꽃에 물리적 돌연변이원인 감마선 60Co를 10 내지 50 선량(GY)으로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돌연변이원이 처리된 잔디를 재배하여 그 종자를 채종하는 단계; 및
    (c) 그 종자를 재배하여 왜성이 유도된 잔디를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잔디는 유전자 변형 잔디이고,
    상기 왜성이 유도된 잔디는 잔디의 높이(height), 절간(internode) 및 잎의 길이(lenghth)와 넓이(width)가 각각 야생형 잔디의 높이(height), 절간(internode) 및 잎의 길이(lenghth)와 넓이(width)에 비해서 작은 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는 바스타 제초제 저항성 들잔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1020080071052A 2008-07-22 2008-07-22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KR101147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52A KR101147576B1 (ko) 2008-07-22 2008-07-22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052A KR101147576B1 (ko) 2008-07-22 2008-07-22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7657A Division KR101190576B1 (ko) 2011-03-28 2011-03-28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79A KR20100010179A (ko) 2010-02-01
KR101147576B1 true KR101147576B1 (ko) 2012-05-21

Family

ID=42084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052A KR101147576B1 (ko) 2008-07-22 2008-07-22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5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0259A (zh) * 2012-01-29 2012-07-11 韩凌霄 一种冷季型草坪草与暖季型草坪草混合种植的方法
KR101337246B1 (ko) * 2012-03-30 2013-12-0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세엽 변이가 유도된 잔디 신품종
KR101581281B1 (ko) * 2014-03-04 2015-12-3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초제 저항성 및 왜성을 가지는 잔디 신품종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26A (ja) 1996-07-03 1998-01-20 Phoenix Kokusai Kanko Kk バミューダグラスの新芝
KR20020090639A (ko) * 2001-05-29 2002-12-05 심상렬 잔디 신품종 세원 왕포아잔디
KR20040086907A (ko) * 2003-04-03 2004-10-13 학교법인단국대학 잔디 신품종 화순 왕포아잔디
KR20060089337A (ko) * 2005-02-04 2006-08-09 학교법인 청석학원 잔디 신품종 금산 왕포아잔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426A (ja) 1996-07-03 1998-01-20 Phoenix Kokusai Kanko Kk バミューダグラスの新芝
KR20020090639A (ko) * 2001-05-29 2002-12-05 심상렬 잔디 신품종 세원 왕포아잔디
KR20040086907A (ko) * 2003-04-03 2004-10-13 학교법인단국대학 잔디 신품종 화순 왕포아잔디
KR20060089337A (ko) * 2005-02-04 2006-08-09 학교법인 청석학원 잔디 신품종 금산 왕포아잔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179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49474B (zh) 一种提高甘薯集团杂交制种产量的方法
CN107667854B (zh) 一种辐射诱变、花药培养选育耐盐水稻的育种方法
CN102939898B (zh) 一种楸树无性系的选育方法
KR101147576B1 (ko)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CN109906937A (zh) 一种甘蓝型油菜抗旱种质的培育方法
Oliveira et al. Cactus pear and pitaya: Fruit production and orchard management
Saglan et al. The effects of planting density and the number of trusses per plant on earliness, yield and quality of tomato grown under unheated high plastic tunnel
KR101190576B1 (ko) 왜성이 유도된 잔디의 제조 방법
CN102293148A (zh) 甘蔗实生苗大田移栽前进行甘蔗黑穗病接种胁迫方法
CN109463274A (zh) 一种非洲菊新品种的培育方法
JP2010179209A (ja) 汚染土壌の浄化方法
CN101133714A (zh) 烟草γ射线和NaN3复合诱变种质创新与品种选育技术
Berry et al. Inheritance of resistance to Fusarium crown and root rot in tomato
Khattak et al. Response of exotic tomato lines t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KR100999179B1 (ko) 불임성이 유도된 유전자 변형 잔디의 제조 방법
CN101171906A (zh) 烟草γ射线诱变种质创新与品种选育技术
Barikissou et al. Refinement of an in vitro Culture Technique for the Rescue of Globular Embryos Using Microcutting for P. vulgaris L. and P. coccineus L.
Toxopeus et al. Breeding research and in vitro propagation to improve carvone production of caraway (Carum carvi L.)
CN112218525A (zh) 紫盆花植物及其产生方法
Kim et al. Use of herbicide-resistant genic male sterility in hybrid rice seed production
RU2781949C1 (ru) Способ выведения солеустойчивого сорта риса
RU2302102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маточников винограда
KR101069271B1 (ko) 장미 신품종 식물 &#39;기쁘미&#39;
KR101248367B1 (ko) 잎의 수 돌연변이가 유도된 화이트 클로버의 제조방법
KR101140158B1 (ko) 잎의 수 돌연변이가 유도된 화이트 클로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