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182B1 -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182B1
KR101147182B1 KR1020100062576A KR20100062576A KR101147182B1 KR 101147182 B1 KR101147182 B1 KR 101147182B1 KR 1020100062576 A KR1020100062576 A KR 1020100062576A KR 20100062576 A KR20100062576 A KR 20100062576A KR 101147182 B1 KR101147182 B1 KR 101147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ion chamber
desalination
freshwater
hea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37A (ko
Inventor
이운장
Original Assignee
(주) 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네스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 코네스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062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18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1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using solar energ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xtraction
    • C02F1/265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8Water desalination using renewable energy
    • Y02A20/142Solar thermal; Photovolta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8Off-grid powered water treatment
    • Y02A20/212Solar-powered wastewater sewage treatment, e.g. spray evapo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유체를 가열하는 열원 생성부; 제1 증발챔버와 제1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1 담수기와, 제2 증발챔버와 제2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2 담수기와, 유입된 해수를 상기 제2 응축챔버로 분사하고 상기 제2 증발챔버와 연결된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열유체를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류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담수화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AUTOMATIC MULTISTAGE SOLAR-THERMAL DESALINATION SYSTEM}
본 발명은 담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담수화는 해수와 같이 염도가 높아 인간이 사용하기 어려운 물로부터 담수와 같이 염도가 낮아 인간이 사용하기 적합한 물을 얻는 일련의 공정을 의미한다. 담수화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성이 낮지만, 자연적으로 충분한 담수를 얻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담수화 공정을 통해 인공적으로 담수를 생산하여 사용하고 있다.
현재 담수화 공정에는 역삼투(RO: Reverse Osmosis) 방식과 증류(distillation)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역삼투 방식은 역삼투 현상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방식이다. 역삼투 현상은 반투막(멤브레인)을 사이에 두고 해수가 담수보다 높은 일정 압력차(삼투압)로 평형을 유지한 상태에서, 해수에 삼투압보다 높은 압력(역삼투압)을 가하면 해수에 포함된 순수한 물이 담수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역삼투 방식에 의해 해수는 담수와 농축수로 분리되며, 농축수는 다시 바다로 배출된다.
증류 방식은 해수를 가열하여 증발시키고, 그 증기를 응축시켜서 담수를 얻는 방식이다. 현재 화석연료를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해수를 가열하는 방식도 개발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방식이어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열을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담수화하는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유체를 가열하는 열원 생성부;
제1 증발챔버와 제1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1 담수기와, 제2 증발챔버와 제2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2 담수기와, 유입된 해수를 상기 제2 응축챔버로 분사하고 상기 제2 증발챔버와 연결된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열유체를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류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담수화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상기 제2 증발챔버의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상기 제2 증발챔버의 내부압력을 설정압력 이하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응축챔버를 거친 해수는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제2 증발챔버로 제공되며, 상기 열유체는 상기 제1 증발챔버에 마련된 열교환기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응축부의 수중기는 상기 제2 증발챔버에 마련된 열교환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단식 담수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므로, 태양열을 열원으로 해수를 담수화하는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100)은 열원 생성부(110)와, 담수화부(120)와, 담수 저장부(130)와, 제어부(140)를 구비한다.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100)은 태양열을 이용하여 해수를 자동으로 담수화한다.
열원 생성부(110)는 태양열 집열기(111)과, 축열 탱크(112)를 구비한다. 열원 생성부(110)는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원을 생성한다.
태양열 집열기(111)는 태양열에 의한 열에너지를 모은다. 태양열 집열기(111)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태양열 집열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태양열 집열기(111)로 진공관 내에 집열판과 히트파이프가 설치된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ETSC)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태양열 집열기(111)에 모아진 열에너지는 태양열 집열기(111)와 축열 탱크(112) 사이를 순환하는 열전달 매체에 의해 축열 탱크(112)로 전달된다.
축열 탱크(112)는 태양열 집열기(131)에 모아진 열에너지를 열전달 매체를 통해 받아 집적한다. 태양열 집열기(111)로부터 열전달 매체에 저장된 열에너지는 축열 탱크(112)에 저장된 열유체(본 실시예에서는 물임)로 전달한다. 이 과정은 일반적인 다수의 열교환기(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열전달 매체에 저장된 태양열 에너지가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축열 탱크(112)에 저장된 열유체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되어 축열 탱크(112)에 저장된 열유체는 가열된다. 축열 탱크(112)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축열 탱크가 사용될 수 있다. 축열 탱크(112)에 저장된 열유체는 담수화부(120)로 전달된다.
담수화부(120)는 제1 담수기(121)와, 제2 담수기(122)와, 이젝터(123)와, 담수저장탱크(124)와, 해수주입펌프(124a)와, 열유체주입펌프(124b)와, 담수배출펌프(124c)와, 제1 내지 제12 밸브(125a, 125b, 125c, 125d, 125e, 125f, 125g, 125h, 125i, 125j, 125k, 125m)와, 제1 내지 제10 센서(126a, 126b, 126c, 126d, 126e, 126f, 126g, 126h, 126i, 126j)를 구비한다. 담수화부(120)는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며 해수를 증류하여 담수를 생산한다.
제1 담수기(121)는 제1 증발챔버(121a)와, 제1 응축챔버(121b)를 구비한다. 제1 담수기(121)는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생산하며 제1 담수기(121)에서 미응축된 수증기는 제2 담수기(122)로 제공된다.
제1 증발챔버(121a)는 제1 담수기(121)에서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제1 열교환기(121c)가 구비된다. 제1 증발챔버(121a)에는 해수가 공급되며, 제1 열교환기(121c)에는 열원 생성부(110)의 고온의 열유체가 제공된다. 제1 증발챔버(121a) 내의 해수는 제1 열교환기(121c)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제1 증발챔버(121a) 내의 온도 및 압력은 제8 센서(126h) 및 제9 센서(126i)에 의해 각각 감지된다. 제1 증발챔버(121a)는 제7 밸브(125g) 및 제8 밸브(125h)의 작동에 의해 사전 설정된 제1 설정 압력 이하로 유지된다.
제1 응축챔버(121b)는 제1 증발챔버(121a)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증발챔버(121a)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응축되어 담수가 생성된다. 제1 응축챔버(121b)에서 미응축된 수증기는 제2 담수기(122)로 제공된다.
제2 담수기(122)는 제2 증발챔버(122a)와, 제2 응축챔버(122b)를 구비한다. 제2 담수기(122)는 해수를 증발시켜 담수를 생산한다.
제2 증발챔버(122a)는 제2 담수기(122)에서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제2 열교환기(122c)가 구비된다. 제2 증발챔버(122a)에는 해수가 공급되며, 제2 열교환기(122c)에는 제1 담수기(121)에서 미응축된 수증기가 제공된다. 제2 증발챔버(122a) 내의 해수는 제2 열교환기(122c)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된다. 제2 열교환기(122c)를 통과하는 수증기는 제2 증발챔버(122a) 내의 해수와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되어 담수로 변환된다. 제2 증발챔버(122a) 내의 온도 및 압력은 제4 센서(126d) 및 제5 센서(126e)에 의해 각각 감지된다. 제2 증발챔버(122a)는 제5 밸브(125f)와 제6 밸브(125e)의 작동에 의해 사전 설정된 제2 설정 압력 이하로 유지된다. 제2 증발챔버(122a)는 제8 밸브(125h)에 의해 제1 담수기(121)의 제1 증발챔버(121a)와 연결된다.
제2 응축챔버(122b)는 제2 증발챔버(122a)의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는 저온의 해수가 공급되는 응축판(122d)이 구비된다. 제2 증발챔버(122a)에서 발생한 수증기는 제2 응축챔버(122b)에서 응축판(122d)에 의해 응축되어 담수가 생성된다. 응축판(122d)을 통과한 해수는 제1 담수기(121)의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담수기(122)의 제2 증발챔버(122a)로 제공된다.
이젝터(123)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해수를 강하게 분사하며 제2 담수기(122)에 구비된 응축판(122d)으로 해수를 공급한다. 이젝터(123)를 통해 해수가 분사되면서 이젝터(123)로는 제2 담수기(122)의 제2 증발챔버(122a)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다.
담수저장탱크(124)에는 제1 담수기(121)와 제2 담수기(122)로부터 생성된 담수가 저장된다. 담수저장탱크(124)에는 수위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해수주입펌프(124a)는 외부의 해수를 이젝터(123)로 제공한다.
열유체주입펌프(124b)는 축열 탱크(112)에 저장된 고온의 열유체(물)를 제1 담수기(121)에 구비된 제1 열교환기(121c)로 제공한다.
담수배출펌프(124c)는 담수저장탱크(124)의 출구측에 마련되어 담수저장탱크(124)에 저장된 담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제1 밸브(125a)는 해수주입펌프(124a)의 입구측에 위치하며, 제2 밸브(125b)는 해수주입펌프(124a)의 출구측에 위치한다. 제3 밸브(125c)는 응축판(122d)의 출구측에 위치하며, 제4 밸브(125d)는 제1 증발챔버(121a)의 입구측에 위치한다. 제5 밸브(125e)와 제6 밸브(125f)는 제2 증발챔버(122a)와 이젝터(123)을 연결하는 두 라인에 각각 마련된다. 제7 밸브(125g)는 제2 증발챔버(122a) 측에 마련되는 증기유도밸브(steam inducement valve)이다. 제8 밸브(125h)는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증발챔버(122a)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된다. 제9 밸브(125i)는 열유체주입펌프(124b)와 제1 열교환기(121c)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되며, 제10 밸브(125j)는 열유체주입펌프(124b)로부터 토출된 열유체를 제1 열교환기(121c)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하도록 마련된다. 제11 밸브(125k)는 담수배출펌프(124c)와 담수저장부(130)를 연결하는 라인에 마련된다. 제12 밸브(125m)는 제11 밸브(125k)와 병렬로 배치되며, 정해진 염도 이상인 담수를 외부로 방류한다.
제1 센서(126a), 제2 센서(126b), 제3 센서(126c)는 각각 압력센서, 온도센서, 유량센서로서, 해수주입펌프(125a)와 제2 밸브(125b) 사이를 연결하는 라인 상에 위치한다. 제4 센서(126d) 및 제5 센서(126e)는 각각 온도센서, 압력센서로서, 제2 증발챔버(122a) 내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한다. 제6 센서(126f)는 유량센서로서, 제3 밸브(125c)의 출구측에 위치한다. 제7 센서(126g)는 유량센서로서, 제4 밸브(125d)의 출구측에 위치한다. 제8 센서(126h), 제9 센서(126i)는 각각 온도센서, 압력센서로서, 제1 증발챔버(121a) 내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한다. 제10 센서(126j)는 염도측정센서로서, 담수저장탱크(124)와 담수배출펌프(124c)의 사이에 위치한다.
담수저장부(130)는 제11 밸브(125k)를 거쳐 배출된 담수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처리장치(CPU)와, 저장장치와, 입출력장치를 구비한다. 저장장치에는 담수화부(120)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중앙처리장치에서 실행된다. 제어부(140)는 담수화부(120)에 구비된 모든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모든 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 작용에 대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해수로부터 담수를 생산하기 위하여, 최초에 제어부(140)는 제1 담수기(121) 및 제2 담수기(122)에 마련된 진공밸브(미도시)와 열유체공급밸브인 제9 밸브(125i)와 각 담수기(121, 122)의 증발챔버(121a, 122a)로 해수를 공급하는 밸브인 제3 밸브(125c) 및 제4 밸브(125d)를 잠근다.
다음, 해수펌프 입구 밸브인 제1 밸브(125a) 및 해수펌프 출구 밸브인 제2 밸브(125b)가 자동으로 개방되고 된다.
다음, 제어부(130)에 의해 해수주입펌프(124a)가 작동하여 이젝터(123)를 통해 해수가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 증발챔버(121a) 및 제2 증발챔버(122a) 내의 공기가 이젝터(123)로 유입되어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증발챔버(122a)의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증발챔버(122a)의 압력이 각각 사전설정된 제1 설정압력과 제2 설정압력의 이하로 떨어지면 제3 밸브(125c)와 제4 밸브(125d)가 개방되어 제1 증발챔버(121a) 및 제2 증발챔버(122a)로 해수가 제공된다. 이때, 제1 증발챔버(121a) 및 제2 증발챔버(122a)로 제공되는 해수의 유량은 제3 밸브(125c)와 제4 밸브(125d)에 의해 조절된다.
다음,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증발챔버(122a)로 해수가 각각 정해진 유량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면, 제어부(140)는 열유체공급밸브인 제9 밸브(125i)를 개방하여 열유체가 제1 담수기(121)의 제1 열교환기(121c)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해 제1 증발챔버(121a)에서는 수증기가 발생하여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1 증발챔버(121a)의 압력이 사전설정된 제2 설정압력 이상이 되면 증기유도밸브인 제7 밸브(125g)가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제1 증발챔버(121a) 내의 압력을 제2 설정압력 이하로 떨어뜨려서 제1 증발챔버(121a)와 제2 증발챔버(122a)는 설정된 압력 이하를 유지하며, 제1 담수기(121)과 제2 담수기(122)에서 담수가 만들어진다.
제1 담수기(121)과 제2 담수기(122)로부터 생성된 담수는 담수저장탱크(124)로 저장되며, 담수저장탱크(124)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제어부(140)에 의해 담수배출펌프(124c)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담수저장탱크(124)로부터 배출되는 담수의 염도는 염도측정센서인 제10 센서(120j)에 의해 측정되며, 기준 염도(본 실시예에서는 100ppm) 이하인 경우에는 제11 밸브(125k)를 거쳐 담수저장부(130)로 제공되고, 기준 염도 이상인 경우에는 제12 밸브(125m)를 거쳐 방류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110 : 열원 생성부 120 : 담수화부
121 : 제1 담수기 122 : 제2 담수기
123 : 이젝터 124 : 담수저장탱크
130 : 담수저장부 140 : 제어부

Claims (3)

  1. 태양열을 이용하여 열유체를 가열하는 열원 생성부;
    제1 증발챔버와 제1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1 담수기와, 제2 증발챔버와 제2 응축챔버를 구비하는 제2 담수기와, 유입된 해수를 상기 제2 응축챔버로 분사하고 상기 제2 증발챔버와 연결된 이젝터를 구비하며 상기 열유체를 열원으로 하여 해수를 증류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담수화부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상기 제2 증발챔버의 압력을 각각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상기 제2 증발챔버의 내부압력을 설정압력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응축챔버를 거친 해수는 상기 제1 증발챔버와 제2 증발챔버로 제공되며, 상기 열유체는 상기 제1 증발챔버에 마련된 열교환기로 제공되며, 상기 제1 응축부의 수중기는 상기 제2 증발챔버에 마련된 열교환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KR1020100062576A 2010-06-30 2010-06-30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KR101147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6A KR101147182B1 (ko) 2010-06-30 2010-06-30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6A KR101147182B1 (ko) 2010-06-30 2010-06-30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7A KR20120001937A (ko) 2012-01-05
KR101147182B1 true KR101147182B1 (ko) 2012-05-29

Family

ID=45609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76A KR101147182B1 (ko) 2010-06-30 2010-06-30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1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099B1 (ko) * 2014-11-19 2016-05-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태양열과 폐열 에너지를 혼용한 분산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672852B1 (ko) * 2014-11-19 2016-11-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중 열원을 이용한 해수담수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2347A (en) 1978-08-04 1980-02-18 Sasakura Eng Co Ltd Solar energy-utilizing desal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1276810A (ja) 2000-03-31 2001-10-09 Ebara Corp 淡水化設備
KR20010106805A (ko) * 2000-05-23 2001-12-07 손재익 기계적 증기재압축식 해수담수화 장치
KR20110003760A (ko) * 2009-07-06 2011-01-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변화 매체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 담수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2347A (en) 1978-08-04 1980-02-18 Sasakura Eng Co Ltd Solar energy-utilizing desalin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01276810A (ja) 2000-03-31 2001-10-09 Ebara Corp 淡水化設備
KR20010106805A (ko) * 2000-05-23 2001-12-07 손재익 기계적 증기재압축식 해수담수화 장치
KR20110003760A (ko) * 2009-07-06 2011-01-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상변화 매체를 이용한 증발식 해수 담수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7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19817B (zh) 单一利用太阳能淡化海水或苦咸水的多效蒸馏装置与方法
CN102642883A (zh) 利用电厂余热淡化海水系统
CN104402079A (zh) 工业余热型低温多效海水淡化系统及其海水淡化方法
KR20130122828A (ko) 해상 설비용 해수 태양열 발전 및 담수화 시스템
KR20110099841A (ko) 해수와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음용 해양 청정수를 제조하는 방법 및 제조 장치
CN201587871U (zh) 多级真空蒸馏海水淡化装置
CN201338952Y (zh) 综合利用太阳能进行海水淡化的装置
CN106395950A (zh) 高效利用热能生产淡水的低温多效蒸馏海水淡化方法
CN201834781U (zh) 单级真空蒸馏海水淡化装置
KR101632252B1 (ko) 순수 액체 제조 장치
CN111302417A (zh) 工业废水温差余热浓缩装置与方法
CN205035108U (zh) 一种用于海水淡化装置的淡水冷凝器
KR101147182B1 (ko) 태양열 해수담수화를 위한 다단식 자동제어 담수 시스템
US9345986B2 (en) Method for evaporation and possible distillation of fluids using a heat pump
CN202849193U (zh) 一种多级真空蒸馏海水淡化装置
CN102633316B (zh) 一体式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201660457U (zh) 新型多效蒸馏海水淡化装置
WO2001072638A1 (fr) Dispositif de dessalement
KR20210108316A (ko) 진공 증발식 조수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제어방법 및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1323160B1 (ko) 선박용 수직형 다단 조수기
US20180154277A1 (en) Multi-stage flash desalination system with thermal vapor compressor
CN104058474B (zh) 脉动闪蒸自然循环太阳能海水淡化装置
CN101134605A (zh) 一种温差式海水淡化器
CN202576022U (zh) 利用电厂余热淡化海水系统
CN108254406A (zh) 板式蒸发器的传热性能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