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920B1 - 배전반 - Google Patents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920B1
KR101146920B1 KR1020120014579A KR20120014579A KR101146920B1 KR 101146920 B1 KR101146920 B1 KR 101146920B1 KR 1020120014579 A KR1020120014579 A KR 1020120014579A KR 20120014579 A KR20120014579 A KR 20120014579A KR 101146920 B1 KR101146920 B1 KR 101146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stream
upstream
uppermost
inlet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복성
박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명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명전기
Priority to KR102012001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3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for energy 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02Details
    • H02B11/10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 of gear; Arrangement of test s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감지부를 최상류 케이블실과 하류 케이블실에서 배제시키고 기존 인입부싱과 기존 인출부싱에 전압감지부를 각각 구비시켜, 케이블실에 여유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전적으로 전속관계의 복잡한 차단기의 활선상태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판단하게 하여, 배전반의 전체적인 활선상태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Description

배전반{SWITCH GEAR}
본 발명은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활선상태에 대한 감시를 차단기에 대한 인입방향과 인출방향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배전반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반(Switch Gear)은 발전소, 변전소, 산업플랜트, 빌딩 등의 전력공급, 운전,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 스위치계기, 릴레이(계전기), 변성기, 접지스위치 등을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한 것으로, 주로 발전된 전력을 송전하여 변전소를 통해 전력을 배분하여 각 요소로 재공급하거나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의 종례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배전반(1)에서는 배전반 내의 하단측의 최상류 케이블실(1A)에 배치된 메인측의 최상류 인입케이블(2)로부터 전력이 입력되어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에 배치된 최상류 전압변성기(D1) 및 최상류 전류변성기(D2)와 배전반의 전방 중간측의 최상류 차단기실(1B)에 배치된 최상류 차단기(C)를 통해서 배전반 상단측의 최상류 주모선실(1C)에 배치된 최상류 주모선(3)에 공급되고, 이 주모선(3)에 공급된 전력은 상기 최상류 주모선실(1C)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단측의 하류 주모선실(도시되지 않음)에서 분기되어 상기 최상류 차단기실(1B) 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방 중간측의 하류 차단기실(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 도 2에만 도시됨)를 경유하여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단측의 하류 케이블실(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류 피더케이블(2A; 도 2에만 도시됨)에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배전반(1)의 상기 케이블실(1A), 상기 최상류 차단기실(1B), 및 상기 최상류 주모선실(1C)은 칸막이(F)에 의해 서로 차폐되어 있고, 상기 하류 케이블실, 상기 하류 차단기 및 상기 하류 주모선도 도시되지 않은 칸막이에 의해 서로 차폐되어 있다.
상기 최상류 차단기(C)는 도전체가 서로 온/오프가능하게 내장되어 도전적으로 접속된 최상류 인입부싱(7)과 최상류 인출부싱(5)을 포함하고 있되, 상기 최상류 인입부싱(7)이 상기 인출부싱(5)보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최상류 인입부싱(7)의 도전체에는 일단이 상기 최상류 인입케이블(2)에 접속되어 있고 도중에 최상류 전류변성기(D2)가 개재되어 있는 최상류 인입부스바(E1)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최상류 인출부싱(5)의 도전체에는 일단이 최상류 주모선(3)에 접속되어 있는 최상류 인출부스바(E2)의 타단이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도, 도전체가 서로 온/오프가능하게 내장되어 도전적으로 접속된 하류 인입부싱(도시되지 않음)과 하류 인출부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되, 상기 하류 인입부싱이 상기 하류 인출부싱보다 위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의 상기 하류 인입부싱의 도전체 각각에는 일단이 하류측 주모선(3)에 접속되어 있는 하류 인입부스바(도시되지 않음)의 타단이 도전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의 상기 하류 인출부싱의 도전체 각각에는 일단이 복수개의 하류 피더케이블(2A) 각각에 접속되어 있고 도중에 하류 전류변성기(도시되지 않음)가 재재되어 있는 하류 인출부스바(도시되지 않음)의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에는 최상류 인입부스바(E1)에 접속된 최상류 전압변성기(D1)와 최상류 전압감지부(8)가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하류 케이블실 각각에는 하류 인출부스바에 접속된 하류 전압변성기와 하류 전압감지부가 배치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최상류 전압감지부(8)와 하류 전압감지부가 칸막이(F)에 현수된 상태로 고정된 애자(부싱)에 내장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최상류 케이블(2)과 하류 피더케이블(2A)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와 상기 하류 케이블실에 출입할 적에 상기 애자에 의해 장애가 되어 종래의 배전반은 최상류 케이블(2)과 하류 피더케이블(2A)의 유지보수를 어렵게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의 배전반은 최상류 케이블(2)과 주모선(3) 사이의 활선상태와 주모선과 하류 피더케이블(2A) 사이의 활선상태를, 즉 최상류차단기(C)과 하류차단기(C2)의 활선상태(온/오프상태)을 파악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전압감지부를 최상류 케이블실과 하류 케이블실에서 배제시키고 기존 인입부싱과 기존 인출부싱에 전압감지부를 각각 구비시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케이블실에 여유공간을 제공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케이블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도전적으로 전속관계의 복잡한 차단기의 활선상태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판단하게 하여, 배전반의 전체적인 활선상태를 용이하게 작업자가 파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도 1의 배전반의 개념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및
도 5는 도 3의 인입부싱과 인출부싱에 구비된 전압감지부에 대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구조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5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이 부호 1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본 실시예의 배전반(10)은 전압감지부를 최상류 케이블실과 하류 케이블실에서 배제시키고, 기존 인입부싱과 기존 인출부싱에 전압감지부가 각각 구비된 점만을 제외하고는 상기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배전반(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본 실시예의 배전반에 대한 상세설명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고자 이하 생략될 것이다.
상기 배전반(10)은 종래와 같이, 최상류 차단기(C)와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 C2, C2 ... 도 2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최상류 차단기(C)는 종래와 같이, 아래에 배치된 인입부싱(28)과 위에 배치된 인출부싱(26)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 각각도, 종래와 같이, 위에 배치된 인입부싱(도시되지 않음)과 아래에 배치된 인출부싱(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인입부싱들과 인출부싱들 모두 동일하게 전압감지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즉, 상기 인입 또는 인출부싱들은 차단기(C, C2) 측과 인입부스바 또는 인출부스바를 서로 접속시키는 도전체인 공지의 튜립컨넥터(33)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31)의 길이방향 단부 벽부에 링형상의 정전용량센서(32)를 심어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정전용량센서(32)는 증폭기(50)를 경유하여 활선상태표시부(24)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인입 또는 인출부싱들은 원통형상을 가지며 에폭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절연성을 갖는다.
상기 정전용량센서(32)는 상기 인입 또는 인출부싱 내에 흐르는 전원의 전압을 감지하여 활선상태표시부(24)로 하여금 활선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활선상태표시부(24)는 바람직하게는 엘이디 램프(5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정전용량센서(32)로부터 신호가 엘이디 램프(52)에 전달되면, 엘이디 램프가 발광함으로써 차단기의 통전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종래에는 차단기가 인입부스바(E1)에 정상적으로 접속이 되어서 외관상으로는 정상적으로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 인입부싱 혹은 인출부싱에 전기적인 접속장애가 발생되어 실질적으로는 전원이 인가되지 못하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압감지부(30)가 인입부싱(18)과 인출부싱에 장착됨으로써, 비록 외관상으로는 차단기(C)가 정상적으로 인출부스바에 결합된 것처럼 보이는 경우에도, 실제로 전원이 하류 피더케이블(2A; 도 2참조)에 정상적으로 인가되는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10: 배전반, 24: 활선상태표시부, 26: 인출부싱, 28: 인입부싱, 30; 전압감지부

Claims (3)

  1. 배전반 내의 하단측의 최상류 케이블실(1A)에 배치된 메인측의 최상류 인입케이블(2)로부터 전력이 입력되어,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에 배치된 최상류 인입부스바(E1) 및 배전반의 전방 중간측의 최상류 차단기실(1B)에 배치된 최상류 차단기(C)를 통해서, 배전반 상단측의 최상류 주모선실(1C)에 배치된 최상류 인출부스바(E2)를 경유하여 최상류 주모선(3)에 공급되고,
    이 주모선(3)에 공급된 전력이 상기 최상류 주모선실(1C)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단측의 하류 주모선실에서 인입부스바에 의해 분기되어, 상기 최상류 차단기실(1B) 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방 중간측의 하류 차단기실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를 경유하여, 상기 최상류 케이블실(1A)보다 하류측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단측의 하류 케이블실에 배치된 복수개의 인출부스바를 거쳐서 복수개의 하류 피더케이블(2A)에 공급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최상류 차단기(C)는 아래에 배치된 인입부싱(28)과 위에 배치된 인출부싱(26)을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 각각도, 위에 배치된 인입부싱과 아래에 배치된 인출부싱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인입부싱들과 인출부싱들은 모두 동일하게 전압감지부(30)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최상류 차단기(C)와 상기 복수개의 하류 차단기(C2)측과 상기 인입부스바 또는 상기 인출부스바 사이를 서로 접속시키는 도전체인 튜립컨넥터(33)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31)의 길이방향 단부 벽부에, 정전용량센서(32)를, 심어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용량센서(32)는 링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정전용량센서(32)는 증폭기(50)를 경유하여 활선상태표시부(24)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활선상태표시부(24)는 엘이디 램프(52)를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램프(52)는 상기 정전용량센서(32)로부터 신호를 받으면,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KR1020120014579A 2012-02-14 2012-02-14 배전반 KR101146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79A KR101146920B1 (ko) 2012-02-14 2012-02-14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579A KR101146920B1 (ko) 2012-02-14 2012-02-14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920B1 true KR101146920B1 (ko) 2012-05-22

Family

ID=4627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579A KR101146920B1 (ko) 2012-02-14 2012-02-14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9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46Y1 (ko) 2006-08-17 2007-01-04 대원계전주식회사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20090126100A (ko) * 2008-06-03 2009-12-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광 전압센서 내장 애자를 구비한 배전반
KR20110107732A (ko) * 2010-03-25 2011-10-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진공 개폐기 및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046Y1 (ko) 2006-08-17 2007-01-04 대원계전주식회사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20090126100A (ko) * 2008-06-03 2009-12-08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광 전압센서 내장 애자를 구비한 배전반
KR20110107732A (ko) * 2010-03-25 2011-10-04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진공 개폐기 및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93655A (ja) スイッチギヤの接地装置
CN106159787A (zh) 一种封闭式气体绝缘开关柜
CN106451191B (zh) 一种充气柜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CN200997496Y (zh) 一种带旁路的移开式高压开关柜
CN204190252U (zh) Sf6绝缘真空分界开关柜
KR101146920B1 (ko) 배전반
CN105633849A (zh) Sf6绝缘真空分界开关柜
RU2685237C2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защитный прибор для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с измерением тока
KR100971996B1 (ko) 수배전반의 전력 제어 표준화를 위한 하네스 연결 장치
CN203250997U (zh) 一种中置式开关柜验电时活动挡板开启工具
CN201813091U (zh) 单相预装箱式变电站
CN201887367U (zh) 交流高压电压互感器手车
CN106451435A (zh) 一种配电控制系统
KR101359712B1 (ko) 모듈형 분전반
CN205195050U (zh) 一种可靠供电的开关柜
CN209963629U (zh) 电力系统用金属封闭出线柜
CN202178510U (zh) 中置式开关柜
CN105207070A (zh) 一种组合式低压抽出开关柜
CN209963541U (zh) 箱型固定式金属封闭进线柜
CN202772480U (zh) 铠装式开关设备
KR200411502Y1 (ko) 기중 인출형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CN207732292U (zh) 一种母线室传感器下放的开关柜
CN204088218U (zh) 一种集成电流互感器的柱式断路器
CN203103823U (zh) 一种高压负荷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