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818B1 -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 Google Patents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818B1
KR101146818B1 KR1020090133840A KR20090133840A KR101146818B1 KR 101146818 B1 KR101146818 B1 KR 101146818B1 KR 1020090133840 A KR1020090133840 A KR 1020090133840A KR 20090133840 A KR20090133840 A KR 20090133840A KR 101146818 B1 KR101146818 B1 KR 101146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rect
flow switch
flow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310A (ko
Inventor
이병일
심영섭
전세균
장기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81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직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몸체 내부에 유로감지장치(FLOW SWITCH, 이하 플로우스위치라함)가 구비된 복합연결구로 수전자변을 결합해, 난방보충수와 온수로 직수를 공급되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난방수와 온수를 위해 직수공급관(31)에 플로우스위치(41)가 구비된 분배 연결구(70)와, 난방수보충관(21)과 연결된 수전자변(50)이 결합된 보일러의 분배 연결구(70)는 몸체내부로 필터와 플로우스위치(41)가 수납장착되어, 몸체 하부 유입구로 공급된 직수가 이를 통과해 몸체 상부에서 연통되게 형성된 온수공급부(71)와,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분배 연결구(70)의 온수공급부(71) 내경으로 직수가 공급될 때, 직수의 유량과 흐름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60)가 구비되는 것이다.
시스턴, 온수 열교환기, 직수공급관, 수전자변, 유량제어, 수류 스위치

Description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a flow switch of boiler}
본 발명은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직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몸체 내부에 유로감지장치(FLOW SWITCH, 이하 플로우스위치라함)가 구비된 복합연결구로 수전자변을 결합해, 난방보충수와 온수로 직수를 공급되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가스 및 유류와 같은 연료로 이용해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해 물을 가열하고, 이 가열된 물을 실내에 설치된 난방배관을 따라 순환시켜 난방을 하고, 싱크대 및 목욕탕 등의 온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보일러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고 형성되는 케이싱의 내측으로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버너부(10)가 형성되고, 그 상부로 열에 의해 물을 가열 및 순환시키는 열교환기(11)가 결합되며, 다른 일측으로 열교환기와 파이프 연결되어 난방순환수에 물을 보충하기 위한 시스턴(20)과, 직수를 공급받아 온수로 열교환하는 온수 열교환기(30) 및 상기 버너부의 작동 및 각 내부 부품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크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보일러는 직수연결구(40)를 통해 외부 직수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직수연결구(40)에는 온수 열교환기(30)로 직수를 공급하는 직수공급관(31)이 결합된다.
또, 상기 직수공급관(31)에는 시스턴(20)에서 난방순환수가 배관을 통해 이동하거나 자연 증발되어 유량이 부족하게 되면 직수를 공급하도록 난방수보충관(21)과 연결된 수전자변(50)이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직수연결구(40)에는 유체흐름을 감지하는 플로우스위치(41)를 구비시켜 온수 사용시 직수의 공급 흐름을 감지해 제어부를 통해 버너부(10) 및 온수 열교환기(30)를 가동시키게 하였다.
또한, 시스턴 내부의 물 및 난방순환수가 기화 등의 이유로 물부족 상태가 되면, 수전자변(50)이 작동되어 난방수보충관(21)에 직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일러는 온수사용시에는 직수공급관에 설치된 직수연결구의 플로우스위치가 직수가 흐르는 상태를 감지하고, 난방순환수의 물부족에 따른 감지신호는 수전자변에 전달되어 직수를 난방수보충관에 공급하게 되었다.
따라서, 종래 보일러는 직수공급관에 직수연결구와 수전자변을 별도로 결합 하게 되므로 작업하기가 불편하며, 특히 수전자변과 연결되는 전선과 플로우스위치와 연결되는 전선이 얽혀져 보일러 내부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연결구성품을 형성한 후 배관라인과 수전자변, 그리고 직수연결구 등을 상호 조합시켜 구성해야되므로, 보일러 본체 내부의 설치공간이 증대되고, 조립작업시 부품간섭에 따른 제약으로 조립효율이 저하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분배 연결구에 수전자변을 직접결합시켜 온수 및 난방수를 공급하도록 하여, 배관구조와 전선작업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보일러 내부의 조립작업시 부품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배 연결구의 몸체 내부로 직수의 흐름을 제어 및 변환시키는 유동제어부를 구비시켜, 직수공급관과 수전자변으로 공급되는 직수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난방수와 온수를 위해 직수공급관(31)에 플로우스위치(41)가 구비된 분배 연결구(70)와, 난방수보충관(21)과 연결된 수전자변(50)이 결합된 보일러의 분배 연결구(70)는 몸체내부로 필터와 플로우스위치(41)가 수납장착되어, 몸체 하부 유입구로 공급된 직수가 이를 통과해 몸체 상부에서 연통되게 형성된 온수공급부(71)와,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분배 연결구(70)의 온수공급부(71) 내경으로 직수가 공급될 때, 직수의 유량과 흐름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60)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배 연결구(70)의 난방수보충공급부(72)는 온수공급부(71)중심 외측에서 수직되게 형성된다.
또, 상기 유동제어부(60)는 정수량변(61)과 스페이서(62)로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62)는 상,하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측면으로 유입부(63)가 등분되게 성형되어, 직수를 수직방향의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되게 형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분배 연결구에서 온수열교환기와 시스턴으로 직수를 분배해 공급할 수 있어 배관구조가 단순화되고, 조립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제품 조립성이 향상된다.
또, 분배 연결구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스페이서를 이용해 온수공급부와 수직되게 성형된 난방수공급부로 직수가 원할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온수 및 난방수로 공급되는 직수가 분배 연결구를 통해 분배시켜 공급함으로써, 조립부품수 감소와 케이싱 내부공간이 증대되어 부품간섭이 발생 되지 않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일러의 직수흐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분배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분배 연결구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70)는 직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몸체 내부에 유로감지장치(FLOW SWITCH, 이하 플로우스위치라함)가 구비된 복합연결구로 수전자변을 결합해, 난방보충수와 온수로 직수를 공급되게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및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즉,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의 난방순환수 및 온수 제공을 위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직수를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는 분배 연결구(70)가 수전자변(50)과 직수공급관(31)에 선별공급하게 하였다.
이러한, 분배 연결구(70)는 몸체 내부에 유체의 흐름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플로우스위치(41)와 직수내부에 불순물을 거를수 있도록 필터부재(미도시)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배 연결구(70)는 난방수 및 온수에 필요한 외부로부터의 직수 공급을 분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외부 직수라인이 몸체 하부에 결합되고, 몸체 상부로 직수공급관(31)과 연결되는 어댑터(32) 및 수전자변(50)이 각각 결합 된다.
이때, 몸체의 내부 형상은 하부에서 공급되는 직수가, 몸체 상부의 온수공급 부(71)와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되도록 상호 연통되는 형상을 갖게 성형 제작한다.
또, 상기 난방수보충공급부(72)는 온수공급부(71)중심 외측에서 수직되게 형성시켜, 조립공정 향상 및 직수 공급이 원할히 이루어지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온수공급부(71)의 내경으로는 정수량변(61)과 스페이서(62)로 구성된 유동제어부(60)를 구비시켜, 유입되는 직수는 일정한 압력과 유량으로 온수공급부(71) 및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된다.
상기 유동제어부(60)로 구성된 정수량변(61)은 직수의 흐름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며, 스페이서(62)는 직수의 흐름을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분배시켜 공급될 수 있도록 성형제작 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스페이서(62)는 상,하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측면으로 유입부(63)가 등분되게 성형되며, 상부와 하부로 끼움홈이 구비되어 정수량변(61)과 어댑터(32)의 일단부가 각각 끼워져 몸체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스페이서(62)의 설치위치는 온수공급부(71)의 내경에서,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직수가 공급되는 홀에 상기 유입부(63)가 위치되게 하여, 분배 연결구(70)를 통과하는 직수가 온수열교환기(30) 및 시스턴(20)으로 분배되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난방수보충공급부(72)에 결합설치된 수전자변(50)에서 난방순환수가 부족한 신호를 제어부에서 전달받으면, 몸체 내부의 밸브를 개방시켜 자동으로 난방수보충관(21)을 통해 직수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전자변(50)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신호를 전달받아 내부 밸브를 개폐시켜, 물을 공급 및 차단하도록 한 통상적인 제품으로 본 발명에서는 자세한 내부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분배 연결구(70)는 외부 직수라인과 몸체하부가 결합되어, 직수의 흐름을 플로우스위치(41)가 감지해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며, 난방순환수와 온수에 사용되는 직수를 하나의 몸체를 이용해 분배 공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배 연결구(7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보일러가 온수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밸브를 개방하면 외부직수라인을 따라 직수가 흐르게 되면서 플로우스위치(41)가 그 흐름을 감지해 제어부에 전기적신호를 전달시켜 온수 열교환기(30) 작동 및 조작부에 표시되게 한다.
이때, 수전자변(50)은 난방수 부족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그 내부의 밸브가 개방되지 않아 직수공급관(31)으로만 직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난방순환수가 저장되는 시스턴(20) 내부로 물이 기화 등의 이유로 그 높이가 낮아져 난방수 부족신호가 제어부에 전달되면, 직수를 자동으로 보충하기 위해 수전자변(50)의 내부 밸브를 개방시켜 직수가 자동적으로 공급되어 난방수를 보충하게 한다.
또, 제어부에는 분배 연결구(70)의 플로우스위치(41)에서 직수 흐름신호를 전달해 표시창에 표시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일러의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배 연결구(70)는 하나의 몸체에서 온수 사용에 따른 직수공급 및 난방수 보충에 따른 직수를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게 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이 보일러의 직수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보일러의 직수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분배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분배 연결구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스페이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20 - 시스턴 21 - 난방수보충관
30 - 온수 열교환기 31 - 직수공급관
50 - 수전자변 60 - 유동제어부
61 - 정수량변 62 - 스페이서
63 - 유입부 70 - 분배 연결구

Claims (5)

  1. 난방수와 온수를 위해 직수공급관(31)에 플로우스위치(41)가 구비된 분배 연결구(70)와, 난방수보충관(21)과 연결된 수전자변(50)이 결합된 보일러의 분배 연결구(70)는 몸체내부로 필터와 플로우스위치(41)가 수납장착되어, 몸체 하부 유입구로 공급된 직수가 이를 통과해 몸체 상부에서 연통되게 형성된 온수공급부(71)와,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분배 연결구(70)의 온수공급부(71) 내경으로 직수가 공급될 때, 직수의 유량과 흐름을 제어하는 유동제어부(6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연결구(70)의 난방수보충공급부(72)는 온수공급부(71)중심 외측에서 수직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특징으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부(60)는 정수량변(61)과 스페이서(6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62)는 상,하부가 개방된 파이프 형상을 갖고, 측면으로 유입부(63)가 등분되게 성형되어, 직수를 수직방향의 난방수보충공급부(72)로 공급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KR1020090133840A 2009-12-30 2009-12-30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KR101146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40A KR101146818B1 (ko) 2009-12-30 2009-12-30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840A KR101146818B1 (ko) 2009-12-30 2009-12-30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310A KR20110077310A (ko) 2011-07-07
KR101146818B1 true KR101146818B1 (ko) 2012-05-21

Family

ID=44916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840A KR101146818B1 (ko) 2009-12-30 2009-12-30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8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03B1 (ko) * 2014-10-06 2015-12-29 (주)알코 에어갭 형성수단을 구비한 보일러의 보충수 공급밸브
WO2016056765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알코 에어갭 형성수단을 구비한 보일러의 보충수 공급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182B1 (ko) 2015-03-31 2016-10-0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직수 복합 급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712A (ko) * 1997-07-30 1999-02-25 최병숙 모듈 배관집합체
KR20010073820A (ko) * 2000-01-20 2001-08-03 최성봉 보일러의 난방/급탕수제어장치
KR200300620Y1 (ko) * 2002-10-23 2003-01-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수류스위치
KR20070071476A (ko) * 2005-12-30 2007-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직수 복합연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712A (ko) * 1997-07-30 1999-02-25 최병숙 모듈 배관집합체
KR20010073820A (ko) * 2000-01-20 2001-08-03 최성봉 보일러의 난방/급탕수제어장치
KR200300620Y1 (ko) * 2002-10-23 2003-01-14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용 수류스위치
KR20070071476A (ko) * 2005-12-30 2007-07-0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용 직수 복합연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003B1 (ko) * 2014-10-06 2015-12-29 (주)알코 에어갭 형성수단을 구비한 보일러의 보충수 공급밸브
WO2016056765A1 (ko) * 2014-10-06 2016-04-14 (주)알코 에어갭 형성수단을 구비한 보일러의 보충수 공급밸브
GB2545847A (en) * 2014-10-06 2017-06-28 Alco Corp Makeup water supply valve of boiler having air gap forming mea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310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818B1 (ko) 보일러 수류스위치의 분배 연결구
US20140003801A1 (en) Water heating system
KR20090074844A (ko) 난방과 온수 라인이 구별된 카본섬유 히터 보일러
CN105783243A (zh) 即热式家用燃气蒸汽炉及其管道系统
KR200442500Y1 (ko) 전기 스팀보일러
KR20070071476A (ko) 보일러용 직수 복합연결구
CN113339999A (zh) 双循环零冷水多能源系统
KR100473082B1 (ko) 저탕식 보일러용 온수탱크 및 온수보일러
CN215490315U (zh) 一种循环热水壁挂炉
CN213721418U (zh) 自动进水、净水恒温双胆开水器
CN213178853U (zh) 壁挂炉
CN209978678U (zh) 用于壁挂炉的板式换热器和壁挂炉
KR200451625Y1 (ko) 전기 스팀보일러
CN105674543A (zh) 智能快速淋浴热水器
KR100681339B1 (ko) 연탄보일러
KR20080000851U (ko) 순환식 순간가열 전기 온수기
KR200424906Y1 (ko) 온수 겸용 전기 보일러
KR100279269B1 (ko) 온수 열교환기의 직수연결구
KR200219895Y1 (ko) 열유체 전기보일러
KR200224456Y1 (ko) 정온수 공급장치
WO2023230738A1 (es) Sistema secundario para calentar agua, que opera simultáneamente con un calentador de agua domiciliario
KR200213893Y1 (ko) 가스보일러용 물탱크의 수전자변 결합구조
CN114923281A (zh) 壁挂炉系统
KR20100136612A (ko) 온수보일러겸 욕조
JP5801756B2 (ja) 潜熱回収型給湯機の二次熱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