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75B1 - Microswitch - Google Patents

Micro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75B1
KR101146175B1 KR1020107003693A KR20107003693A KR101146175B1 KR 101146175 B1 KR101146175 B1 KR 101146175B1 KR 1020107003693 A KR1020107003693 A KR 1020107003693A KR 20107003693 A KR20107003693 A KR 20107003693A KR 101146175 B1 KR101146175 B1 KR 101146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nger
microswitch
contacts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6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4047A (en
Inventor
볼프강 메이어
에리히 슈베르트
폴 위르즈
Original Assignee
샬트바우게젤샤프트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샬트바우게젤샤프트엠베하 filed Critical 샬트바우게젤샤프트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3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0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20Bridging contacts
    • H01H1/2083Bridging contact surfaces directed at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movement of the brid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1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 H01H1/18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abutting with subsequent slid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The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witch with at least two contact points, each with a moveable contact and a fixed contact, wherein the moveable contacts are arranged on a contact link, the contact link is capable of being moved by means of a plunger and can be moved over from a first switching position, in which contact points are open, into a second switching position, in which contact points are closed. During use of the microswitch, dirt may be deposited on the contacts, this having a disruptive effect on the microswitch, and in the worst case scenario, results in there no longer being a current flow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ntact points. The intention is therefore to provide a microswitch with reliable self-cleaning. In this regard, the invention provides that the contact link is mounted in such a way that the contact link performs a rotary movement about an axis of rotation, which ru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extent of said contact link, during closing and opening of the contacts, as a result of which a forced frictional movement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xtent of the contact link takes place between the mutually opposite contacts of each contact point.

Description

마이크로스위치{MICROSWITCH}Micro Switch {MICROSWITCH}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접점(contact point)을 구비한 마이크로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점은 각각 1개의 가동 접촉자와 1개의 고정 접촉자를 지니며, 상기 가동 접촉자는 접촉 브리지 상에 배열되고, 해당 접촉 브리지는 플런저(plunger)에 의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접점이 개방되어 있는 제1전환위치로부터 상기 접점이 폐쇄되어 있는 제2전환위치로 이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croswitch having at least two contact points, each contact having one movable contact and one fixed contact, the movable contacts being arranged on a contact bridge, the contact The bridge is movable by a plunger and can be shifted from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 is open to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 is closed.

이러한 마이크로스위치는 상당히 장시간 동안 사용되어 왔고, 밀리암페어 범위에서 저전류, 예를 들어, 제어 전류 혹은 고장 전류를 지닌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이들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촉자는 사용 시 오염될 수 있으므로, 최악의 경우, 폐쇄 위치에서 접촉자들 사이에 더 이상 전류 흐름이 없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Such microswitches have been used for quite a long time and are used in applications with low currents in the milliampere range, for example control currents or fault currents. Since the contacts of these microswitches can be contaminated in use, it is known that in the worst case there is no more current flow between the contacts in the closed position.

따라서, 마이크로스위치의 스위치 플런저에서 스프링을 개재해서 접촉 브리지를 장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전환 동안,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 간에 상대 운동이 일어날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촉자에서의 오염물(예컨대, 먼지 등)이 제거된다.Therefore, it is known to mount the contact bridge via a spring in the switch plunger of the microswitch, so that during the changeover, relative motion can occur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stationary contact, thus contaminants (eg, dust, etc.) at the contact. ) Is removed.

접촉 브리지는 스프링을 개재해서 플런저에 부상가능하게(floatingly) 장착된다. 이에 의해, 전환 동안, 즉, 접점의 개폐 동안 전달된 힘뿐만 아니라 접촉 브리지의 위치는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다. 개폐 동안 접점들의 대향하는 접촉자에서의 이동 순서는 결코 정해져 있지 않다.The contact bridge is floatingly mounted to the plunger via a spring. Thereby, the position of the contact bridge as well as the force transmitted during the switching, i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is not clearly defined. The order of movement at the opposing contacts of the contacts during opening and closing is never fix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폐쇄 혹은 전환 동안 접촉자의 확실한 셀프-클리닝(self-cleaning)이 얻어지는 개량된 마이크로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microswitch in which reliable self-cleaning of the contacts is obtained during closing or switching, respectively.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브리지가 접촉자의 개폐 동안 그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각 접점의 대향하는 접촉자 간에 상기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transversely) 강제 마찰 운동이 수행되도록 상기 접촉 브리지가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To this end,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between the opposing contacts of each contact is achiev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 about an axis of rotation which extends in parallel with its longitudinal extension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mounted such that a forced frictional motion is perform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상기 접촉 브리지의 장착에 의해, 개폐 동안 접촉 브리지의 회전 운동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 접촉자는 각 전환 동작에서 동일한 순환 경로 상에서 안내됨으로써, 해당 가동 접촉자와 상기 고정 접촉자 간의 마찰 운동이 항상 상기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로를 따라서 일어나므로, 강제로 수행되게 된다. 이것은, 각 전환 동작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운동이 접점에서 일어나는 것임을 의미한다. 상기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는 마찰 운동이 전환 동안 수행된다는 사실에 의해, 대향하는 접촉자가 서로를 통해서 더욱 확고하게 닦이게 되므로, 상기 접점으로부터 오염물이 확실하게 문질러 없어지거나 닦이게 되어, 폐쇄 위치에서 전류 흐름이 확실하게 된다.By mounting the contact bridg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 during opening and closing is determined. Thus, the movable contact is guided on the same circulation path in each switching operation so that the frictional movement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lways occurs along a substantially identical path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It will be forced. This means that for each switching operation, substantially the same movement takes place at the contact point. By the fact that the frictional movement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is carried out during the transition, the opposing contacts are wiped more firmly through each other, so that contaminants can be reliably rubbed off or wiped away from the contacts. In the closed position, current flow is assured.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접촉 브리지가 대항해서 폐쇄 위치에 있게 되는 상부 베어링과 접촉 브리지가 대항해서 개방 위치에 있게 되는 하부 베어링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부 베어링은 하부 베어링에 대해서 대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것은, 따라서, 플런저의 운동 시, 접촉 브리지가 플런저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접촉 브리지가 플런저에 대해서 대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위치로 해당 접촉 브리지가 이행되는 것임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회전 혹은 경사 운동이 일어나며, 이것은 접촉자가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서로 횡단하여 문질러지는 것을 요하게 된다. 또한, 접촉자의 셀프-클리닝을 위해 충분한 압력이 플런저 운동에 따라 발생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lunger comprises an upper bearing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in a closed position against it and a lower bearing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in an open position against it, wherein the upper bearing is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earing. This is provided. This means, therefore, that during the movement of the plunger, the contact bridge is shifted from the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unger,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plunger. This causes a rotational or inclined movement, which requires the contacts to be rubbed across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sufficient pressur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lunger movement for self-cleaning of the contact.

다른 변형예는 상기 플런저 내의 대좌(seat)에 장착되는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배열된 적어도 1개의 제1레버를 포함하는 접촉 브리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해서, 상기 접촉 브리지는 정해진 방식으로 플런저의 대좌의 하나의 지점에 장착되고, 해당 접촉 브리지의 회전 운동을 위한 회전의 규정된 중심이 형성됨으로써 해당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는 마찰 운동이 접촉자에서 발생된다. 상기 접점으로부터의 회전 중심의 거리에 의해서, 상기 접촉자들 간의 마찰 운동량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 운동은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야만 하며, 만약 그렇지 않으면 과잉의 마찰로 되어 과잉의 마모가 접촉자에서 일어나게 된다.Another variant provides a contact bridge comprising at least one first lever arranged transversely to a longitudinal extension of a contact bridge mounted to a seat in the plunger. In this way, the contact bridge is mounted at one point of the pedestal of the plunger in a defined manner and traverses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by forming a defined center of rotation for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 Friction motion occurs at the contactor. By the distance of the rotation center from the contact, the frictional moment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djusted. Here, the frictional motion must not be too large, otherwise it will be excessive friction and excessive wear will occur in the contac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레버는 상기 접촉 브리지에서 상기 2개의 가동 접촉자 사이에서 중심을 향하여(centrically) 배열된다. 이와 같이 해서, 양 접점에서 대략 동일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Advantageously, said first lever is arranged centrically between said two movable contacts in said contact bridge.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approximately the same force acts at both the contacts.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제1레버에 대향해서 배열된 동시에 상기 플런저 내의 안내부에서 안내되는 추가의 레버를 포함하는 접촉 브리지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의 센터링은 상기 접촉자의 개폐 동안 달성될 수 있다.Another preferred embodiment provides a contact bridge comprising an additional lever arranged opposite the first lever and guided in a guide in the plunger. Thereby, the centering of the contact bridge can be achiev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

유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가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횡단하여 또한 해당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뻗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촉 브리지는 요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상기 2개의 접점 간의 수직방향 부정확성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2개의 고정 접촉자가 동일한 높이로 배열되어 있지 않다면, 이것은 정상으로 돌아온다.In an advantageous embodiment, 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contact bridge is rotatably mounted about an axis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and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Accordingly, the contact bridge can perform a rocking motion, whereby vertical inaccuracy between the two contacts can be returned to normal. If the two fixed contacts are not arranged at the same height, this returns to normal.

편의상, 상기 접촉 브리지는 또한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것은 상기 접촉 브리지의 회전 운동을 허용하고, 이에 따라, 서로에 대해서 2개의 고정 접촉자의 수평방향 부정합(misalignment)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된다.For convenience, the contact bridge is also rotatably moun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This allow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 so that the horizontal misalignment of the two fixed contac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can be returned to normal.

유리한 하나의 실시형태는 상기 접촉 브리지에 대해서 둥글게 된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플러저의 상부 베어링을 제공한다. 이에 의해, 요동 운동 및 회전 운동이 용이하게 되고 이에 의해 서로에 대해서 2개의 고정 접촉자의 약간의 부정합이 정상으로 돌아온다.One advantageous embodiment provides a top bearing of the plunger comprising a rounded contact surface for the contact bridge. This facilitates rocking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whereby some mismatches of the two fixed contacts with respect to each other return to normal.

하나의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는 상기 제1접촉 브리지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계되고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촉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이중 차단 및 갈바니 절연(galvanic isolation)을 구비한 스위치가 실현될 수 있다.In one variant, the microswitch may comprise at least one additional contact bridge designed and mounted substantially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tact bridge. In this way, a switch with double blocking and galvanic isolation can be realized.

여기서, 각 접촉 브리지가 스프링에 의해서 플런저의 길이방향으로 플런저에서 지지되고, 여기서,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는 접촉 브리지에 접속되고 해당 스프링의 타탄부가 플런저의 대좌에 배열되어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에서의 상기 접촉 브리지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 내의 고정 접촉자쌍의 거리에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을 경우, 이들 차이는 복원력이 있는 장착(resilient mounting)에 의해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Here, a configuration may be provided in which each contact bridge is supported by the spring in the plu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wherein one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ridge and the tartan portion of the spring is arranged on the pedestal of the plunger. If the distance of the contact bridge at the plunger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distance of the fixed contact pairs in the housing, these differences can be returned to normal by resilient mounting.

다른 적합한 실시형태는 각 접촉 브리지 상에 제공되는 스프링용의 센터링 돌기부(centering projection)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에서의 스프링의 용이한 장착이 가능해진다.Another suitable embodiment provides a centering projection for the spring provided on each contact bridge. This enables easy mounting of the spring in the contact bridge.

하나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자는 실질적으로 V자형 단면을 지닐 수 있고, 상기 가동 접촉자는 실질적으로 반원형 단면을 지닐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의 마찰 운동이 접촉자의 폐쇄 동안 지지되어, 상기 접촉자의 효율적인 셀프-클리닝이 수행된다.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stationary contact can have a substantially V-shaped cross section and the movable contact can have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Thereby, the longitudinal fric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 is supported during the closure of the contact, so that efficient self-cleaning of the contact is performed.

다른 실시형태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해당 하우징 내에서 상기 플런저가 안내되며, 상기 하우징은 플런저의 센터링 소자를 안내하는 센터링 부분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상기 플런저는 바람직한 이동 경로 상에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유지된다.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wherein the plunger is guided within the housing, the housing providing a microswitch comprising a centering portion for guiding the centering element of the plunger. Thereby, the plunger is maintained in the housing on the preferred path of travel.

도 1은 2개의 접촉 브리지가 개방 위치에 있는 마이크로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2개의 접촉 브리지가 폐쇄 동작 동안 중간 위치에 있는 개방된 마이크로스위치의 평면도;
도 3은 2개의 접촉 브리지가 폐쇄 위치에 있는 개방된 마이크로스위치의 평면도;
도 4는 2개의 접촉 브리지가 내부에 배열된 마이크로스위치의 플런저의 측면도;
도 5는 2개의 접촉 브리지가 내부에 배열된 플런저의 부분 단면의 평면도;
도 6은 접촉 브리지의 평면도;
도 7은 접촉 브리지의 측면도.
1 is a plan view of a microswitch with two contact bridges in an open position;
2 is a plan view of an open microswitch with two contact bridge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during a closing operation;
3 is a plan view of an open microswitch with two contact bridges in a closed position;
4 is a side view of the plunger of the microswitch with two contact bridges arranged therein;
5 is a plan view of a partial cross section of a plunger with two contact bridges arranged therein;
6 is a plan view of a contact bridge;
7 is a side view of the contact bridg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마이크로스위치(1)의 하우징 커버가 제거되어 있는 상태의 해당 마이크로스위치(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는 플런저(3)가 배열되어 있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상기 플런저(3)에는 2개의 접촉 브리지(4), (5)가 장착되어 있다.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 상에는 2개의 가동 접촉자(6.1), (6.2); (7.1), (7.2)가 배열되어 있다. 상기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각각 고정 접촉자(8.1), (8.2); (9.1), (9.2)와 협동하며, 여기서, 해당 고정 접촉자(8.1), (8.2); (9.1), (9.2)는 상기 하우징(2) 내에 배열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 접촉 브리지(4), (5) 상에 배열된 가동 접촉자(6.1), (6.2); (7.1), (7.2)가 각각의 대향하는 고정 접촉자(8.1), (8.2); (9.1), (9.2)와 함께 2개의 대응하는 접점(10.1), (10.2); (11.1), (11.2)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마이크로스위치(1)가 2개의 이중-차단부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갈바니 절연이 실현되며, 각종 전기 회로 혹은 부하 및 제어 전류가 각각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중-차단부에 의해, 상기 스위치에 인가된 전압이 2개의 고정 접촉자에 분배된다. 이에 의해, 단일-차단부와는 대조적으로, 보다 높은 전압 및 전력이 동일한 접촉 거리에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긴 전기 서비스 수명 및 보다 높은 접촉 신뢰성이 실현된다.1 shows a plan view of the microswitch 1 with the housing cover of the microswitch 1 removed. The microswitch 1 comprises a housing 2 in which a plunger 3 is arranged. The plunger 3 is equipped with two contact bridges 4 and 5. Two movable contacts 6. 1, 6. 2 on each of the contact bridge 4, 5; (7.1) and (7.2) are arranged. The movable contacts (6.1), (6.2); (7.1) and (7.2) are fixed contacts (8.1) and (8.2), respectively; Cooperate with (9.1), (9.2), where the corresponding fixed contacts (8.1), (8.2); (9.1) and (9.2) are arranged in the housing (2). This includes: movable contacts (6.1), (6.2) arranged on the contact bridges (4), (5); (7.1), (7.2) are the opposing fixed contacts (8.1), (8.2); Two corresponding contacts 10.1, 10.2 together with (9.1), (9.2); It means forming (11.1) and (11.2). This also means that the microswitch 1 comprises two double-breaks, whereby galvanic isolation is realized, and various electrical circuits or loads and control currents can be switched respectively. By means of double-breaks, the voltage applied to the switch is distributed to the two fixed contacts. Thereby, in contrast to the single-block, higher voltage and power can be applied at the same contact distance. Thus, longer electrical service life and higher contact reliability are realized.

상기 플런저(3)는 안내부(12)에서 하우징(2) 내에서 안내되고, 접점(10.1), (10.2), (11.1), (11.2)이 개방되는 제1위치로부터 접점(10.1), (10.2), (11.1), (11.2)이 폐쇄되는 제2위치로 이행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접점(10.1), (10.2), (11.1), (11.2)이 개방되어 있는 제1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은 상기 플런저(3)에 배열된 센터링 소자(14)와 협동하여 상기 안내부(12) 내에서 플런저(3)를 센터링하는 센터링 부분(13)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때문에, 상기 센터링 부분(13)과 센터링 소자(14)는 접점(10.1), (10.2), (11.1), (11.2)의 개방 위치에서 서로에 대해 놓여 상기 안내부(12) 내에서 중심을 향하여 플런저(3)를 위치결정시키는 경사진 접촉면을 포함한다.The plunger 3 is guided in the housing 2 at the guide portion 12 and from the first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s 10.1, 10.2, 11.1, 11.2 are opened, the contacts 10.1, ( 10.2), (11.1) and (11.2) may be shifted to the closed second position. 1, the plunger 3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re in the open first position. The housing 2 further comprises a centering portion 13 which cooperates with a centering element 14 arranged in the plunger 3 to center the plunger 3 in the guide 12. For this reason, the centering portion 13 and the centering element 14 lie against each other in the open positions of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to be centered in the guide 12. An inclined contact surface for positioning the plunger 3 toward.

도 2에 있어서, 마이크로스위치(1)는 또한 커버 없이 도시되어 있고, 플런저(3)는 폐쇄 동작 동안 중간 위치에 있다. 접점(10.1), (10.2), (11.1), (11.2)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행시키기 위한 플런저(3)의 작동은 스냅 요소(snap element), 예를 들어, 쌍안정 스프링(도시 생략)을 개재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타 다른 작동 기구도 상정가능하다.In FIG. 2, the microswitch 1 is also shown without a cover and the plunger 3 is in an intermediate position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peration of the plunger 3 to transfer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is achieved by snap elements, for example bistable springs (not shown). It can be achieved through). However, other operating mechanisms are also conceivable.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 상에 배열된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이미 각각의 대향하는 고정 접촉자(8.1), (8.2), (9.1), (9.2)와 매우 밀접하게 배열되어 있지만, 이들은 아직 각각 말단 위치 혹은 폐쇄 위치에 있지 않다. 상기 플런저(3)는 스냅 요소의 작동에 의해 하우징(2)의 센터링 부분(13)으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하우징의 센터링 부분(13)과 플런저(3)의 센터링 소자(14)가 서로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상기 플런저(3)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여전히 배열되어 있다.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2, the movable contacts 6. 1, 6. 2, 7. 1, 7. 2 arranged on the contact bridge 4, 5 already have their respective opposing fixed contacts 8. 1. , (8.2), (9.1), and (9.2) are very closely arranged, but they are not yet in their distal or closed positions, respectively. The plunger 3 is moved away from the centering part 13 of the housing 2 by the operation of the snap element so that the centering part 13 of the housing and the centering element 14 of the plunger 3 are no long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I never do that. The contact bridges 4, 5 are still arrang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plunger 3.

도 3에서, 마이크로스위치(1)는 접점(10.1), (10.2); (11.1), (11.2)의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작동 요소(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플런저(3)는 상기 센터링 부분(13)과 센터링 소자(14)가 가장 멀리 있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작동 요소에 의해 플런저(3)에 작용하는 전환력이 접촉 브리지(4), (5)에 전달되므로,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최대 전환력으로 고정 접촉자(8.1), (8.2); (9.1), (9.2)에 대해서 가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접점(10.1), (10.2); (11.1), (11.2)은 폐쇄 위치에 있다. 해당 폐쇄 위치에서, 접촉 브리지(4), (5)는 플런저(3)에 대해서 대각으로 배열되어 있다.In Fig. 3, the microswitch 1 includes contacts 10.1 and 10.2; (11.1), shown in the closed position of (11.2). By means of an operating element (not shown), the plunger 3 is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entering part 13 and the centering element 14 are farthest. The switching forces acting on the plunger 3 by the actuating element are transmitted to the contact bridges 4, 5, such that the movable contacts 6. 1, 6. (7.1), (7.2) are fixed contactors (8.1), (8.2) with maximum switching force; Pressurized against (9.1) and (9.2). In this way, the contacts 10.1 and 10.2; (11.1) and (11.2) are in the closed position. In this closed position, the contact bridges 4, 5 are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plunger 3.

도 4에는 접촉 브리지(4), (5)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플런저(3)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위치에서, 접촉 브리지(4), (5)는 접점의 개방 위치에 있다. 접점의 이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 플런저(3)의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항해서 놓여있다. 또한, 하나의 상부 베어링(17), (18)은 각각 각각의 접촉 브리지(4), (5)에 인접하여 플런저(3) 내에 배열되어 있다. 상부 베어링(17), (18)은 각각 대응하는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해서 대각으로 배열되어 있다.4 shows a side view of the plunger 3 with the contact bridges 4, 5 mounted therein. In the position shown, the contact bridges 4, 5 are in the open position of the contacts. In this open position of the contact, the contact bridges 4 and 5 respectively lie against the lower bearings 15 and 16 of the plunger 3. Further, one upper bearing 17, 18 is arranged in the plunger 3 adjacent to 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5, respectively. The upper bearings 17, 18 are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lower bearings 15, 16, respectively.

접점의 폐쇄 위치에서, 각각의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의 상부 베어링(17), (18)과 대항해서 놓여 있고, 이에 따라, 개방 위치에 대해서 대각 위치를 취한다. 이것은 개방 위치에서 접촉 브리지(4), (5)에 의해 이간된 개구 평면이 폐쇄 위치에서 접촉 브리지(4), (5)에 의해 이간된 폐쇄 면과 소정의 각도로 둘러싸이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ntacts, each contact bridge 4, 5 lies against each of the upper bearings 17, 18, thus taking a diagon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pen position. This means that the opening plane separated by the contact bridges 4 and 5 in the open position is surround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closing face spaced by the contact bridges 4 and 5 in the closed position.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 상기 플런저(3)에 배열된 대좌(21), (22)에 각각 수용된 그의 길이방향 측면들 중 하나에서 레버(19), (20)를 추가로 포함한다.The contact bridges 4, 5 further comprise levers 19, 20 on one of their longitudinal sides respectively received on pedestals 21, 22 arranged on the plunger 3. Include.

또한,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에서, 추가의 레버(23), (24)가 각각의 레버(19), (20)에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레버(23), (24)는 각각 플런저(3)의 안내부(25), (26)에서 안내되고, 여기서 안내부(25), (26)는 레버(23), (24)의 폭보다 큰 길이를 지니므로, 이들 레버(23), (24)는 접촉 브리지(4), (5)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행할 때 이들 안내부(25), (26)를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플런저(3) 내의 접촉 브리지(4), (5)의 센터링이 달성된다.Further, in 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5, additional levers 23, 24 are arranged on the longitudinal side opposite the respective levers 19, 20. The levers 23, 24 are guided in guides 25, 26 of the plunger 3, respectively, where the guides 25, 26 are the widths of the levers 23, 24. As they have a greater length, these levers 23 and 24 slide along these guides 25 and 26 as the contact bridges 4 and 5 transition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Can be. Thereby, centering of the contact bridges 4, 5 in the plunger 3 is achieved.

도 5에는 플런저(3)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접촉 브리지(4), (5)는 또한 개방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의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항해서 놓여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17), (18)은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해서 대각으로 뻗어 있어, 접촉 브리지(4), (5)는 이들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행될 때 경사 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 베어링(17), (18)의 표면은 더욱 둥글게 되어 있으므로,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접촉 브리지(4), (5)의 회전 운동과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횡단하고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횡단하는 축을 중심으로 한 접촉 브리지(4), (5)의 요동 운동도 가능하다.5 show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nger 3. In FIG. 5, the contact bridges 4, 5 are also shown in the open position. The contact bridges 4, 5 here lie against the respective lower bearings 15, 16. As shown, the upper bearings 17, 18 exten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earings 15, 16 so that the contact bridges 4, 5 can be moved from their open position to their closed position. When performing tilt movement. Since the surfaces of the upper bearings 17 and 18 are more rounded, the contact bridges 4 and 5 are rota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an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The swinging motion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around the axis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4) and (5) is also possible.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은 스프링(27), (28)을 개재해서 플런저(3) 내에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27), (28)의 각각의 일단부는 접촉 브리지(4), (5)의 센터링 돌기부(29), (30) 상에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27), (28)의 각각의 타단부는 플런저(3) 내에 배열된 오목부(31), (32) 내에 수용된다. 이에 의해, 스프링(27), (28)은 마이크로스위치(1)의 폐쇄 동작 동안 각각의 오목부(31), (32) 내에 안내된다. 스프링(27), (28)에 의해, 접촉 브리지(4), (5)의 서로에 대한 거리의 편차 및 하우징(2) 내에 배열된 고정 접촉자(8.1), (8.2); (9.1), (9.2)쌍의 서로에 대한 거리의 편차는 정상으로 돌아갈 수 있다.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5 is mounted in the plunger 3 via springs 27, 28. One end of each of the springs 27, 28 is fixed on the centering protrusions 29, 30 of the contact bridges 4, 5.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prings 27, 28 is received in the recesses 31, 32 arranged in the plunger 3. Thereby, the springs 27, 28 are guided in the respective recesses 31, 32 during the closing operation of the microswitch 1. By means of the springs 27, 28 the fixed contacts 8, 2. 2 arranged in the housing 2 and the deviation of the distance of the contact bridges 4, 5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 deviations of the distances of (9.1) and (9.2) pairs from each other can be returned to normal.

도 6은 접촉 브리지(4)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다른 쪽 접촉 브리지(5)는 이 접촉 브리지(4)에 대해서 동일하게 설계되어 있고, 따라서, 그 설명은 양쪽 접촉 브리지에 적용된다.6 shows a plan view of the contact bridge 4. The other contact bridge 5 is designed identically for this contact bridge 4, and therefore the description applies to both contact bridges.

접촉 브리지(4)의 상부측에는, 스프링(27)용의 센터링 돌기부(29)가 중심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제1레버(19)는 접촉 브리지(4)의 하부 길이방향 측면(33)에 배열되어 있다. 이 레버(19)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가동 접촉자(6.1), (6.2) 사이에 중심을 향하여 위치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의 전환 동안 플런저(3)에 의해 접촉 브리지(4)에 전달된 전환력은 레버(19)의 이 배열에 의해 두 접점(10.1), (10.2)으로 균일하게 전달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19)는 플런저(3) 내의 대좌(21)에 배열되어 있다. 제2레버(23)는 상기 레버(19)와는 반대쪽의 접촉 브리지(4)의 길이방향 측면(34)에 배열되어 있고, 이 레버(23)가 플런저(3) 내의 안내부(25)에 수용되어 접촉 브리지(4)를 센터링시키는 역할을 한다.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ct bridge 4, the centering projection 29 for the spring 27 is arranged toward the center. The first lever 19 is arranged on the lower longitudinal side 33 of the contact bridge 4. This lever 19 is preferably located towards the center between the two movable contacts 6. 1, 6. 2. The switching force transmitted by the plunger 3 to the contact bridge 4 during the switching of the microswitch 1 is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two contacts 10.1 and 10.2 by this arrangement of the lever 19. As already mentioned above, the lever 19 is arranged on the pedestal 21 in the plunger 3. The second lever 23 is arranged on the longitudinal side 34 of the contact bridge 4 opposite the lever 19,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guide 25 in the plunger 3. And serves to center the contact bridge 4.

도 7은 접촉 브리지(4)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센터링 돌기부(29)와 상부 레버(23)를 볼 수 있다. 접촉 브리지(4)의 바닥쪽에는, 가동 접촉자(6.1), (6.2)가 배열되어 있다.7 shows a side view of the contact bridge 4. Here, too, the centering protrusion 29 and the upper lever 23 can be seen. On the bottom side of the contact bridge 4, movable contacts 6.1 and 6.2 are arranged.

이하, 마이크로스위치의 작용 원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micro swit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스위치(1)는 작동 요소(도시 생략), 바람직하게는 쌍안정 스프링을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플런저(3)가 마이크로스위치(1)의 개방 위치인 제1위치로부터 마이크로스위치(1)의 폐쇄 위치인 제2위치로 이행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마이크로스위치(1)의 개방 위치에서, 접촉 브리지(4), (5) 상에 배열된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하우징(2) 내에 배열된 고정 접촉자(8.1), (8.2), (9.1), (9.2)와는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 사이에 공기 간극이 있다. 이것은 접점(10.1), (10.2), (11.1), (11.2)이 개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은 플런저(3)의 각각의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항해서 놓인다. 작동 소자가 작동되면, 전환력이 플런저(3)에 전달되어, 해당 플런저(3)가 안내부(12) 내에서 이동하므로, 마이크로스위치(1)는 폐쇄 위치로 이행한다. 이 폐쇄 위치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스위치(1)의 폐쇄 위치에서, 접점(10.1), (10.2), (11.1), (11.2)은 폐쇄되어 있고, 접촉 브리지(4), (5) 상에 배열된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대향하는 고정 접촉자(8.1), (8.2), (9.1), (9.2)에 대항해서 확고하게 놓인다. 이제, 접촉 브리지(4), (5)는 플런저(3)의 상부 베어링(17), (18)에 대항해서 놓인다. 상부 베어링(17), (18)의 표면이 하부 베어링(15), (16)의 표면에 대향해서 대각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제 접촉 브리지(4), (5)도 마이크로스위치(1)와 대각으로 놓인다.As already explained, the microswitch 1 comprises an actuating element (not shown), preferably a bistable spring, whereby the plunger 3 is from a first position which is the open position of the microswitch 1. The second position may be shifted to the closed position of the microswitch 1. In the open position of the microswitch 1 shown in FIG. 1, the movable contacts 6. 1, 6. 2, 7. 1, 7. 2 arranged on the contact bridge 4, 5 are provided with a housing 2. There are air gaps between them, since they are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s arranged in (8), (8.2), (9.1), (9.2). This means that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re open. 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5 lies against each lower bearing 15, 16 of the plunger 3. When the actuating element is actuated, the switch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plunger 3, so that the plunger 3 moves in the guide 12, so that the microswitch 1 shifts to the closed position. This closed position is shown in FIG.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microswitch 1, the contacts 10.1, 10.2, 11.1, 11.2 are closed and movable contacts 6. 1 arranged on the contact bridges 4, 5, (6.2), (7.1) and (7.2) are firmly placed against the opposing fixed contacts (8.1), (8.2), (9.1) and (9.2). The contact bridges 4, 5 now lie against the upper bearings 17, 18 of the plunger 3. Since the surfaces of the upper bearings 17 and 18 are diagonally opposite to the surfaces of the lower bearings 15 and 16, the contact bridges 4 and 5 are now also diagonal to the microswitch 1. Is placed.

접촉 브리지(4), (5)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이행 동안, 해당 접촉 브리지(4), (5)는 우선 가동 접촉자(6.1), (6.2); (7.1), (7.2)가 각각의 대향하는 고정 접촉자(8.1), (8.2); (9.1), (9.2)에 대항해서 놓일 때까지 플런저(3)와 함께 병진 이동을 수행한다. 이것이 그 사례인 경우, 접촉 브리지(4), (5)는 더 이상 병진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플런저(3)는 아직 그의 말단 위치에 있지 않아 더욱 병진 이동한다. 접촉 브리지(4), (5)는 이제 회전되며, 이때, 회전의 각 중심이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의 제1레버(19), (20)의 하단부로 된다. 이것은 회전이 실질적으로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수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레버(19), (20)의 길이에 의해, 따라서, 접점(10.1), (10.2); (11.1), (11.2)으로부터의 회전 중심의 거리에 의해, 회전 운동의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접촉 브리지(4), (5)는 이들이 플런저(3)의 각각의 상부 베어링(17), (18)에 대항하여 놓일 때까지 회전된다. 접촉 브리지(4), (5)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일어나게 되는 마찰 운동이 접점(10.1), (10.2), (11.1), (11.2)에서 발생된다. 각 접촉 브리지(4), (5)는 플런저(3) 내의 각각의 대좌(21), (22)인 정해진 지점에서 각각의 제1레버(19), (20)를 개재해서 장착되므로, 접촉 브리지(4), (5)의 회전 운동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접점(10.1), (10.2), (11.1), (11.2)에서의 마찰 운동도 각각 결정되거나 강제로 행해지게 된다. 이 강제 마찰 운동에 의해, 접점(10.1), (10.2), (11.1), (11.2) 내에 위치될 수도 있는 오염물이 제거되어, 오염되어 있을 수도 있는 접촉자가 깨끗하게 되어서, 확실한 전류 흐름이 마이크로스위치(1)의 폐쇄 위치에서 일어난다.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the corresponding contact bridges 4 and 5 firstly move the movable contacts 6.1 and 6.2; (7.1), (7.2) are the opposing fixed contacts (8.1), (8.2); Perform translational movement with the plunger (3) until set against (9.1) and (9.2). If this is the case, the contact bridges 4, 5 may no longer translate. However, the plunger 3 is not yet in its distal position and thus translates further. The contact bridges 4, 5 are now rotated, with each center of rotation being the lower end of each of the first levers 19, 20 of the contact bridges 4, 5. This means that the rotation is carried out about an axis of rotation which extends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extensions of the contact bridges 4, 5. By the length of the levers 19, 20, accordingly, the contacts 10.1, 10.2; By the distance of the center of rotation from (11.1), (11.2) the degree of rotational movement can be determined. The contact bridges 4, 5 are rotated until they are placed against each of the upper bearings 17, 18 of the plunger 3.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frictional movements which occur across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occur at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 Since 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is mounted via the respective first levers 19 and 20 at predetermined points, which are the respective pedestals 21 and 22 in the plunger 3, the contact bridges The rotational motions of (4) and (5) are determined. In this way, the frictional motions at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re also determined or forcibly performed respectively. This forced frictional movement removes contaminants that may be located in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nd cleans the contacts that may be contaminated, thereby ensuring a reliable current flow. Occurs in the closed position of 1).

이 회전 운동 동안 접촉 브리지(4), (5)의 센터링을 허용하기 위하여, 제2레버(23), (24)는 각각 접촉 브리지(4), (5)에 설치되어 플런저(3) 내의 안내부(25), (26)에서 안내되고, 접촉 브리지(4), (5)의 회전 운동 동안 이 안내부(26) 내에서 병진 이동한다.In order to allow the centering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during this rotational movement, the second levers 23 and 24 are provided on the contact bridges 4 and 5 respectively to guide the inside of the plunger 3. Guided by sections 25 and 26, and translated within this guide section 26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As shown in FIG.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제1레버(19), (20)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브리지 상에 배열된 가동 접촉자(6.1), (6.2); (7.1), (7.2) 사이에 중심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두 접점에서 대략 동일한 힘이 작용하여, 동일한 마찰 운동이 일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접점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의 양은 이들 레버(19), (20)의 길이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력은 과잉의 마찰로 인해 지나치게 크게 얻어지지 않아, 가동 접촉자(6.1), (6.2); (7.1), (7.2) 및 각각의 대향하는 고정 접촉자(8.1), (8.2); (9.1), (9.2)에서 과잉의 마모가 일어나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The first levers (19) and (20)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are preferably movable contacts (6.1), (6.2) arranged on the contact bridge; It is arranged towards the center between (7.1) and (7.2). In this way, approximately the same force acts at the two contacts, ensuring that the same frictional motion occurs. As already explained, the amount of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contact can be adjusted by the length of these levers 19, 20. Here, the frictional force is not obtained too largely due to the excessive friction, so that the movable contactors (6.1), (6.2); (7.1), (7.2) and their opposing fixed contacts (8.1), (8.2); Note that excessive wear occurs in (9.1) and (9.2).

전환 동작 동안, 상기 접점(10.1), (10.2); (11.1), (11.2)에서 마찰력을 발생하는 모멘트가 상기 플런저(3)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4), (5)에 전달된다.During the switching operation, the contacts 10.1, 10.2; Moments that generate friction in (11.1) and (11.2) are transmitted to the contact bridges (4) and (5) by the plunger (3).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자와 가동 접촉자의 배열에 있어서 약간의 부정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고정 접촉자(8.1), (8.2); (9.1), (9.2) 쌍들은 약간 수직방향으로 부정합 상태로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부정합을 정상으로 돌아오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횡단하여 그리고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뻗어 있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요동 운동이 허용된다. 그러나, 고정 접촉자(8.1), (8.2); (9.1), (9.2)가 수평면에서 부정합 상태인 것도 가능하다. 이 부정합은 플런저의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접촉 브리지(4), (5)를 장착함으로써 정상으로 돌아온다.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의 이들 요동 혹은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런저(3)의 상부 베어링(17), (18)에는 둥글게 된 지지면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manufacture of the microswitch 1, some mismatch can occur in the arrangement of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Thus, for example, fixed contactors (8.1), (8.2); It is also possible for the pairs (9.1) and (9.2) to be in a slightly vertical mismatch. In order to bring this mismatch back to normal, the contact bridges 4 and 5 respectively travers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and the longitudinal extensions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respectively. Is rotatably mounted about an axis that extends, thereby allowing swinging motion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However, fixed contactors (8.1), (8.2); It is also possible that (9.1) and (9.2) are mismatched in the horizontal plane. This mismatch returns to normal by mounting the contact bridges 4, 5 rotatably abou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In order to facilitate these rocking or rotational movements of the contact bridges 4 and 5 respectively, rounded support surfaces are formed on the upper bearings 17 and 18 of the plunger 3.

또한, 고정 접촉자(8.1), (8.2) 쌍의 고정 접촉자(9.1), (9.2) 쌍으로부터의 거리는 접촉 브리지(4), (5)의 서로에 대한 거리에 대응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상기 스프링(27), (28)에 의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distances from the pairs of stationary contacts (8.1), (8.2) of the stationary contacts (9.1), (9.2) do not correspond to the distance of the contact bridges (4), (5) to each other. This can be returned to normal by the springs 27, 28.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반원형 단면을 지닌다. 또, 고정 접촉자(8.1), (8.2); (9.1), (9.2)는 바람직하게는 V자형 단면으로 설계된다. 상기 가동 접촉자와 고정 접촉자의 이 형상에 의해, 마찰 운동이 용이하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movable contacts 6. 1, 6. 2; (7.1) and (7.2) have semicircular cross sections. In addition, the fixed contact (8.1), (8.2); (9.1) and (9.2) are preferably designed with a V-shaped cross section. This shape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facilitates frictional movement.

1: 마이크로스위치 2: 하우징
3: 플런저 4, 5: 접촉 브리지
6.1, 6.2, 7.1, 7.2: 가동 접촉자 8.1, 8.2, 9.1, 9.2: 고정 접촉자
10.1, 10.2, 11.1, 11.2: 접점 12: 안내부
13: 센터링 부분 14: 센터링 소자
15, 16: 하부 베어링 17, 18: 상부 베어링
19, 20: 제1레버 23, 24: 제2레버
25, 26: 안내부 27, 28: 스프링
31, 32: 대좌
1: microswitch 2: housing
3: plunger 4, 5: contact bridge
6.1, 6.2, 7.1, 7.2: movable contact 8.1, 8.2, 9.1, 9.2: fixed contact
10.1, 10.2, 11.1, 11.2: Contact 12: Guide part
13: centering part 14: centering element
15, 16: lower bearing 17, 18: upper bearing
19, 20: first lever 23, 24: second lever
25, 26: guides 27, 28: spring
31, 32: pedestal

Claims (13)

하나의 가동 접촉자(6.1, 6.2, 7.1, 7.2)와 하나의 고정 접촉자(8.1, 8.2, 9.1, 9.2)를 각각 구비한 적어도 2개의 접점(contact point)(10.1, 10.2; 11.1, 11.2)을 포함하되, 상기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접촉 브리지(contact bridge)(4, 5) 상에 배열되고, 해당 접촉 브리지(4, 5)는 플런저(plunger)(3)에 의해 이동가능한 동시에, 상기 접점(10.1, 10.2, 11.1, 11.2)이 개방되어 있는 제1전환위치(first switching position)로부터 상기 접점(10.1, 10.2, 11.1, 11.2)이 폐쇄되어 있는 제2전환위치로 이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해당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transversely)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제1레버(19, 20)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접촉 브리지(4, 5)가 접촉자(6.1, 8.1; 6.2, 8.2; 7.1, 9.1; 7.2, 9.2)의 개폐 동안 해당 접촉 브리지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평행하게 뻗어 있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장착되어 있는 마이크로스위치(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의 적어도 하나의 레버(19, 20)가 상기 플런저(3) 내의 대좌(seat)(21, 22)에 장착되므로, 상기 접촉 브리지(4, 5)가 상기 플런저의 규정된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상기 회전 운동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각 접점(10.1, 10.2, 11.1, 11.2)의 대향하는 접촉자(6.1, 8.1; 6.2, 8.2; 7.1, 9.1; 7.2, 9.2)에서의 해당 회전 운동에 의해 발생된 마찰 운동이 강제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
At least two contact points 10.1, 10.2; 11.1, 11.2 with one movable contact (6.1, 6.2, 7.1, 7.2) and one fixed contact (8.1, 8.2, 9.1, 9.2), respectively The movable contacts 6.1, 6.2, 7.1 and 7.2 are arranged on contact bridges 4 and 5, the corresponding contact bridges 4 and 5 being moved by a plunger 3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hift from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re open to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in which the contacts 10.1, 10.2, 11.1 and 11.2 are closed. The contact bridges 4, 5 may comprise at least one first lever 19, 20 arrange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s 4, 5, and The contact bridges 4, 5 exten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tacts 6.1, 8.1; 6.2, 8.2; 7.1, 9.1; 7.2, 9.2. In the micro switch (1) is mounted to perform a rotating movement about the front barrel,
Since at least one lever 19, 20 of the contact bridge is mounted to seats 21, 22 in the plunger 3, the contact bridge 4, 5 is mounted at a defined point of the plunger.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ntact bridges 4, 5 is determined, thereby translating the longitudinal extensions of the contact bridges 4, 5 of each contact 10.1, 10.2, 11.1, 11.2. Micro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rictional motion generated by the corresponding rotational motion in the opposing contacts (6.1, 8.1; 6.2, 8.2; 7.1, 9.1; 7.2, 9.2) is forcibly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는 상기 접촉 브리지(4, 5)가 대항해서 폐쇄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적어도 1개의 상부 베어링(17, 18)과 상기 접촉 브리지(4, 5)가 대항해서 개방 위치에 놓이게 되는 적어도 1개의 하부 베어링(15, 16)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 베어링(17, 18)은 상기 하부 베어링(15, 16)에 대해서 대각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2. The plunger (3)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nger (3) has at least one upper bearing (17, 18) and the contact bridge (4, 5) in an open position against which the contact bridge (4, 5) is placed in a closed position. A micro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lower bearing (15, 16) which lies on the upper bearing (17, 18), which is arranged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bearing (15, 16).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19, 20)는 상기 접촉 브리지(4, 5)에서 2개의 가동 접촉자(6.1, 6.2; 7.1, 7.2) 사이에서 중심을 향하여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The first lever (19, 20) according to claim 1 or 2 is arranged toward the center between two movable contacts (6.1, 6.2; 7.1, 7.2) in the contact bridge (4, 5). Micro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상기 제1레버(19, 20)에 대향해서 배열된 동시에 상기 플런저(3) 내의 안내부(25, 26)에서 안내되는 추가의 레버(23, 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The contact bridges (4, 5) of claim 1 or 2 are arranged opposite the first lever (19, 20) and guided by guides (25, 26) in the plunger (3). Micro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dditional levers (23,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서 횡단하여 또한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대해서 횡단하여 뻗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The contact bridg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bridges 4, 5 are centered about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and transversely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extension of the contact bridges 4, 5. Micro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moun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상기 플런저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Microswitch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bridge (4, 5) is rotatably mounted abou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lun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3)의 상부 베어링(17, 18)은 둥글게 된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Microswitch (1)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earing (17, 18) of the plunger (3) comprises a rounded support surfa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는 상기 접촉 브리지(4; 5)에 대해서 동일하게 설계되고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접촉 브리지(5; 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The microswitch (1)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microswitch (1) comprises at least one additional contact bridge (5; 4) designed and mounted identically to the contact bridge (4; 5). Microswitch (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는 각각 상기 플런저(3)의 길이방향으로 스프링(27, 28)에 의해서 해당 플런저(3)에서 지지되고, 상기 스프링(27, 28)의 일단부는 상기 접촉 브리지(4, 5)에 접속되고 상기 스프링(27, 28)의 타탄부가 상기 플런저(3) 내의 대좌(31, 32)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9. The contact bridges (4, 5) of claim 8 are supported by the plungers (3) by springs (27, 28)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s (3), respectively.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tact bridge (4, 5) and the tartan part of the spring (27, 28) is arranged on the pedestal (31, 32) in the plunger (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브리지(4, 5)의 각각 상에는 상기 스프링(27, 28)용의 센터링 돌기부(centering projection)(29, 30)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10. The microswitch (1) according to claim 9, characterized in that centering projections (29, 30) for the springs (27, 28) are arranged on each of the contact bridges (4, 5).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촉자(8.1, 8.2, 9.1, 9.2)는 V자형 단면을 지니고, 상기 가동 접촉자(6.1, 6.2, 7.1, 7.2)는 반원형 단면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The fixed contact (8.1, 8.2, 9.1, 9.2) of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able contact (6.1, 6.2, 7.1, 7.2) has a semi-circular cross section. Microswitch (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는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3)는 해당 하우징(2) 내에서 안내되며, 상기 하우징(2)은 상기 플런저(3)의 센터링 소자(14)를 안내하는 센터링 부분(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스위치(1).3. The microswitch (1)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icroswitch (1) comprises a housing (2), the plunger (3) is guided in the housing (2), and the housing (2) is connected to the plunger (3). And a centering portion (13) for guiding the centering element (14) of (3). 삭제delete
KR1020107003693A 2007-07-26 2008-06-25 Microswitch KR10114617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34989.2 2007-07-26
DE102007034989A DE102007034989B3 (en) 2007-07-26 2007-07-26 microswitch
PCT/EP2008/005160 WO2009012858A1 (en) 2007-07-26 2008-06-25 Micro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047A KR20100034047A (en) 2010-03-31
KR101146175B1 true KR101146175B1 (en) 2012-05-24

Family

ID=3968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693A KR101146175B1 (en) 2007-07-26 2008-06-25 Microswitch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174330B1 (en)
JP (1) JP2010534903A (en)
KR (1) KR101146175B1 (en)
CN (1) CN101816055B (en)
AT (1) ATE553490T1 (en)
DE (1) DE102007034989B3 (en)
HK (1) HK1143242A1 (en)
TW (1) TWI382435B (en)
WO (1) WO2009012858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58Y1 (en) 2014-05-20 2016-04-20 주식회사 우진기전 Auxiliary switches having self-cleaning 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74388A (en) * 2009-11-20 2011-05-25 朱平远 Switch with contact automatically cleaning function
CN101950873B (en) * 2010-09-19 2012-04-25 戴丁志 Movable contact bridge member
CN103681057A (en) * 2012-09-21 2014-03-26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Emergency luminaire switch assembly structure
CN103681059B (en) * 2012-09-21 2016-12-21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Lamp switch
CN103578842B (en) * 2013-10-22 2014-11-26 国家电网公司 Synchronous multistage breaker
CN104392850A (en) * 2014-11-26 2015-03-04 宁波嘉林电子有限公司 Multifunctional circuit changeover switch
CN107068460A (en) * 2017-03-14 2017-08-18 江苏高博锐电气有限公司 A kind of microswitch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8169A (en) 1954-03-15 1956-08-07 Gen Motors Corp Electrical switch
KR960025066U (en) * 1994-12-28 1996-07-22 Micro switch
US20040048521A1 (en) 2002-09-10 2004-03-11 Hogue Ronald Lee High power electrical contactor with improved bridge contact mechanism
EP1575075A2 (en) * 1998-12-18 2005-09-14 Panasonic Electric Works Europe AG Contact unit for electromagnetic relay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38663U (en) * 1955-06-07 1957-01-31 Siemens Ag CONTACT DEVICE FOR MULTIPLE BREAKERS.
JPS43736Y1 (en) * 1966-05-02 1968-01-17
FR1510980A (en) * 1966-12-12 1968-01-26 Unelec Double-cut electrical device
JPS4330981Y1 (en) * 1967-04-14 1968-12-17
DE2132658A1 (en) * 1971-06-30 1973-01-18 Marquardt J & J ELECTRIC SWITCH
JPS5180673U (en) * 1974-12-23 1976-06-26
DE2525467C3 (en) * 1975-06-07 1983-04-21 Calor-Emag Elektrizitäts-Aktiengesellschaft, 4030 Ratingen Contact arrangement
JPS5929307Y2 (en) * 1979-12-17 1984-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switchgear
JPS6343323U (en) * 1986-09-05 1988-03-23
JPH01121229U (en) * 1988-02-12 1989-08-17
JP2000306460A (en) * 1999-04-19 2000-11-02 Hitachi Ltd Panel and display device
DE10315243B3 (en) * 2003-04-03 2004-08-26 Siemens Ag Electromechanical switching system for relays, switches and pushbuttons has main contact bridge providing contact path between pairs of fixed contac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8169A (en) 1954-03-15 1956-08-07 Gen Motors Corp Electrical switch
KR960025066U (en) * 1994-12-28 1996-07-22 Micro switch
EP1575075A2 (en) * 1998-12-18 2005-09-14 Panasonic Electric Works Europe AG Contact unit for electromagnetic relays
US20040048521A1 (en) 2002-09-10 2004-03-11 Hogue Ronald Lee High power electrical contactor with improved bridge contact mechanis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158Y1 (en) 2014-05-20 2016-04-20 주식회사 우진기전 Auxiliary switches having self-cleaning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6055B (en) 2013-04-10
TW200905707A (en) 2009-02-01
DE102007034989B3 (en) 2009-03-12
TWI382435B (en) 2013-01-11
ATE553490T1 (en) 2012-04-15
WO2009012858A1 (en) 2009-01-29
EP2174330B1 (en) 2012-04-11
CN101816055A (en) 2010-08-25
KR20100034047A (en) 2010-03-31
JP2010534903A (en) 2010-11-11
HK1143242A1 (en) 2010-12-24
EP2174330A1 (en) 2010-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75B1 (en) Microswitch
USRE33457E (en) Switch
KR101778104B1 (en) Mechanical switch contact
RU2533191C2 (en) Electrical snap-action switch
US6031191A (en) Sliding frame with a break contact arrangement
CA1289996C (en) Electrical switch with rocker actuator having removable locking key
JP5581327B2 (en) Pivoting mechanism for locking tripping circuit breaker type electric device that cuts off circuit
GB1603820A (en) Electric switches
KR20080109822A (en) Electrical switch element, particularly a relay, with swivelling lever switch mechanism
US4712079A (en) Motor controller auxiliary contact unit with flexure member
US3626132A (en) Switch contacts
US4170725A (en) Switch with sliding contactor
US3286049A (en) Switch unit with integral contact and actuator structure
US3489874A (en) Control switch for an electric dry razor
CA2207562C (en) Multi-functional electrical switch assembly with momentary operating mechanism
AU752069B2 (en) Circuit breaker
CN111403203B (en) Change-over switch device
WO2019145890A1 (en) Control mechanism for switches and the like
KR20160070020A (en) Electrical pushbutton snap switch
KR100444097B1 (en) Switch
GB2052866A (en) Electric switch
AU2015415489B2 (en) Point machine and switch with snap-a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said point machine
KR101506473B1 (en) Electrical switch element, in particular a relay, for the simultaneous switching of a plurality of circuits
JP2023108824A (en) switch
CN107633962B (en) Device for damping the movement of a control shaft in an electrical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