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22B1 - 선인장 압축재 - Google Patents

선인장 압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22B1
KR101146122B1 KR1020090135058A KR20090135058A KR101146122B1 KR 101146122 B1 KR101146122 B1 KR 101146122B1 KR 1020090135058 A KR1020090135058 A KR 1020090135058A KR 20090135058 A KR20090135058 A KR 20090135058A KR 101146122 B1 KR101146122 B1 KR 101146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cactus
compressive
compress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5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8288A (ko
Inventor
이대용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35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2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2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par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1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0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 E04C3/2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with reinforcements or tensioning members prestressed

Abstract

내장되는 탄성부재(스프링)를 미리 압축시키어 선 인장력을 도입하여, 압축강도, 좌굴강도 또는 국부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선인장 압축재가 제공된다.
상기 선인장 압축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압축재 몸체와, 상기 압축재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재 몸체에 선인장 도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압축재 몸체의 내측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압축재의 선인장력 도입을 통하여, 압축 또는 (국부)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한편, 특히 기존 압축재에 비하여 선 인장력 도입이나 그 조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구조 간소화를 통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선 인장력 압축재, 스프링형 압축재, 압축 강도

Description

선인장 압축재{PRE-TENSIONED COMPRESSION MEMBER}
본 발명은 내장되는 탄성부재를 미리 압축시키어 선인장력을 도입하여, 압축또는 (국부) 좌굴강도 등을 향상시키는 선인장 압축재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재의 선인장력 도입을 통하여, 압축 또는 (국부)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기존 압축재에 비하여 선 인장력 도입이나 그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구조 간소화를 통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 선인장 압축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압축재는 구조물에 있어서 압축력을 주로 받는 부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압축재의 대표적인 예로는 교량의 교각, 건물의 기둥 및 브레이싱 부재를 들 수 있으며, 이 밖에 각종 타워 형태의 구조물 및 압축력을 받는 트러스 현재들도 압축재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압축재는 세장비에 따라 장주와 중주 그리고 단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장주는 비교적 큰 세장비를 갖는 압축재로 오일러(Euler) 공식에 의한 탄성좌굴이 그 설계강도를 지배하며, 단주는 비교적 작은 세장비를 갖는 압축재로 부재의 항복이 그 설계강도를 지배한다.
한편,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중주의 경우는 좀 더 복잡하여 압축재의 불완전성(Initial Imperfection), 비탄성거동, 그리고 잔류응력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이론적으로 유도된 후 실험 결과를 토대로 수정된 설계식에 의해 그 설계강도가 예측되어 사용되고 있다.
장주의 설계 압축강도는 일반적으로 강재의 항복강도보다는 압축재의 세장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장주의 경우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세장비를 최소화하는 단면을 산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설계압축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최적 단면 산정에 의한 설계경제성의 제고는 그 효과가 그리 크지 않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장주의 설계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어 오고 있으며, 장주의 설계경제성 향상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오일러(Euler)공식에 의한 탄성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지금까지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아이디어가 제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주와 단주의 경우에 있어서는 설계경제성 확보를 위해 일반적으로 항복강도가 큰 강재가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이는 항복강도가 큰 강재의 사용을 통해 설계압축강도를 증가시킴으로서, 압축재를 구성하는 강재의 판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높은 항복강도를 갖는 강재의 사용으로 인한 지나친 강재 판 두께의 감소는 압축재의 설계에 있어 중대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국부좌굴이다.
국부좌굴은 압축력을 받는 강재의 두께가 얇은 경우 압축재 전체의 좌굴이 발생하기 전에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좌굴현상이다. 이와 같은 국부좌굴은 압축재 전체의 내하력저하를 초래하므로 구조물의 안전상 중요한 문제가 된다.
중주와 단주의 설계에 있어 제기되고 있는 또 다른 문제점으로 압축재의 최대 설계압축강도가 강재의 항복강도 이내로 제한이 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압축재, 특히 단주의 경우에 있어 적당한 방법에 의해 부재에 초기 인장력을 갖게할 수 있다면, 이 압축재는 항복강도를 지나 초기 인장력만큼 더해진 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통하여 강재의 항복응력보다 큰 설계 압축강도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건의 동일 출원인과 발명자가 특허 출원하여 특허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57745호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 선인장 압축재를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튜브 형태의 압축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내부판재들을 삽입하고, 이들의 곡률을 조절볼트 등을 통하여 조절하고, 상기 내부판재의 끝단에는 회전자가 결합되고, 회전자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자 가이드가 형성된 상,하단판을 포함하는 선입장 압축재를 개시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에서 개시되고 있는 종래의 선인장 압축재는, 선인장 압축재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실제 내부판재의 곡률로서 선인장 도입력을 조정하기 때문에, 선인장 사전 도입도 어려우며, 따라서 전체적인 선인장 압축재의 실효성이 적고, 사용도 불편하며 제작이나 장치 유지도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압축재의 선인장력 도입을 통하여, 압축 또는 (국부)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특히 기존 압축재에 비하여 선 인장력 도입이나 그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구조 간소화를 통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한 선인장 압축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압축재 몸체;와, 상기 압축재 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재 몸체에 선인장 도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압축재 몸체의 내측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인장 압축재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압축재 몸체는 한쌍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는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의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에 용접되거나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쐐기수단을 매개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상기 압축재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수단은,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 종방향으로 제공된 다수의 개구부 중 선택된 하나의 개구를 관통하여 지지되면서 탄성부재 지지체를 고정하는 쐐기;와, 상기 쐐기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스톱퍼;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쐐기에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 개구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개구부의 폭 보다는 두께가 큰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개구부 상,하측으로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연장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에는 상기 쐐기가 안착되면서 지지되는 쐐기 안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 중 탄성부재 상부에 배치되며 탄성부재 지지체의 고정위치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포켓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압축재 몸체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를 매개로 다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부재 내부에 내장되는 탄성부재를 미리 압축시키는 선 인장력 도입을 통한 압축재의 인장력 구축을 통하여, 압축강도, 좌굴강도 또는 국부 좌굴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기존 압축재에 비하여 압축재로의 선 인장력 도입 조정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구조 간소화를 통하여,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압축재의 구조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설계 경제성을 향상시키며, 구조물의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기존 압축재와 비교하여 더 큰 설계하중에 저항할 수 있음은 물론 동시에 전체 좌굴강도 및 국부 좌굴강도의 증대를 통해 실용적인 설계를 가능하게 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압축재가 장주의 경우 오일러공식에 의한 탄성 좌굴하중을 증대시키며, 압축재가 중주와 단주의 경우에 있어서도, 강재의 항복응력 보다 큰 압축강도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는 압축재의 전체 좌굴과는 별도로 선인장 압축재의 내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국부좌굴에 대해서도 큰 저항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결국,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1)는, 각종 토목 및 건축 구조물(이하, '상부 구조물' 이라 함)을 지지하는 압축재 설계에 있어서 그 단면적 감소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기존 압축재에 비하여 크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구조물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고, 공간 활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이점들을 제공하는 본 실시예의 선인장 압축재(1)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2 및 도 3,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선인장 압축재(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의 경우 압축재 몸체(10)의 일측 즉, 상측에 탄성부재 지지체(50)가 제공되고, 도 3,4의 경우 압축재 몸체(1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탄성부재 지지체(50a)(50b)가 제공되는 차이가 있다.
또한, 도 1,2의 경우 압축재 몸체(10)가 측벽의 플레이트(10b)와 바닥 플레이트(10a)로 구성된 튜브형태 즉, 단면상 사각 형태를 도시하고, 도 3,4의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측에 탄성부재 지지체(50a)(50b)가 제공되기 때문에, 바닥 플레이트(10a)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차이가 있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튜브 형태의 압축재 몸체 즉, 사방에 플레이트(10b)들이 일체로 된 박스체 형태의 압축재 몸체를 도시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마주하는 한쌍의 플레이트(10b)들만으로도 압축재 구성이 가능하다.
즉, 탄성부재 지지체(50)가 탄성부재(30) 예를 들어 미리 압축된 상태로 제공되는 스프링을 압축시킨 상태로 압축재 몸체(1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0b)에 용접 즉, 스폿 용접(W)으로 고정되므로,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인 플레이트들이 압축재 몸체(10)의 수평 연결재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마주하는 한쌍의 플레이트(10b)들 만으로도 압축재 몸체(10)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튜브 구조체의 도 1 내지 도 4와 같은 사방의 플레이트(10b)들이 일체로 된 박스형태의 압축재 몸체(10)로 구성하는 것이다.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압축재 몸체(10)를 구성하는 신장된 플레이트(10b)들이 탄성부재를 매개로 선 인장력이 도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1)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압축재 몸체(10)와, 상기 압축재 몸체(10)에 선인장 도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탄성부재(30) 및, 상기 압축재 몸체(10)에 상기 탄성부재(30)를 압축상태로 고정토록 제공되는 탄성부재 지지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탄성부재(30) 즉, 압축 스프링을 미리 압축시킨 상태로 탄성부재 지지체(50)를 압축재 몸체(10)에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용접이나 별도의 부재(도 7의 쐐기수단(7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플레이트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 등록 특허에서 개시된 선인장 압축재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코일 스프링의 탄성부재(30)를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 저항력이 우수하고,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10b)들로 몸체를 구성하기 때문에, 좌굴 저항력도 우수한 것이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축재 몸체(10)는, 내측에 상기 스프링으로 제공되는 탄성부재(30)가 배치되되, 상기 탄성부재(30)를 압축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체(50)가 도 1,2와 같이, 상측 또는 하측, 도 3,4와 같이 상,하측에 각각 고정되는 적어도 마주하는 한쌍의 플레이트(10b) 바람직하게는 사방의 플레이트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상기 압축재 몸체(10)를 구성하는 적어도 마주하는 한쌍의 플레이트(10b)사이로 도 1,2와 같이 상측 또는, 도 3,4와 같이 상,하측에 각각 고정되는 탄성부재 지지체(50a)(50b)들로 제공되는데, 예컨대 스프링 지지 플레이트 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탄성부재 지지체(50)인 수평 플레이트들은, 몸체의 플레이트들에 용접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10b)사이에 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W)을 통하여 플레이트에 수평하게 탄성부재(30)인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상태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의 몸체 플레이트 용접 위치에 따라 스프링의 압축력 인가가 조정되고, 이에 따라 압축재 몸체에 도입되는 압축력도 조정됨은 물론이다.
다음,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부재(30)를 몸체 플레이트에 용접으로 접합하지 않고, 고정위치의 조정이 용이한 형태로 조립되는 것도 가능한데, 일예로 몸체 플레이트(10b)를 관통하여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쐐기수단(70)을 매개로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쐐기수단(70)은,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플레이트(10b)들의 종방향으로 제공된 다수의 개구부(14) 중 선택된 하나의 개구를 관통하여 탄성부재 지지체(50)를 고정하는 쐐기(74) 및, 상기 쐐기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스톱퍼(7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a와 같이, 미리 상기 플레이트들에 개구부(14)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시키고, 탄성부재인 스프링을 압축하는 탄성부재 지지체(50)인 플레이트의 스프링 압축 위치를 조정하는 상태에서, 상기 쐐기수단(70)의 쐐기(74)를 개구부를 통하여 진입시키면,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원하는 스프링 압축 위치에서 몸체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쐐기수단(7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튜브 구조체 형태로 사방의 플레이트(10b) 들이 일체로 되어 압축재 몸체 자체가 구조 강도를 확보하도록 하는 형태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쐐기수단(70)은, 본 발명 탄성부재 지지체(50)인 수평 플레이트들의 스프링 압축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압축재에 도입되는 선 인장력 조정이 매우 용이한 것이다.
이는 다음에 도 5 및 도 6에서 설명하듯이, 상부에 연계 시공되는 상부 구조물(100)의 설치 환경에 따른 선인장력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의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를 사용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때, 도 1,2와 같이 상기 스프링인 탄성부재는 탄성부재 지지체에 힘을 계속 가하는 상태이므로, 쐐기(74)가 플레이트 개구부를 통하여 탄성부재 지지체의 상면에 걸리어 지지되면, 쐐기의 이탈은 사실상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더 바람직하게는 도 7b와 같이, 상기 쐐기(74)에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의 개구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개구부의 폭(t1) 보다는 두께(t2)가 큰 돌출부(72)를 포함하는 것이다.
동시에, 쐐기 일단부에 일체로 되는 상기 스톱퍼(76)는, 상기 개구부 상,하측으로 플레이트(10b)의 외면에 밀착되는 연장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에는 상기 쐐기(74)의 플레이트 통과한 진입부분이 안착되면서, 쐐기에 의한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쐐기 안착부(52)를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쐐기 돌출부(72)는 플레이트 개구에 쐐기가 긴밀하게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게 하고, 쐐기는 탄성부재 지지체의 플레이트 안착부(52)에 안착되고, 따라서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좌유 유동없이 긴밀하게 쐐기로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탄성력은 탄성부재 지지체의 플레이트와 이에 걸리어 지지되는 쐐기 및 쐐기가 고정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몸체의 선인장 도입이 이루어 지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쐐기수단(70)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탄성부재 지지체의 플레이트를 몸체 플레이트에 (스폿) 용접하는 것이 강도 확보 면에서는 바람직하지만, 선 인장력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서는 쐐기수단의 사용도 필요한 것이 다.
다음,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1)에서, 상기 압축재 몸체(1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10b)에서, 플레이트에 용접 고정되는 탄성부재 지지체 보다 위에 있는 상측의 플레이트 부분(S) 즉, 포켓부(12)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부에 연계 시공되는 상부 구조물 들의 설치조건에 따라 절단 제거될 수있다.
즉, 도 5와 같이, 기둥 등의 상부 구조물(100)의 베이스(110)가 평판한 경우에는 상기 포켓부(12)는 절단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반대로 도 6과 같이, 베이스(110)에 선인장 압축재(1)의 몸체 포켓부(12)사이에 끼워지는 돌출부(112)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포켓부(12)를 제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인장 압축재(1')는 단위 압축재(1)들을 압축재 몸체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110)를 매개로 다중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도 1 ,2의 본 발명의 단위 선인장 압축재(1)들을 서로 마주하도록 하고, 그 사이로 몸체 상부의 포케부(12)사이에 박스형태의 지지부재(90)를 개재하여 다중 구조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도 8과 같이, 단위 압축재의 플레이트 상단간에는 밀착되지 않고 이격(D)되는 것이 선인장 도입을 위하여 필요하다.
물론, 도 8에서는 도1,2와 같이 몸체(10)를 사방의 플레이트(10b)와 바닥 플레이트(10a)로 구성되는 박스체 구조가 아니고, 도 3,4와 같이 상,하측에 탄성부재 지지체의 플레이트가 고정되는 구조이면, 또는 도 3,4의 선인장 압축재 하나와 도 1,2의 선인장 압축재를 그 양측에 배치하는 3중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인장 압축재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 발명 압축재를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도 1의 본 발명 압축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본 발명 압축재를 도시한 구조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본 발명 압축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본 발명 압축재의 쐐기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및 구조도
도 8은 도 1의 본 발명 압축재를 2중 구조로 한 것을 도시한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선인장 압축재 1'.... 2중 구조의 선인장 압축재
10.... 압축재 몸체 10b.... 몸체 플레이트
12.... 포켓부 30.... 탄성부재(압축 스프링)
50.... 탄성부재 지지체 70.... 쐐기수단
90.... 지지부재

Claims (8)

  1. 압축재 몸체(10);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압축재 몸체(10)에 선인장 도입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탄성부재(30); 및,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내측에 고정장착되어 상기 탄성부재(30)를 압축된 상태로 지지하는 탄성부재 지지체(5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인장 압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는 스프링부재로 제공되며,
    상기 압축재 몸체(10)는 한쌍의 플레이트(10b)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10b)의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압축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상기 한쌍의 플레이트(10b)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탄성부재(30)의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압축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는,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플레이트(10b)에 용접되거나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쐐기수단(70)을 매개로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상기 압축재 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압축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수단(70)은,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 종방향으로 제공된 다수의 개구부(14) 중 선택된 하나의 개구를 관통하여 지지되면서 탄성부재 지지체(50)를 고정하는 쐐기(74); 및,
    상기 쐐기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스톱퍼(76);
    를 포함하여 구성된 선인장 압축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74)에는, 상기 압축재 몸체의 플레이트 개구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개구부의 폭(T1) 보다는 두께(T2)가 큰 돌출부(72)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76)는, 상기 개구부 상,하측으로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연장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지지체(50)에는 상기 쐐기가 안착되면서 지지되는 쐐기 안착부(5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압축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재 몸체(10)의 플레이트 중 탄성부재(30) 상부에 배치되며 탄성부재 지지체의 고정위치보다 상측에 구비되는 포켓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선인장 압축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압축재 몸체사이에 개재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재(110)를 매개로 다중 구조로 구성된 선인장 압축재.
KR1020090135058A 2009-12-31 2009-12-31 선인장 압축재 KR101146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58A KR101146122B1 (ko) 2009-12-31 2009-12-31 선인장 압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5058A KR101146122B1 (ko) 2009-12-31 2009-12-31 선인장 압축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88A KR20110078288A (ko) 2011-07-07
KR101146122B1 true KR101146122B1 (ko) 2012-05-16

Family

ID=44917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5058A KR101146122B1 (ko) 2009-12-31 2009-12-31 선인장 압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3U (ko) 1985-06-17 1987-01-06
KR100657745B1 (ko) 2005-07-19 2006-12-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인장 압축재
KR20080057108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교각
KR20080056900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인장 압축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43U (ko) 1985-06-17 1987-01-06
KR100657745B1 (ko) 2005-07-19 2006-12-1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인장 압축재
KR20080057108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조립식 교각
KR20080056900A (ko) * 2006-12-19 2008-06-24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선인장 압축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8288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6267B2 (en) Construction frame shear lug
KR101011220B1 (ko) 내하성능 및 사용성능이 개선된 강거더
KR101164413B1 (ko) 마찰재를 이용한 중약진 지진용 강성증대형 비좌굴가새
JP4419088B2 (ja) 建築物の耐震補強構造
KR101200589B1 (ko) 볼트 조임력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강재 보의 제작방법
US20080022610A1 (en) Composite energy absorbing structure
CN105155710A (zh) 一种自复位软钢耗能支撑
KR101229468B1 (ko) 커플링 보
WO2016046796A2 (en) Dissipative connection with optimized stiffness and strength for joining construction elements
JP200622605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ラーメン構造の既存建物の耐震補強工法
KR100758994B1 (ko) 형강인 수직보강부재로 보강된 빔과 그 설치구조 및 이를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39761B1 (ko) 건축물용 보강 벽
KR101146122B1 (ko) 선인장 압축재
CN107514076B (zh) 免承重力仅受剪力的钢板剪力墙
KR100871831B1 (ko) 휨 하중이 미리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가설 교량 및 그제작 공법
CN203097040U (zh) 一种抗疲劳预应力钢-混凝土组合梁
KR101796207B1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KR100657745B1 (ko) 선인장 압축재
KR101208106B1 (ko) 기둥이 중력만 부담하는 강판전단벽 시스템
CN110318568B (zh) 一种自复位装配式桁架结构
JP5934033B2 (ja) 圧縮ブレースによる耐震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KR102616443B1 (ko) 막구조물 강관 연결 조립체
KR101353450B1 (ko) 선인장 압축재
CN212835964U (zh) 一种装配式中部梁柱预应力节点构造
KR101940857B1 (ko) 강관 및 이를 이용한 합성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