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5012B1 -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5012B1
KR101145012B1 KR1020100060742A KR20100060742A KR101145012B1 KR 101145012 B1 KR101145012 B1 KR 101145012B1 KR 1020100060742 A KR1020100060742 A KR 1020100060742A KR 20100060742 A KR20100060742 A KR 20100060742A KR 101145012 B1 KR101145012 B1 KR 101145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cylindrical
circumferential surface
connecting member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96A (ko
Inventor
서수원
주인욱
김재준
김진용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00060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012B1/ko
Priority to US13/167,802 priority patent/US20110319979A1/en
Publication of KR20120000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012B1/ko
Priority to US14/841,770 priority patent/US2015036668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89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the wire-like element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 rings flexibly connected by separat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63Assembling or joining with prestressing of pa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설정된 크기의 외력이 가해질 때 내측의 비어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원통형 부재; 및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원통형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상기 원통형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텐트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소정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질병, 외상, 수술 등에 의하여 인체 내의 내강들이 좁아져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키거나 확장된 내강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하는 장치들이 이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스텐트(stent)이다.
즉, 내강이 좁아지는 경우 식도암으로 식도가 협착을 일으키거나, 동맥 경화로 인해 원활한 혈액 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간으로부터 나오는 담즙이 흐를 수 있는 트랙이 협착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스텐트를 협착된 내강에 설치하여 상기 내강을 확장시키고 유지시켜줌으로써, 음식물이나 혈액 또는 담즙 등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텐트는 내강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구성 및 특성을 갖고 있으며, 상기 스텐트가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서도 각각 다른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관에 스텐트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소화관의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의 유연성이 보장될 수 있는 스텐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X선 영상의학장비를 이용하여 내강에 설치하던 과거와는 달리, 오늘날에는 내시경의 삽입장치가 가늘어져 내시경의 사인 채널(sine channel)을 통해 내강에 설치할 수도 있는바, 삽입장치의 내경을 고려하여 피복하지 않은 스텐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강의 위치 및 종류, 설치되는 방법에 따라 이용되는 스텐트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기준을 나누어보면, 어느 정도의 길이 방향에 대한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느 정도의 확장력을 가지고 있는지,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지, 어느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이 있을 수 있다.
그 중에서, 길이 방향에 대한 유연성은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는 점에서, 내구성은 스텐트의 교체 주기를 결정한다는 점에서, 스텐트를 삽입하는 환자에게 있어 가장 민감한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길이 방향에 대한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스텐트에 역학적 피로가 증가하게 되어 스텐트의 내구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반대로 스텐트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경우, 스텐트의 재질 및 구조의 강성이 증가하게 되어 길이 방향에 대한 유연성이 감소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에 대한 유연성과 내구성은 서로 역관계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텐트를 삽입하는 환자에게 있어 가장 민감한 기준이 될 수 있는 이 두 가지 기준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스텐트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소정의 내구성을 확보하여 피로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되, 기설정된 크기의 외력이 가해질 때 내측의 비어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수의 원통형 부재; 및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원통형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상기 원통형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구비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원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원통형 부재에서 가장 인접하는 피크부와 밸리부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단으로 배열된 원통형 부재의 원주면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원주면의 절반에만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 하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는데, 상기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하나의 열은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일직선의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지그재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 다수의 열로 배치될 수도 있는데, 상기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다수의 열은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일직선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거나, 또는 일직선 형태 및 지그재그 형태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원통형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원통형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소정의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연결 부재를 변형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열을 변형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예를 들어 가정한 스텐트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및 도 3는 연결 부재를 변형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열을 변형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다수의 원통형 부재(100)와 이를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200)를 포함한다.
다수의 원통형 부재(100)는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되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은 내강의 측벽에 접하는 면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설정된 크기의 외력이 가해질 때 내측의 비어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어떠한 형상을 가져도 무방하다.
여기서, 외력이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가 내강에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용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외력의 기설정된 크기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삽입하는 장치가 가할 수 있는 힘의 크기, 원통형 부재(100)의 수축되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크기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원통형 부재(100)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을 다수의 피크부(peak part)와 밸리부(valley part)를 구비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피크부와 밸리부가 이루는 각각의 각(angle)들을 축소시킴으로써, 원통형 부재(100)의 내부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 부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을 마름모 또는 원형의 형상과 같은 홀을 갖도록, 직선 부재를 연결한 구조 또는 면을 갖는 부재를 관통하는 구조, 즉 그물망과 같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에 형성된 홀의 크기를 축소시킴으로써, 원통형 부재(100)의 내부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 부재(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주면을 구비하는 원통형 부재(100)는 내강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원통형 부재(100)의 크기는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피크부와 밸리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거나 내부 공간에서의 원주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
한편, 원통형 부재(100)는 음식물이나 혈액 또는 담즙 등이 내강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그 단부가 개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원통형 부재(100)의 재질도 내강의 위치 및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데, 원통형 부재(100) 자체의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금속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금속 재질임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수의 원통형 부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내강에서의 위치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텐트보다 쉽게 조정하기 위함이다.
즉,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스텐트는 단발성으로 내강에 설치되므로, 최초 삽입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도록 조심성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원통형 부재(100)를 순차적으로 내강에 설치하면 되므로, 최초 삽입시 원하는 위치에 설치하도록 조심성을 기할 필요성이 줄어들 것이다.
이러한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원통형 부재(100)는 다음과 같은 구성 및 작용을 갖는 다수의 연결 부재(200)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연결 부재(200)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직선의 와이어(wire)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인 소정의 내구성 확보를 위하여 고리(ring) 형상을 갖는 부재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리 형상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의미하며,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이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폐곡선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인접한 폐곡선이 통과하는 형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 부재(200)는, 서로 대향하는 원통형 부재(100)에서 가장 인접하는 피크부와 밸리부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원통형 부재(100)를 각각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200)는 원통형 부재(100)와 동일하게 자체의 내구성을 고려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자체 구조적으로 수축될 수 있으며 내강의 내측면과 접하여 이를 확장하는 것이 주요 역할인 원통형 부재(100)는 탄성을 갖는 것을 크게 요하지 않지만, 연결 부재(200)의 경우에는 원통형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늘어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각각의 원통형 부재(100)를 순차적으로 내강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이러한 특징을 부각하기 위하여는 연결 부재(200)가 원통형 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충분히 늘어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연결 부재(20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부재(200)는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 상에서 어디든지 배치되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하나인 길이 방향의 유연성 유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연결 부재(2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용하기 용이하도록, 단으로 배열된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누었을 때 원주면의 절반에만 위치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실상 동일한 굵기의 재질로 구성된 원통형 부재이지만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굵은 선으로 도시한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의 절반에만 연결 부재(2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일반적으로 스텐트를 내강에 삽입하여 설치하기 이전에 내강의 주된 움직임 방향을 예측할 수 있으므로, 주된 움직임 방향을 고려하여 내강의 내측 중 이완되는 부위에는 연결 부재(200)를 위치시키지 않고 수축되는 부위에만 연결 부재(200)를 위치시킴으로써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결 부재(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 절반 상에 하나의 열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 절반 상에 둘 이상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200)를 몇 개의 열로 배치할 것인지 여부는 내강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길이 방향의 유연성이 내구성보다 더 필요한 내강의 경우에는 연결 부재(200)를 하나의 열로 배치할 수 있으며, 반대로 내구성이 길이 방향의 유연성보다 더 필요한 내강의 경우에는 연결 부재(200)를 다수의 열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열의 개수뿐만 아니라, 열의 형태도 내강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즉, 내강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경우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하나의 열을 일직선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나, 내강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하나의 열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일직선의 형태로 구성되는 연결 부재(200)의 열은 원통형 부재(100)의 원주면 절반을 직사각형의 평면으로 바라볼 때 가장 긴 일직선의 형태, 즉 대각선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내강의 움직임 정도가 큰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연결 부재(200) 간의 마찰을 방지하는데 용이하다.
이와 같은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열의 형태는 하나의 열로 연결 부재(200)를 배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수의 열로 연결 부재(200)를 배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각각의 도면을 모두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다수의 열에 있어서 각각의 열을 일직선의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다수의 열에 있어서 각각의 열을 일직선 형태와 지그재그 형태의 혼합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내강에 삽입하는 과정 및 내강에 삽입된 이후에 작용을 설명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예를 들어 가정한 스텐트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9에서 A부분을 확대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를 내강에 삽입하기 위하여, 원통형 부재(100)를 압착하여 내부 공간을 축소시킨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원통형 몸체(100)의 원주면이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구비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각각의 원통형 부재(100)를 강제로 압박하여 피크부와 밸리부가 이루는 각각의 각(angle)을 줄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원통형 몸체(100)의 원주면이 마름모 또는 원형의 형상과 같은 홀을 갖는 경우라면, 상기 홀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 공간이 축소된 각각의 원통형 부재(100)는, 일체형 스텐트와 같이 원통형 부재(100) 전체가 단발성으로 삽입되지 않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이때, 내강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연결 부재(200)가 배치되는 열을 내강의 내측 어느 부위에 위치시킬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삽입된 원통형 부재(100)는 강제로 압박되던 힘이 제거되므로, 피크부와 밸리부가 이루는 각각의 각은 다시 늘어나거나 홀의 크기가 다시 커지게 되고, 원통형 부재(100)의 내부 공간은 다시 확장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내강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가 내강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내강은 확장되어 더 이상 협착되지 않는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100)는 다수의 단으로 배열되므로 연결 부재(200)에 의해 구속되는 점을 제외하고 어느 정도의 자유성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가 설치된 내강의 움직임이 커지더러라도, 상기 내강으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줄어든다. 즉, 내강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각각의 원통형 몸체(100)도 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내강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다수의 원통형 부재(100)로 구성되기 때문에 충분한 길이 방향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내강의 움직임에도 적절히 대응할 수 있지만, 원통형 부재(100)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200)는 그 만큼 역학적 피로를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200)를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응력 집중부를 분산시켜 역학적 피로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실천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8과 같이 와이어 형상의 연결 부재를 갖는 스텐트를 가정(supposition)하여 보면, 와이어 형상의 특성상 종방향으로는 응력이 분산될 수 있으나, 횡방향으로는 응력이 쉽게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텐트의 사용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스코어(score)로 인해 쉽게 피로 파괴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상의 연결 부재의 일측에 스코어가 발생되면, 상기 스코어 부분에 응력 집중부가 쉽게 형성되어, 피로 파괴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에 포함된 연결 부재(200)는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비록 스코어가 발생되더라도 스코어 부분에 응력 집중부가 쉽게 형성되지 않고 이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응력 집중부의 분산은 역학적 피로를 줄여 피로 파괴될 가능성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는 소정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일 실시예가 구부려지더라도, 길이 방향의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스텐트를 장착해야하는 환자는 이질감을 보다 적게 느끼게 될 것이며, 장착된 스텐트의 교체 시간을 장시간 가져갈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원통형 부재
200 : 연결 부재

Claims (9)

  1. 양단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설정된 크기의 외력이 가해질 때 내측의 비어 있는 공간이 축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원통형 부재; 및
    고리 형상 또는 서로 연결된 2개 이상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원통형 부재를 연결함으로써 동일 축 상에 단으로 배열된 상기 원통형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는, 다수의 피크부와 밸리부를 구비하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된 원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서로 대향하는 상기 원통형 부재에서 가장 인접하는 피크부와 밸리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통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단으로 배열된 원통형 부재의 원주면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으로 나누었을 때 상기 원주면의 절반에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 하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하나의 열은,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일직선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하나의 열은,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지그재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 다수의 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가 배치되는 다수의 열은,
    상기 원주면의 절반 상에서 일직선 형태 또는 지그재그 형태 중 어느 하나이거나, 또는 일직선 형태 및 지그재그 형태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KR1020100060742A 2010-06-25 2010-06-25 스텐트 KR10114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42A KR101145012B1 (ko) 2010-06-25 2010-06-25 스텐트
US13/167,802 US20110319979A1 (en) 2010-06-25 2011-06-24 Stent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US14/841,770 US20150366684A1 (en) 2010-06-25 2015-09-01 S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42A KR101145012B1 (ko) 2010-06-25 2010-06-25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96A KR20120000396A (ko) 2012-01-02
KR101145012B1 true KR101145012B1 (ko) 2012-05-11

Family

ID=45353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42A KR101145012B1 (ko) 2010-06-25 2010-06-25 스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319979A1 (ko)
KR (1) KR1011450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623B1 (ko) * 2012-03-02 2014-06-20 주식회사 시브이바이오 성능개선을 위한 스텐트
CN104490500B (zh) * 2014-12-25 2017-01-18 周玉杰 一种适用于冠状动脉迂曲成角病变的锁链式冠脉支架
US10499913B2 (en) * 2015-08-31 2019-12-10 Ethicon Llc Tubular surgical constructs including adjunct material
US10569071B2 (en) 2015-08-31 2020-02-25 Ethicon Llc Medicant eluting adjuncts and methods of using medicant eluting adjuncts
KR20180075945A (ko) * 2016-12-27 2018-07-05 심민혁 스텐트
CN107296668A (zh) * 2017-08-01 2017-10-27 有研医疗器械(北京)有限公司 一种非覆膜血管支架及其释放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051A (en) * 1986-11-03 1992-01-28 Toermaelae Pertti Layered surgical biocomposite material
KR100260871B1 (ko) * 1997-10-02 2000-07-01 주인욱 길이방향 유연성을 가지는 자기 팽창성 스텐트
WO2009065087A1 (en) * 2007-11-14 2009-05-22 Biosensors International Group, Ltd. Automate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73670B1 (en) * 1989-10-02 1997-07-02 Medtronic Inc Articulated stent
CA2079417C (en) * 1991-10-28 2003-01-07 Lilip Lau Expandable stent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683448A (en) * 1992-02-21 1997-11-04 Boston Scientific Technology, Inc. Intraluminal stent and graft
RU2157146C2 (ru) * 1995-06-13 2000-10-10 ВИЛЬЯМ КУК Европа, A/S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мплантации в сосудах и полых органах (его варианты)
AU2785597A (en) * 1996-05-31 1998-01-05 Bard Galway Limited Bifurcated endovascular stent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ir placement
US6258117B1 (en) * 1999-04-15 2001-07-10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Multi-section stent
EP1998716A4 (en) * 2006-03-20 2010-01-20 Xtent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RELATED PROSTHETIC SEGMENTS
US20100292777A1 (en) * 2009-05-13 2010-11-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4051A (en) * 1986-11-03 1992-01-28 Toermaelae Pertti Layered surgical biocomposite material
KR100260871B1 (ko) * 1997-10-02 2000-07-01 주인욱 길이방향 유연성을 가지는 자기 팽창성 스텐트
WO2009065087A1 (en) * 2007-11-14 2009-05-22 Biosensors International Group, Ltd. Automated coa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19979A1 (en) 2011-12-29
KR20120000396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012B1 (ko) 스텐트
EP3733045B1 (en) Bendable tube with improved elastic hinge
US9597206B2 (en) Anti-migratory stent coating
JP5378386B2 (ja) 改善された給送特性を有する磁気吻合器具
JP5795364B2 (ja) ステント
JP2018167035A (ja) 食道ステント
ES2415169T3 (es) Dispositivo de estabilización ósea
JP2019531867A5 (ko)
JP2008508939A5 (ko)
JP2005261951A5 (ko)
US8668711B2 (en) Medical instrument with a flexible sealing system via spherical heads
EP2821033B1 (en) Projection-type partially dual-structured stent
US9585689B2 (en) Access port
US11331499B2 (en) Medical device implant carrier for fragile medical implants
CN109688974B (zh) 全弓设计
JP2019155090A (ja) 光学トロカールアセンブリ
CN219782850U (zh) 心脏瓣膜输送用调弯鞘管
US9498357B2 (en) Stent
CN116269931A (zh) 输送内管、输送结构及介入手术输送系统
CN112998907B (zh) 覆膜支架
CN217593152U (zh) 输送内管、输送结构及介入手术输送系统
EP3278752B1 (en) Bone plate system with inserts for contacting an adjacent bone surface
USRE48453E1 (en) Feeding tube aperture
JP7462514B2 (ja) 骨固定プレート
US9750665B2 (en) Feeding tube aper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