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855B1 -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855B1
KR101144855B1 KR1020110089241A KR20110089241A KR101144855B1 KR 101144855 B1 KR101144855 B1 KR 101144855B1 KR 1020110089241 A KR1020110089241 A KR 1020110089241A KR 20110089241 A KR20110089241 A KR 20110089241A KR 101144855 B1 KR101144855 B1 KR 101144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bimetal
led
contac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2264A (en
Inventor
이준배
박정호
Original Assignee
이준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배 filed Critical 이준배
Priority to KR1020110089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55B1/en
Publication of KR2011011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2/00Devices having temperatur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나 구이판 및 프라이팬에 결합되거나, 상기 조리용기에 결합되는 기구에 장착되어 조리에 알맞은 용기의 가열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기의 온도상태를 파악하고, 화상으로 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며 요리에 알맞은 온도상태를 유지하고, 과열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온도구간 표시장치 관한 것이다. 온도구간 감지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200도에서 400도 사이의 고온에서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고, 종래의 복잡한 구조와 장치를 단순화하여 매우 싸게 제작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기의 온도상태를 미리 설정된 유용한 온도구간에 따라 비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한 장치이다. 온도구간의 표시는 LED의 색상을 통하여 나타내며, 별도로 픽토그램부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온도구간을 쉽게 나타내거나, 회사의 로고나 브랜드이미지를 사용하여 온도구간정보 표시이외에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oking vessel or roasting plate and a frying pan, or mounted on the appliance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to display the heating state of the container suitable for cooking, the user grasps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container, safe to use from the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capable of saving energy by maintaining a temperature state suitable for cooking and preventing overheating. Temperature detection is achieved by using a bimetal switch, and the bimetal switch is manufactur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between 200 degrees and 400 degrees,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by simplifying a conventional complicated structure and apparatus. It is a device that provides the user with the temperature condition dis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preset useful temperature range. The display of the temperature range is indicated through the color of the LED, and a separate pictogram unit is used to easily indicate the temperature range to the user or to display the temperature range information using the company's logo or brand image. will be.

Figure 112011068932510-pat00001
Figure 112011068932510-pat00001

Description

고온용 바이메탈을 사용한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using bimetal for high temperature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나 구이판 및 프라이팬에 결합되거나, 상기 조리용기에 결합되는 기구에 장착되어 조리에 알맞은 용기의 가열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용기의 온도상태를 파악하고, 화상으로 부터 안전하게 사용하며 요리에 알맞은 온도상태를 유지하고, 과열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온도구간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도구간 감지는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는 200도에서 400도 사이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어 용기의 온도상태를 미리 설정된 유용한 온도구간에 따라 비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쉽게 조리용기의 상태를 알아볼 수 있도록 단순화하고, 상기 바이메탈을 LED를 사용한 표시부와 직접 연결하여 단순화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cooking vessel or roasting plate and a frying pan, or mounted on the appliance coupled to the cooking vessel to display the heating state of the container suitable for cooking, the user grasps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container, safe to use from the im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erature display device capable of saving energy by maintaining a temperature state suitable for cooking and preventing overheating. Temperature detection is performed using bimetal switches, which are design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s between 200 and 400 degrees, providing non-experts to the user by discontinuously providing the temperature of the vessel to a user according to a preset useful temperature ran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plified display device for simplifying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tate of a cooking container and by directly connecting the bimetal to a display unit using an LED.

각종 조리용기 가열판이나 조리실 내부 및 튀김 기름 등의 온도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동으로 조리시에 조리에 적합한 온도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최적의 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장치는 많이 출시되어 왔다. 이들은 통상의 온도계의 개념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각종 온도센서로 구성되는 센서부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신호처리부에서 분석하여 이를 디지털 수치로 표현하여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해 온도정보를 전달한다. 주로 써미스터나 써모커플 센서를 가열판에 부착하여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와 생성된 기전력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자동조리에 사용하거나 수동요리시 사용자에게 주로수치로 표시하여 정보를 전달한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등록실용신안 0391155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각종 조리관련기구에 장착되는 노력이 계속되었으나 그 가격의 한계와 제품의 복잡성으로 상용화된 제품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By providing a user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such as various cooking vessel heating plates, cooking chambers, and fried oil, many devices have been releas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 temperature suitable for cooking at the time of manual cooking to create an optimal dish. They do not differ greatly from the concept of a normal thermometer, and the signal from the sensor unit composed of various temperature sensors is analyzed by the signal processor to express it as a digital value to convey the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the display unit. Mainly attach thermistor or thermocouple sensor to the heating plate to process the resistance change and generated electromotive force signal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use it for auto cooking or to display the information mainly for the user during manual cooking. Efforts have been made to mount such display devices on various cooking-related appliances as known from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91155, but few products have been commercializ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price and the complexity of the products.

등록특허 200273172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조리 용기에 튀김용 온도계와 같이 튀김장치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튀김용 집게등에 일체형으로 부착하여 수시로 튀김용 기름의 온도를 체크할 수 있는 제품도 출시되었다. 등록특허 20027766호에는 프라이팬에 전원부, 센서부와 신호처리부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를 장착하여 조리용기의 측면하단 온도를 표시해주는 기술이 공지되어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74258 호에는 조리기 손잡이에 온도감지센서와 회로, 그리고 알람용 부저를 설치하여 용기가 미리 설정된 온도에 이르면 조리자에게 경보음을 발생하여 조리자가 불조절을 하도록 유도하게 되어있다. As known in Korean Patent No. 200273172, a product that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a frying apparatus such as a frying thermometer in a cooking vessel or attached integrally to a frying tongs can check the temperature of frying oil at any time. Patent 20027766 discloses a technique for displaying a temperature at the bottom side of a cooking vessel by mounting a power unit, a sensor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and a display unit in a frying pan.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4258, a temperature sensor, a circuit, and an alarm buzzer are installed on the handle of the cooker, and when the container reaches a preset temperature, the cooker generates an alarm sound to induce the cooker to be uncontrolled.

최근에 전기그릴을 많이 사용하게 됨에 따라 가열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품도 출시되었으며, 등록특허 100648005 에는 가열판을 독립적으로 분리한 내용이 공지되어 있고, 이를 개선한 본 출원인에 의한 공개출원특허 2011-46753 에는 이러한 온도제어를 이용하여 그릴 가열판의 각 부분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각 부분의 온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요리를 일시에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the use of electric grills has also been released, a produc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plate has also been released, the content of the independent separation of the heating plate is known in the Patent No. 100648005, published by the present applicant improved the patent application 2011-46753 In this way, the temperature control is used to independently control each part of the grill heating plate to provide the user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of each part to provide convenience for the user to perform various dishes at one time.

이러한 제품들은 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그 신호처리 절차가 모두 포함되어 관련 부품과 PCB가 필수로 되어 저가의 제품에 장착하기에는 경제적인 문제점이 존재하여 주로 고가의 제품에만 장착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조리온도에 대한 개념이 부족한 초보 조리자에 있어서는 전달된 온도정보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These products include all the signal processing procedures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and the related parts and PCBs are essential, so there is an economic problem to mount them on low-cost products, and thus they are mainly installed only on expensive products. In the case of a novice cooker lacking the concept of for not having enough advantage of the transmitted temperature information.

단순화된 장치나 재료를 사용하여 제한된 온도정보 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저가의 제품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의 대표적인 예로는 프라이팬 중앙부에 변색도료를 구비하여 일정온도 이상에서 색이나 무늬가 변화하여 사용자가 단순히 프라이팬이 달구어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시장에 많이 팔리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345534호와 20-0356388호에는 변색도료가 구비된 주방용기용 손잡이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공지된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색상변환필름이나 변색도료를 사용하여 주방용기의 일측면에 부착하거나, 손잡이에 부착하여 프라이팬 온도의 지표로 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수준에서 변색도료는 온도변화의 반복에 의해 탄화되거나 광범위한 온도변화를 커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실제 시장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조리용기의 중앙부에 변색도료를 장착하여 130도 정도에서 색이 변하는 제품은 단순히 용기가 달구어지기 시작하였다는 정도의 표시만이 가능한 것이다. 공개특허 2006-0045645호에는 조리용 손잡이 부분에 하나의 바이메탈을 장착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바이메탈이 휘는 정도를 사용하여 아날로그식으로 온도를 표시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실제 데워지는 온도인 70도에서 고온 조리에 적합합 250도에 이르는 광범위한 온도를 하나의 바이메탈에 지침용 바늘을 달아 아날로그로 표시하는 것은 제작이 거의 불가능함은 물론 사용자가 단지 눈금을 보고 현재 용기의 온도상태를 명확히 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한 공개특허 2011-52606호에는 조리에 유용한 온도구간을 설정하고 상기 온도구간에 맞추어진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하여 특정 온도간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 역시 제어부가 별도로 존재하며, 온도영역 표시를 위한 200도 이상에서 동작하는 상용화된 바이메탈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매우 고가이어서, 고온에서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도정보를 제공하는 장치가 구조는 간단하지만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ow temperature product by providing limit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user by using a simplified device or material is a color change paint in the center of the frying pan. Many products are sold on the market to help determine the frying pan's heat. Registered Utility Models 20-0345534 and 20-0356388 are known for handles for kitchen containers equipped with discoloration paint. This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kitchen vessel using a color conversion film or color change paint that changes color according to a known temperature, or attached to the handle to be an indicator of the frying pan temperature. However, in the state of the art, the discoloration pain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carbonized by the repetition of the temperature change or cover a wide range of temperature changes. Actually, the product sold in the market is equipped with a discoloration paint at the center of the cooking vessel, and the product that changes color at about 130 degrees can only display the degree that the container has started to be heat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045645, one bimetal is mounted on a cooking handle part to adopt a method of displaying temperature in an analog manner by using a degree of bending of the bimetal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However, analogue display of a wide range of temperatures from 70 degrees, which is the actual warming temperature to 250 degrees, suitable for high-temperature cooking, with a guide needle on one bimetal is almost impossible to manufacture, and the user can simply look at the scale It is very difficult to clearly determine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vessel. [0003] The present applica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tting a temperature range useful for cooking and providing only a specific temperature information to a user by using a bimetal switch adapted to the temperature range. This device also has a separate control unit, and commercially available bimetal switches that operate at more than 200 degrees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range are generally very expensive. Thus, a device that provides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a bimetal switch at high temperatures is simple in structure but priced. This is an expensive disadvantage.

통상적으로 바이메탈 스위치는 공개특허 1994-10135호 내용과 유사하게 주로 열기구의 보호용 스위치로 많이 사용되어, 일정온도 이상에 도달하면 전류를 차단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하나의 스위치 구조에 다수의 바이메탈과 다수의 접점부를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의 보호역할을 담당하는 스위치 구조는 등록실용 1991-7299호나 등록특허 10-0773865호에 다양한 모양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메탈 스위치들은 대부분 고전류 제품으로 제작되어 바이메탈과 접점부 사이에는 반드시 은과 같은 극저저항 접촉부가 필요하여 공정에서 접점부의 크리닝도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상대적으로 고가이며, 바이메탈과 금속의 접점부를 결합하는 절연성질을 가진 결합부가 150도 이하에서 동작하는 플라스틱 재질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고온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세라믹을 사용하여 결합시킬 때는 그 성형과 조립이 특수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는 등 어려워서 매우 특수한 사양으로 수입제품이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In general, bimetal switch is mainly used as a switch for protecting a hot air balloon, similar to the contents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994-10135, and serves to block a current when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is reached. A switch structure that plays a protective role of various functions by using a plurality of bimetals and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in one switch structure is known in various forms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991-7299 or 10-0773865. However, most of these bimetal switches are made of high-current products, and very low resistance contacts such as silver are required between the bimetal and the contact part, so cleaning of the contact part is also very important, and it is relatively expensive. It is not generally used at high temperature because the plastic material that is operated at 150 degrees or less is generally used for the bonding part with insulation property,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nd assemble when joining using ceramics. As a result, imported products are sold at high pri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출원인에 의한 공개특허 2011-52606호의 장치를 극히 단순화하고 고온에서 작동이 가능한 저렴한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저가의 고온용 조리기구에 부착이 가능한 온도구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하나의 고온용 바이메탈스위치와 결합된 LED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단순화함으로써 제어부가 생략된 간단한 장치로써 미리 설정된 조리에 유용한 온도영역에 해당하는 조리용기의 온도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compensate for the above drawbacks, and by using the low-cost bimetal switch that can be operated at high temperature and greatly simplified the apparatus of the Patent Publication No. 2011-52606 by the applicant, it is possible to attach to a low-cost high-temperature cookware The object is to provide a display of possible temperature ranges. In other words, by using a LED display device combined with a single high-temperature bimetal switch, the controller is simplified to omit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cooking vessel corresponding to a temperature range useful for preset cooking. will be.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상용화된 저온용 바이메탈 스위치를 코팅 금속결합체를 사용하여 고온용으로 전환함으로써 200도 이상의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저전압 저전류 사양에 적합하게 재 구성하여 상기 단일한 바이메탈 스위치를 사용하여 저가의 제품으로 다수의 온도구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verting the conventional commercially available low-temperature bimetal switch to a high temperature by using a coating metal binder, it can be used even in an environment of 200 degrees or more, and reconfigured to meet the low-voltage low current specification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s with low cost products using the single bimetal switch.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면 단일한 바이메탈스위치를 사용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 온도구간을 판별하여 구간별로 나누고, 상기 각 구간에서의 온도분포 표시를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단순히 LED의 색상을 사용하여 온도정보를 제공하거나, 몇 개의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용기상태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온도구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bimetal switch is used to determine a temperature section having a significant meaning and divides it by sections, and simply uses the color of the 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isplay in each s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that provides a temperature information or displays using a few pictograms so that the user can cook in an optimal container stat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장치는 온도구간에 따른 LED의 다양한 색상변화를 이용하여 불빛 상단에 회사로고나 광고용 로고를 사용함으써 시각적 브랜드이미지 광고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온도구간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temperature section that can additionally obtain a visual brand image advertising effect by using a company logo or an advertising logo on the top of the light by using various color changes of the L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ction. The object is to provide a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온도구간 표시장치는 시스템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온도구간에 따라 각각 다른 색을 표시하는 LED표시부, 상기 LED표시부와 직접 연결되며 온도측정 목적물과 접촉하여 정해진 온도구간에 따라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부로 구성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a system, an LE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a temperature section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and directly connecting the LED display unit. It is composed of a bimetal switch unit in contact with the temperature measurement target to perform the on-off oper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ection.

상기 LED표시부는 저항과 LED 만으로 구성되는 간단한 PCB에 장착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는 온도에 따라 변위가 변하는 바이메탈부와 각각의 색을 표현하는 상기 LED표시부의 LED와 연결되는 각 색상별 접점부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각각의 접점부를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체부로 구성된다. 상기 LED표시부는 각각의 색상을 가지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거나, RGB 삼색을 표현할 수 있는 단일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LED 상단에 현재의 온도상태를 알려주는 픽토그램이나, 제조자의 상표를 표현하는 광고효과용 픽토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The LED display unit is mounted on a simple PCB consisting of only a resistor and LED, the bimetal switch unit is a bi-metal unit that changes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the contact portion for each color connected to the LED of the LED display unit expressing each color and the It consists of a bimetal part and an assembly part which mechanically couples each said contact part. The LED display un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s having each color, or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ED that can represent RGB tricolor, and a pictogram indicating the current temperature state on the LED, or expressing a manufacturer's trademark. It may include a pictogram for advertising effects.

상기 바이메탈부는 한 개 또는 다수의 자유단을 가지는 외팔보형식의 바이메탈로 구성되며, 온도변화에 따라 구리나 구리합금으로 구성된 각 접점부와 이들을 고정시키는 결합체부와 하나의 몸체로 결합되어, 상기 바이메탈부와 상기 각 접점부가 접촉되어 상기 LED를 점멸하게 된다. 상기 결합체부는 고온에 적합한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전기적 절연을 위하여 표면에 코팅부를 형성하게 된다.The bimetal part is composed of a cantilevered bimetal having one or more free ends. The bimetal part is coupled to each contact part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an assembly part for fixing them, and a body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And each of the contact part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make the LED blink. The assembly por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uitable for high temperature, and forms a coating portion on the surface for electrical insulation.

본 발명에 의한 온도구간 표시장치에 의하여 조리용기의 주요한 온도구간을 LED표시부를 통하여 LED의 색상이나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쉬운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사용자는 매우 쉽게 조리용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main temperature range of the cooking vessel to the user through the LED display using a color or a visually easy pictogram of the L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cooking vessel. It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 의하여 조리용기 사용자는 용기의 온도상태를 파악함으로써 무의식적 접촉에 의한 화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과열에 의한 쓸데없는 에너지의 낭비로부터 벗어나 사용자가 비용절약이 가능하며 요리에 적합한 적절한 에너지 사용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king vessel user can prevent burn accidents due to involuntary contact by grasping the temperature state of the container, and the user can save money from the waste of unnecessary energy due to overheating and to cook. Appropriate energy use is possible.

본 발명에 의한 온도구간 표시부에 사용되는 바이메탈 스위치는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제작이 단순하고 저전압 스위치에 적합하고, 하나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다양한 LED 색상 점멸이 가능하여 스위치의 저가화 및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전체 시스템의 가격 절감과 소형화의 장점이 있다.The bimetal switch used in the temperature rang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t high temperature, its production is simple and suitable for low voltage switch, and various LED colors can be flickered using one switch, so that the switch can be reduced in cost and miniaturiz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of the cost reduction and miniaturization of the entire system.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에 구비되는 광고용 LED 표시부는 사용자가 온도구간 정보 인식뿐만 아니라 시각적 브랜드 인지효과로 제품이나 회사의 브랜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dvertising LED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maximize the brand advertising effect of the product or company by visual brand recognition effect as well as temperature section information recogni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온도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도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발명에 의한 다접점바이메탈 스위치의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접점 바이메탈 스위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체부를 사용한 바이메탈 스위치의 일 실시예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바이메탈 스위치의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general temperature display devic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mperatur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ample of a multi-contact bimetal swit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4 is an embodiment of a multi-contact bimetal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mbodiment of a bimetal switch using a combina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imet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설명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발명에 의한 일반적인 온도 감지 및 표시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써미스터나 써모커플이 사용되는 온도감지센서(1)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로 부터 발생하는 저항의 변화나 기전력변화를 받아들여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2), 현재의 온도상태를 주로 숫자로 표현해 주는 온도표시부(3) 및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4)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에게 정확한 온도상태를 알릴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저가의 주방제품에 장착되기에는 가격적인 면에서나 구조적인 장착면에서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2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에게 최소한의 온도정보만을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블럭도로써, 상기 온도감지센서(1)를 최소한의 온도정보만을 제공하는 바이메탈을 사용하는 바이메탈 스위치부(5)로 대치하고, 제어부(2)는 제거하며, 상기 온도표시부(3)는 수치적인 접근을 배제하고 단순히 LED의 색상만을 가지고 표현해주는 LED표시부(6)를 사용한다. 전원부(4)는 상기 LED표시부(6)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한의 직류전압을 가지는 전지로 구성되며, 통상적으로는 1.9V 이상의 건전지가 사용된다. 상기 LED표시부(6)는 단순히 LED의 색상변화로써 온도구간을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빛을 발하는 LED 전면에 픽토그램부(7)를 설치하여 단순한 그림으로 현재 온도구간 정보를 제공하거나, 온도구간 정보와는 별개로 회사의 로고나 브랜드 이미지를 삽입하여 사용자에게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 실시예이다.FIG. 1 illustrates a general temperature sensing and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 conventional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is typically generated from a temperature sensor 1 and a temperature sensor 1 in which a thermistor or thermocouple is used. The control unit 2 receives a change in resistance or a change in electromotive force to process a signal, a temperature display unit 3 mainly expressing a current temperature state by numbers, and a power supply unit 4 supplying driving power. This configuration can inform the user of the correct temperature, but in reality it is very difficult in terms of price and structural mounting to be mounted on low-cost kitchen products.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viding a minimum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user to compensate for this disadvantage, the bimetal switch unit 5 using a bimetal that provides only the minimum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temperature sensor 1 ), The control unit 2 is removed, and the temperature display unit 3 uses the LED display unit 6 to exclude the numerical approach and express only the color of the LED. The power supply unit 4 is composed of a battery having a minimum DC voltage for driving the LED display unit 6, and a battery of 1.9V or more is usually used. The LED display unit 6 may use a method of expressing the temperature section simply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LED, but by providing a pictogram unit 7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LED to provide the current temperature section information in a simple picture, or the temperature It is also a preferred embodiment to insert a company's logo or brand image separately from the sec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have an advertising effect.

이러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핵심구성부품은 고온에서 작동하며 온도구간에 따라 작동하여 다른 접점신호를 전달해줄 수 있는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5)로서, 이는 기본적으로 온도에 따라 변위가 변하는 바이메탈부(11)와 고정접점부(12)로 구성된다. 도 3은 종래의 발명에 의한 바이메탈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와 같은 다접점을 가지는 제품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바이메탈부(11,11')는 온도변화에 따라 휘어 고정접점부(12,12')와 접촉하여 특정온도 이상에서는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부(11,11') 상단에 장착되어있는 가동접점(13,13')과 상기 고정접점부(12,12') 상단에 장착되어있는 고정접점(14,14')은 직접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대부분의 바이메탈 스위치의 용도가 누전 및 과열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기의 역할로서 작동하므로 대부분 고전류 사양을 위해 극저저항을 가지는 은과 같은 재료로 제작된다. 대부분의 상용 보호용 스위치는 도면과 같이 바이메탈의 연속적인 변위를 사용하지 않고 바이메탈의 온도에 따른 버클링 현상을 이용하여 일정온도 이상에서 순간적으로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이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접촉부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방법이다. 이러한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여 접점을 구성하는 것은 부품가격의 상승으로 이어져 저가의 주방기기와의 결합을 불가능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바이메탈 스위치부는 본질적으로 3V 이하의 저전압을 사용하므로 상기와 같은 가동접점(13,13')과 고정접점(14,14')을 본질적으로 제거하여 사용하지 않으므로 스위치의 단순화 및 저가화를 이룰 수 있다. The core component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imple configuration is the bimetal switch unit 5 which operates at a high temperature and can transmit different contact signals by operating according to a temperature section, which basically has a displacement depending on temperature. The bimetal part 11 and the fixed contact part 12 which change is comprised. Figure 3 shows a bimetal switch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invention shows an example of a product having a multi-contact point as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metal parts 11 and 11 'are bent in contact with the temperature chang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parts 12 and 12' so that the switch is connected to or above a specific temperature or vice versa. In addition, the movable contacts 13 and 13 'mounted on the upper ends of the bimetal parts 11 and 11' and the fixed contacts 14 and 14 'mounted on the upper ends of the fixed contact parts 12 and 12'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electrical contact, most bimetal switches are used as protectors to prevent accidents caused by short circuits and overheating, so most ar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ilver with extremely low resistance for high current specifications. Most commercial protective switches do not use the bimetal continuous displacement as shown in the figure, but use the buckling phenomen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bimetal so that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instantaneously combin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This is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to a minimum. The construction of contacts using these expensive materials leads to an increase in parts prices,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combine with low-cost kitchen appliances. Since the bimetal switch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ow voltage of 3 V or less intrinsically, the movable contact 13 and 13 'and the fixed contact 14 and 14' are not used to remove the switch, thereby simplifying and reducing the cost of the switch. Can be achieved.

도 4는 도 3의 구조를 두 개의 바이메탈을 사용하여 두 개의 온도구간을 다른 색상의 LED를 사용하여 표현하기 위한 바이메탈 스위치부(5)의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 스위치부의 일 실시예로써, 상기 가동접점(13,13')과 고정접점(14,14')이 모두 제거되고 자체 재료를 사용하여 프레스가공된 엠보싱 형태의 볼록가동접점(15,15')만을 구비하여 고정접점부(12,12')와 온도변화에 따라 직접 접촉하게 한다. 고전압 고전류 응용제품에서의 이러한 전기적 접촉은 불완전하여 스파크 발생의 위험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응용에서의 적용은 미세한 LED 불빛의 밝기 변화로 나타나므로 상용제품에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4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각각의 바이메탈의 길이가 다르게 제작되어 미리 설정된 각기 다른 온도에서 두 개의 스위치가 작동하게 된다.FIG. 4 is an embodiment of the bimeta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bimetal switch unit 5 for expressing the structure of FIG. 3 using two bimetals using two different color LEDs. The fixed contact portion 12, 12 is provided with only the embossed convex movable contacts 15, 15 'which are all removed from the contacts 13, 13' and the fixed contacts 14, 14 'and pressed using their own materials. Contact with ') and temperature change. Such electrical contact in high voltage high current applications is incomplete and risks of sparking, but applications in applications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appear as a change in brightness of fine LED lights, making it applicable to commercial product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Figure 4, the length of each bimetal is made different so that the two switches operate at different preset temperatures.

도 3에 도시된 스위치부에서 결합체부(18)는 플라스틱이나 에폭시를 사용하여 상기 각각의 접점부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적인 상용제품은 그 적용온도 한계가 섭씨 150~200도로써 이것은 상기 결합체부(18)의 본질적인 재료의 한계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러나, 통상의 주방용기는 조리온도는 200도 이하에서 가능하나, 사용자의 과실로 200~300도 사의 온도는 수시로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용화된 제품은 직접 적용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특수 사양으로 나와있는 고온제품은 상기 결합체부(18)를 세라믹과 같은 고온재료로 성형하고 특수 고온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구조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이 복잡하고 재료가 고가여서 통상의 낮은 온도에서 동작하는 바이메탈 스위치의 수배에 달하는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In the switch unit shown in FIG. 3, the assembly unit 18 serves to electrically insulate and mechanically couple the respective contact units using plastic or epoxy. Conventional commercial products have an application temperature limit of 150-200 degrees Celsius, which is a phenomenon inherent in the material limit of the assembly portion 18. However, a common kitchen vessel is possible at a cooking temperature of 200 degrees or less, but the temperature of the company 200-300 degrees can be reached from time to time due to the user's fault. Therefore,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conventional commercialized products directly, and the high temperature products shown as a special specification use a structure in which the joining unit 18 is formed of a high temperature material such as ceramic and bonded using a special high temperature adhesive. Doing. Thus, the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terials are expensive, creating a price that is several times that of a bimetal switch operating at ordinary low temperatur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체부(18)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스위치부(5)의 단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그 재료는 연성이 강하고 저렴한 알루미늄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고, 결합체부(18)의 표면은 절연을 위한 절연도료를 바르거나 금속과 결합이 잘되는 불소코팅을 하여, 도 5의 좌측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바이메탈부(11,11')와 고정접점부(12,12')를 결합체부(18) 사이의 공간에 삽입하고 일정압력으로 눌러 결합체부(18)의 소성변형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와 저가의 재료, 그리고 단순한 공정을 사용한 저전압 소전류용 바이메탈 스위치부(5)가 제작가능하며, 경제적이면서도 고온에서의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각 온도구간의 설정과 관계가 깊은 변수인 상기 바이메탈부(11,11')와 고정접점부(12,12') 사이의 두께는 상기 결합체부(18)의 두께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실질적인 온도구간의 설정은 상기 바이메탈부(11,11')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별도로 볼록가동접점(15,15')인 엠보싱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것은 전기적인 안정성과 관계가 깊으므로 길이를 조정하여 온도구간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side view of the bimetal switch unit 5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assembly unit 1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is a ductile material and uses a material such as inexpensive aluminum. The surface of 18) is coated with an insulating paint for insulation or fluorine coated well with a metal, and the bimetal parts 11 and 11 'and the fixed contact parts 12 and 12' are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n the left side of FIG.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assembly portion 18 and pressed at a constant pressure to be mechanically coupled using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assembly portion 18. The bimetal switch portion 5 for low voltage and low current using such a simple structure, a low cost material, and a simple process can be manufactured, and economical and high temperature application is possible. Since the thickness between the bimetal parts 11 and 11 'and the fixed contact parts 12 and 12', which is a variable deeply related to the setting of each temperature section,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part 18, the actual temperature section The setting of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bimetal parts 11 and 11 '. It is also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embossing, which is a convex movable contact (15, 15 '), but this is deeply related to the electrical stability,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emperature range by adjusting the length.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 스위치부(5)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단일한 바이메탈부(11)와 두 개의 접점부(20,21)를 적층식으로 제작하여 결합체부(18)를 사용하여 조립한 바이메탈 스위치부(5)의 단면도이다. 세가지 색을 사용하는 LED표시부(6)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접점부를 설치해야함은 자명하다. 도 6의 좌측그림에서 그 동작을 살펴보면 온도상승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부(11)가 상방으로 휘게되어 일정온도에서 제1접점부(20)와 접촉하게 되고, 계속되는 온도상승에 따라 제1접점부(20)는 제2접점부(21)와 접촉하여 완전히 온 상태로 된다. 제1접점부의 길이는 온도구간 설계에 따라 도6의 우측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게 제작되어 바이메탈부(11)가 제1접점부(20)와 접촉한 후에 계속되는 온도상승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부(11)가 상기 제2접점부(21)와 직접 접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한다. 이하 다양한 적층방식은 당업자 사이에서 자명하다. 다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극저저항을 가지는 금속간의 접점부를 모두 엠보싱 구조를 가지는 볼록부로 처리하였고, 단일한 바이메탈을 사용하는 경우는 상기 바이메탈부(11)가 제1접점부(20)와 접촉한 후 두 금속간에 약간의 마찰을 일으키며 제2접점부(21)와 접속하게 되므로, 상기 제1접점부(20)의 탄성계수는 매우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접점부(21)와 접속한 이후에는 더 이상 상방으로 마찰을 일으키며 많은 변위를 가지며 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제2접점부(21)는 탄성강도가 매우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접점부(20)는 두께가 얇고 폭이 좁은 구조의 베릴륨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접점부(21)는 경제적인 재료인 황동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구간의 설정은 상기 바이메탈부(11)와 제1접점부(20)의 길이에 의해서 결정된다.FIG. 6 shows an embodiment of the bimetal switch unit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ngle bimetal unit 11 and two contact units 20 and 21 are manufactured in a stacked manner to form an assembly 18.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bimetal switch part 5 assembled using. In the case of using the LED display part 6 using three colors, it is obvious that additional contact parts should be installed. Referring to the operation in the left figure of FIG. 6, the bimetal part 11 is bent upward as the temperature rises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art 20 at a constant temperature, and the first contact par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continues. 2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and is completely on. The length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is made relatively short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6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ction design so that the bimetal portion 11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increase that continues after the bimetal portion 11 contacts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It is also possible to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Various lamination methods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owever,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ntact portions between the metals having the extremely low resistance are treated with the convex portions having the embossing structure, and when the single bimetal is used, the bimetal portions 11 ar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rtions 20. Since the contact causes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with slight friction between the two metals,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is preferably very small. In addition, since it is not desirable to bend the friction further and have a lot of displacement after the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has a very high elastic strength. . Preferably,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uses beryllium copper having a thin thickness and a narrow structure, and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preferably uses brass or aluminum, which is an economical material. The setting of the temperature section is determined by the lengths of the bimetal part 11 and the first contact part 20.

상기 제1접점부(20)와 바이메탈부(11)와의 접속 온도는 80~100도 가 바람직하며, 이 온도는 화상을 방지하거나 조리용기가 예열됨을 알리는 온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접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접점부(21)와 바이메탈부(11)의 접속온도는 180~200도 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는 대부분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상한온도로써 더 이상 가열의 필요성이 없으므로 과열상태임을 알리는 온도구간 표시이다. 추가로 접점부를 설치하는 것은 온도구간의 정보를 세분화하여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130~160도 와 160~180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and the bimetal portion 11 is preferably 80 to 100 degrees, and this temperature is preferably used to prevent burns or to indicate that the cooking vessel is preheated. When using two contacts, the connection temperature of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and the bimetal portion 11 is preferably 180 to 200 degrees. The temperature is the upper limit temperature at which most of the cooking is performed, and thus there is no need for heating, and thus the temperature section is displayed to indicate that it is overheated.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of the contact portion is for informing the information of the temperature section, it is usually preferable to set the 130 ~ 160 degrees and 160 ~ 180 degrees.

본 발명에 따른 LED표시부(6)는 단순히 색상을 달리가지는 두 개나 세개의 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LED와 저항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5)와 전원부(4)와 직접 연결되어 바이메탈 스위치부(5)의 바이메탈부(11) 동작에 따라 LED가 온오프 구동되어 온도구간에 따른 다른 색상을 표현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수행 중, 도 4와 같이 별개의 바이메탈부(11,11')를 가지는 경우와 도 6와 같이 단일한 바이메탈부(11)를 가지는 경우에도 일정온도 이상에서는 제2접점부와 바이메탈부(11)가 접촉되어 스위치가 온 되어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제1접점부도 상기 바이메탈부(11)와 접촉되어 스위치 온상태로 되어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온도구간을 녹색으로 표현하고 제 2 온도구간을 붉은색 LED를 사용하여 표현하였을 때 붉은색 LED가 들어와있는 상태에서는 녹색 LED도 들어와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혼합색인 주황색에 가까운 색상을 보게된다. 이러한 현상은 각 LED간의 내부저항의 차이와 별도의 저항값설정으로 해결할 수 있다.The LED display unit 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LED and a resistor capable of displaying two or three color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imetal switch unit 5 and the power supply unit 4, and thus, a bimetal switch.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imetal part 11 of the unit 5, the LED is driven on and off to express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ction. During the operation, the second contact portion and the bimetal portion (at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even when the second bimetal portion 11 and 11 'are separated as shown in FIG. 4 and the single bimetal portion 11 as shown in FIG. When 11)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 the first contact part is also in contact with the bimetal part 11 to be in the switched on state.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ction is expressed in green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ction is expressed using the red LED, the green LED also comes in when the red LED is in the state. Therefore, the user sees a color close to orange, which is a mixed color. This phenomenon can be solved by the difference in the internal resistance between each LED and by setting a separate resistance valu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회로도로써 두 개의 온도구간에 대하여 두 가지 색상으로 표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과 같이 단일한 저항(30)을 사용하여 구동이 가능한 이유는, 바이메탈 스위치부(5)의 제1 접점부(20)가 온 상태가 되면 우선 LED 표시부(6)의 녹색(Green)이 점등되게 된다. 온도상승으로 제 1 접점부(20)가 켜진 상태에서 제2 접점부(21)가 온 상태가 되면 전기적으로 붉은색과 녹색 LED가 모두 켜지게 되나, 붉은색 LED와 녹색 LED의 내부저항값의 차이와 전류차이에 따른 각 색상의 밝기 차이에 의하여 붉은색 LED가 점등된 것 처럼 보이게 되며, 녹색 색상은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물론 종래의 방식대로 각각의 LED에 각각의 저항을 설정하여 제작하는 것은 당업자 사이에 자명한 내용이며, 단일한 저항을 사용하는 본 실시예에 의해 극히 간단하고 저렴한 온도구간 표시장치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일반적으로 RGB 세가지 색이 모두 구비된 단일한 LED를 사용하여 세 개의 온도구간을 표현할 때에는 LED 제작회사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한 개나 2개 의 저항 장착으로 구성이 가능하다.FIG. 7 is a simplified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mbodiment represented in two colors for two temperature sections. The reason why it is possible to drive using a single resistor 30 as shown in the figure is that when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of the bimetal switch portion 5 is turned on, the green of the LED display portion 6 is first turned on. Will be. When the second contact portion 21 is turned on while the first contact portion 20 is turned on due to the temperature rise, both the red and green LEDs are electrically turned on. Due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of each colo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nd the current difference, the red LED appears to be lit, and the green color is almost invisible. Of cours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set and manufacture each resistor in each LED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the present embodiment using a single resistor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an extremely simple and inexpensive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 In general, when expressing three temperature ranges using a single LED with all three RGB colors, there are som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ED manufacturer, but it can be configured with one or two resistors.

본 발명의 일 구성부인 픽토그램부(7)는 온도구간을 표시할 때에 단순히 LED의 색상만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부족한 경우에 LED에서 발산하는 빛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는 픽토그램을 사용하여 현재 온도상태를 알려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중온, 고온에 따른 다양한 그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LED 색상과 그림을 조합하면 온도정보 제공과 함께 부착되는 조리용기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낼 수 있다. 특히,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픽토그램부(7)에 제작회사의 로고나 브랜드와 같은 내용을 담아 사용자에게 부각시키는 경우에는 온도변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 시각적 광고기계로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 pictogram unit 7,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light emitted from the LED when the temperature range is simply displayed using only the color of the LED. It is desirable to indicate the temperature condition. Various pictures according to low temperature, mediu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can be used, and various LED colors and pictures can be combin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to provide a display effect suitable for cooking vessels attached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In particular,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ictogram unit 7 contains contents such as a logo or a brand of a manufacturing company, the user may have an effect as a visual advertisement machine displaying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스위치부의 구조와 형식변경은 당업자 사이에 자명하여, 그 결합체 및 조립구조의 내용이 동일하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며, 바이메탈 스위치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직접적인 연결방법의 변형 또한 본 발명의 내용에 모두 포함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The structure and type change of the bimeta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the contents of the combination and the assembly structure are the same, it will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seen that all of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온도감지센서 2 - 제어부
3 - 온도표시부 4 - 전원부
5 - 바이메탈 스위치부 6 - LED표시부
7 - 픽토그램부 11,11' - 바이메탈부
12,12' - 고정접점부 13,13' - 가동접점
14,14' - 고정접점 15,15' - 볼록가동접점
18 - 결합체부 20 - 제 1 접점부
21 - 제 2 접점부 30 - 저항
1-Temperature sensor 2-Control unit
3-Temperature display 4-Power supply
5-bimetal switch part 6-LED display part
7-pictogram part 11,11 '-bimetal part
12,12 '-Fixed contact 13,13'-Movable contact
14,14 '-Fixed contact 15,15'-Convex movable contact
18-assembly part 20-first contact part
21-2nd contact part 30-resistance

Claims (8)

조리용기나 상기 조리용기에 장착되는 기구물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용기의 온도정보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해주는 온도구간 표시장치에 있어서,
온도정보를 몇 개의 유용한 구간으로 분류하고, 상기 온도정보를 입수하는 다수의 접점부를 가지는 바이메탈 스위치부,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온도구간에 따라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는 LED표시부 그리고 전류를 조정하기 위한 저항과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되,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는 단일 바이메탈과 다수의 접점부로 구성되며, 전기적 절연체로 코팅된 금속 결합체부를 사용하여 상기 단일 바이메탈과 다수의 접점부를 상기 결합체부에 적층시키고 일정한 압력을 상기 결합체부에 가하여 소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바이메탈과 접점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
In the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mounted on a cooking vessel or a device mounted on the cooking vessel to grasp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ooking vessel and display it to the user,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several useful sections, and the bimetal switch unit having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for obtaining th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LED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bimetal switch unit and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section, and the current are adjusted. It consists of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resistance and power to
The bimetal switch part is composed of a single bimetal and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and by using a metal bonded part coated with an electrical insulator, the single bimetal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are laminated on the joined part and plastic deform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a constant pressure to the joined part. Temperatur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metal and the contact portion is fix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의 다수의 접점부는 상기 LED표시부의 각 색상별 LED와 연결되며, 상기 단일 바이메탈의 구동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각 접점부와 접속하여 각기 다른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of the bimetal switch unit are connected to the LEDs of each color of the LED display unit, and by connecting the respective contact parts in sequence by the drive of the single bimetal to represent different colors.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 전면에 픽토그램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LED색상 뿐만아니라 간단한 도형이나 그림을 통하여 온도구간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pictogram un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ED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easily know the temperature section information through a simple figure or picture as well as the LED col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 전면에 회사로고나 브랜드 이미지부를 설치하여 LED 색상을 통하여 온도구간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사용자에게 브랜드 광고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company logo or a brand image un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LED display unit to convey temperature section information through LED colors as well as display a brand advertisement effect to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은 단일한 저항을 가지며 여러 색상을 가지는 LED가 동시에 켜지는 경우에 LED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색상의 각 밝기가 결정되어 최종적인 색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temperature of claim 1, wherein the resistance has a single resistance, and when the LEDs having multiple colors are turned on at the same time, the brightness of each color is determined by using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LEDs. Segment dis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 스위치부는 금속결합체부의 두께에 의해 바이메탈과 접점부 사이의 두께와 접점부와 접점부 두께가 결정되며, 제1 온도구간은 바이메탈과 제1접점부의 길이에 의하여, 기타 온도구간은 접점부와 접점부들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bimetal switch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metal assembly portion, the thickness between the bimetal and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thickness, and the first temperature section is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bimetal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Temperature section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length of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구간의 표시는 요리적합구간과 과열구간 두 구간으로 분리하며, 상기 요리적합구간은 100도이상 200도 이하, 상기 과열구간은 200도 이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LED표시부의 두 가지 색상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온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구간 표시장치.The display unit of claim 1, wherein the display of the temperature section is divided into two sections, a cooking conformation section and a heating section, wherein the cooking conformation section is set to 100 degrees or more and 200 degrees or less, and the overheat section is set to 200 degrees or more. Temperature rang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user with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two colors of.
KR1020110089241A 2011-09-02 2011-09-02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KR1011448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41A KR101144855B1 (en) 2011-09-02 2011-09-02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9241A KR101144855B1 (en) 2011-09-02 2011-09-02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64A KR20110112264A (en) 2011-10-12
KR101144855B1 true KR101144855B1 (en) 2012-05-14

Family

ID=4502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241A KR101144855B1 (en) 2011-09-02 2011-09-02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06U (en) * 1998-12-11 2000-01-15 지창율 Cooking container_
KR20050049396A (en) * 2003-11-21 2005-05-25 발라리니 파올로 앤 피글리 에스.피.에이. Food cooking container with monitoring means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thereof
KR200391155Y1 (en) 2005-05-06 2005-08-01 임규호 a handle of a cooking vessel is can separate with temperature sensing and indicating function
KR20110082497A (en) * 2011-06-01 2011-07-19 이준배 Method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oking bowl and cooking handle using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06U (en) * 1998-12-11 2000-01-15 지창율 Cooking container_
KR20050049396A (en) * 2003-11-21 2005-05-25 발라리니 파올로 앤 피글리 에스.피.에이. Food cooking container with monitoring means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thereof
KR200391155Y1 (en) 2005-05-06 2005-08-01 임규호 a handle of a cooking vessel is can separate with temperature sensing and indicating function
KR20110082497A (en) * 2011-06-01 2011-07-19 이준배 Method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oking bowl and cooking handle using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64A (en)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7317B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a foodstuff
CN101268918B (en) Electric heating type frying and roasting equipment with adjustable temperature
CN102880070B (en) Device for controlling electric pressure cooker
CN102813444B (en) Electric cooker with display unit and display method thereof
CN201052067Y (en) Multifunctional stewpan
US11116042B1 (en) Method of forming cooking plate with temperature sensing element
KR101147315B1 (en) Method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cooking bowl and cooking handle using the method thereof
KR101144855B1 (en) The apparatus of giving temperature information using bimetal switch
CN1406544A (en) Separated electric cooking utensils
CN204181438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pot
AU2019100677C4 (en) Baby mode for a heating vessel
US10893776B1 (en) Cooking plate with temperature sensing element
GB2327180A (en) Electric kettle to selectively heat or boil water
KR20130143295A (en) Temperature indication method for cooking ware and the device using the method thereof
CN103584721A (en) Rainbow light cooker
CN201504330U (en) Electric heater
CN106473609B (en) Work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electric cooker
CN216797290U (en) Manual reset snap-action temperature controller mechanical control electric cooker
CN202086319U (en) Intelligent electric fryer with single head and double pans
AU2010200571B2 (en) Improved temperature sensor for an electric heating appliance
CN217118199U (en) Frying and baking machine
CN218738348U (en) Cooking utensil
CN216147864U (en) Frying and baking machine
CN102090841B (en) Method for making pastries by microcomputer electric pressure cooker
CN101610611A (en) A kind of electric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