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619B1 -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619B1
KR101144619B1 KR1020090123156A KR20090123156A KR101144619B1 KR 101144619 B1 KR101144619 B1 KR 101144619B1 KR 1020090123156 A KR1020090123156 A KR 1020090123156A KR 20090123156 A KR20090123156 A KR 20090123156A KR 101144619 B1 KR101144619 B1 KR 101144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sk
breathing
gas separation
f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477A (ko
Inventor
허필우
함영복
김현세
박인섭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619B1/ko
Priority to PCT/KR2010/008865 priority patent/WO2011071345A2/ko
Publication of KR20110066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2Diving 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2Divers' equipment
    • B63C11/18Air supply
    • B63C11/184Artificial g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용 기체를 수중에서 분리하여 사용자가 호흡하게 하는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로서 특히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에 미세 홀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홀이 수중에서 호흡용 기체를 분리한 후 사용자가 호흡하게 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를 구비한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 관련된 것이다.
호흡용 기체 분리, 소수성 표면 파이프, 미세 홀, 마스크

Description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Respiration submarine mask for of air separation type}
본 발명은 호흡용 기체를 수중에서 분리하여 사용자가 호흡하게 하는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로서 특히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에 미세 홀을 형성하여, 상기 미세 홀이 수중에서 호흡용 기체를 분리한 후 사용자가 호흡하게 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를 구비한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버등 물속에서 잠수하는 사용자는 산소 탱크를 구비하여 호흡하게 된다.
상기 산소 탱크에는 사용자가 지상에서 호흡하는 기체를 담아 사용자가 수중에서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수중에서 호흡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기체를 담은 용기(산소 탱크)를 항상 구비해야 해서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수중에서 바로 호흡을 위한 기체를 분리할 수 있는 장치는 아직 제시되지 못하고 있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에 미세 홀을 가공하여 수정에서 호흡을 위한 기체를 분리하여 사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산소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스크 일 영역에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를 다수 개 포함하되 상기 미세 파이프에 미세 홀을 다수 개 형성하여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장치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는 상기 마스크 본체 일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와, 상기 미세 파이프에 다수 개 형성되어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미세 홀을 포함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 다른 특징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 일측에 다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와, 상기 미세 파이프에 다수 개 형성되어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미세 홀을 포함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와, 상기 마스크 본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를 지지 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마스크 본체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에 의해 분리된 호흡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한편 호흡 후 기체를 배출하는 레귤레이터와, 상기 레귤레이터와 호흡 기체 분리 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미세 파이프의 직경은 90um 내지 110 um 이고, 미세 홀의 직경은 20nm 내지 60n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 파이프를 덮는 커버 레이어 또는 상기 미세 파이프를 수용하는 커버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는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일 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개방부를 폐쇄하는 다이아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 중 외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호흡용 기체가 흡입되는 흡입 포트와, 상기 하우징 중 외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해 흡입된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마우스 피스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L자 형상을 구비하되 코너 부분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치되고, 일측은 상기 흡입 포트를 개폐하고 타측은 상기 다이아 프레임과 접촉하는 레버와, 상기 하우징 중 외측면의 또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호흡 후 배출 기체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 프레임 중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 방향에 장치되는 퍼지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수중에서 직접 호흡용 기체를 분리하여 호흡할 수 있어 별도의 산소 탱크를 필요로 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에 구비되는 레귤레이터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호흡용 기체에 대해 정의한다.
상기 호흡용 기체라고 하는 것은 사용자가 호흡하기 위한 기체를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대기중에 포함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산소, 질소등이 그것이다.
본 발명은 수중에서 호흡용 기체를 분리하는 것이며, 다시 말해서 수중에 녹아있는 산소와 질소등을 분리해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표면이 소수성(hydrophobic) 특성을 가지도록 처리된 미세 파이프(10)를 이용한다.
상기 미세 파이프(10)라고 하는 것은 직경이 100um전후인 것을 뜻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미세 파이프(10)에는 미세 홀(11)이 형성된다.
상기 미세 홀(11)이라고 하는 것은 직경이 100nm이하인 것으로서 상기 미세 파이프(10)의 일 영역을 개방한 것을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이 소수성 처리되면 물 분자(H2O)는 상기 미세 파이프(10)측으로 접근하기 어려워 상기 미세 홀(11)을 통과하기 어렵다.
다만 상기 물 분자보다 직경이 작은 산소 분자(O2)나 질소 분자(N2)는 상대적으로 상기 미세 파이프(10)에 접근하기 용이하며 상기 미세 홀(11)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미세 홀(11)을 통과하여 상기 미세 파이프(10)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미세 홀(11)을 통과한 산소 분자나 질소 분자(이하 호흡용 기체라 한다)를 흡입하면 부압(負壓)이 발생하며 이에 의해 계속적으로 상기 호흡용 기체가 상기 미세 파이프(10)내부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마스크 일 영역에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를 다수 개 포함하되 상기 미세 파이프에 미세 홀을 다수 개 형성하여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파이프를 사용하는데, 이는 상기 파이프 형상에 보다 많은 수의 홀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다 많은 호흡용 기 체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10)에 장치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1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30)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 영역에 다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131)와, 상기 미세 파이프(131)에 다수 개 형성되어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미세 홀(132)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상부 표면에 다수개의 미세 파이프(131)를 설치한 후 상기 미세 파이프(131)에 다수개의 미세 홀(13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세 파이프(131)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양측면이나 하측 표면에도 형성 가능하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미세 파이프의 직경은 90um 내지 110 um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미세 파이프에 형성되는 미세 홀의 직경은 20nm 내지 60nm일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며, 이하 중복된 설명 은 생략한다.
한편, 미세 파이프(131)를 덮는 투수성의 커버 레이어(133)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미세 파이프(131)의 직경이 적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커버 레이어(133)는 투수성이 있어야 상기 미세 파이프(131)에서 호흡용 기체를 분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100)에 의해 별도의 산소 탱크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실시예2
본 실시에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100)는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배치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다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121)와, 상기 미세 파이프(121)에 다수 개 형성되어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미세 홀(122)과 지지 프레임(140) 그리고 레귤레이터(160) 및 커넥터(15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실시예1에서의 호흡 기체 분리 장치(130)는 마스크 본체(110) 자체 에 형성한 것임에 비해 본 실시예의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와 이격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의 경우도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121)와 상기 미세 파이프(121)에 형성되는 미세 홀(122)을 포함하여 이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다수개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커넥터(15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 파이프(121)를 수용하는 투수성의 커버 파이프(123)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상기 미세 파이프(121)의 직경이 미세한 관계로 파손될 우려가 있어 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 파이프(123)가 투수성을 가져 상기 미세 파이프(121)측으로 물이 유동할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 파이프(123)가 원형 단면을 구비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커버 파이프(1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파이프(121)를 수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커버 파이프(123)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는 상기 마스크 본체(110)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마스크 본체(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프레임(140)이 원통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마스크 본체(110)의 상부 양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가 고정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 프레임(140)은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지지 프레임(140)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혹은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상기 마스크 본체(110)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 의해 분리된 호흡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한편 호흡 후 기체를 배출하는 레귤레이터(160)를 포함한다.
상기 레귤레이터(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 의해 분리된 호흡기체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호흡하게 하는 한편 사용자가 호흡 후 배출하는 기체(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등)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귤레이터(160)가 마스크 본체(110) 중앙부에 설치된 것이 예시된다.
이는 일반적인 수중 호흡용 마스크에서 레귤레이터가 마스크의 중앙부에 배치된 관계로 이렇게 도시한 것일뿐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160)와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연결하는 커넥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150)는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서 분리된 호흡용 기체를 상기 레귤레이터(160)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150)가 파이프 형상을 구비하되 상기 레귤레이터(160)와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사이에 배치된 것이 예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15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레귤레이터(160)와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연결하여 호흡용 기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커넥터(150)가 다른 형상을 구비하거나 다른 위치에 배치된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레귤레이터(16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공의 하우징(161)과 상기 하우징(161)에 형성되는 개방부(162), 다이아 프레임(163), 흡입 포트(164), 마우스 피스(165), 레버(166) 그리고 배출 밸브(1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62)는 상기 하우징(161)의 외측면 일 영역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상기 하우징(161)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개방부(162)를 폐쇄한다.
상기 흡입 포트(164)는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150)에 연결되어 호흡용 기체가 흡입된다.
상기 마우스 피스(165)는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포트(164)를 통해 흡입된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게 된다.
상기 레버(166)는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L자 형상을 구비하되 코너 부분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 장치되고, 일측은 상기 흡입 포트(164)를 개폐하고 타측은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과 접촉한다.
상기 배출 밸브(167)는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또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호흡 후 배출 기체를 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61)이 사다리꼴 단면을 구비하는 중공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 부분에 개방부(162)가 형성된 것이 예시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상기 반구형 부분의 하우징(161) 내부에 장치되되 상기 하우징(161) 내부를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횡단하여 상기 개방부(162)를 폐쇄한다.
그러나 상기 하우징(161)은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서 분리된 호흡용 기체를 도입하는 한편 호흡 후 기체를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하우징(161)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은 얇은 두께를 가지는 판체형상이되 상기 마우스 피스(165)쪽으로 만곡된 것이 예시된다.
그러나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은 상기 하우징(161)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는 한편 상기 레버(166)를 작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다른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라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흡입 포트(164)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 도 2참조)와 연결되는 커네터(150, 도 2참조)로부터 호흡용 기체가 도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 포트(164)가 중공의 파이프 형상을 구비한 것이 예시되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마우스 피스(165)의 경우 일측면이 반원형상을 구비한 것이 예시되는데 이 또한 본 발명의 일 예를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이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레버(166)는 L자 형상의 레버 본체(166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 본체(166d)의 코너(166a)는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61)내부에 장치된다.
또한 상기 레버(166)는 상기 레버 본체(166d)의 코너(166a) 일측에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 포트(164)와 개폐하는 제1판체(166b)와 상기 코너(166c) 타측에서 직성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과 접촉하는 제2판체(166c)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레버(166)에 의해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서 분리된 호흡용 기체가 상기 마우스 피스(165)측으로 유동하거나 호흡 후 배출되는 기체가 상기 배출 밸브(167)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즉, 사용자가 마우스 피스(165)를 통해 흡입하면 하우징(161)내부에 압력이 저하되어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에 접촉되는 레버(166)의 제2판체(166c) 역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밀려가면서 상기 레버(166) 전체는 코너(166a)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흡입 포트(164)를 막고있는 제1판체(166b)가 연동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흡입 포트(164)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개방된 흡입 포트(164)를 통해 호흡용 기체가 유입되어 상기 마우스 피스(165)측으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배출 밸브(167)는 역류를 방지하는 일종의 체크밸브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1)의 외부로부터 물이 하우징(161)내부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한편 호흡 후 마우스 피스(165)를 통해 기체를 배출하면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도면상 좌측으로 변형되고 이에 의해 레버(166)도 반대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166)의 제1판체(166b)가 상기 흡입 포트(164)를 막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호흡 후 기체는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서 배출 밸브(16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 중 상기 하우징(161)의 외측면 방향에 장치되는 퍼지 버튼(168)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퍼지 버튼(168)을 누르면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이 도면상 우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흡입 포트(164)에서 기체가 유입되어 배출 밸브(167)로 배출되어 하우징(161) 내부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 밸브(167)를 특정 압력 범위에서만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해놓으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출 밸브(167)의 작용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에 구비되는 레귤레이터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마스크 본체 120,130 : 호흡 기체 분리 장치
160 : 레귤레이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사용자의 안면을 덮는 마스크 본체(1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다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서 표면이 소수성 처리된 미세 파이프(121)와, 상기 미세 파이프(121)에 다수 개 형성되어 호흡용 기체만을 분리 흡입하는 미세 홀(122)을 포함하는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40)과,
    상기 마스크 본체(110)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에 의해 분리된 호흡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한편 호흡 후 기체를 배출하는 레귤레이터(160)와,
    상기 레귤레이터(160)와 호흡 기체 분리 장치(120)를 연결하는 커넥터(150)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본체(110) 일측에 다수개 배치되되 일측은 상기 커넥터(150)와 연결되어 상기 미세 파이프(121)를 수용하는 투수성의 커버 파이프(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파이프의 직경은 90um 내지 110 u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파이프에 형성되는 미세 홀의 직경은 20nm 내지 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파이프(131)를 덮는 투수성의 커버 레이어(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160)는 중공의 하우징(161)과,
    상기 하우징(161)의 외측면 일 영역에 형성되는 개방부(162)와, 상기 하우징(161)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개방부(162)를 폐쇄하는 다이아 프레임(163)과,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일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150)에 연결되어 호흡용 기체가 흡입되는 흡입 포트(164)와,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흡입 포트(164)를 통해 흡입된 호흡용 기체를 사용자가 흡입하는 마우스 피스(165)와,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 장치되는 것으로서 L자 형상을 구비하되 코너 부분은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 장치되고, 일측은 상기 흡입 포트(164)를 개폐하고 타측은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과 접촉하는 레버(166)와,
    상기 하우징(161) 중 외측면의 또 다른 영역에 형성되어 호흡 후 배출 기체를 배출하는 배출 밸브(16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 프레임(163) 중 상기 하우징(161)의 외측면 방향에 장치되는 퍼 지 버튼(168)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KR1020090123156A 2009-12-11 2009-12-11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KR101144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56A KR101144619B1 (ko) 2009-12-11 2009-12-11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PCT/KR2010/008865 WO2011071345A2 (ko) 2009-12-11 2010-12-10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56A KR101144619B1 (ko) 2009-12-11 2009-12-11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477A KR20110066477A (ko) 2011-06-17
KR101144619B1 true KR101144619B1 (ko) 2012-05-11

Family

ID=4414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156A KR101144619B1 (ko) 2009-12-11 2009-12-11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4619B1 (ko)
WO (1) WO20110713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36065A (zh) * 2022-11-01 2023-01-24 王振清 一种有自助呼吸功能与自扶正功能的封闭保暖救生服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899U (ko) * 1988-10-31 1990-08-17
JP2002037191A (ja) * 2000-07-25 2002-02-06 Open Sesame Kk 水中呼吸装置
JP2008126946A (ja) * 2006-11-24 2008-06-05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汚染水域用開式スク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5369A (en) * 1955-09-26 1958-12-23 Richard M Kline Valve structure for submarine breat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3899U (ko) * 1988-10-31 1990-08-17
JP2002037191A (ja) * 2000-07-25 2002-02-06 Open Sesame Kk 水中呼吸装置
JP2008126946A (ja) * 2006-11-24 2008-06-05 Technical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Ministry Of Defence 汚染水域用開式スクーバ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환경부보고서, "하폐수 고도처리용 PVDF 분리막 및 고효율 N,P제거 MBR시스템"(2007.03.30.)" *
"환경부보고서, "하폐수 고도처리용 PVDF 분리막 및 고효율 N,P제거 MBR시스템"(2007.03.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1345A2 (ko) 2011-06-16
WO2011071345A3 (ko) 2011-10-27
KR20110066477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23044U (zh) 气味抑制面罩
KR101953127B1 (ko)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JP2008535571A5 (ko)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JP2007216949A (ja) 水中潜水器具用弁機構
KR101044390B1 (ko) 중공섬유를 이용하는 호흡장치
CN113544054A (zh) 具有压力平衡装置的潜水面罩
KR101144619B1 (ko) 호흡 기체 분리 방식의 수중 호흡용 마스크
KR20190078974A (ko) 온도조절모듈을 포함하는 산소 마스크
US20220193467A1 (en) Adsorption filter structure or purification module and helmet comprising the same
CN107158594A (zh) 吸管式水质空气净化器
KR102275762B1 (ko) 연속 회전에 의한 작은 기포들을 포함하는 유입수를 이용한 재순환형 수중 호흡장치
KR101914642B1 (ko) 안면 마스크
KR102609493B1 (ko) 산소 발생기를 이용한 헤드셋 타입의 산소 공급 시스템
KR102495829B1 (ko) 스노클링용 호흡장치
US20050066966A1 (en) Respiratory protection mask for a compressed air breathing apparatus
CN220046764U (zh) 呼吸面罩及通气气体供应装置
KR20190119458A (ko) 물 필터 마스크
JP2003245354A (ja) 医療用ガス加湿器
KR101351339B1 (ko) 긴급대피 목적의 휴대용 호흡장치
JP2515235Y2 (ja) 潜水用呼吸器
JPH10278879A (ja) 潜水具
JP2004044947A (ja) スキューバダイビング用空気加湿清浄装置
KR20050096875A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TW201706012A (zh) 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