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156B1 -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 Google Patents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156B1
KR101144156B1 KR1020110090476A KR20110090476A KR101144156B1 KR 101144156 B1 KR101144156 B1 KR 101144156B1 KR 1020110090476 A KR1020110090476 A KR 1020110090476A KR 20110090476 A KR20110090476 A KR 20110090476A KR 101144156 B1 KR101144156 B1 KR 10114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deployment
spring
sleeve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0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753A (ko
Inventor
김정휴
Original Assignee
김정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휴 filed Critical 김정휴
Priority to KR1020110090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156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Abstract

설치가 빠르고 확실하며 또한 설치 후에도 고정 및 자세유지가 쉬운 돔형 이중프레임 구조의 자동 펼침 방식 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텐트를 접어서 보관할 때, 강화된 전개스프링이 장기간 강한 인장상태에 노출되고 결국 영구변형이 발생하며 텐트의 전개기능 상실로 이어지는 단점을 해결하고 탄성로프와 지면고정 못에 의한 고정이 어려운 자동 전개식텐트의 지면고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폴(60)을 따라 내부프레임(2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개스프링(42)을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슬리브(21)를 관통하여 외부프레임(10)에 연결하였으며 내부프레임의 상승(외부프레임 전개)이 완료된 이후 외부프레임에서 전개스프링이 의도적으로 탈락되어 내부프레임을 따라 후퇴하도록 하는 스프링결합 해제구조가 본 발명에 소개된다. 이는 스프링이 팽팽히 당겨져 있는 상황에서 셔틀(shuttle:11)을 물고 있는 클로(claw:22) 옆쪽으로 셔틀을 잡아당겨 빼내는 방식으로 결합고리를 풀어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결합이 해제된 전개스프링(42)은 뒤로 후퇴하고 더 이상 강한 인장상태를 지속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된 상단슬리브(30)와 전개스프링의 일단이 결합된 중단슬리브(40)를 서로 결합시켜 텐트의 전개를 완료한 다음, 결합부분을 분리하여 전개스프링 일단을 하부 폴(70) 쪽으로 이동하여 결합시키는 구성이 소개된다. 이에 따라 전개완료 후 내부프레임 하단과 하부 폴을 서로 연결하는 전개스프링은 하부 폴의 연장에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으면서 상부 폴과 하부 폴을 탄성결합 상태로 서로 잡아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의 자동 전개식텐트에서 별다른 추가 구조재나 추가 스프링을 장비하지 않고도 전개스프링의 탄성을 보존할 수 있으며, 텐트 상부 구조체를 전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만 하부 폴(lower pole)에 연결시키고 있으므로 하부 폴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텐트 전체의 지면 고정상태를 장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Auto unfurl tent that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fixed on the ground}
본 발명은 설치가 빠르고 확실하며 또한 설치 후에도 고정 및 자세유지가 쉬운 돔형 이중프레임 구조의 자동 펼침 방식 텐트에 관한 것이다.
우산처럼 접혀져 있다가 간단한 조작에 의해 돔 형태로 한번에 펼쳐질 수 있는 자동 전개식 텐트는, 비록 동급의 조립식 텐트에 비해 더 무겁고 접었을 때의 부피도 더 크다는 단점이 있지만 설치와 해체가 매우 쉬워 다수의 텐트를 긴급히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악천후 때나 산간오지에서 매우 뛰어난 성능을 발휘한다.
일반적으로 자동 전개식 텐트는 우산보다 훨씬 크고 무거워서 사람의 힘으로 간단히 펼치기 어려우므로 주로 스프링이나 유압기구의 도움을 받아 스스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래 소개한 선행기술문헌들은 스프링의 탄성 등에 의한 전형적인 우산식 펼침 형태를 갖는 자동 텐트들이다.
(문헌1)은 별도의 탄성기구는 없지만 한번에 펼쳐지는 텐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방사상의 이중프레임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외부프레임은 텐트외피를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이고, 내부프레임은 외부프레임을 벌어지게 하고 벌어진 외부프레임을 그 상태로 지지하게 하는 서브프레임이다. 이러한 이중의 프레임 구조는 대부분의 자동전개식 텐트 설계의 기본이 되며, 본 발명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문헌2)는 전술한 이중 프레임 구조를 약간 개선한 경우인데, 프레임 가운데의 짧은 기둥을 따라 내부프레임이 위로 이동 가능하게 설계한 것이다. 이렇게 되면 텐트를 접었을 때 내부프레임이 외부프레임의 접혀지는 공간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고 따라서 가운데에 내부프레임의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길다란 폴(Pole)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텐트 내부의 공간활용성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 물론 텐트 가운데의 폴을 삭제한 구조이기 때문에 펼쳐져 있을 때의 텐트의 강성, 즉 악천후 저항능력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문헌3)은 길이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이중관 구조의 폴(Pole)에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을 연결하고, 중앙 폴(center pole)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의 탄성으로 내부프레임을 펼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사람의 힘이 거의 가해지지 않고 내부 스프링의 강한 탄성력으로 저절로 펼쳐질 수 있는 구조가 텐트의 가장 전형적인 자동 전개 구조로 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여전히 중앙 폴은 길이가 짧아 텐트의 지지는 상기 문헌2와 같이 순수하게 외부프레임 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문헌4)는 상기 문헌2와 문헌3을 조합한 형태이다. 역시 이 경우에도 중앙의 폴에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인장력이 텐트의 펼침 및 지지작용에 근간이 되며, 내부프레임은 통상적인 우산접이 형식이 아닌 외부프레임에 가까운 쪽으로 접혀진다.
등록실용 20-0400446 원터치 절첩식 텐트 프레임 구조 등록실용 20-0373088 원터치식 텐트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원터치식 텐트 등록실용 20-0350372 자동텐트의 프레임 구조 등록실용 20-0314952 용이한 설치 및 철거 구조를 가진 캐노피 텐트
최근 다양한 강화복합재료와 복합소재 천의 등장으로 텐트를 이루는 부품들의 무게와 부피는 매우 줄어들었다. 따라서 보통의 분해조립식(수동 설치식) 텐트는 조립 전 상태에서 매우 작은 크기와 가벼운 중량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훌륭하고 넉넉한 거주공간을 제공해 준다.
반면 통상적인 수동설치 방식 텐트가 자동식 텐트에 비해 떨어지는 점은 단지 설치와 해체가 번거롭고 어렵다는 점이다. 물론 자동 전개식 텐트는 바로 이 점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구조적, 기능적 손해를 보게 된다.
자동 전개식 텐트의 구조적 약점으로 우선 내부프레임을 위로 상승시키는 펼침용 스프링의 점진적인 탄성력 저하를 들 수 있다. 예컨대 비슷한 구조인 우산의 경우 손으로 직접 내부프레임을 상승시키므로, 늘 팽팽하게 당겨져 있어야만 하는 자동 펼침용 스프링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자동 전개식 텐트는 우산에 비해 매우 크고 무거워서 거의 반드시 펼침힘을 제공해 줄 전개스프링이 필요하게 되는데, 강풍과 비바람에서도 텐트가 쉽게 펼쳐지기 위해서는 상기 전개스프링의 강도(또는 초기 인장/압축 상태)를 비교적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텐트를 접어서 보관할 때, 다시 말해서 강화된 강도의 전개스프링이 장기간 강한 인장상태에서 보관할 때 스프링에는 필연적으로 영구변형이 발생하며 이는 곧 접은 상태가 오래 지속될수록 텐트의 핵심 기능을 떨어뜨려 결국 전개기능 상실로 이어지는 원인이 된다.
다음으로 통상의 무폴식(non-pole type) 자동텐트는 물론, 폴(Pole)을 갖고 있는 대부분의 자동 전개식 텐트들 역시 공통적으로 지면에 쉽게 고정하기 어렵다는 약점이 있다. 이는 스스로 기립하는 자동 전개식 텐트에 있어 일종의 숙명과도 같은 것이다. 물론 텐트의 둘레로 고정용 못(지주)을 박고 텐트 꼭대기와 못 사이를 탄성로프로 서로 연결하는 고전적 방법을 쓴다면 가능하겠으나, 이러한 작업을 쓴다면 자동식 텐트의 고유한 장점 즉 설치/해제의 편리함과 악천후시 전개능력을 스스로 잃어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인 셈이 된다. 따라서 이 같은 단점을 없애기 위해서는 일단 전개된 텐트를 통상적인 외부 수작업식 고정방법 보다는 좀 더 쉽고 간편하면서도 확실하게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어야 한다.
가장 유력한 방법은 가운데에 위치한 폴(pole)을 이용하여 지면에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강체 기둥인 폴은 탄성로프와 달리 지속적인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재가 아니다. 따라서 처음에 폴의 하부와 지면을 서로 단단히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바람 등에 의해 텐트 외부프레임이 반복적으로 흔들리면 외부프레임과 일체로 고정된 폴 반복적인 진동에 의해 시간이 점차 지나면서 지면고정부위가 헐거워지게 되고 결국 텐트는 지속적인 강풍에 흔들리다가 뒤집히게 된다. 상술한 자동식 텐트의 단점들은 자동 전개방식 특유의 장점까지도 퇴색시킬 수 있어 상품성을 크게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들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단점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이며, 휴대 가능한 자동전개식 텐트의 장점을 잃지 않기 위해 통상의 자동전개식 텐트가 보유하는 기본적인 프레임량과 탄성스프링 개수만큼을 보유하되, 어떠한 추가적인 구조재와 추가 스프링도 사용하지 않고서 단지 프레임과 스프링의 교묘한 가변식 연결구조를 통해 상기 단점(스프링 탄성 훼손, 설치 후 고정상태 유지의 어려움)들을 완벽히 해결하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한다.
우선 본 발명은, 일단이 중단슬리브(40)를 통해 상부 폴(60)에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상부 폴(60)을 따라 내부프레임(20)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개스프링(42)을 그 타단이 내부프레임에 설치된 내부프레임슬리브(25)를 관통하여 외부프레임(10)에 연결하였으며 내부프레임의 상승(외부프레임 전개)이 완료된 이후 상기 전개스프링의 타단이 외부프레임에서 의도적으로 탈락되어 다시 자신의 일단 결합부 쪽으로 후퇴하도록 하는 스프링결합 해제구조를 도입하였다.
상기 스프링결합 해제구조는 스프링의 탄성력 작용과 수직한 방향으로는 비교적 작은 힘으로 그 결합고리를 해제할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이 팽팽히 당겨져 있는 상황에서 셔틀(shuttle:11)을 물고 있는 클로(claw:22) 옆쪽으로 셔틀을 잡아당겨 빼내는 방식으로 결합고리를 풀어내는 것을 의미하며, 결합이 해제된 전개스프링(42)은 뒤로 후퇴하고 더 이상 강한 인장상태를 지속하지 않아도 된다. 이 상태 이후 다시 텐트를 펼치려면 각 전개스프링의 클로에 연결된 클로 당김로프(23)를 하나씩 잡아 당겨 셔틀에 클로를 다시 물리게 해주면 된다. 이 과정은 하나씩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텐트를 펼침 가능 상태로 다시 되돌릴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내부프레임이 장착된 상단슬리브(30)와 전개스프링이 장착된 중단슬리브(40)를 경우에 따라 서로 분리하여 전개스프링 아래쪽이 하부 폴(70) 쪽에 직접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전개스프링은 펼쳐진 텐트의 내부공간을 침범하지 않고, 또한 지나치게 늘어나지도 않으면서 상부 폴과 하부 폴을 탄성결합 상태로 서로 잡아당길 수 있다. 따라서 외부프레임을 고정시키기 위해 하부 폴에 설치된 지면고정판(71)을 지면에 못이나 돌로 고정시켜도 결과적으로 외부프레임은 탄성상태로 지면에 고정된 것이기 때문에 텐트외피가 강풍에 의한 흔들림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지면결합부분이 헐거워지지 않는 텐트 구조체가 완성될 수 있다.
상기한 탄성결합의 위치와 거리조절 구성은 내부프레임을 따라 전개스프링을 이동시키면서 대각선으로 배치된 스프링을 수직 배치로 변경시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기술사상을 담고 있다. 이는 어떠한 추가적인 스프링이나 폴의 구조변경도 필요 없이, 그다지 길지 않은 원래의 전개스프링을 상하부 폴 간 긴 결합에도 다용도로 이용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텐트 내부공간의 침범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래의 전개스프링 결합단 구조와 기술적으로 매우 차별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의 자동 전개식텐트에서 별다른 추가 구조재나 추가 스프링을 장비하지 않고도 전개스프링의 탄성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단지 전개스프링의 탄성에 의해서만 상부구조체를 하부 폴(lower pole)에 연결시키므로 하부 폴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결과적으로 하부 폴의 지면 고정상태를 장시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통상의 자동 텐트용 전개스프링보다 더 강한 스프링을 본 발명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곧 텐트의 펼침능력 향상과 지면고정상태 유지능력의 향상으로 이어져 강풍, 비바람 등 악천후에서도 강력한 전개성능과 장시간의 지면부착 유지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자동 전개식 텐트가 갖는 본질적인 상품성, 즉 악천후에서의 설치 및 거주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텐트의 펼치기 전 보관 상태를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텐트의 펼치기 전 보관 단계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텐트의 전개 직전 준비단계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텐트가 전개 도중의 단계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텐트가 완전히 펼쳐진 전계완료 상태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텐트의 전개 후 지면에 탄성 고정하는 단계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7 ~ 도 8은 본 발명에서 셔틀(11)에 클로(22)를 물리는 조작 메커니즘을 설명한 3D모델링 사시도.
도 9 ~ 도 10은 본 발명에서 셔틀(11)이 클로(22)에서 빠져 나오는 운동 메커니즘을 설명한 3D모델링 측단면도.
도 11 ~ 도 14는 본 발명에서 도 1 이후의 상태를 순서대로 도시한 전체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 텐트에서 외피를 씌운 상태의 3D모델링 사시도.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을 기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하여 도면에 포함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아래의 특정 실시예에서 특정 전문용어를 포함한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결합구조가 본 발명에 포괄적으로 내재된 기술적 사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텐트는 외부프레임(10)과 내부프레임(20)이 상부 폴(60) 주위로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상부 폴(60) 주위로 방사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개스프링(42)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20)을 위로 상승시켜 상기 외부프레임(10)을 펼치는 구조를 갖는 전형적인 돔 형 텐트에서 외피를 제거한 프레임 부분을 특정 절단면을 따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포함한 이하의 도면에서는 상부 폴(60), 내외부프레임(20,10), 접이식 연장프레임(16)등이 모두 속이 빈 파이프 형태로 도시된다. 상부폴 내부로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한 하부 폴(70)은 속이 비지 않은 봉 형태이다. 그 외 상부 및 하부 폴을 따라 움직이는 각종 슬리브, 예컨대 외부프레임 속에 내장된 셔틀와이어(14)를 잡아당길 수 있는 와이어슬리브(15)를 비롯하여, 상단/중단/하단 슬리브(30,40,50) 등은 모두 폴(pole) 양쪽으로 나누어져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원통형의 슬리브(sleeve)이며, 단지 단면도의 특성상 좌우로 나뉘어져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다. 이 점을 참조하여 이하의 도면을 해석하면 본 발명의 작동구조를 파악하는 데에 더욱 편리하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텐트가 종래의 자동 전개식 텐트와 차별화되는 주요 기술구성을 알아본다.
먼저 내부프레임(20)은 일단이 상단슬리브(30)를 통해 상기 상부 폴(60) 외주면 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프레임(10)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내부프레임을 밀어올리는 전개스프링(42)은 일단이 중단슬리브(40)를 통해 상부 폴(60) 외주면 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외부프레임(10)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전개스프링(42)의 타단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클로(claw: 22)와 셔틀(shuttle: 11)의 결합구성에 의해, 외부프레임(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된다. 클로(22)와 셔틀(11)의 결합 및 분리구성은 도 7 ~ 도 10을 참조하면 자세히 이해할 수 있다.
도 7 ~ 도 8은 본 발명에서 셔틀(11)에 클로(22)를 물리는 조작 메커니즘을 설명한 3D모델링 사시도이며 도 9 ~ 도 10은 본 발명에서 셔틀(11)이 클로(22)에서 빠져 나오는 운동 메커니즘을 설명한 3D모델링 측단면도이다. 원통형의 모양을 가지고 외주면에 클로의 이빨이 물릴 수 있는 홈이 형성된 셔틀(11)은 외부프레임(10)의 내부에서 클로(22)의 물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배치되고, 클로 당김로프(23)가 자신을 관통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셔틀의 위치(클로에 물려있는지 물려있지 않은지)에 상관없이 클로를 잡아당길 수 있다.
상기 클로(22)는 상기 셔틀(11)과 함께 상기 전개스프링(42)의 타단을 상기 외부프레임(10)에 결합 및 분리시켜주는 구성요소로써 전개스프링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또한 클로 당김로프(23)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셔틀(11)에 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로(22)를 셔틀(11)에서 빼내면 클로걸림턱(25)를 관통하여 클로(22)와 결합되어 있는 전개스프링(42)은 재차 뒤로 후퇴할 수 있으나 클로(22)는 클로걸림턱(25)까지만 후퇴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전개스프링이 클로걸림턱을 자유롭게 관통하여 지나다닐 수 있도록 상기 클로걸림턱(25)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외부프레임(10)의 내부에는 상기 셔틀(11)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셔틀스프링(12), 셔틀걸림턱(13), 셔틀와이어(14) 등이 배치되어 있는데, 셔틀(11)은 셔틀와이어(14)에 의해 셔틀걸림턱(13)부분까지 당겨질 수 있으며, 와이어의 당김이 해제되면 셔틀스프링(12)에 의해 초기위치로 자동 귀환한다.
상부 폴(60)에는 상기 셔틀와이어(14)를 잡아당길 수 있는 와이어슬리브(15)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상기 와이어슬리브(15)는 상부 폴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단슬리브(30)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단슬리브(30)와 와이어슬리브(15)를 결합/분리하는 상단슬리브 고정후크(31) 구성은 단면도 상에서 내부프레임(20) 또는 내부프레임슬리브(21)와 서로 중첩되도록 비현실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단지 단면도 상에서 정확한 후크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편의적 도시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며 실제로는 방사상으로 내부프레임이 배치된 상태에서 그 사이사이에 후크가 마련된 형태이다. 즉 원통형의 상단슬리브(30)는 내부프레임의 회전 가능범위를 침범하지 않으며, 상단슬리브 고정후크(31) 또한 방사상의 내부프레임 배열 구조에서 배열 사이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것임을 미리 밝힌다.
한편, 중단슬리브(40) 역시 상부 폴(6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단슬리브(30)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중단슬리브를 둘로 나누어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한 중단슬리브 고정나사(41)부분을 두었다. 즉 중단슬리브는 상부의 고정 나사가 자유롭게 회전하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단슬리브(30)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20)에는 상기 클로(22)의 고정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내부프레임슬리브(21)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내부프레임슬리브(21)는 내부프레임(20)을 따라 클로(22)를 이동시키면서 실질적으로 전개스프링(42)의 타단 위치를 이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슬리브들이 결합되어 있는 상부 폴(60)의 하부에는 하부 폴(70)이 내측 수납 및 인출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부 폴(70) 하단에는 접이식으로 배치된 지면고정판(71)이 결합된다. 또한 하부 폴(70)의 외주면 상에는 하부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가능한 하단슬리브(50)가 결합되는데, 상기 하단슬리브(50)는 간단히 말해서 지면에 단단히 고정된 하부 폴을 상부 폴에 탄성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 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한 상기 중단슬리브(40)와 상기 하단슬리브(50)의 결합구성에 의해, 상기 전개스프링(42)은 상기 하부 폴(70)에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된다. 이 과정은 텐트의 완전 전개 후에 지면고정과정에서 이루어지는데, 기술적 요점은 전개스프링의 최대 인장가능 범위 안에서 하부 폴의 걸림턱에 걸린 하단슬리브(50)를 중단슬리브(40)와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전개스프링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고 효과적으로 하부 폴과 상부 폴 사이를 지속적으로 잡아당겨 준다.
도 2는 본 발명 텐트의 펼치기 전 보관 단계에서 주요 결합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텐트의 전개 직전 준비단계, 도 4는 본 발명 텐트가 전개 도중의 단계, 도 5는 본 발명 텐트가 완전히 펼쳐진 전계완료 상태,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 텐트의 전개 후 지면에 탄성 고정하는 단계에서 각각의 슬리브들과 스프링 및 스프링 결합해제 부품들의 결합/분리 상태를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3 ~ 도 5의 부분 확대도는 전체적으로 도시된 도 11 ~ 도 14와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 텐트의 자동 전개 구조를 더욱 쉽고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도 2를 살펴본다. 전개스프링은 셔틀(11)과 분리되어 내려와 있는 클로(22)와 함께 무부하 상태로 자유롭게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은 고스란히 영구 보존된다.
도 3, 도 11을 살펴본다. 전개스프링(42)은 통상의 자동전개식 텐트와 같이 원터치로 내부프레임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강하게 당겨져 있다. 이 조작은 당김로프에 의해 사용자가 클로(22)를 셔틀(11)에 물리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6개의 전개스프링이 배치된 6각 돔형의 텐트일 경우, 스프링 6개를 동시에 당기려면 엄청난 힘이 필요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종래의 자동 전개식 텐트가 전개스프링을 항상 인장상태로 고정 결합시키고 있는 이유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클로 당김고리(24)를 하나씩 당겨주면 되므로 다수의 스프링이라 할지라도 모두를 따로따로 분리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스프링의 영구변형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보다 작은 스프링을 필요할 때에만 강하게 당겨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텐트가 발휘하는 전개능력에 비해 스프링을 포함하여 전개에 관여하는 전반적인 구조체의 경량화가 가능한 것이다. 도 3에서 상단/중단 슬리브는 빨간색으로 도시되어 서로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하단슬리브는 텐트의 전개를 위해 중단슬리브와 분리되어 있다.
도 4, 도 12를 살펴본다. 전개스프링(42) 수축되면서 내부프레임(20)을 밀어올리고 있다. 외부프레임은 벌어지고 있다. 이때 하부폴(70)은 상부폴과 어떠한 결합도 없이 걸림턱 최하단 까지 내려와 있는 상태이다.
도 5, 도 13을 살펴본다. 전개가 완료된 상태에서 아직 셔틀(11)은 클로(22)에 물려 있다. 따라서 전개스프링은 외부프레임(10)을 당기고 있으며 하단슬리브(50)와는 매우 멀다. 통상의 텐트는 이 상태에서 하부폴을 탄성견인하기 위해 전개스프링을 사용할 수 없고 별도의 스프링을 폴 내부에 집어넣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의 전개스프링(42)은 완전히 수축된 상태(자유단 상태)에서 24.5cm, 펼침 도중에 최대로 늘어난 상태에서 46.0~46.5cm 정도이다. 완전히 펼쳐지면 약 44cm 정도이며, 지면고정을 위해 하단슬리브(50)와 중단슬리브(40)가 결합되어 상부 폴(60)과 하부 폴(70)이 서로 탄성 결합상태에 있을 때의 전개스프링 길이는 약 44cm 정도로 늘어난 상태에 맞추어져 있다.
도 6, 도 14를 살펴본다. 사용자가 와이어슬리브(15)를 잡아당겨 상단슬리브(30)와 일체로 결합시킨 상태이다. 참고로 도 14에 보여지는 본 실시예의 텐트는 악천후에서의 강풍저항능력과 2 ~ 4인 분의 거주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펼쳤을 때의 높이가 약 1.3m, 외부프레임 사이의 간격(바닥지름)이 약 2.9m로 설정되어 있다. 경금속재질의 파이프로 된 폴과 프레임의 직경은 1.6cm ~ 5.0cm 범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강풍, 비바람 등 어떤 상황에서도 소형 경량의 텐트를 우산처럼 쓰고 무릎 꿇은 상태에서 텐트 속에서 일어서면서 신속하게 쉽게 와이어슬리브(15)를 잡아당길 수 있게 설계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텐트를 대형으로 설계하였을 경우 상단슬리브(30)를 잡고 위로 올려 와이어슬리브(15)와 결합시킨 뒤 다시 내리는 방식으로 상단슬리브(3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와이어슬리브(14)에 연결된 셔틀와이어(14)는 셔틀(11)을 잡아당겨 클로(22)와 분리시킨다. 따라서 인장상태가 해제된 전개스프링은 급속히 수축되고, 사용자가 내부프레임슬리브(21)를 상부 폴 쪽으로 바싹 당겨주면 전개스프링은 수직으로 늘어뜨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중단슬리브(40)와 하단슬리브(50)를 서로 가까이 붙여 결합시키면 결국 전개스프링(42)은 하부폴을 잡아당기게 되는 셈이다. 이때 상부 폴은 일정 범위 내에서 위아래로 탄성 운동할 수 있다. 도 14는 하부 폴에 결합된 지면고정판(71)을 펼쳐 고정용 못이나 돌을 이용하여 지면에 간단히 고정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술한 모든 과정을 포함해서 돌과 못으로 지면고정판을 땅에 고정하는 작업 모두를 텐트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 강풍이 몰아치는 환경에서 외부프레임 및 외부프레임에 입혀진 텐트외피가 형성한 텐트상부 구조체는 별도의 고정 작업이 없다면 지속적으로 상하로 출렁이게 된다. 이것은 외부프레임을 지긋이 벌려 누르면서 기립하고 있는 텐트의 구조적 특징에서 유발되는 움직임이다. 단순히 센터 폴을 땅에 고정하는 방식인 종래의 텐트는 미소한 상하 흔들림이 누적될 경우 고정부위가 헐거워지면서 이내 뽑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된 하부 폴이 상부폴의 상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적절한 설계에 따라 상부폴의 좌우 진동에도 하부폴이 영향받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개스프링의 과도한 인장을 요하지도 않고, 또한 별도의 추가 스프링을 요하지도 않으면서 상부구조체의 지면고정 상태를 효과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구체화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이 내포하고 있는 기술적 사상을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미처 포함되지 않은 단순 변경 및 간단 확장 사례를 구현할 수도 있으나, 이 또한 이하의 청구범위로 표현되는 본 발명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자명하게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프레임 4~6개 방사상으로 배치된 돔형 텐트에 한정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전개스프링의 결합단 이동에 따른 본 발명만의 고유한 기술사상은 단지 방사상의 프레임 배치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 단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따른 구조를 나란히 반복 배치하여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확장 가능하다. 따라서 주기적인 설치와 해체가 필요한 대규모 설비, 예컨대 나쁜 기후의 습지나 오지에서 운용되는 비닐하우스나 대규모 군사시설 또는 피난시설 등에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외부프레임
11: 셔틀(shuttle)
12: 셔틀스프링
13: 셔틀걸림턱
14: 셔틀와이어
15: 와이어 슬리브(wire sleeve)
16: 연장프레임
20: 내부프레임
21: 내부프레임 슬리브
22: 클로(claw)
23: 클로 당김로프
24: 클로 당김고리
25: 클로 걸림턱
30: 상단슬리브
31: 상단슬리브 고정후크
40: 중단슬리브
41: 중단슬리브 고정나사
42: 전개스프링
50: 하단슬리브
51: 하단슬리브 고정후크
60: 상부 폴(pole)
70: 하부 폴
71: 지면고정판

Claims (4)

  1. 외부프레임(10)과 내부프레임(20)이 상부 폴(6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고, 또한 상기 상부 폴(6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복수 배치된 전개스프링(42)에 의해 상기 외부프레임(10)을 방사상으로 펼치는 구조를 갖는 자동 전개식 텐트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20)의 일단은 상단슬리브(30)를 통해 상기 상부 폴(60) 외주면 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외부프레임(10)과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전개스프링(42)의 일단은 중단슬리브(40)를 통해 상기 상부 폴(60)의 외주면 상에서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 및 해제가 가능한 클로(22)와 셔틀(11)의 결합구성에 의해, 상기 전개스프링(42)의 타단은 상기 외부프레임(10)과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개식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22)는 상기 전개스프링(42)에 고정 결합되며 또한 클로 당김로프(23)에 의해 잡아 당겨 상기 셔틀(11)에 물려지고;
    상기 셔틀(11)은 상기 외부프레임(10)의 내부에서 상기 클로(22)의 물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클로 당김로프(23)가 자신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외부프레임(10)은 자신의 내부에 상기 셔틀(11)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셔틀스프링(12), 셔틀걸림턱(13), 셔틀와이어(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개식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폴(60)에는 상기 셔틀와이어(14)를 잡아당길 수 있는 와이어슬리브(15)가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슬리브(30)에는 상기 와이어슬리브(15)와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단슬리브(40)와 상기 상단슬리브(3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20)에는 상기 클로(22)의 고정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내부프레임슬리브(21)가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전개식 텐트.
  4. 삭제
KR1020110090476A 2011-09-07 2011-09-07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KR10114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76A KR101144156B1 (ko) 2011-09-07 2011-09-07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0476A KR101144156B1 (ko) 2011-09-07 2011-09-07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53A KR20110105753A (ko) 2011-09-27
KR101144156B1 true KR101144156B1 (ko) 2012-05-10

Family

ID=44956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0476A KR101144156B1 (ko) 2011-09-07 2011-09-07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6089A (ko) 2021-04-23 2022-11-01 (주)블루초이스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과 지면 고정이 편리한 텐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435A (en) 1988-06-28 1992-02-25 Leclercq Jean Louis Folding shelter, such as a sunshade, shelter for hiking or camping or similar
US5564453A (en) 1992-10-19 1996-10-15 Steiner; Walter Apparatus for stationary screening
US5823214A (en) 1996-09-10 1998-10-20 Kortenbach Verwaltungs- Und Beteiligungsges. Mbh & Co. Self opening and self closing collapsible umbrella
US6776177B2 (en) 2002-11-21 2004-08-17 Chung-Cheng Wu Gardening protective shelter in umbrella sha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0435A (en) 1988-06-28 1992-02-25 Leclercq Jean Louis Folding shelter, such as a sunshade, shelter for hiking or camping or similar
US5564453A (en) 1992-10-19 1996-10-15 Steiner; Walter Apparatus for stationary screening
US5823214A (en) 1996-09-10 1998-10-20 Kortenbach Verwaltungs- Und Beteiligungsges. Mbh & Co. Self opening and self closing collapsible umbrella
US6776177B2 (en) 2002-11-21 2004-08-17 Chung-Cheng Wu Gardening protective shelter in umbrella sha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753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9119B2 (ja) センタリングクランプとダニ防止下向き歯と水排出溝と中心内面正方形ロック風および煙向け直し調節可能中心天蓋システムと複数機能フック、ロープ、杭、滑車輪システムとを有する調節可能中心天蓋・調節可能リング天蓋・調節可能周辺オーニング・単一中心内面正方形ロック・ポップアップ
US9366054B2 (en) Foldable tent
JP5138817B2 (ja) キャノピーテント
US7533681B2 (en) Collapsible structural frame
US5343887A (en) Self-erecting portable fabric structure
AU2004290566B2 (en) Umbrella
US20090056779A1 (en) Auxiliary section for a canopy
AU2019329384B2 (en) Multi-angle multi-function umbrella
US20080289673A1 (en) Foldable expandable shelter
KR101144156B1 (ko) 설치와 지면고정이 용이한 자동 전개식 텐트
US20180023314A1 (en) Frame for self-supporting shelter
US20020153033A1 (en) Collapsible structural frame strut with pop-in connector
WO2011022934A1 (zh) 预应力支撑索网帐篷
KR101477276B1 (ko) 텐트
CN214943010U (zh) 一种与方舱连接的快速展开帐篷
US20160290002A1 (en) Shelter deployment handles
CN209324126U (zh) 一种折叠式天幕帐篷
CN107254990A (zh) 一种双层顶帐篷的顶撑杆收缩结构
CN220539381U (zh) 一种伸缩式支撑杆、天幕帐及帐篷
WO2013054075A1 (en) A collapsible frame
KR200474904Y1 (ko) 레저용 파라솔
KR20080015499A (ko) 십자 지붕형 캐노피 하우스의 구조
US20170198491A1 (en) Calculus structure
AU2018202191B2 (en) A Mast and Umbrella
JP3103132U (ja) テン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