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772B1 - 분리형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772B1
KR101143772B1 KR1020050083879A KR20050083879A KR101143772B1 KR 101143772 B1 KR101143772 B1 KR 101143772B1 KR 1020050083879 A KR1020050083879 A KR 1020050083879A KR 20050083879 A KR20050083879 A KR 20050083879A KR 101143772 B1 KR101143772 B1 KR 101143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ub
main
cpu
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013A (ko
Inventor
임주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7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기 이동단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를 일체형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고,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의 결합 여부에 따라 통신기능을 담당하는 주체를 변경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메인 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덮개(120)가 힌지(130)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덮개(120)의 열림(open) 또는 닫힘(close)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120)에 서브 단말기(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삽입홈(1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121)의 종단면에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입출력 커넥터(210)가 결합될 커넥터(122)를 장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이동 단말기{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검출부의 회로도.
도3은 본 발명에서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의 연결 구성을 보인 다른 실시 예의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가 분리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가 결합된 경우의 동작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메인 단말기 101,201 : CPU
200 : 서브 단말기 310 : 검출부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리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언제 어디서나 개인이 휴대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문메시지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최근 무선인터넷 기능도 제공하도록 구현되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이 필수구성요소로 장착되며,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모듈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과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분리가 불가능한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 단말기는 통신모듈의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통신모듈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데, 이는 통신모듈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ESN(Electronic Serial Number)을 새로이 부여받아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ESN을 새로이 부여받는다는 것은 이동 단말기를 새로 구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경제적인 부담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기 이동단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를 일체형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창안한 분리형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의 결합 여부에 따라 통신기능을 담당하는 주체를 변경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기 통신기능을 갖는 메인 단말 기와 서브 단말기를 결합,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가 결합된 경우 상기 메인 단말기가 통신 기능 주체로 동작하고, 분리된 경우 상기 서브 단말기가 통신 기능 주체로 동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단말기는 덮개 상에 서브 단말기를 삽입, 결합할 홈을 상기 서브 단말기의 길이만큼 형성하고, 그 홈의 끝 부분에 상기 서브 단말기가 결합될 커넥터(connector)를 장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는 단말 고유번호(ESN : Electronic Serial Number)가 동일하게 탑재되며, 단말기의 결합/분리에 따라 상기 ESN 정보를 일측 단말기만이 이용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는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을 각기 구비하여, 단말기 결합 상태를 판단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모듈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MSM(Mobile Station Modem)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신 모듈은 CPU 또는 MSM 또는 상기 CPU 또는 MSM에 단말기 결합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검출회로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신 모듈과 수신모듈 사이의 신호 전달 방식은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덮개(120)가 힌지(130)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110)에 대해 상기 덮개(120)의 열림(open) 또는 닫힘(close)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120)에 서브 단말기(20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삽입홈(121)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121)의 종단면에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입출력 커넥터(210)가 결합될 커넥터(122)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는 각기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된 경우 상기 메인 단말기(100)만이 통신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분리된 경우 상기 서브 단말기(200)만이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덮개(120)의 하부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며, 본체(110)에는 키보드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브 단말기(200)는 결합 상태인지 또는 분리 상태인지를 검출하기 위한 도2의 검출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부(310)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단자에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의 제어신호가 입력되고, 콜렉터 단자에 풀업저항(R1)을 통해 전 압(Vcc) 단자에 연결됨과 아울러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에 연결되며, 에미터 단자가 상기 CPU(101)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검출부(310)는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에서 출력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가 턴온됨으로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로 로우레벨의 모드결정신호를 입력시키는 동시에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로 하이레벨의 모드결정신호를 입력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 단말기(100)만이 통신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반대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분리되는 경우 검출부(310)는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에서 출력된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트랜지스터(Q)가 턴오프됨으로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로 하이레벨의 모드결정신호를 입력된다.
이에 따라, 서브 단말기(200)가 통신기능을 담당하고 메인 단말기(100)는 통신기능에 관련된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검출부(310)가 서브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메인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여 메인 단말기(100)에서 통신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또는 서브 단말기(200)에서 통신 기능을 담당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는 결합 상태 또는 분리 상태를 인식하기 위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단말기(100) 의 CPU(101)와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간을 디지털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PU(101)(201)는 상대방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점검하여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되어 있는지 아니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또는 분리 상태에 따라 메인 단말기(100) 또는 서브 단말기(200)가 통신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즉,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 단말기(100)가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고,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서브 단말기(200)가 통화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마스터 또는 슬래브로 동작하는 과정을 도2, 도4 및 도5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와 도5의 동작을 설명함에 있어서, 서브 단말기(200)의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진 시점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 단말기(100)의 삽입홈(121)에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라면 상기 서브 단말기(200)에 구비된 검출부(310)는 트랜지스터(Q)가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에 의해 턴온상태를 유지함으로 풀업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Q)를 통해 상기 CPU(101)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에 로우 레벨의 모드결정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CPU(101)(201)는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임을 인식하게 되며, 상기 CPU(101)는 통화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하게 되며, 상기 CPU(201)는 통화서비스에 관련된 동작을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이후, 서브 단말기(200)가 메인 단말기(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서브 단말기(200)에 구비된 검출부(310)는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에서 출력되는 하이레벨의 제어신호가 수신되지 않음으로 트랜지스터(Q)가 턴오프되어 풀업저항(R1)을 통해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에 하이신호를 입력시키며, 상기 CPU(101)에는 상기 검출부(310)로부터의 신호가 없어 로우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는 서브 단말기(200)가 분리되었음을 인식하여 통신모듈(102)을 통해 power down registration 및 pilot CH disable을 기지국에 요청하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는 통신모듈(202)을 통해 power up registration 및 pilot CH enable을 기지국에 요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 단말기(200)만이 통신서비스에 관련한 동작을 수행시키게 된다.
이후, 서브 단말기(200)가 메인 단말기(100)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서브 단말기(200)에 구비된 검출부(310)는 상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로부터 하이 레벨의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트랜지스터(Q)가 턴온됨으로 풀업저항(R1)에 흐르는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Q)를 통해 상기 CPU(101)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상기 서 브 단말기(200)의 CPU(201)에 로우 레벨의 모드결정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CPU(101)(201)는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의 결합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는 통신모듈(202)을 제어하여 power down registration 및 pilot CH disable을 기지국에 요청함과 아울러 통화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게 되며,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는 통신모듈(102)을 제어하여 power up registration 및 pilot CH enable을 기지국에 요청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단말기(100)만이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도3의 방식으로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여 결합 또는 분리를 인식함에 있어서,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와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가 통신을 수행함으로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상기 CPU(101)가 모드 결정 데이터를 상기 CPU(201)에 전달하여 상기 서브 단말기(200)를 마스터로 동작시킬 것인지 또는 슬래브로 동작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CPU(101)가 "0~1.0V"(즉, 0~255 ADC 값 중 0~84 값)의 모드 결정 데이터를 출력하면 서브 단말기 (200)가 마스터로 인식하고, 상기 CPU(101)가 "2.0~3.0V"(즉, 0~255 ADC 값 중 171~255 값)의 모드 결정 데이터를 출력하면 상기 서브 단말기(200)는 슬래브로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조작 등에 의해 서브 단말기(200)를 마스터로 변경 을 설정하면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가 '0~84' ADC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입력받은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는 마스터 동작을 실행하여 통화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을 인에이블시킨 후 power up registration 및 pilot CH enable을 기지국에 요청한다.
이에 따라, 서브 단말기(200)만이 통신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대로, 서브 단말기(200)에 대해 슬래브로 변경이 설정되면 메인 단말기(100)의 CPU(101)가 '171~255' ADC 값을 출력하여 상기 서브 단말기(200)의 CPU(201)로 슬래브로의 변경을 지시하며, 상기 CPU(201)는 슬래브로의 변경을 인식하면 power down registration 및 pilot CH disable을 기지국에 요청한 후 통화서비스에 관련된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메인 단말기(100)만이 통신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은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에 각각 통신모듈(102)(202)을 구비하여, 결합 유무에 따라 통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메인 단말기(100)는 전자수첩, 인터넷 접속, SMS 등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서브 단말기(200)는 통화서비스 기능만을 제공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메인 단말기(100)와 서브 단말기(200)간의 통신을 위한 무선모듈을 장착함으로써 메인 단말기(100)에서 서브 단말기(200)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메인 단말기(100)는 서브 단말기(200)를 통해 무선 인터넷, 모바일 게임, SMS 등의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선모듈은 블루투스, 무선 1394, 무선랜 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수첩, 인터넷접속...등의 복잡한 기능은 큰 화면과 키보드를 가진 메인 단말기(100)를 이용하고, 이동 중이거나 전화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서브 단말기(100)만을 휴대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를 결합형으로 구현하여 이동 단말기에 큰화면을 필요로 하는 기능의 탑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자수첩, 인터넷접속...등의 큰 화면을 필요로 하는 기능은 메인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동 중이거나 전화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서브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말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키보드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힌지로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부 장치를 구비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메인 단말기; 및
    상기 메인 단말기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서브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단말기가 상기 메인 단말기와 결합되면 상기 메인 단말기만 무선 통신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브 단말기가 상기 메인 단말기와 분리되면 상기 서브 단말기만 무선 통신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의 일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서브 단말기의 입출력 커넥터가 결합될 커넥터가 종단면에 장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메인 단말기와 서브 단말기는 결합 또는 분리 상태를 판단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0083879A 2005-09-08 2005-09-08 분리형 이동 단말기 KR101143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79A KR101143772B1 (ko) 2005-09-08 2005-09-08 분리형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879A KR101143772B1 (ko) 2005-09-08 2005-09-08 분리형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13A KR20070029013A (ko) 2007-03-13
KR101143772B1 true KR101143772B1 (ko) 2012-05-11

Family

ID=3810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879A KR101143772B1 (ko) 2005-09-08 2005-09-08 분리형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182B1 (ko) * 2017-09-18 2022-03-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분리형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928A (ja) 1998-02-23 1999-08-31 Ricoh Elemex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データ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928A (ja) 1998-02-23 1999-08-31 Ricoh Elemex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データ通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13A (ko) 2007-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9590B2 (en) Mobile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detection and communication of voice and digital data
US7627704B2 (en) Communication interface for an electronic device
US7961895B2 (en) Audio interface device and method
US8977870B2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a USB compatible device, and supplying corresponding power thereafter
US6252942B1 (en) Wireless butt set
US93803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earphone mounting in portable terminal
US6615059B1 (en) Mobile terminal interface
CN107835033A (zh) 天线调谐开关的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JP2011503814A (ja) 多目的ユニバーサルバスケーブル
KR20110042455A (ko) 이어폰 삽입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50101350A1 (en) Communication device
EP1143686A1 (en) 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9898B1 (ko) 외부장치 감지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143772B1 (ko) 분리형 이동 단말기
US20080075024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1596306A2 (en)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ircui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CN110209371B (zh) 一种音频兼容电路及视音频设备
KR101002533B1 (ko)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US20070263750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600442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0364500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위한 다기능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1010136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KR20060035067A (ko) 유/무선 전화기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합 장치
KR100594440B1 (ko) 우선순위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유에스비 포트장치 및그 제어방법
KR100619718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모드 전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