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550B1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43550B1 KR101143550B1 KR1020090079373A KR20090079373A KR101143550B1 KR 101143550 B1 KR101143550 B1 KR 101143550B1 KR 1020090079373 A KR1020090079373 A KR 1020090079373A KR 20090079373 A KR20090079373 A KR 20090079373A KR 101143550 B1 KR101143550 B1 KR 101143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e
- fastening
- fastening band
- support device
- f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체결띠는 수목의 표피와 인접한 제1면과 제1면의 타면인 제2면의 각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수목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 본체부를 수목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띠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부재는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는 막대형상의 몸체부의 일단에는 연결부재의 수용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結合球)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일단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텐션부재는 일단은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되고, 타단은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띠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의 부재들을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를 체결띠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An adjustable adjustable tree support device is disclosed. The fastening band is alternately protruded in eac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skin of the tree and the second surface,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so that a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n the form of a pulse. The tree wrap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consists of a belt shape consisting of a fastening part for fixing the body part to the tree. The connecting member is fastened to an area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fastening band, and a lower end portion has a hemispherical accommodating space. At one end of the rod-shaped body portion, a coupler is formed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a thread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astened to a screw thread formed on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tree is planted, and the length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cycling the members of the support device including a fastening band made of reinforced plastic or metal material, it is easy to recycle.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support rope or the support rod to the fastening band to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b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upport device in various forms regardless of the terrain where the tree is located.
수목, 지지대, 와이어 로프, 인장력, 척력 Trees, supports, wire rope, tension, repuls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을 똑바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수목 둘레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suppor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djustable prefabricated tree support device for supporting a tree circumference to grow the tree straight.
일반적으로 가로수나 정원수 등의 수목을 식생하거나 이식하는 경우에 목재나 플라스틱 혹은 강관으로 된 지주대를 수목의 주위로 3~4개 정도 세운 후,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결착구로 수목에 결착시키거나 수목의 각 방향의 지중으로 앵커를 매설 고정하고 와이어 로프에 의해 수목에 결착시켜 수목의 식생을 보조하고 있다. In general, when planting or transplanting trees such as roadside trees or garden trees, three or four pillars made of wood, plastic, or steel pipe are erected around the trees, and then they are bound to the trees with rubber or plastic binders, or trees. Anchors are buried and fixed in the ground in each direction of the ground, and they are attached to the trees by wire rope to assist the vegetation of the trees.
도 1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지대는 수목의 주위에 4개의 수직 지지대를 세운 후 수직 지지대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대 4개를 연결하여 설치한 후 2개의 고정 지지대에 의해 나무를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는 수목 한 그루의 식생을 보조하기 위해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대에 수목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지지대가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고정 지지대와 수목을 고정시킨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대 역시 수목 한 그루의 식생을 보조하기 위해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하게 주기적으로 고정 지지대와 수목을 고정시킨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는 나무로 재작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that is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Referr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support structure for fixing the tree by the two fixed supports after installing four vertical supports around the tree and then install the four horizontal supports connecting each end of the vertical support Is taking. However, such a conventional support has a problem that the other trees must be felled to support the vegetation of one tre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is hindering the growth of the tree because it is a method of fixing the tree to the support,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you need to re-bind the rope after fixing the fixed support and the tree periodically.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upport as shown in Figure 2 also has the problem of logging the other trees living to support the vegetation of one tree, and to solve the problem that hinders the growth of the tree in the same periodic fixed support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carried out again to untie the rope after fixing the tree and the fixed tree. In particular, since the support shown in Figures 1 and 2 is made of woo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used.
한편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지지대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수목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사용할 경우에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수목에 감싸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와이어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upport shown in Figure 3 has a method of fixing the tree using a wire rope. In this way, when using a wire rope, the problem of logging other living trees can be solved. However, because the end of the wire rope is wrapped around the tree and fixed, the same problem that hinders the growth of the tree, and to solve this problem, like the support shown in Fig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 must be carried out again.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는 나무로 제작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와이어 로프 방식의 지지대는 재사용은 가능하나 수목에 직접 와이어 로프를 감싸는 방식이므로, 수목에 상처를 남기는 문제가 있으며, 설치 후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support shown in Figures 1 and 2 is made of woo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used. In addition, the support of the wire rope method shown in Figure 3 is reusable, but because it is a way to wrap the wire rope directly on the tree, there is a problem of leaving a scar on the tree, there is a problem that hurts the aesthetics after installation.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목의 성장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설치, 해체 및 조정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ree support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dismantle and adjust, reusable, and length adjustable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with tree growth.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는, 수목의 표피와 인접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타면인 제2면의 각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목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 상기 본체부를 상기 수목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체결띠; 상기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막대형상의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結合球)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및 일측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텐션부재;를 구비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tre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ely protrudes with respect to each direction of the first surface adjacent to the skin of the tree and the second surface which is the other surface of the first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belt-shaped fastening band formed of a main body part having a pulse shape and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part, and a fastening part which surrounds the tre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fixes the main body part to the tree; A connection member which is bound to a reg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fastening band, and has a hemispherical accommodating space at a lower end thereof; A fixing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rod-shaped body part to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having a thread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one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And a tension member formed at one end of the screw hole and fastened to a screw thread formed at the fixing membe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ground on which the tree is planted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tension member.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에 의하면,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수목을 감싸는 체결띠에 연결하여 수목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 고 있어, 수목의 성장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체결띠의 텐션을 간단한 작업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체결띠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의 부재들을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를 체결띠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 및 수목의 크기에 맞춰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의 개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djustable prefabricated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a structure to support the tree by connecting the support rope or the support rod to the fastening band surrounding the tree, it can minimize the disturbance to the growth of the tree. In addition, the tension of the fastening straps can be adjusted by a simple operation, thereby making it easy to maintain and maintain the members of the supporting device including the fastening straps by using a reinforced plastic or metal material. In addition, by designing the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support rope or the support rod to the fastening band to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fastening band,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upport device in various forms regardless of the terrain where the tree is located. Furthermore, since the posi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for binding the support rope or the support rod to the fastening band can be arbitrarily chang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number of the support rope or the support rod can be elas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errain and the size of the tree where the tree is located.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s 4a and 4b is a view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100)는 본체부(110)와 체결부(120, 13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0)는 띠형상의 일면과 타면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고 있다. 체결부(120, 130)는 본체부(110)의 양단에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일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부(120)가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타단에는 제1체결부(120)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2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20)는 제2체결부(13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며, 제1체결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이 슬릿에 걸림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제1실시예(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목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게 되며, 체결부(120, 130)에 의해 수목에 고정된다. 4A and 4B, a first preferr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30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100)와 본체부(310)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체결부(320, 330)는 볼트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부(310)의 일면 방향으로 꺽어진 부분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목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게 되며, 체결부(320, 33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5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타면의 돌출부(즉, 수목의 표면에 접하는 부분)에는 스펀지, 고무, 연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있는 패드(34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 패드(340)에 의해 본체부(310)가 강성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어도 수목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패드(34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300)의 타면 돌출부에도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a second preferr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400) 역시 본체부(410)와 체결부(420, 430)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400)는 본체부(41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와 차이가 있다. 즉, 제3실시예(400)는 띠형상의 본체 일면(즉, 수목과 접하지 않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부(4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440)에는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는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의 수목에 면하는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들을 체결띠를 이루는 재료로 만들어진 이음부로 연결한 상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3실시예(400)의 각각의 돌출부(440)에 형성된 슬릿(450)은 하부가 폐쇄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슬릿(450)의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3실시예(400) 역시 수목과 접하는 면에 탄성 패드(미도시)를 부착하여 수목 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third preferred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수목을 감싼 후 체결부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수목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수목에 고정된 상 태에서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는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슬릿 형태의 통공을 형성하며,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는 본체부(410) 자체의 돌출부(440)에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3개에서 최대 36개 사이에서 결정된다.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가 3개와 36개는 체결띠를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감쌀 때 서로 간의 간격이 120°와 10°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는 6개(즉, 체결띠를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감쌀 때 서로 간의 간격이 60°)이다. 이러한 슬릿에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이하에서는 연결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to 6 is fixed to the tree by a fastening portion 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fter wrapping the tre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ree. As described above, the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7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is shown.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500)는 연결부(510)와 수용부(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510)와 수용부(520)는 일체로 제작되며, 강화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강성재질로 제작된다. 연결부(510)는 직육면체의 중간에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룬다. 연결부(510)의 일측벽은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 또는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돌출부(44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450)에 삽입고정된다. 또한 연결부(510)의 타측벽의 외면에는 수용부(520)가 형성된다. 수용부(520)는 하단부가 반구형인 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공간(540)에 고정부재(6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가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부(520)에 형성된 내부 공간(540)의 깊이는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520)의 닫힌 단부인 유동부의 지름은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이탈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7A and 7B, the
또한 수용부(520)의 단부인 원주의 중앙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반구형의 하단부 중심지점까지 슬릿(530)이 형성된다. 수용부(520)에 형성되는 슬릿(530)의 폭은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의 가장 두꺼운 지점보다 크고 고정부재(6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슬릿(530)의 개방되지 않은 단부에는 슬릿(530)의 폭보다 크고 결합구(610)의 직경보다 작은 원으로 마무리된다. 한편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일정한 영역까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540)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610)를 삽입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In addition, the
도 8은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띠(300)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50)에 의해 수목에 체결되며, 체결띠(300)의 내측 돌출부에 부착된 탄성 패드(340)에 의해 수목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삽입 위치와 개수는 수목의 크기, 수목이 식재된 지역의 지형, 수목이 식재된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는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고정부재(600)가 삽입고정되었을 때 고정부재(6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폭 또는 또한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돌출부(44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450)의 폭은 삽입되는 연결부재(500)의 일측벽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ure 8, th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 및 와이어 로프(720)로 구성된다.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이 나사결합된다. 또한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걸고리(710)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와이어 로프(720)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걸고리(710)가 끼워져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앵커가 끼워져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 이때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도넛형상의 앵커체결고리(730)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수목이 식재된 지형에 따라 와이어 로프(7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720)에 슬라이딩 가능한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를 설치하고,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의 개방영역에 와이어 로프(720)의 일정지점을 안착시킨 후 압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에 의해 와이어 로프(720)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 고리(750)를 통해 앵커가 끼워져 와이어 로프(720)가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9A and 9B,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shown in Figs. 9a and 9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shown in Figure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1st Example of a tree support apparatus.
도 10을 참조하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띠(300)가 수목(800)에 체결된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걸고리(710)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720)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걸고리(710)가 끼워져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앵커(810)가 끼워져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설치 상태에 따르면, 수목(800)이 경사면에 식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경사면의 상부지점에 고정되는 와이어 로프들은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수목 지지 장치의 제1실시예는 텐션부재로 와이어 로프(720)를 사용하므로, 보행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720)의 일지점에 유채색의 식별표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에의 식별력을 보장하기 위해 식별표지의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와이어 로프(720)의 외면 전체를 유채색(바람직하게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보호부재로 감쌀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1A and 11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9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부(910), 고정부(920) 및 촉침부(930)로 구성된다. 몸체부(910)는 일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부재(912)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영역까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부재(9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몸체부(91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914)를 회동시켜 나사산을 일정영역(940) 만큼 노출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제1부재(912)와 제2부재(914)는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부재(914)의 타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공에 고정부재(6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한편 제2부재(914)의 양단부에 모두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부재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는 앵커가 삽입되어 텐션부재(900)를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920)가 형성된다. 한편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와 촉침부(930)를 포함하는 영역(960)에 위치하는 고정부(920)는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고리(962)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촉침부(9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촉침부(930)는 텐션부재(900)를 지반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이다.11A and 11B, a second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shown in FIGS. 11A and 11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shown in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installation state of 2nd Embodiment of a tree support apparatus.
도 12를 참조하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띠(300)가 수목(800)에 체결된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텐션부재(9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촉침부(930)를 지반에 삽입하여 텐션부재(900)를 일차적으로 지반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부(920)에 앵커를 삽입하여 지반에 박음으로써 텐션부재(900)를 완전히 지반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조절(즉,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단축)하여 체결띠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2, the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tr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by connec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shown in FIGS. 11A and 11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shown in FIG. It is a figur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upport device.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 상태는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수목을 지지하는 힘이 인장력이 아닌 척력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연결부재(500)는 체 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동일하게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텐션부재(9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촉침부(930)를 지반에 삽입하여 텐션부재(900)를 일차적으로 지반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조절(즉,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연장)하여 체결띠에 척력을 가함으로써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텐션부재(900)의 몸체부(910)가 땅속으로 박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는 텐션부재(900)의 둘레보다 큰 판형의 고정부(9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3,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force supporting the tree is repulsive force, not tensile force. To this end, in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텐션부재(900)의 일정한 지점에 유채색의 식별표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에의 식별력을 보장하기 위해 식별표지의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텐션부재(900)의 외면 전체를 유채색(바람직하게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보호부재로 감쌀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econd and thir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tree suppor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a colored identification mark is attached to a specific point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upport that is widely used in the existing,
도 2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upport that is being used in the past,
도 3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수목을 고정하는 형태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upport in the form of fixing a tree using a wire rope used in the existing,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a and 4b are views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6 is a view showing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7a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b i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도 8은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9A and 9B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연결 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shown in Figures 9a and 9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n the second embodiment for the fastening band shown in Figure 8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d Figur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device,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11A and 11B show a configuration of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constituting the tree suppor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shown in FIGS. 11A and 11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shown in FIG.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device, and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12에 도시된 상태와는 다르게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ension member illustrated in FIGS. 11A and 11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astening band illustrated in FIG. 8, unlike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2.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tree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leted by connecting.
Claims (1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en) | 2009-08-26 | 2009-08-26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en) | 2009-08-26 | 2009-08-26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1524A KR20110021524A (en) | 2011-03-04 |
KR101143550B1 true KR101143550B1 (en) | 2012-05-09 |
Family
ID=4393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en) | 2009-08-26 | 2009-08-26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4355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1102B1 (en) * | 2015-04-06 | 2015-07-31 | (주)신흥이앤지 | Fixing assembly having space adjusting means for adventure facility |
KR20160004660A (en) | 2014-07-03 | 2016-01-13 | 김병모 | Rope connecting apparatus for tree |
KR20230156523A (en) | 2022-05-06 | 2023-11-14 | 김병모 | Load supporting device for tre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37774A (en) * | 2020-08-10 | 2020-10-30 | 余高强 | Self-adaptation ornamental trees and shrubs winter protection area |
CN112806209A (en) * | 2021-03-03 | 2021-05-18 | 福州乐亿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 Tree supporting device |
KR102604805B1 (en) * | 2023-06-27 | 2023-11-22 |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 Heat exchange pipe fixture near plant roo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379Y1 (en) * | 1994-09-07 | 1997-03-21 | 김복성 | Device for props |
JP2000023721A (en) * | 1998-07-07 | 2000-01-25 | Shimizu:Kk | Parasol stand |
KR20080038738A (en) * | 2006-10-31 | 2008-05-07 | 서준석 | Controlling apparatus of supports in the fruit tree |
KR20080040467A (en) * | 2006-11-03 | 2008-05-08 | 윤지홍 | A supporting apparatus for tree and method of the apparatus |
-
2009
- 2009-08-26 KR KR1020090079373A patent/KR10114355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02379Y1 (en) * | 1994-09-07 | 1997-03-21 | 김복성 | Device for props |
JP2000023721A (en) * | 1998-07-07 | 2000-01-25 | Shimizu:Kk | Parasol stand |
KR20080038738A (en) * | 2006-10-31 | 2008-05-07 | 서준석 | Controlling apparatus of supports in the fruit tree |
KR20080040467A (en) * | 2006-11-03 | 2008-05-08 | 윤지홍 | A supporting apparatus for tree and method of the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4660A (en) | 2014-07-03 | 2016-01-13 | 김병모 | Rope connecting apparatus for tree |
KR101541102B1 (en) * | 2015-04-06 | 2015-07-31 | (주)신흥이앤지 | Fixing assembly having space adjusting means for adventure facility |
KR20230156523A (en) | 2022-05-06 | 2023-11-14 | 김병모 | Load supporting device for tre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1524A (en) | 2011-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3550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 |
KR101200663B1 (en) |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 |
US4870781A (en) | Combination tree support and feeder stake | |
RU2486317C2 (en) | Wire anchor with conical tip | |
US4738050A (en) |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 |
US5568700A (en) | Stand-off device for yieldingly supporting a tree to a tree support stake | |
KR20130021271A (en) | A tree supporter | |
JP3602948B2 (en) | Revegetation method and revegetation device using adsorptive vine plants | |
US20080092439A1 (en) | Tree stake | |
KR102151570B1 (en) | connection fastener for supporting wood pole | |
KR200457069Y1 (en) | Controlling apparatus of supports in the tree | |
US5867936A (en) | Resilient tree guy | |
US9894846B1 (en) | Device for staking a tree | |
KR200481883Y1 (en) | Detachable connecting clip detachably attached to post supporting crops | |
JP2887470B1 (en) | Fasteners for root pots of planted trees | |
JP4687213B2 (en) | Slope greening structure | |
CN212728286U (en) | Fixed bearing structure is transplanted to trees | |
EP1959723B1 (en) | Plant tie | |
KR101588387B1 (en) | A tree protection stand | |
KR200427905Y1 (en) | Support for trees haved flexibility | |
US20060185232A1 (en) | Tree anchor apparatus and method | |
JPH05153877A (en) | Method for setting tree for planting | |
KR200398814Y1 (en) | A stick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 |
KR20010025472A (en) | Wire prop for trees | |
US20060053704A1 (en) | Support for plants, fences and the lik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