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210B1 -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 Google Patents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210B1
KR101143210B1 KR1020050014236A KR20050014236A KR101143210B1 KR 101143210 B1 KR101143210 B1 KR 101143210B1 KR 1020050014236 A KR1020050014236 A KR 1020050014236A KR 20050014236 A KR20050014236 A KR 20050014236A KR 101143210 B1 KR101143210 B1 KR 101143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ometer
alarm
function
measured
alarm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3212A (ko
Inventor
박우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2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9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3Alarm signal stop arrangement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23/00Arrangements producing acoustic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 G04B23/02Alarm clocks
    • G04B23/04Alarm clocks with coarse and fine setting of the preselected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알람(alarm), 및 만보계를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알람(alarm), 만보계 및 위치측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알람기능 제공방법은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아서 저장하는 과정, 상기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이 동작된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를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알람(alarm), 만보계, 위치측정

Description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METHOD FOR PROVIDING ALARM FUNCTION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본 발명은 알람(alarm), 만보계 및 위치측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 및 만보계와 위치측정 기능을 이용해서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복합 단말기 등의 개인 휴대단말기에 구비된 알람기능은 사용자들이 모닝콜을 위해서 이용했었다. 상기 휴대단말기는 기 설정된 알람시간이 되면 알람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인식한 사용자는 키패드 입력 등을 통하여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고 다시 잠이 들어 제 시간에 일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알람시간이 여러번 설정되어 있다고 해 도 상기와 같은 경우를 예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만보계와 위치측정 기능을 이용해서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및 그에 따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알람(alarm), 및 만보계를 구비한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람(alarm), 만보계 및 위치측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알람기능 제공방법은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아서 저장하는 과정, 상기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이 동작된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를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알람기능 모듈부(100)는 알람시간이 되면 기설정된 방식, 예를 들면 벨소리나 진동으로 알람기능을 제공한다.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는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서 상기 장치의 진동을 감지할 때마다 그 횟수를 누적시켜서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는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400)는 사용자로부터 알람시간, 만보계 횟수 설정값, 만보계 대기시간 및 위치이탈 대기시간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서 입력된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메모리부(500)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알람시간, 만보계 횟수 설정값, 만보계 대기시간 및 위치이탈 대기시간 정보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다.
제어부(600)는 현재 시간이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알람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알람기능 모듈부(100)를 동작시켜서 알람기능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알람기능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의 소정키를 눌러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하면, 일단 알람기능에 따라 동작되는 벨소리 나 진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는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측정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를 동작시켜서 만보계 횟수의 측정값을 제공받는다.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서 발생되는 진동여부에 따라 만보계 횟수를 누적시켜서 그 값을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하는데, 사용자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만보계 횟수도 더 이상 누적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측정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을 때마다 그 값을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만보계 횟수 설정값과 비교를 한다. 비교 결과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켜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반면에,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 이하이고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어서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더 이상 누적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만보계 대기시간을 카운트 한다.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이 카운트 되는 동안에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누적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게 되면, 즉 사용자가 다시 움직여서 만보계 횟수가 누적되면 다시 그 값을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과 비교를 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다시 누적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켜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반면에,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더 이상 누적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지 못해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 이하를 계속 유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아서 중지했던 알람기능을 지속, 즉 벨소리나 진동을 재동작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다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를 동작시켜서 상기 비교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한편,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함으로써 동작된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상기 제어부(600)는 그 값을 상기 메모리부(300)에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 즉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을 때 측정된 위치 정보와 비교한다. 비교 결과,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가 다르면, 상기 제어부(600)는 최종적으로 알람기능을 종료시킨다.
반면에,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가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위치이탈 대기시간을 카운트 한다.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이 카운트 되는 동안에 상기 장치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되어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와 달라지면 상기 제어부(600)는 최 종적으로 알람기능을 종료시킨다.
하지만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현재 측정된 위치의 변동이 없어서 현재의 위치 정보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동일함을 계속 유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아서 중지했던 벨소리나 진동을 재동작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다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을 하면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와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켜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조건을 반복 체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알람기능을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알람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서 알람시간, 만보계 횟수 설정값, 만보계 대기시간 및 위치이탈 대기시간 정보를 미리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400)를 통해서 알람기능을 위한 정보들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입력된 정보들을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들이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됨으로써 알람기능을 위한 동작이 수행되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시간이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알람시간과 일치하는지 체크한다(S10). 체크 결과, 현재 시간이 상기 알람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알람기능 모듈부(100)를 동작시켜서 알람기능이 제공되도록 제어한다(S20). 현재 시간이 상기 알람시간과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시간이 상기 알람시간과 일치할 때까지 상기 S10 단계를 반복 수행한 다.
알람기능에 따라 동작되는 벨소리나 진동을 인식한 사용자는 이를 중지시키기 위해서 상기 키패드의 소정키를 누를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알람기능이 제공된 상태에서 상기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S30).
체크 결과, 상기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일단 알람기능에 따라 동작되는 벨소리나 진동을 중지시키고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하고, 상기 제어부(600)는 측정된 현재 위치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한다(S40). 상기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입력이 있을 때까지 상기 S30 단계를 진행하여서 알람기능에 따라 동작되는 벨소리나 진동이 지속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S40 단계에서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를 동작시켜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는지 체크한다(S50). 체크 결과, 사용자의 움직임이 있으면 그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는 만보계 횟수를 상기 제어부(60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측정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을 때마다 그 값이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한다(S60).
체크 결과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S50 단계를 반복 수행함으로써 상기 만보계 횟수는 누적된다. 상기 만보계 횟수가 누적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600)는 그 값이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해서, 누적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를 동작시켜서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다.
반면에, 상기 S50 단계를 수행하는데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어서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더 이상 누적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지 못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만보계 대기시간을 카운트 한다.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70) 대기시간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S50 단계를 수행하고, 대기시간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S2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이 완료되기 전에 상기 S50 단계에서 다시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누적된 만보계 횟수가 제공되면, 즉 사용자가 다시 움직여서 만보계 횟수가 누적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S60 단계를 수행해서 다시 누적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한다.
반면에,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만보계 기능 모듈부(200)로부터 더 이상 누적된 만보계 횟수를 제공받지 못해서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회수 설정값 이하를 계속 유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S20 단계를 수행해서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아서 중지했던 벨소리나 진 동을 재동작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다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 입력을 하면(S30) 상기 S40 ~ S7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한편, 상기 S60 단계에서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함으로써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300)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상기 제어부(600)는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가 상기 메모리부(300)에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 즉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아서 상기 S40 단계에서 저장된 위치 정보와 다른지 체크한다(S80). 체크 결과,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다르면, 상기 제어부(600)는 최종적으로 알람기능을 종료시킨다(S90).
반면에, 상기 S80 단계에서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동일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메모리부(500)에 저장된 위치이탈 대기시간을 카운트 한다.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00) 대기시간이 아직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600)는 계속적으로 상기 S80 단계를 수행해서 현재 측정된 위치 정보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다른지 체크하고, 대기시간이 완료되었으면 상기 S20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장치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되어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와 달라지면 상기 제어부(600)는 최종적으로 알람기능을 종료시킨다(S90).
하지만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이 완료될 때(S100)까지 현재 측정된 위치의 변동이 없어서 현재의 위치 정보가 상기 기존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동일함을 계속 유지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S20 단계를 수행해서 사용자에 의해 알람종료 입력을 받아서 중지했던 벨소리나 진동을 재동작 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사용자가 다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키 입력을 하면(S30), 알람기능을 종료시키기 위한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상기 S40 ~ S10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만보계 및 위치측적 기능이 이용해서 알람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모닝콜로 상기 알람기능을 설정한 사용자가 실제로 일어났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람기능이 제공될 때 사용자가 종래처럼 소정키를 입력해서 벨소리나 진동을 중지해도 알람기능은 종료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다시 잠들어 일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없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알람(alarm), 및 만보계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을 동작시킨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된 만보계 대기시간이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 이하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만보계 대기시간 완료전까지 움직임이 있으면 만보계 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 완료 전까지 움직임이 없으면 알람기능을 지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현재 위치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를 통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입력된 위치이탈 대기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치측정 기능 모듈부를 통해서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 내에 현재 위치를 측정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와 비교하여 다르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 내에 측정된 현재 위치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위치와 동일하면 알람기능을 지속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알람(alarm), 만보계 및 위치측정 기능을 구비한 장치의 알람기능 제공방법에 있어서,
    알람시간 및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입력받아서 저장하는 과정;
    상기 알람시간에 따라 알람기능이 동작된 상태에서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만보계 기능을 동작시켜서 측정된 만보계 횟수를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과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만보계 대기시간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 이하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는지 체크하는 과정;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으면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저장된 만보계 대기시간 완료전까지 움직임이 있는지 체크하는 과정;
    움직임이 있으면 만보계 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하는 과정; 및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만보계 대기시간 완료전까지 움직임이 없으면 알람기능을 지속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위치이탈 대기시간을 미리 저장하고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입력을 받으면 상기 위치측정 기능을 동작시켜서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체크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만보계 횟수가 상기 만보계 횟수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 내에 상기 위치측정 기능을 통해서 현재 위치를 측정해서 상기 저장된 위치와 비교하는 과정; 및
    상기 저장된 위치와 상기 측정된 현재 위치가 다르면 알람기능을 종료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탈 대기시간 내에 측정된 현재 위치가 상기 저장된 위와 동일하면 알람기능 지속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14236A 2005-02-21 2005-02-21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KR101143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36A KR101143210B1 (ko) 2005-02-21 2005-02-21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236A KR101143210B1 (ko) 2005-02-21 2005-02-21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212A KR20060093212A (ko) 2006-08-24
KR101143210B1 true KR101143210B1 (ko) 2012-05-18

Family

ID=3760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236A KR101143210B1 (ko) 2005-02-21 2005-02-21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2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974B1 (ko) * 2016-12-29 2019-02-13 임선욱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CN109452728B (zh) * 2017-04-12 2021-03-09 佛山市丈量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步长计算的智能鞋垫及其步长计算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18A (ko) * 2000-05-18 2000-10-05 우상엽 다기능 손목시계
KR20010112691A (ko) * 2000-06-12 2001-12-21 김명환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람이 중지되는 시계 및 이시계의 알람을 중지하는 방법
KR20040034023A (ko) * 2002-10-17 2004-04-28 이종현 알람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418A (ko) * 2000-05-18 2000-10-05 우상엽 다기능 손목시계
KR20010112691A (ko) * 2000-06-12 2001-12-21 김명환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알람이 중지되는 시계 및 이시계의 알람을 중지하는 방법
KR20040034023A (ko) * 2002-10-17 2004-04-28 이종현 알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212A (ko)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3414B2 (en) Standby method for handheld mobile terminal, microprocessor, and mobile phone
US83787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US20070036348A1 (en) Movement-based mode switching of a handheld device
US20100013778A1 (en) Portable electronis device and the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EP213377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program
KR100647135B1 (ko) 동작 감지를 이용하여 알람 제어를 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방법
WO20120922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backlight control
KR20100060834A (ko) 전면 터치 휴대단말기의 콜 발신 방법
CN105353901A (zh) 对触摸操作进行有效性判断的方法及装置
KR101143210B1 (ko) 알람기능 제공방법과 그에 따른 장치
EP1930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JP5561028B2 (ja) 歩数計測装置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CN106648205B (zh) 休眠控制方法、装置及终端
JP5125822B2 (ja) 携帯情報処理装置、計測制御方法および計測制御プログラム
CN211509120U (zh) 一种关闭闹钟的装置
JP2008117056A (ja) 加速度センサを備えた携帯端末、加速度パターン登録方法、加速度パターン比較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581807A1 (en) Tactile indicato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8113105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マナーモード切換制御方法、及び切換制御プログラム
KR100899943B1 (ko) 진동감지 기반의 모드 전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단말장치
CN111432072A (zh) 一种关闭闹钟的方法及装置
KR20020069958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96113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누즈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4103430A (ja)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0532597B1 (ko) 배터리 충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