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758B1 - 포터블 크레인 - Google Patents

포터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758B1
KR101141758B1 KR1020100047612A KR20100047612A KR101141758B1 KR 101141758 B1 KR101141758 B1 KR 101141758B1 KR 1020100047612 A KR1020100047612 A KR 1020100047612A KR 20100047612 A KR20100047612 A KR 20100047612A KR 101141758 B1 KR101141758 B1 KR 101141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ain body
vehicle
coupled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024A (ko
Inventor
김동우
박보흠
Original Assignee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터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터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75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with supporting couples provided by walls of buildings or like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7Pivoting arms, e.g. crane typ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장애인이나 환자와 같은 사람 또는 휠체어와 같은 사물 등을 벨트에 걸림 거치한 후 이동시키는 포터블 크레인에 있어서, 일 단부가 차량이나 건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 및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방향 일 단부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타 단부는 풀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회전축에 연결 결합되는 벨트가 마련된 본체, 본체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벨트의 타 단부를 감거나 풀림시키며, 벨트에 걸림 거치된 사람이나 사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부, 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승강구동부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벨트의 타 단부가 회전축에서 풀림시,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축에 다시 감김되지 않도록, 벨트가 회전축에서 완전히 풀림된 상태에서 다시 감김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벨트를 접촉 감지하면서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회전감지센서, 차량이나 실내에 고정 설치되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걸림 체결되어, 본체를 차량이나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터블 크레인{Potable crane}
본 발명은 포터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휠체어 등을 용이하게 차량이나 실내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포터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환자 등과 같이 자력으로 의자에 앉거나 침대에 눕기 어려운 사람들을 의자 또는 침대와 같은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호자가 허리를 구부린 상태에서 장애인을 안아 올려야 하므로 보호자에게는 큰 힘이 요구된다.
특히, 차량이나 열차 또는 비행기와 같은 좁은 공간에서는 이러한 행동이 공간상의 제약을 크게 받기 때문에 보호자에게 보다 큰 힘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의 위험도 뒤따르게 된다. 더불어, 근래에는 이러한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이들이 사용하는 휠체어 등을 손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장애인용 크레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장애인의 복지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열차나 항공기와 같은 탑승시설을 비롯하여 관공서, 호텔, 병원 등과 같은 곳에서도 크레인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및 실내에 설치되는 크레인은, 크기가 크고 구조가 복잡해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된 차량이나 실내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공간상의 제약이 있으며, 일단 설치된 상태에서는 해체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나 실내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면서, 공간 상의 제약이 작은 포터블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이나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장애인이나 환자와 같은 사람 또는 휠체어와 같은 사물 등을 벨트에 걸림 거치한 후 이동시키는 포터블 크레인에 있어서, 일 단부가 차량이나 건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 및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방향 일 단부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타 단부는 상기 풀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 결합되는 상기 벨트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벨트의 타 단부를 감거나 풀림시키며, 상기 벨트에 걸림 거치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서 풀림시, 상기 벨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다시 감김되지 않도록, 상기 벨트가 상기 회전축에서 완전히 풀림된 상태에서 다시 감김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벨트를 접촉 감지하면서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걸림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걸림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일 단부가 하향 절곡된 'ㄱ'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삽입 체결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착탈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판 형상의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에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을 밀면서 상기 걸림판의 상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 외측보다 돌출되게 하여, 상기 베이스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걸림 체결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벨트에 연결 상태로 걸림 거치되는 걸림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걸림지지부는, 하 단부에 상기 제1고리가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벨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 가능한 상태로 풀리가 장착된 걸림베이스와, 상기 제1고리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상기 사람 또는 상기 사물을 걸림시키는 제2고리가 형성된 걸림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 구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일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게 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를 권취시, 상기 벨트가 상기 회전축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적층 권취되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적층가이드판이 상호 이격되게 결합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측면브라켓과, 일 단부가 상기 측면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 형상의 제1걸림고정부가 결합된 수평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결합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바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측에 제1고정홈이 형성된 수직지지대가 결합된 바닥브라켓과, 상기 수직지지대에 축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제1걸림대가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제2고정홈이 이격 형성된 제1회전프레임과, 상기 제1회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단부에는 제2걸림대가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는 핀이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제2고정홈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3고정홈이 관통 형성된 승강프레임 및, 일 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관 형상의 제2걸림고정부가 결합 구비되고, 일 측에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에서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걸림대가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복수의 제4고정홈이 형성된 제2회전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브라켓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이 마련된 가이드이송바와, 상기 바닥브라켓의 일 측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바닥브라켓이 상기 가이드이송바의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는 롤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터블 크레인은, 본체에 마련된 벨트는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림 또는 감김되면서, 벨트에 걸림 거치되는 사람이나 사물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체가 차량이나 실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이나 실내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함과 더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해체시켜 따로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상기 착탈걸림부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벨트의 완전 풀림 이후 작동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지지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터블 크레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포터블 크레인은, 본체(100), 승강구동부(300), 역회전감지센서(4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00)는 차량이나 건물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후 설명될 상기 승강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장애인이나 환자와 같은 사람 또는 휠체어와 같은 사물 등을 들어올리게 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에는 사람이나 사물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벨트(130)가 구비되며, 베이스(140), 착탈걸림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40)는 차량이나 건물의 바닥으로부터 일정위치 상방에 배치되는 프레임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베이스(140)는 일 단부를 하향 절곡한 'ㄱ'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40)의 타 단부 일 측에는 이후 설명될 벨트(13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풀리(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140)에 하나의 풀리(110)를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40)의 일 측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승강구동부(3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회전축(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20)에는 상기 벨트(130)의 길이방향 타 단부가 연결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120)에는 상기 승강구동부(300)에 의한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130)를 권취시, 상기 벨트(130)가 상기 회전축(12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적층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적층 가이드판(121)을 상호 이격되게 결합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40)의 타 단부 일측에는 상기 풀리(110)에 인접하게 상기 벨트(130)의 길이방향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된다. 이같이, 상기 벨트(130)는 길이방향 일 단부가 상기 베이스(140)의 타 단부 일측에 고정되며, 타 단부는 상기 풀리(11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전축(120)에 연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130)는 상기 회전축(120)을 정회전시킬 경우 감김되면서 상기 사람이나 사물을 들어올리게 되며, 상기 회전축(120)을 역회전시킬 경우 풀림되면서 상기 사람이나 사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착탈걸림부(150)는 상기 베이스(140)를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측벽 또는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착탈걸림부(150)는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측벽 또는 바닥에 설치된 관 형상의 부재(도면부재) 상에 삽입 관통된 상태로 체결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더불어, 상기 착탈걸림부(150)는 이후 설명될 상기 지지프레임(500)(510) 상에 삽입 관통하면서 체결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할 수도 한다. 이러한, 상기 착탈걸림부(150)는 상기 베이스(130)의 일 단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착탈걸림부(150)는 걸림판(151), 탄성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판(151)은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140)의 하향 절곡된 일 단부에서 하방 테두리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된다.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걸림판(151)의 일 측부를 하방으로 밀면서 상기 걸림판(151)의 상 단부가 상기 베이스(140)의 일 단부 외측보다 돌출되게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걸림판(151)에 인접한 상태로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140)의 일 단부에 설치되며, 하 단부는 상기 걸림판(151)의 상 단부에 접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152)는 상기 베이스(140)의 일 단부가 이후 설명될 상기 지지프레임(500)(510)에 삽입 관통시에는, 상기 걸림판(151)이 상기 베이스(140)의 일 단부 외측보다 돌출되게 않게 회동시킬 경우 압축되면서, 상기 베이스(140)를 상기 지지프레임(500)(510)이나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설치된 관 부재 상에 용이하게 삽입 관통되게 할 수 있다. 도 5와 같이, 상기 걸림판(151)이 상기 지지프레임(500)(510)에 완전히 관통할 경우, 상기 탄성부재(152)에 의해 상기 걸림판(151)이 밀리면서, 상기 걸림판(151)의 상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500)(510)에 걸림되면서, 상기 베이스(140)는 상기 지지프레임(500)(510)에 걸림 결합상태가 된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터블 크레인의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벨트(130)에 연결 상태로 걸림 거치되는 걸림지지부(2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지지부(200)는 상기 벨트(130)에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용이하게 걸림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행거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걸림지지부(200)는 상기 벨트(130)의 길이방향 일 단부에 인접하게 걸림 거치된다. 이러한, 상기 걸림지지부(200)는 상기 벨트(130)에 걸림된 상태로 상기 벨트(130)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승강하면서, 상기 사람 또는 사물을 상기 벨트(130)에 용이하게 걸림 거치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지지부(200)는 걸림베이스(210), 걸림바(220)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베이스(210)는 상기 벨트(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는 블럭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베이스(210)의 일 측부에는 상기 벨트(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 가능한 상태로 풀리(212)를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베이스(210)의 하 단부에는 상기 걸림바(220)를 걸림 지지할 수 있도록 제1고리(211)가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걸림베이스(210)는 상기 풀리(212)에 의해 상기 벨트(1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는 바, 상기 벨트(130)가 풀림되면 하방으로 하강하며, 상기 벨트(130)가 권취되면 상방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 걸림바(220)는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감싼 천을 안정적으로 걸림 지지하는 길이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걸림바(220)는 상기 제1고리(211)에 걸림상태로 연결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바(220)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상기 천을 걸림시키면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걸림 거치할 수 있도록 제2고리(221)가 복수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바(220)는 길이방향 양 단부에 각각 상기 제2고리(221)가 형성된 하나의 길이부재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의 길이부재를 상호 교차상태로 결합하여 상기 천에 감싸진 상태로 걸림 거치되는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분산 거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상기 회전축(120)을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벨트(130)의 타 단부를 상기 회전축(120)에 감기게 하거나 풀림되게 한다. 즉,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20)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상기 벨트(130)에 걸림 거치되는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승강구동부(300)는 구동모터(310), 구동기어(320), 연결기어(3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310)는 상기 본체(100)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축(12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구동기어(320)는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축에 결합 설치된 상태로 상기 연결기어(330)와 연결된다. 즉, 상기 구동기어(320)는 상기 구동모터(310)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120)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결기어(330)는 상기 회전축(120)의 일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320)와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기어(330)는 상기 구동모터(310)의 작동에 의한 상기 구동축의 회전시, 상기 회전축(120)이 상기 구동축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구동기어(320)로부터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는 상기 승강구동부(300)에 의한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으로 상기 벨트(130)가 상기 회전축(120)에서 풀림시, 상기 회전축(120)에서 상기 벨트(130)가 완전히 풀림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0)이 계속 회전하면서, 다시 상기 회전축(120)에 상기 벨트(130)가 감김되는 것을 방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는 상기 벨트(130)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0)에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는 상기 회전축(120)에서 상기 벨트(130)가 완전히 풀림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120)이 계속 회전하면서 다시 상기 회전축(120)에 상기 벨트(130)가 감김시,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벨트(130)가 접촉되면서 작동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가 상기 벨트(130)와 접촉될 경우,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는 상기 승강구동부(300)의 구동모터(310)의 작동을 정지시키면서, 상기 벨트(130)의 풀림 동작시, 상기 회전축(120)에 상기 벨트(130)가 다시 감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터블 크레인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차량이나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500)의 일 단부는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고정 설치되며, 타 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앞서 설명한 상기 착탈걸림부(150)에 의해 걸림 체결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500)은 측면브라켓(501), 수평회전바(503)를 포함한다.
상기 측면브라켓(501)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측벽에 고정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측면브라켓(501)에는 볼트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트공(50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수평회전바(503)는 상기 본체(100)를 거치한 상태로 상기 측면브라켓(501)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회전바(503)의 일 단부는 상기 측면브라켓(50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회전바(503)의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후 상기 착탈걸림부(150)를 걸림시킬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관 형상의 제1걸림고정부(504)를 결합 구비한다.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지지프레임(51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측단면도, 분해사시도이다. 즉,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바닥브라켓(511), 제1회전프레임(518), 승강프레임(522), 제2회전프레임(526)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브라켓(511)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결합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바닥브라켓(511)의 일 측부에는 상기 바닥에 수직하게 수직지지대(512)를 결합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대(512)의 일 측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의 제1걸림대(519)를 삽입 걸림할 수 있도록 제1고정홈(5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브라켓(511)에는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상기 본체(10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 설치할 수 있도록 가이드이송바(514)와 롤러(516)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이송바(514)와 상기 롤러(516)를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바닥브라켓(511)의 저면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고정 결합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이송바(514)는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고정 결합되는 길이부재로, 길이방향으로는 슬라이딩레일(5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516)는 상기 바닥브라켓(511)의 일 측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이송바(514)의 슬라이딩레일(515) 상에 삽입 설치된다. 이같이, 상기 롤러(516)가 상기 바닥브라켓(511)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레일(515)에 삽입됨으로, 상기 바닥브라켓(511)이 상기 가이드이송바(514)의 슬라이딩레일(515)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은 상기 바닥브라켓(511)의 수직지지대(512)에 축 회전 가능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의 일 측에는 상기 제1고정홈(513)에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제1걸림대(519)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1걸림대(519)의 단부가 상기 제1고정홈(513)에 삽입 걸림될 경우,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은 상기 수직지지대(512) 상에서 수평방향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게 고정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1걸림대(519)에는 스프링부재(520)를 외삽 구비하여, 상기 제1걸림대(519)를 내측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제1고정홈(513)에 상기 제1걸림대(519)의 단부가 걸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의 일 측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제2고정홈(521)을 이격되게 관통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승강프레임(522)은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일 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제2고정홈(521)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3고정홈(525)을 이격되게 관통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제3고정홈(525)을 통해 핀(도면미도시)이 상기 제2고정홈(521)에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 상 상하방향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상 단부에는 이후 설명될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제4고정홈(528)에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제2걸림대(523)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2걸림대(523)의 단부가 상기 제4고정홈(528)에 삽입 걸림될 경우,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은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상에서 수직방향 회전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게 고정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대(523)에는 앞서 설명한 상기 제1걸림대(519)와 마찬가지로 스프링부재(524)를 외삽 구비하여, 상기 제2걸림대(523)를 내측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제4고정홈(528)에 상기 제2걸림대(523)의 단부가 걸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일 단부는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상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일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상기 착탈걸림부(150)에 걸림될 수 있도록 관 형상을 가지는 제2걸림고정부(527)가 결합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일 측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제4고정홈(528)이 요입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제4고정홈(528)에 상기 승강프레임(522)의 제2걸림대(523)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의 상기 승강프레임(522) 상 수직방향으로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상기 바닥브라켓(511)의 수직지지대(512) 상에 상기 제1회전프레임(518)을 수평 방향 회전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승강프레임(522) 상에 상기 제2회전프레임(526)을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본체(100)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이 필요한 경우, 상기 본체(100)를 상기 지지프레임(510)에 인접되도록 할 수 있어 보관 면적을 작게 차지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포터블 크레인의 동작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본체(100)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보다 상방에 위치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프레임(500)을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에 고정 설치한다. 이후, 상기 착탈걸림부(150)의 걸림판(151)을 누른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일 단부를 상기 지지프레임(500)에 삽입 관통시켜, 상기 걸림판(151)이 상기 지지프레임(500)에 걸림상태로 설치되게 한다.
이렇게, 상기 본체(100)를 상기 지지프레임(400) 상에 설치하면,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상기 벨트(130)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걸림 거치한다. 이때, 상기 벨트(130) 상에는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용이하게 걸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지지부(200)를 걸림 거치한 상태로, 상기 걸림지지부(200)의 걸림바(220)에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감싸는 상기 천을 걸림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승강구동부(300)의 구동모터(310)를 구동시키면, 상기 회전축(120)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130)에 걸림 거치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승강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승버튼(도면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310)에 의해 상기 회전축(120)이 정회전하면서, 상기 벨트(130)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축(120) 방향으로 이동하며 감김되면서, 상기 벨트(130)의 일 단부 측에 걸림 거치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하강버튼(도면미도시)을 누르면, 상기 구동모터(3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회전축(120)을 역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벨트(130)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축(120)에 감김된 상태에서 풀림되면서, 상기 벨트(130)의 일 단부 측에 걸림 거치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같이, 상기 회전축(120)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130)가 풀림되면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하방으로 이동시, 계속적으로 상기 회전축(120)의 역회전에 의한 다시 상기 벨트(130)의 상기 회전축(120)에 대한 재감김상태가 발생할 경우, 상기 역회전감지센서(400)가 상기 벨트(130)와 접촉되면서 작동하며 상기 구동모터(31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포터블 크레인은,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상기 벨트(130)가 상기 승강구동부(30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풀림 또는 감김되면서, 상기 벨트(130)에 걸림 거치된 사람이나 사물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가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함과 더불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해체시켜 따로 보관할 수 있어 공간을 적게 차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풀리
120: 회전축 130: 벨트
140: 베이스 150: 착탈걸림부
151: 걸림판 152: 탄성부재
200: 걸림지지부 210: 걸림베이스
220: 걸림바 300: 승강구동부
310: 구동모터 320: 구동기어
330: 연결기어 400: 역회전감지센서
500,510: 지지프레임

Claims (9)

  1. 차량이나 건물에 설치된 상태로 장애인이나 환자와 같은 사람 또는 휠체어와 같은 사물 등을 벨트에 걸림 거치한 후 이동시키는 포터블 크레인에 있어서,
    일 단부가 상기 차량이나 건물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 측부에는 풀리 및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방향 일 단부가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타 단부는 상기 풀리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 결합되는 상기 벨트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벨트의 타 단부를 감거나 풀림시키며, 상기 벨트에 걸림 거치된 상기 사람이나 상기 사물을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승강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한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벨트의 타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서 풀림시, 상기 벨트가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에 다시 감김되지 않도록, 상기 벨트가 상기 회전축에서 완전히 풀림된 상태에서 다시 감김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벨트를 접촉 감지하면서 상기 승강구동부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회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나 실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된 상태로 걸림 체결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으로부터 상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일 단부가 하향 절곡된 'ㄱ' 형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가 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삽입 체결 및 이탈을 용이하게 하는 착탈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착탈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핀 결합되는 판 형상의 걸림판과,
    상기 걸림판에 인접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판을 밀면서 상기 걸림판의 상 단부가 상기 베이스의 일 단부 외측보다 돌출되게 하여, 상기 베이스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걸림 체결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벨트에 연결 상태로 걸림 거치되는 걸림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걸림지지부는,
    하 단부에 제1고리가 형성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벨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회전 가능한 상태로 풀리가 장착된 걸림베이스와,
    상기 제1고리에 걸림상태로 지지되며,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각각 상기 사람 또는 상기 사물을 걸림시키는 제2고리가 형성된 걸림바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 구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회전축의 일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게 하는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벨트를 권취시, 상기 벨트가 상기 회전축의 수직방향으로 일정하게 적층 권취되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적층가이드판이 상호 이격되게 결합 구비되는 포터블 크레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측면브라켓과,
    일 단부가 상기 측면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관 형상의 제1걸림고정부가 결합된 수평회전바를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결합되며, 일 측부에는 상기 바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일측에 제1고정홈이 형성된 수직지지대가 결합된 바닥브라켓과,
    상기 수직지지대에 축 회전가능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외삽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1고정홈에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제1걸림대가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제2고정홈이 이격 형성된 제1회전프레임과,
    상기 제1회전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 단부에는 제2걸림대가 마련되고, 상하방향으로는 핀이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2고정홈에 삽입 걸림되도록 상기 제2고정홈에 대응되게 복수의 제3고정홈이 관통 형성된 승강프레임 및,
    일 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단부가 삽입 관통되는 관 형상의 제2걸림고정부가 결합 구비되고, 일 측에는 상기 승강프레임 상에서 회전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걸림대가 선택적으로 삽입 걸림되는 복수의 제4고정홈이 형성된 제2회전프레임을 포함하는 포터블 크레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바닥브라켓은,
    상기 차량이나 상기 실내의 바닥에 고정 결합되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레일이 마련된 가이드이송바와,
    상기 바닥브라켓의 일 측부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바닥브라켓이 상기 가이드이송바의 슬라이딩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하는 롤러를 더 구비하는 포터블 크레인.
KR1020100047612A 2010-05-20 2010-05-20 포터블 크레인 KR101141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12A KR101141758B1 (ko) 2010-05-20 2010-05-20 포터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612A KR101141758B1 (ko) 2010-05-20 2010-05-20 포터블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24A KR20110128024A (ko) 2011-11-28
KR101141758B1 true KR101141758B1 (ko) 2012-05-03

Family

ID=45396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612A KR101141758B1 (ko) 2010-05-20 2010-05-20 포터블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1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625B1 (ko) * 2012-09-24 2013-02-13 수림엘리베이터(주) 에스컬레이터 제어반 유지보수용 리프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15A (ko) * 1998-06-30 2000-01-25 오세훈 리프트 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00004616A (ko) * 1998-06-30 2000-01-25 김운영 리프트 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40018066A (ko) * 2002-08-22 2004-03-02 김광표 이동 리프트
KR100791521B1 (ko) 2006-11-14 2008-01-04 남기백 이동식 장애인용 리프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615A (ko) * 1998-06-30 2000-01-25 오세훈 리프트 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00004616A (ko) * 1998-06-30 2000-01-25 김운영 리프트 시스템의 구동장치
KR20040018066A (ko) * 2002-08-22 2004-03-02 김광표 이동 리프트
KR100791521B1 (ko) 2006-11-14 2008-01-04 남기백 이동식 장애인용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024A (ko) 201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48218B2 (en) Patient lifting system
US20070029267A1 (en) Bicycle support rack
AU2018262114B2 (en) Receiving module for ceiling patient lift system
WO2006042459A1 (fr) Dispositif de suspension pour le stationnement des bicyclettes
KR101141758B1 (ko) 포터블 크레인
US7802326B2 (en) Bath tub lifter
KR20120087745A (ko) 침대 캐리어
US8024824B1 (en) Person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CA2490396A1 (en) Carpet display rack
KR20130011761A (ko) 승합차량용 장애인을 위한 휠체어 리프트장치
US8353070B1 (en) Collapsible rail system
JP5152960B2 (ja) リフト装置
KR101648354B1 (ko) 완강기능을 겸비한 공동주택용 접이식 난간
CN114269311A (zh) 患者支承平台的延伸部
KR200455447Y1 (ko) 마사지장치
US20120030868A1 (en) Toilet bed cage support apparatus
JP2009039187A (ja) 座席搬送装置
JP2016171859A (ja) 入浴装置
CN204369476U (zh) 一种移动式伸缩旋转吊臂
JP5266404B2 (ja) 中枠付多機能型車椅子
JP3915221B2 (ja) 介護用リフト
JPH06339508A (ja) 入浴用リフト装置
US20070039906A1 (en) Carpet display rack
GB2592342A (en) Vertically adjustable bed assembly
JP2004267486A (ja) 天井走行レールの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