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617B1 -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617B1
KR101141617B1 KR1020060033801A KR20060033801A KR101141617B1 KR 101141617 B1 KR101141617 B1 KR 101141617B1 KR 1020060033801 A KR1020060033801 A KR 1020060033801A KR 20060033801 A KR20060033801 A KR 20060033801A KR 101141617 B1 KR101141617 B1 KR 101141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pecific
calling number
specific symbo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101A (ko
Inventor
전성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3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617B1/ko
Priority to JP2006323624A priority patent/JP2007288763A/ja
Publication of KR20070102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원 발신번호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발신을 시도할 때 원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원 발신번호 중 상기 특정 기호를 상기 특정 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발신번호로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으나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원 발신번호로 상기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는 제어부와;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발신번호, 국제전화, 통화

Description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method for displaying call number and mobile terminal}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번호를 표시한 화면들.
도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번호 표시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0: 키입력부
20: 무선송수신부
30: 제어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저장부
55: 버퍼
본 발명은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특정 기호를 포함하여 발신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제전화시 특정 기호를 앞자리에 입력하고 나머지 국가번호등을 포함하하는 수신자번호를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였다. 이때 이 특정기호는 국제통화에 연결되는 망사업자의 망번호에 해당하는 번호로, 호연결 호 통화시 특정기호는 이미 이동통신단말기에 할당된 망사업자의 망번호로 대체하여 전환된 발신번호를 표시하였다.
그런데, 국제통화시 전환된 발신번호의 길이가 너무 길어, 발신번호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전환된 발신번호를 모두 출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전환된 발신번호가 모두 출력되더다로 발신번호가 길지 않은 경우 출력되었던 호상태나 수신자정보 등을 표시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번호 화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번호 화면의 여유 공간에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신을 시도할 때 원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원 발신번호 중 상기 특정 기호를 상기 특정 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발신번호로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며,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제1출력단계와;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으나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원 발신번호로 상기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며,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제2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통화번호 표시방법를 제공한다.
또한, 제1출력단계에서, 호연결 시도 중에는 상기 전환된 발신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 또는 상기 제1출력단계에서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는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출력단계에서, 상기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표시할 때 상기 전환된 발신번호와 상기 원 발신번호 사이 여유 공간에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원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원 발신번호에 따라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발신을 시도할 때 원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상기 원 발신번호 중 상기 특정 기호를 상기 특정 번호로 전환하여 전환된 발신번호로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으나 상기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원 발신번호로 상기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는 제어부와;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호연결 시도 중에는 상기 전환된 발신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는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호연결시 상기 원 발신번호를 출력할 때 상기 전환된 발신번호와 상기 원 발신번호 사이 여유 공간에 특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정보는 통화시간 또는 현재시간, 수신자정보, 호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자정보는 폰북에 저장된 정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특정 정보와 상기 원 발신번호는 서로 구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번호는 국제 전화번호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기호는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구성도이며, 도2a 내지 도2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번호를 표시한 화면들이다.
도1 및 도2a 내지 도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키입력부(10)과 무선송수신부(20),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 다어얼링버퍼(55)를 포함하는 저장부(50)를 포함하고 있다.
키입력부(10)는 다수의 숫자키를 포함하고 있어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발신번호는 한국내 통화번호일 수도 있고, 한국외 통화번호일 수도 있고, 한국을 기준으로 국제 통화번호일 수도 있고, 한국외 국가, 예를 들어 일본을 기준으로 국제통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번호가 일본을 기준으로 국제 통화번호인 "+821099991234"일 경우 다수의 숫자키를 이용하여 이 발신번호를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무선송수신부(20)는 키입력부(10)에 의해 발신번호, 예를 들어 "+821099991234"가 입력된 상태에서 일본을 기준으로 국제 통화시 기지국과 통신한다.
제어부(30)는 발신을 시도할 때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에 특정 기호, 예를 들어 여러국가에서 국제 통화번호를 의미하는 "+"가 포함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특정 기호 "+"가 포함된 경우 특정 기호에 국제 통신망 번호에 해당하는 특정 번호, 예를 들어 "009130010"가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 중 특정 기호 "+"를 특정 번호 "009130010"로 전환하여 전환된 발신번호, 예를 들어 "009130010821099991234"로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한 다.
또한, 제어부(30)는 특정 기호가 포함되지 않았거나 특정 기호가 포함되었으나 특정 기호에 특정 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경우 원 발신번호로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는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0)는 통상적인 표시장치, 예들 들어 LCD, PDP, CRT, OLED, FED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는, 도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기호 "+"가 포함된 경우 호연결 시도 중에는 전환된 발신번호 "009130010821099991234"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호연결시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를 출력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는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는 원 발신번호를, 호연결 시도 중에는 전환된 발신번호를, 최종적으로 호연결시 축소된 원 발신번호를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최종적으로 호연결시 디스플레이부(40)는 축소된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여 길이기 긴 전환된 발신번호보다 여유공간을 갖는다.
디스플레이부(40)는 호연결시 원 발신번호를 출력할 때 전환된 발신번호와 원 발신번호 사이 여유 공간에 특정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특정 정보는 도2d에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시간 또는 수신자의 이미지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특정 정보는 이외에 현재시간, 수신자정보, 호상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수신자정보는 폰북에 저장된 정보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폰북에 저장된 수신자정보는 도2d에 도시한 수신자의 이미지 또는 전화번호, 이름 등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정보는 발신 정보 또는 수신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는,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와 여유공간에 출력된 특정정보가 서로 구분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 발신번호와 특정정보의 색깔을 달리하거나 특정한 영역을 표시하거나 배경색이 다를 수 있다. 또한, 글자의 크기나 모양 등이 다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는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두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하나에 위에서 설명한 발신번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양자에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원 발신번호를 출력하고 다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위에서 설명한 특정 정보를 출력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외 다양한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50)의 다이어링버퍼(55)는 발신 시도나 호연결시 원 발신번호 및 전환된 발신번호를 저장하고 있다가 디스플레이부(40)에 이들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결과적으로 발신시도 후 통화 종료시까지 디스플레이부(40)는 발신번호와 함께 충분히 특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화번호 표시방법의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먼저 발신시도하면(S10), 발신번호 "+821099991234"에 특정 기호, 예를 들어 "+"가 포함된 국제 전화번호, 즉 국제호인지 판단한다(S15). 국 제호인 경우 발신번호"+821099991234"를 다이얼링 버퍼(55)에 저장한다(S20).
특정 기호"+"에 대해 할당된 망번호, 예들 들어 "009130010"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25). 특정 기호 "+"에 할당된 망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특정 기호 "+"를 망번호로 변환한다(S30). 원 발신번호 "+821099991234"를 특정 기호 "+"에 할당된 망번호로 대체하여 전환된 발신번호, 즉 통화번호 "009130010821099991234"로 전환한다(S35).
망번호에 해당하는 무선망을 통해 전환된 통화번호 "009130010821099991234"로 기지국에 발신한다(S40, S45).
발신후 호연결을 판단하고(S50), 호연결시 다이얼링 버퍼(55)에 저장된 원 발신번호를 디스플레이부(30)에 출력하고(S55), 통화한다(S60).
만약, 최초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 "+"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국제 통화번호가 아니므로 원래 발신번호로 기지국에 발신하고(S65), 원래 발신번호를 출력한다(S70). 발신후 호연결을 판단하고(S75), 통상적인 방식과 동일하게 원 발신번호를 디스플레이부(30)에 출력하고(S80), 통화한다(S60).
한편, 최초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 "+"가 존재하나 특정 기호 "+"에 할당된 망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원래 다이얼링 버퍼(55)에 저장된 발신번호로 발신하고(S85), 디스플레이부(30)에 원래 발신번호를 출력한다(S90). 이후 호연결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발신시도 후 통화 종료시까지 디스플레이부(40)는 발신번호와 함께 충분히 특정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기호로 "+"를 설명하였으나, 특정 기호는 국가마다, 사업자마다 달리질 수 있다.
또한, 숫자로 구성된 전화번호만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문자나 기호로 구성된 구성번호를 위에서 설명한 발신번호라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메일주소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시도할 때 이메일주소의 길이가 긴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발신번호에 해당하는 이메일주소의 길이를 가변적으로 줄일 수 있다.
위 실시예예서, 입력장치로 키입력부를 설명하였으나 음성인식이나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특정 기호가 포함되어 발신번호로 통화를 시도할 때 특정 기호에 해당하는 특정 번호로 전환하여 출력하지 않고 특정 기호가 포함된 상태로 발신번호를 표시하므로 발신번호 화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기호가 포함된 상태로 발신번호를 표시하므로 여유 공간에 발신정보 또는 수신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또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제1 발신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제1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기호를 상기 특정 기호에 할당된 특정 번호로 전환하여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제2 발신번호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호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상기 제2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와;
    호연결시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호연결시 통화시간, 현재시간, 수신자정보 및 호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 및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번호는 국제 전화번호를 의미하며, 상기 특정 기호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번호 표시방법.
  6. 입력부와;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송수신부와;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제1 발신번호에 특정 기호가 포함된 경우, 상기 특정 기호에 할당된 특정 번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제2 발신번호로 전환하고, 상기 제2 발신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 호연결을 시도하며, 상기 호연결을 시도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2 발신번호를 출력하고, 호연결 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연결을 시도하기 전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제1 발신번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연결시 통화시간, 현재시간, 수신자정보 및 호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상기 제1 발신번호와 구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번호는 국제 전화번호이고, 상기 특정 기호는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60033801A 2006-04-13 2006-04-13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101141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01A KR101141617B1 (ko) 2006-04-13 2006-04-13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2006323624A JP2007288763A (ja) 2006-04-13 2006-11-30 発信番号表示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801A KR101141617B1 (ko) 2006-04-13 2006-04-13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101A KR20070102101A (ko) 2007-10-18
KR101141617B1 true KR101141617B1 (ko) 2012-05-17

Family

ID=3876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801A KR101141617B1 (ko) 2006-04-13 2006-04-13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7288763A (ko)
KR (1) KR101141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740B1 (ko) 2012-12-21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전화번호 관리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96A (ko) * 1997-07-26 1999-02-25 윤종용 전화기에서 국제 전화번호 다이얼링 방법
KR20010110533A (ko) * 2000-06-07 2001-12-13 윤종용 국가간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전화기의다이얼링 제어 방법
KR20040091186A (ko) * 2003-04-19 2004-10-28 황재엽 최저요금자동선택 이동통신시스템
KR100667352B1 (ko) 2006-01-26 2007-0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07508A (ja) * 1995-05-02 1996-11-22 Ribu & Rabu:Kk 国際電話利用装置
JP2000253126A (ja) * 1999-02-25 2000-09-14 Sanyo Electric Co Ltd 電話装置
JP2005184650A (ja) * 2003-12-22 2005-07-07 Sharp Corp 携帯電話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096A (ko) * 1997-07-26 1999-02-25 윤종용 전화기에서 국제 전화번호 다이얼링 방법
KR20010110533A (ko) * 2000-06-07 2001-12-13 윤종용 국가간 로밍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동전화기의다이얼링 제어 방법
KR20040091186A (ko) * 2003-04-19 2004-10-28 황재엽 최저요금자동선택 이동통신시스템
KR100667352B1 (ko) 2006-01-26 2007-01-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국제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101A (ko) 2007-10-18
JP2007288763A (ja)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356B2 (en) Method of displaying call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dapted to display call information
JP3379476B2 (ja) 表示装置付携帯端末
KR101141617B1 (ko) 통화번호 표시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07010470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시지 작성 방법
JP520727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276810B1 (ko) 이동 단말기의 호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10805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KR20090026991A (ko) 미등록 메시지 리스트를 이용한 전화번호 등록 방법 및장치
KR1008346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KR2003000392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목록 편집방법
JP2003008705A (ja) 折畳型・ストレート型の通信機器・携帯電話機、表示方法、表示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50028761A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입력보안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0590869B1 (ko) 그래픽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키폰 전화기 및 이의상태 표시 방법
KR200600807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목록 관리방법
KR101020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531945B1 (ko) 회신 또는 전달된 문자 메시지의 아이콘에 의한 표시 방법
KR100661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등록 및 호처리 방법
KR2009009619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아이콘을 이용한 발신방법
KR20090005741A (ko) 이동 단말기 및 메시지 표시방법
KR100804899B1 (ko) 발신자정보표시 기능을 이용한 발신자에 의한 수신자측 전화기의 동작 제어방법
KR100681182B1 (ko) 최근 통화목록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05838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단문서비스 수신자번호 입력을 단축하는방법
KR101098961B1 (ko) 구분자를 이용한 전화번호 저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어방법
KR20040055027A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메신저 기능 구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