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1419B1 -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1419B1
KR101141419B1 KR1020100073638A KR20100073638A KR101141419B1 KR 101141419 B1 KR101141419 B1 KR 101141419B1 KR 1020100073638 A KR1020100073638 A KR 1020100073638A KR 20100073638 A KR20100073638 A KR 20100073638A KR 101141419 B1 KR101141419 B1 KR 101141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mass
unit
measuring
measur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650A (ko
Inventor
양주환
정재우
권지한
유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3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419B1/ko
Priority to US13/064,419 priority patent/US8505398B2/en
Priority to JP2011070827A priority patent/JP5218866B2/ja
Publication of KR2012001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5/00Analysing materials by weighing, e.g. weighing small particles separated from a gas or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3/00Investigating surface or boundary effects, e.g. wetting power; Investigating diffusion effects;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surface, boundary, or diffusion effects
    • G01N2013/006Dissolution of tablet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수용액 내에서 연속적으로 기판의 용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내부에 시편이 수용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시편 수용부, 시편과 연결되어 시편의 질량 변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및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시편의 용출성을 측정하는 용출성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Dissolution property measurement system using piezoelectric sensor}
본 발명은 기판에 인쇄된 잉크 패턴의 용출성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수용액 내에서 연속적으로 기판의 용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PKG)에는 다양한 목적에 의해 잉크가 인쇄되고 있다. 일례로, 마킹 및 금도금 방지 등에 이용되고 있다.
기판에 인쇄된 잉크 패턴은 도금과 같은 후공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주변 환경에 의해 용출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질량의 변화는 미세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인쇄 품질 및 인쇄 후 내구성의 척도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용출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인쇄된 잉크 패턴의 용출 변화를 용이하게 감지 및 측정할 수 있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내부에 시편이 수용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시편 수용부, 시편과 연결되어 시편의 질량 변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및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시편의 용출성을 측정하는 용출성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편의 질량 변화에 대응하는 힘을 질량 측정부로 전달하는 질량 변화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편 수용부는 챔버의 내부에 채워지며, 시편이 침수되는 용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챔버의 내부에서 시편을 지지하는 시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편 지지부는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챔버와 시편 지지부는 글라스(glass)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질량 측정부는 시편과 연결되는 무게 추 및 무게 추를 지지하며 무게 추의 질량 변동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무게 추는 금속 재질로, 표면에 산화 방지막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질량 측정 센서는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출성 측정부는 질량 측정부에서 전송되는 질량 변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송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아 용출성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출성 측정부는 시편의 질량 변화를 실시간 그래프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질량 변화 전달부는 시편 지지부와 질량 측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 및 연결 와이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는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 와이어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질량 변화 전달부는 일단이 질량 측정부와 연결되는 지렛대 유닛 및 지렛대 유닛의 타단과 시편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시편의 질량 변화를 감지하며 분석하므로, 용출성 분석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곡점이 생기는 특정한 반응 시점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용출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미세한 질량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측정 과정 내내 시편이 챔버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위치하므로, 종래와 같이 시편을 여러 공정에 투입함에 따라 발행되는 오류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용출성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의 측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의 측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용출성 측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100)은 시편 수용부(10), 질량 측정부(20), 질량 변화 전달부(40), 및 용출성 측정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편 수용부(10)는 내부에 시편(1)이 수용되는 챔버(11)와, 챔버(11) 내부에서 시편(1)을 지지하는 시편 지지부(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에 인쇄된 잉크에 대한 용출성을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시편(1)은 잉크 패턴이 적어도 한 면에 인쇄되어 있는 기판이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챔버(11)는 용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시편(1)이 잠입되는 용액(13)이 채워질 수 있다. 이때, 챔버(11)에 채워지는 용액(13)은 측정되는 시편(1)에 대응하여 다양한 용액(13)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성 용액이나 증류수가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에 산성 용액(13)이 채워질 수 있으므로,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편 지지부(12)는 챔버(11)의 내부에서 시편(1)을 지지한다. 시편 지지부(1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시편(1)이 안착되며, 측면 또는 모서리 부분을 통해 후술되는 연결 와이어(41)가 연결된다. 시편 지지부(12)는 챔버(11)의 바닥면와 접촉하지 않고 챔버(11)의 내부 공간에 떠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시편 지지부(12)를 상방으로 지지하고 있는 연결 와이어(41)의 장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시편 지지부(12)는 챔버(11)와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산성 용액(13)에 잠입된 상태에서 시편(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챔버(11)와 같이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라스(glass)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량 측정부(20)는 시편(1)과 연결되어 시편(1)의 질량 변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무게 추(22)와 질량 측정 센서(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무게 추(22)는 후술되는 연결 와이어(41)를 통해 시편(1)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시편(1)의 질량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힘을 전달받는다. 따라서 무게 추(22)는 시편(1)보다 무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무게 추(22)의 표면에는 주위 환경에 의해 무게 추(22)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화 방지막이 형성될 수 있다
질량 측정 센서(21)는 무게 추(22)의 하부에서 무게 추(22)를 지지하며 무게 추(22)의 질량 변동을 측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100)은 시편(1)에 인쇄된 잉크가 용액(13) 내에서 용출되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잉크가 용출됨에 따라 시편(1)의 질량이 변화하는 것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용출성을 분석해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질량 측정 센서(21)는 시편(1)에 인쇄된 잉크의 용출로 인해 시편(1)의 질량이 변화하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하고 그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질량 측정 센서(21)는 압력 센서를 이용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압전형 압력 센서(piezoelectric sensor, 이하 압전 센서)를 이용한다.
몇몇 종류의 결정체(crystal)는 특정한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자체 내에 전압이 유기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이와 같이 전압이 유기되는 현상을 압전 효과 piezoelectric effect)라 한다. 압전 센서는 이러한 압전 효과를 이용하는 센서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센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압력(즉 무게 추의 질량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대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질량 변화 전달부(40)는 시편(1)의 질량 변화에 대응하는 힘을 질량 측정부(20) 즉, 무게 추(22)로 전달하며, 연결 와이어(41)와 도르레 유닛(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 와이어(41)는 시편 지지부(12)와 질량 측정부(20)의 무게 추(22)를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시편 지지부(12)에 안착된 시편(1)의 질량 변화를 직접적으로 무게 추(22)에 전달한다. 따라서 연결 와이어(41)는 전체 부분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시편 지지부(12)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와이어(41)는 일단이 시편 지지부(12)에 체결되므로, 시편 지지부(12)와 함께 챔버(11) 내의 용액(13) 내부로 침투된다. 따라서, 시편 지지부(12)와 같이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르레 유닛(42)은 연결 와이어(41)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연결 와이어(4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도르레 유닛(42)을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가 이용될 수 있다.
도르레 유닛(42)과 연결 와이어(41)를 이용한 구성에 따라, 시편 지지부(12)는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되고, 무게 추(22)는 상방으로 힘을 받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출성 측정 시, 무게 추(22)는 시편(1)의 질량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질량 측정 센서(21)에서 측정되는 무게 추(22)의 질량은 실제 무게 추(22)의 질량에서 시편(1)의 질량만큼 감소된 질량이 측정된다.
용출성 측정부(30)는 질량 측정부(20)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시편(1)의 용출성을 측정하며, 신호 증폭부(31), 신호 변환부(32), 분석부(33), 및 표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 증폭부(31)는 질량 측정부(20)에서 전송되는 전압의 변화 즉, 질량 변화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증폭한다. 일반적으로 압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또는 전압)은 그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에 증폭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신호 증폭부(31)는 압전 센서에서 나오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증폭한 후, 신호 변환부(32)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신호 변환부(32)는 신호 증폭부(31)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송받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신호 변환부(32)에서 전송된 신호는 전압의 변화에 따라 발생된 아날로그 신호이다. 따라서, 신호 변환부(32)는 이를 데이터로 기록 및 활용하기 용이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분석부(33)는 신호 변환부(32)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고, 이를 토대로 용출성을 분석한다. 즉, 시편(1)의 질량 변화를 토대로 잉크가 시편(1)으로부터 용출된 정도와 상태 등을 분석한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 상에 실시간으로 분석 결과를 표시할 수 있으며, 프린터를 통해 지속적으로 분석 결과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신호와 분석 결과를 모두 저장하고, 추후에 필요 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표시부(34)는 분석부(33)에서 분석된 다양한 분석 결과를 작업자에게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34)는 모니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34)는 시편(1)의 질량 변화를 실시간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표시부(34)는 신호 변환부(32)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시간에 따라 연속적으로 표시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100)의 용출성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방법은 먼저 용출성을 측정하려는 시편(1)을 시편 지지부(12)에 안착시킨 후 시편 지지부(12)를 챔버(11) 내부에 잠입시키는 단계(S10)가 수행된다.
이에, 시편 지지부(12)에는 시편(1)의 질량만큼 A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시편 지지부(12)와 연결된 연결 와이어(41)에 의해 무게 추(22)에는 시편(1)의 시편 지지부(12)의 질량만큼 상방 즉, B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질량 측정 센서(21)에서 측정되는 무게 추(22)의 질량은 실제 무게 추(22)의 질량에서 시편(1)의 질량만큼 감소된 질량이 측정된다.
이때, 무게 추(22)의 질량에 비해 시편(1)과 시편 지지부(12)의 질량은 매우 작다. 따라서 무게 추(22)에 상방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무게 추(22)가 질량 측정 센서(21)에서 완전하게 부상하지는 않으며, 미미한 질량의 변화만이 발생된다.
이어서 챔버(11) 내에 위치한 시편(1)에서 잉크의 용출이 발생하는 단계(S2)가 수행된다. 시편(1)에서 잉크의 용출이 발생되면, 용출된 잉크의 양만큼 시편(1)의 질량은 감소하게 된다. 시편(1)의 질량이 감소함에 따라 무게 추(22)에 상방으로 작용되던 힘도 시편(1)의 질량 감소량에 대응하여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게 추(22)의 질량은 시편(1)의 질량 감소량에 대응하여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무게 추(22)의 질량 변화는 질량 측정 센서(21)를 통해 감지되고,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전압이 출력된다.
질량 측정 센서(21)에서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전압의 변화는 용출성 측정부(30)로 전송되고, 신호 증폭부와 신호 변환부를 통해 증폭 및 변환 등의 과정을 거친 후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분석된 데이터는 표시부(34) 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표시된다.
도 3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의 측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의 측정 그래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주기적으로 시편이나, 시편이 잠입되었던 용액을 검사하여 용출성을 검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그래프가 연속적이 아닌, 불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측정 값은 주기적인 검사 시점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시편(1)이 챔버(11) 내에 지속적으로 잠입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출성 측정 그래프는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전체 측정 시간에 따른 용출성 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곡점이 생기는 특정한 반응 시점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용출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200)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질량 변화 전달부(140)의 구성에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질량 변화 전달부(140)에 대해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질량 변화 전달부(140)는 연결 와이어(141)와 지렛대 유닛(142)을 포함한다.
지렛대 유닛(142)은 지렛대의 원리를 구현하기 위한 지렛대(143)와 받침대(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렛대(143)의 일단은 질량 측정부(20)의 무게 추(22)와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렛대(143)의 일단은 무게 추(22)의 상부면에 체결되어 무게 추(22)와 일체화된다.
또한 연결 와이어(141)는 지렛대(143)의 타단과 시편 지지부(12)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 와이어(141)는 시편 지지부(12)가 중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받도록 시편 지지부(12)와 지렛대(143)의 타단을 연결한다. 따라서, 지렛대(143)의 타단에도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게 된다.
또한, 시편 지지부(12)에 의해 지렛대(143)의 타단이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무게 추(22)와 체결되어 있는 지렛대(143)의 일단은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향으로 무게 추(22)에 힘이 작용되므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용출성을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지렛대 유닛(142)을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200)은 받침대(144)를 무게 추(22)와 인접하게 배치하는 경우, 시편(1)의 미세한 질량 변화에 의해 발생된 힘이 증폭되어 질량 측정 센서(21)의 무게 추(22)에 인가된다. 따라서 시편(1)의 질량 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시편의 질량 변화를 감지하며 분석하므로, 용출성 분석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측정되어 연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곡점이 생기는 특정한 반응 시점을 감지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용출 메커니즘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압전 센서를 이용하여 미세한 질량의 변화도 감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한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측정 과정 내내 시편이 챔버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위치하므로, 종래와 같이 시편을 여러 공정에 투입함에 따라 발행되는 오류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출성 측정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에 인쇄된 잉크에 대한 용출성을 측정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기판이나 잉크에 한정되지 않으며, 잉크나 기타 다양한 물질의 용출성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라면 다양한 시편이 이용될 수 있다.
100, 200.... 용출성 측정 시스템
1.....시편
10....시편 수용부 11....챔버
12.....시편 지지부 13....용액
20.....질량 측정부 21.....질량 측정 센서
22.....무게 추
30.....용출성 측정부 31.....신호 증폭부
32.....신호 변환부 33.....분석부
34.....표시부
40, 140.....질량 변화 전달부
41, 141.....와이어 42.....도르레 유닛서
142.....지렛대 유닛
143.....지렛대 144.....받침대

Claims (15)

  1. 내부에 시편이 수용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시편 수용부;
    상기 시편과 연결되어 상기 시편의 질량 변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질량 측정부; 및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상기 시편의 용출성을 측정하는 용출성 측정부;
    를 포함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의 질량 변화에 대응하는 힘을 상기 질량 측정부로 전달하는 질량 변화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수용부는,
    상기 챔버의 내부에 채워지며, 상기 시편이 침수되는 용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부에서 상기 시편을 지지하는 시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편 지지부는,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와 상기 시편 지지부는,
    글라스(glass) 또는 테프론(Teflon)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측정부는,
    상기 시편과 연결되는 무게 추; 및
    상기 무게 추를 지지하며 상기 무게 추의 질량 변동을 측정하는 질량 측정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추는,
    금속 재질로, 표면에 산화 방지막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측정 센서는,
    압전 센서(piezoelectric sens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성 측정부는,
    상기 질량 측정부에서 전송되는 질량 변화 신호를 증폭하는 신호 증폭부;
    상기 신호 증폭부에서 증폭된 신호를 전송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변환부; 및
    상기 디지털 신호를 전송받아 용출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성 측정부는,
    상기 시편의 질량 변화를 실시간 그래프로 표시하는 그래프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변화 전달부는,
    상기 시편 지지부와 상기 질량 측정부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 및
    상기 연결 와이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레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는,
    내산성(耐酸性) 및 내식성(耐蝕性)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와이어는,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 변화 전달부는,
    일단이 상기 질량 측정부와 연결되는 지렛대 유닛; 및
    상기 지렛대 유닛의 타단과 상기 시편 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성 측정 시스템.
KR1020100073638A 2010-07-29 2010-07-29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KR101141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38A KR101141419B1 (ko) 2010-07-29 2010-07-29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US13/064,419 US8505398B2 (en) 2010-07-29 2011-03-23 Dissolution properties measurement system using piezoelectric sensor
JP2011070827A JP5218866B2 (ja) 2010-07-29 2011-03-28 圧電センサーを用いた溶出性測定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638A KR101141419B1 (ko) 2010-07-29 2010-07-29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650A KR20120011650A (ko) 2012-02-08
KR101141419B1 true KR101141419B1 (ko) 2012-05-04

Family

ID=4552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638A KR101141419B1 (ko) 2010-07-29 2010-07-29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05398B2 (ko)
JP (1) JP5218866B2 (ko)
KR (1) KR101141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962B1 (ko) * 2011-10-21 2011-12-1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광물 용해실험 장치
CN104278249A (zh) * 2013-07-02 2015-01-1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坩埚材料量检测装置、方法及蒸镀机
CN103983558B (zh) * 2014-04-16 2016-08-31 深圳大学 一种钢筋锈蚀率的测定装置及测定方法
WO2016071731A1 (en) * 2014-11-03 2016-05-12 Stellenbosch University Systems and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biomolecules
CN107356491B (zh) * 2017-07-12 2020-04-10 四川新安佳科技有限公司 一种纺丝液过滤值半自动检测装置
CN109187255A (zh) * 2018-08-31 2019-01-11 奕瑞影像科技(太仓)有限公司 测量溶液中固态物质溶解量的便携装置及测量方法
CN113533116A (zh) * 2021-06-10 2021-10-22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测量吸附剂质量变化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6520A (ko) * 1996-03-18 1997-10-13 이종수 무게측정 전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1993B1 (ko) * 1995-08-29 1998-12-01 김종진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KR19990054755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압전센서를 이용한 마모상태 시험장치
KR100255641B1 (ko) 1997-07-31 2000-05-01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헤드 부상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8662A (en) * 1975-12-24 1978-07-04 Betz Laboratories, Inc. Corrosion probe for use in measuring corrosion rate under specified heat transfer conditions
US4108602A (en) * 1976-10-20 1978-08-22 Hanson Research Corporation Sample changing chemical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FI833181A0 (fi) * 1983-09-06 1983-09-06 Labsystems Oy Foerfarande foer bestaemning av loesningshastighet
US5076107A (en) * 1988-12-27 1991-12-31 G. D. Searle & Co. Apparatus and method for resultant-weight measuring system
JP3290507B2 (ja) 1993-06-22 2002-06-10 川崎製鉄株式会社 塗膜付き金属板の塗膜重量測定方法
GB9915686D0 (en) 1999-07-06 1999-09-01 Zeneca Ltd Device
US7107864B2 (en) * 2003-01-15 2006-09-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Quality control methods for gas diffusion media
JP2005284143A (ja) 2004-03-30 2005-10-13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光性組成物および感光性平版印刷版
KR20060080391A (ko) 2005-01-05 2006-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JP4960055B2 (ja) 2006-09-29 2012-06-27 京セラクリスタルデバイス株式会社 コンタミネーションの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993B1 (ko) * 1995-08-29 1998-12-01 김종진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KR970066520A (ko) * 1996-03-18 1997-10-13 이종수 무게측정 전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55641B1 (ko) 1997-07-31 2000-05-01 윤종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의 자기헤드 부상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9990054755A (ko) * 1997-12-26 1999-07-15 전주범 압전센서를 이용한 마모상태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24088A1 (en) 2012-02-02
JP5218866B2 (ja) 2013-06-26
KR20120011650A (ko) 2012-02-08
US8505398B2 (en) 2013-08-13
JP2012032374A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419B1 (ko)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US8656759B2 (en) Handheld penetrating consistometer
CN101275864B (zh) 液体体积的重力体积确定设备和方法及含设备的分析系统
CN101750160B (zh) 用于监测测量单元的热耦合的方法
JP4711333B2 (ja) 計測表示器、及び血糖値計測表示器
KR20120062327A (ko) 바이오센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4905836B2 (ja) 接触角測定装置
JP2008128750A (ja) アルコール濃度計
JP2006047025A (ja) 接触荷重測定装置及び検査装置
JP2007205955A (ja) Fwdの評価用装置、および評価方法。
CN107543638B (zh) 基于应变片的锡膏刮刀压力测试装置及其检测方法
WO2004092723A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volume of liquid dispensed by a liquid-dispensing mechanism
US8670951B2 (en) Electronic scale having function of compensating for air pressure changes in glove box
CN211317612U (zh) 一种感压纸精度测试装置
CN201203603Y (zh) 贵金属无损检测系统
JP2012042359A (ja) 自動分析装置
JP7478102B2 (ja) 防水試験装置及び防水試験方法
KR101279210B1 (ko) 전기화학적 피로 센서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48067B2 (ja) 圧力計測装置
CN106323759A (zh) 一种热变形维卡测定仪
JP2017173149A (ja) 水素残量センサ
EP1978347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Solderability of Electrical Components
Kaučić et al. A low-cost buoyant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monitoring sugar concentration in water solution
RU257036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статочных напряжений
US5405121A (en) Apparatus to indicate the oxygen content of molten copper using the vibration signal of a graphite rod immersed into the molten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