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211B1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211B1
KR101140211B1 KR1020060113675A KR20060113675A KR101140211B1 KR 101140211 B1 KR101140211 B1 KR 101140211B1 KR 1020060113675 A KR1020060113675 A KR 1020060113675A KR 20060113675 A KR20060113675 A KR 20060113675A KR 101140211 B1 KR101140211 B1 KR 101140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focusing
display unit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619A (ko
Inventor
허준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211B1/ko
Priority to US11/940,832 priority patent/US8345145B2/en
Publication of KR20080044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포커싱, 카메라, 이미지, 화상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2에서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선택된 특정 영역이 캡쳐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을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입력신호가 두 개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멀티 포커싱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분할 영역의 개수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분할 영역이 차등분할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분할 영역을 차등분할 때 영역 표시자를 병합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분할 영역을 차등분할 때 영역 표시자 내를 재분할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화상통신시 화상의 일부를 포커싱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6a 및 도 16b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가 두 개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영역이 함께 포커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수신부 110 : 카메라부
120 : 입력부 130 : 표시부
140 : 메모리부 150 : 제어부
400 : 포커싱 영역 표시자 410 : 영역 구분선
본 발명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하는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 중에 하나가 카메라 기능이다. 이러한 카메라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들과 함께 촬영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였다.
종래에는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셔터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피사체에 초점이 맞는 오토 포커싱(auto focusing) 기능을 일반적으로 제공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에 오토 포커싱하기 어려웠고, 두개의 피사체를 포커싱할 수 없었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표시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원하는 영역을 포커싱할 수 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이미지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커싱할 수 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고, 입력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제어부는 포커싱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포커싱되는 영역 또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하이라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키패드, 터치 키패드, 조그 디스크, 조그 다이얼 및 조그 셔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부가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인 경우에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키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을 차등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 다.
또한, 제어부는 입력부로부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되는 영역의 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되면 해당 영역의 화상을 캡쳐(Capture)하여 메모리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터치 영역이 복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을 감지되면 해당 터치 영역의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이 감지된 특정 영역의 그룹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함께 포커싱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의 포커싱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단계와, 촬영단계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단계와,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와,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는 포커싱단계와, 포커싱단계에서 포커싱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단계 및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포커싱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포커싱되는 영역 또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는 키패드, 터치 키패드, 조그 디스크, 조그 다이얼 및 조그 셔틀 중 어느 하나의 입력부로부터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입력부가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인 경우에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키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분할단계에서는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을 차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에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입력신호발생단계에서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생성단계에서는 포커싱된 해당 영역의 화상을 캡쳐(Capture)하 고, 캡쳐된 화상이 저장되는 저장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가 터치 영역이 복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포커싱단계에서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을 감지되면 해당 터치 영역의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될 수 있다.
또한, 포커싱단계에서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이 감지된 특정 영역의 그룹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함께 포커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복수의 키패드를 구비한 입력부(120)와 표시부(130)를 구비한다.
이때, 표시부(130)에는 입력부(120)의 복수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고, 입력부(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신모듈부(100), 카메라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메모리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통신모듈부(100)는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생성된 이미지등의 데이터를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카메라부(110)는 피사체를 촬영한다.
입력부(120)는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를 구비한 키패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입력부(120)는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키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이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130)는 통신모듈부(10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각종 정보신호 및 카메라부(11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 등을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130)는 입력부(120)의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메모리부(140)는 플래쉬 메모리,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메모리부(14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40)에는 통신모듈부(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와 카메라부(110)로부터 촬영된 화상 및 포커싱되어 캡쳐된 화상의 특정영역이 저장된다.
제어부(150)는 MSM(Mobile Station Modem)을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일반적인 입출력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130)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카메라부(110)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 보면 도 3과 같다.
도 3은 도 2에서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부(110)는 조리개 조절부(112), 타이밍 발생부(113), CCD(114), 아날로그 처리부(115), A/D 컨버터(116) 및 화상 처리부(117)를 포함한다.
조리개 조절부(112)는 카메라 렌즈(111)로 입사 광량을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부(113)는 카메라(1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타이밍을 발생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114)는 카메라 렌즈(111)를 통해 들어오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아날로그 처리부(115)는 CCD(114)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래치하여 더블 샘플링(double sample)하며, 이득 플레어(flare) 및 세이딩 보정 그리고 전위감마보정을 실행하여 아날로그처리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A/D 컨버터(116)는 아날로그 처리 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117)는 A/D 컨버터(116)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이트 발란스(white balance), 딜러보정, 데이터검출, 감마보정 등 여러 가지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117)는 각종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카메라부(110)의 구성요소이며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해당 영상신호들은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 제1 실시예 - 키패드를 사용하는 경우>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라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표시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커싱 방법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단계(S300~310)와, 촬영단계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단계(S320~S330)와,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S340)와,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는 포커싱단계(S350)와, 포커싱단계에서 포커싱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단계(S360~S380) 및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 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단계(S390)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가 메뉴에서 카메라 기능을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10)를 온(On)시킨다(S300). 이 후, 카메라부(110)가 특정 피사체를 조준하면(S310) 해당 피사체의 화상이 도 5와 같이 표시부(130)의 화면에 표시된다(S320).
이때,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130)를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분할된 영역 중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표시부(130)에 표시하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에 따라 특정 영역이 선택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선택된 특정 영역이 캡쳐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의 (a)와 같이, 제어부(150)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130)에 표시함과 함께 입력부(120)의 키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표시부(130)를 영역 구분선(410)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한다(S330).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영역 구분선(410)이며 이는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을 구분하는 선을 말한다. 이때, 도 5의 (a)에 점선으로 표시된 영역 구분선(410)은 분할된 영역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적으로 표시부(130) 상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영역을 가로(w)와 세로(h)가 일정한 길이를 갖도록 균등하게 분할한다. 이러한 분할 영역은 입력부(120)의 키로부터 발 생되는 입력신호와 대응된다.
즉, 입력부(120)의 '1,2,3...8,9' 키의 위치와 분할된 표시부(130)의 영역이 순차적으로 대응되어 특정 키가 선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130)의 분할 영역이 선택되어 포커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포커싱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입력부(120)의 특정키가 발광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의 포커싱되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해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박스(Box) 형태로 표시한다. 이러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 중 특정 영역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키가 발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키를 다른 키와는 상이한 색으로 발광되도록 하거나, 같은 색이라도 해당 키만 깜빡 거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카메라부(11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 표시부(130)에 화상이 표시되면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위치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6의 (a)와 같이 입력부(120)의 '5번'키에 대응하는 영역의 위치인 표시부(130)의 중앙에 디폴트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이동가능한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에 화살표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가 포커싱 영역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표시부(130)에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표시되면,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특정 키가 선택되어 입력신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S340).
이때, 제어부(150)는 도 6의 (b)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7번' 키를 선택하여 이에 따른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이에 대응하는 표시부(130)의 분할 영역으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부(150)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영역의 화상을 포커싱한다(S350). 이러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테두리를 굵게 표시하여 하이라이트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S360).
또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로부터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화상의 캡쳐(Capture) 신호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S370).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화상을 도 7과 같이 캡쳐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이 때, 표시부(130)에 표시된 모든 화상을 저장하지 않고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하여 포커싱된 분할된 화상을 캡쳐하여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이동가능한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에 화살표만이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데 이는 도 8a 및 도 8b와 같다.
도 8a 및 도 8b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을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이동가능한 방향이 표시된다. 이때, 각 방향에 해당하는 입력부(120)의 키의 번호가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번호를 확인하여 입력부(120)의 키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방향에 해당하는 입력부(120)의 키의 번호는 일시적으로 표시된 후 사라지도록 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영역을 선택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나타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8b와 같이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한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키의 번호를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 상에 표시하여 이에 따라 다른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키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도 8a와 도 8b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30)에 분할된 영역이 하나만 포커싱되는 싱글 포커싱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데 이에 대한 일례는 도 9와 같다.
도 9는 입력신호가 두 개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멀티 포커싱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20)의 '6번'과 '7번' 키로부터 함께 입력신호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 중에서 입력부(120)의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두 영역들을 포커싱한다.
이를 순차적으로 보면 먼저, 도 10의 (a)와 같이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 중에서 입력부(120)의 '7번'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커싱한다. 이 후, 도 10의 (b)와 같이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 중에서 입력부(120)의 '6번'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커싱한다. 이 후, 제어부(150)는 두 화면을 합성하는 원리를 통해서 멀티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어부(150)는 입력부(120)의 키 중 두 개 이상의 키로부터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해당하는 표시부(130)의 영역을 포커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부(120)의 '6번'과 '7번' 키를 동시에 선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입력부(120)의 '6번' 키를 선택한 후 일정시간 이내에 '7번' 키가 선택된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포커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에 일정시간 이내란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6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 후 이와 별도로 다른 영역인 '7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동작을 하는 경우보다 짧은 시간을 말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6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 후 1초 후 '7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 이때에 제어부(150)는 해당 동작을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입력부(120)의 '6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시킨 후, 이를 '7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인식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6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 후 0.5초 후 '7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을 선택한다면 제어부(150)는 해당 동작을 입력 부(120)의 '6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과 '7번' 키에 대응하는 영역 모두에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러한 일정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분할 영역의 개수가 '9개'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이는 도 11과 같다.
도 11은 분할 영역의 개수를 설정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의 (a)와 같이 분할 영역의 개수를 '4개'로 설정한다. 이 후, 미리보기를 통해 분할 영역을 살펴 보면 도 11의 (b)와 같이 표시부(130)는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때에도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의 위치는 디폴트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표시부(130)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면 입력부(120)의 키는 '1,2,4,5' 번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임의로 사용을 원하는 키를 선택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은 균등분할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등으로 분할될 수 있는데 이는 도 12와 같다.
도 12는 분할 영역이 차등분할된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은 차등으로 분할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 중 a, b, c 및 d 영역은 세로와 가로 길이가 상이하도록 차등분할된다.
예를 들면, a 영역은 세로 길이 h1 과 가로 길이 w1 을 갖고, b 영역은 a 영 역과 다른 세로 길이인 h2 가로 길이 w1 를 갖는다. 또한, c 영역은 세로 길이 h3과 가로길이 w2를 갖고 d 영역은 세로 길이 h3와 가로길이 w3 를 갖는다.
이와 같이, 표시부(130)의 영역을 차등 분할함으로써 표시부(130)에 표시된 화상을 좀더 분할하여 포커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분할 영역을 차등분할 때 영역 표시자를 병합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차등분할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차등분할 편집메뉴를 선택하면 도 13의 (b)와 같이, 제어부(150)는 현재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이 표시된 표시부(130)를 균등하게 분할한 영역 구분선(410)을 표시한다.
이때, 도 13의 (c)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1번"과 "4번"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메뉴(500)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병합", "영역 표시자 내의 분할" 및 "삭제" 메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병합"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50)는 도 13의 (d)와 같이, 입력부(120)의 "1번"과 "4번"키에 대응하는 표시부(130)의 분할된 영역을 병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미 분할된 영역을 분할 영역내에서 또 분할할 수 있는대 이에 대한 일례는 도 14와 같다.
도 14는 분할 영역을 차등분할 때 영역 표시자 내를 재분할하는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의 (a)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커싱 설정 메뉴"를 선택하여 차등분할 메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차등분할 편집메뉴를 선택하면 도 14의 (a)와 같이 제어부(150)는 현재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화상이 표시된 표시부(130)를 균등하게 분할한 영역 구분선(410)을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부(120)의 "2번"키를 선택한 상태에서 메뉴(500)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병합", "영역 표시자 내의 분할" 및 "삭제" 메뉴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영역 표시자 내의 분할" 메뉴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분할영역의 네 변에 소번호를 부여한다. 이때, 소번호는 숫자뿐 아니라 기호, 알파벳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번호의 "2번"에 해당하는 입력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50)는 이에 해당하는 소번호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소번호의 "2번"에 해당하는 입력신호가 발생한 후, 방향키(122) 중에서 상방향키가 눌려진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소번호 "2번"에 해당하는 변을 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 후, 도 14의 (c)와 같이 사용자가 메뉴(500)에서 "삭제" 메뉴를 선택하여 소번호 "2번"에 대응하는 키를 선택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소번호 "2 번"에 해당하는 선을 삭제하여 도 14의 (d)와 같이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와 동일하게, 소번호를 선택하고 방향키(122)를 이용하여 원하는 만큼 해당 영역 구분선(410)의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분할 영역에의 재분할이 가능하다.
여기서, 입력부(120)의 방향키(122)를 한 번 누르면 소번호에 해당하는 선이 일정량 이동하여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향키(122)에 따른 이동은 특정 픽셀 단위로의 이동하는 등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번호에 대응하는 선을 삭제, 영역 내의 분할 및 병합을 통해 분할 영역의 편집이 용이하여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포커싱 방법은 사진 촬영 시뿐 아니라 여러 곳에서의 적용이 가능한데 이에 대한 일례는 도 15와 같다.
도 15는 화상통신시 화상의 일부를 포커싱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화상통화를 실행중이다. 이때, 제어부(150)는 표시부(130)을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을 분할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얼굴을 포커싱하기 위하여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 내의 사용자 얼굴을 확대하여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대의 얼굴을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의 형상이 사각 형으로 네 변을 갖는 박스형상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데 이는 도 16과 같다.
도 16a 및 도 16b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a와 같이,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연결되지 않는 변을 갖을 수 있으며 이때에도 이동가능한 방향을 표시하는 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또는 도 16b와 같이,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는 다각형 형상등의 여러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의 테두리가 굵게 하이라이트 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위치하여 포커싱되는 영역의 화상을 확대하거나 깜빡거리도록 하이라이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표시부(130)의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특정키가 발광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표시부(130)의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입력부(120)의 특정키는 발광되되 그 빛이 깜빡거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입력부(120)가 키패드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입력부(120)가 터치 키패드일 수 있다. 이때에도, 터치 키패드 중 표시부(130)의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키는 발광될 수 있다.
< 제2 실시예 -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경우 >
도 1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이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7의 (a)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130)일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130)의 터치 영역은 복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된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50)는 터치 스크린(130)의 터치동작을 감지되면 도 17의 (b)와 같이 해당 터치 영역의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터치 입력신호가 두 개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영역을 함께 포커싱하는데 이예 대한 일례는 도 18과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입력신호가 두 개 발생한 경우에 해당 영역이 함께 포커싱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8의 (a)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수단(사용자의 손)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130) 상에 포커싱을 원하는 영역을 터치한다. 이에 따라서, 도 13의 (b)와 같이, 제어부(150)는 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영역에 해당하는 분할 영역을 함께 포커싱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입력부(120)가 키패드, 터치 키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인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방향키(122)의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조그 디스크, 조그 다이얼 및 조그 셔틀 등과 같은 회전형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의 화상의 특정부분을 캡쳐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통신모듈부(100)를 통해 수신한 이미지뿐 아니라 표시부(130) 상에 표시되는 모든 화상을 분할하여 특정 영역에 포커싱을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모두 동일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50)가 이전에 최종적으로 사용되었던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의 위치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한 후, 이후에 다시 포커싱 영역 표시자(400)를 표시부(130)할 때 이를 디폴트로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포커싱 방법이 이동통신 단말기(10) 상에 적용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카메라를 구비한 모든 기기(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과 같은 기기에서 화상의 특정 영역에 포커싱을 원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를 뒷받침하여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음으로써 표시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원하는 영역을 포커싱할 수 있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둘째, 이미지의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커싱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26)

  1. 메모리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이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포커싱된 화상을 선택적으로 캡쳐(Capture)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 또는 상기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하이라이트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키패드, 터치 키패드, 조그 디스크, 조그 다이얼 및 조그 셔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가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키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을 차등으로 분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을 이용한 화상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 중, 상기 포커싱 된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상기 화상통화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영역이 복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을 감지되면 해당 터치 영역의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이 감지된 특정 영역의 그룹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함께 포커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4.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로부터 촬영되는 피사체의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영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하는 분할단계;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입력신호 발생단계;
    상기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커싱(Focusing)되도록하는 포커싱단계;
    상기 포커싱단계에서 포커싱된 화상의 특정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중 상기 포커싱된 영역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캡쳐(Capture)하여 저장하는 이미지 생성단계; 및
    상기 이미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단계;
    를 포함하는 포커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을 나타내는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상기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이동가능한 방향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 또는 상기 포커싱 영역 표시자가 하이라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발생단계에서는,
    키패드, 터치 키패드, 조그 디스크, 조그 다이얼 및 조그 셔틀 중 어느 하나의 입력부로부터 상기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부가 키패드 또는 터치 키패드인 경우에 상기 포커싱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키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단계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을 차등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의 개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상기 입력신호발생단계에서 상기 표시부의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두 개 이상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함께 멀티 포커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촬영한 피사체의 화상 중, 상기 포커싱 된 특정 영역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화상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포커싱 방법.
  2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터치 영역이 복수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이에 대응하도록 영 역 구분선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 분할되는 터치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을 감지되면 해당 터치 영역의 그룹에 대응하는 특정 영역이 포커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단계에서는
    터치 디바이스의 터치동작이 감지된 특정 영역의 그룹이 두 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역이 함께 포커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싱 방법.
KR1020060113675A 2006-11-17 2006-11-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KR101140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675A KR101140211B1 (ko) 2006-11-17 2006-11-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US11/940,832 US8345145B2 (en) 2006-11-17 2007-11-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ocus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675A KR101140211B1 (ko) 2006-11-17 2006-11-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619A KR20080044619A (ko) 2008-05-21
KR101140211B1 true KR101140211B1 (ko) 2012-05-07

Family

ID=3964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675A KR101140211B1 (ko) 2006-11-17 2006-11-17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45145B2 (ko)
KR (1) KR101140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3135B2 (en) 2009-03-20 2018-07-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justable user interfaces with movable separators
KR20110006243A (ko) * 2009-07-14 201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장치
US8675085B2 (en) * 2010-07-14 2014-03-18 James Randall Beckers Camera that combines images of different scene depths
KR101794350B1 (ko) * 2011-02-0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영상 촬영 방법
JP5827491B2 (ja) * 2011-04-28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861395B2 (ja) 2011-11-02 2016-02-16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携帯機器
CN102523376A (zh) * 2011-12-06 2012-06-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拍摄设备及方法
KR102101740B1 (ko) * 2013-07-08 2020-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490A (ja) * 2002-09-24 2004-04-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4208122A (ja) * 2002-12-26 2004-07-22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1223B2 (en) * 2002-12-26 2009-06-23 Sony Corporatio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imaging and automatic focusing
JP2005175977A (ja) * 2003-12-12 2005-06-30 Canon Inc 携帯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7490A (ja) * 2002-09-24 2004-04-15 Fuji Photo Optical Co Ltd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4208122A (ja) * 2002-12-26 2004-07-22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5145B2 (en) 2013-01-01
US20080176598A1 (en) 2008-07-24
KR20080044619A (ko)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2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US10742888B2 (en) Image display device displaying partial areas and positional relationship therebetween
US109318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nd storing in a camera a user controllable setting that is used to control composite image generation performed after image capture
US8120641B2 (en) Panoramic photography method and apparatus
US957825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using optical chains and/or for using captured images
JP4956988B2 (ja) 撮像装置
JP4985808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68463A1 (en) Image-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CN104620572B (zh) 摄像装置及其控制方法
CN104365089B (zh) 摄像装置及图像显示方法
US952584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tting image therein
US20110018970A1 (en) Compound-eye imaging apparatus
EP2852150A1 (en) Using narrow field of view monochrome camera for enhancing a zoomed colour image
CN106464786B (zh) 摄像装置
CN108028888B (zh) 用于以隔行曝光捕捉图像帧的方法及装置
EP2833624A1 (en) Solid-state image capture element, image capture device, and solid-state image capture element drive method
US9485408B2 (en) Imaging apparatus and exposure determining method
JP5861395B2 (ja) 携帯機器
US20220070383A1 (en) Imaging apparatus with phase difference detecting element
JP201412391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04089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80007849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영상 촬영 장치의 파노라마 이미지 제작방법
JP2023164919A (ja) 映像作成方法
KR101287843B1 (ko) 단말기 및 구도화면 제공방법
JP5655804B2 (ja) 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