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180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180B1
KR101140180B1 KR1020090134343A KR20090134343A KR101140180B1 KR 101140180 B1 KR101140180 B1 KR 101140180B1 KR 1020090134343 A KR1020090134343 A KR 1020090134343A KR 20090134343 A KR20090134343 A KR 20090134343A KR 101140180 B1 KR101140180 B1 KR 101140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
plate
light source
indirec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4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7697A (ko
Inventor
박현희
김희동
Original Assignee
김희동
박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동, 박현희 filed Critical 김희동
Priority to KR1020090134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180B1/ko
Publication of KR2011007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0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providing for indirect ligh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밝기가 우수해 조명의 효과가 뛰어나고 장식적 기능이 탁월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간접조명판과, 상기 간접조명판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1 또는 2 이상의 광원의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밝기가 개선되고 장식적 기능이 탁월한 효과가 얻어진다.
LED, 조명장치, 스크래치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밝기가 우수해 조명의 효과가 뛰어나고 장식적 기능이 탁월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래치(scratch)가 있는 표면에 광원을 조사함으로써 향상된 효과를 획득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명기구는 형광등이나 수은등 등을 발광원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발광원은 높은 구동 전압을 가지므로 전력의 승압으로 인한 에너지 소모가 크고, 수은 등의 유해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며, 폐기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발광다이오드(LED) 관련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였고,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기존의 조명광원에 비해 극소형이며, 소비전력이 적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자외선과 같은 유해파 방출이 없고 수은 및 방전용 가스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조명 광원이므로, 기존의 조명기구를 대체할 수 있는 유력한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80884호는, 도 1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LED 혹은 전구 등에서 발광되는 빛의 투과성과 아크릴봉과 같은 광학적 매질의 광도파성을 이용하고, 상기 광학적 매질의 외부면 전체 혹은 일부를 스크래치(Scratch: 흠집) 처리하여 저 전력으로 원기둥 형태 혹은 특정 문자나 문양의 빛을 효과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스틱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빛을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발광부가 발광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발광구동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와 상기 발광구동부 사이에서 스위칭하기 위한 전원스위치; 상기 발광부, 전원공급부, 발광구동부 및 전원스위치를 내장하기 위한 손잡이 하우징부; 및 상기 손잡이 하우징부와 수직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폐다면체이고 내부는 적어도 제1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지나갈 공간을 구비하고, 내부면은 빛이 투과가 잘 되도록 하는 재질로 구성되고, 외부면은 스크래치 처리되어 있으며, 사기 전원스위치 작동 시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입사된 빛이 상기 내부에서 진행 또는 외부면으로 산란 및 방출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발광을 유지하기 위한 광매질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666호는,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서 일정한 각도로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도광봉을 구비하고, 그 일단 또는 양단에 LED 광원을 장착하여, LED 광원에서 발생하여 도광봉 내부를 따라 진행하는 출사광이 스크래치의 요철면에서 산란되어 도광봉의 외부로 방출되게 함으로써, 적은 개수의 LED소자로 충분히 넓은 범위의 발광 면적을 얻을 수 있는 도광봉을 이용한 LED조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76324호는, 도 3에 도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LED를 광원으로 이용하여 거실, 방, 사무실 등의 실내조명 및 인테리어 조명 등으로 이용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빛의 산란과 반사를 수행하는 반사부가 형성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구비되며, 이중 방열부가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명장치들은 조명기능 또는 방열기능은 개선되었지만 장치 자체로서 장식적 기능이 부가되지는 못했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간접조명판과, 상기 간접조명판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광원을 마련함으로써, 밝기를 개선시키면서도 장식적 기능이 탁월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간접조명판과, 상기 간접조명판과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1 또는 2 이상의 광원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간접조명판은 평면, 접힌면 또는 곡면의 형상이고, 금속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래치는 헤어라인 가공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광원은 LED소자와 같이 직진성이 있으며 상호 이격 되고, 상기 스크래치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는, 밝기가 개선되고 장식적 기능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1)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 구조를 살펴보면, 표면에 스크래치(4)가 형성된 간접조명판(3)과, 상기 간접조명판(3)을 향하여 조사(照射)되게 설치되며 상기 간접조명판과(3)는 소정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1 또는 2 이상의 광원(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간접조명판(3)은 평면, 접힌 면 또는 곡면일 수 있다. 그리고 그 재질은 금속또는 표면이 금속 처리된 인 것이 바람직하나, 광원(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는 정도의 반사도를 가지고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간접조명판(3)의 스크래치(4)는 좁고 긴 홈이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으로, 간접조명판(3)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에 걸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간접조명판(3)의 내부 소정 영역 일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간접조명판(3)을 2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의 스크래치(4) 방향을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광원(2)은 2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는데, 특히 일직선을 이루며 배열되는 경우 상기 스크래치(4)의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되며, 이 때 상기 스크래치(4)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만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각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개략도 및 이하 도면에서, 전원공급부나, 광원(2) 및 간접조명판(3)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별도로 기술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 5 내지 도 8 에 따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1)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일 형태의 조명장치(1)를 점등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조명판(3)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의 얇은 판을 사용하였으며외형은 나뭇잎 모양이 되도록 절단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접조명판(3)의 표면은 헤어라인 가공에 의하여 나뭇잎 모양의 길이방향으로 전면에 걸쳐서 스크래치(4)를 형성하였다.
광원(2)으로는, 복수개의 LED소자가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길게 배열되어 있는 LED 모듈바를 구입하여 소정 길이로 절단 한 뒤,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절단한 길고 좁은 형태의 스테인레스 판(6)에 부착하여 LED 조사(照射) 방향이 상기 간접조명판(3)을 향하도록 상기 간접조명판(3)에 아치형으로 설치하였다. 그리고 상기 아치형을 이루는 스테인레스 판(6)은, 그 길이방향이 간접조명판(3)의 표면에 형성된 헤어라인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이 되도록 하였다.
광원(2)으로서의 LED소자는, 형광등 등과는 달리 좁은 면적에서 직진성이 강한 광을 방출하고, 따라서 LED소자를 발광시켜 얻을 수 있는 조사 범위는 한계가 있으므로, 충분한 발광면적을 얻기 위해서는 다수의 LED 램프를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조명판(3) 표면의 스크래치(4)에 의한 빛의 산란현상으로 조사 범위를 넓게 할 수 있으므로, 한정된 개수의 광원(2)을 사용하면서도 고휘도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게 하는 목적으로 LED소자를 광원(2)으로 사용하였다.
본 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1)를 점등하였을 경우,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소자가 배열된 간격으로 간접조명판(3)에 빛에 의한 선명한 줄무늬(5)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줄무늬(5)는 보는 각도에 따라서 직선 또는 곡선으로 관찰된다. 따라서, 간접조명판(3)에 형성되는 스크래치(4)의 형태에 변화를 주거나, LED소자의 배열을 다르게 하면, 다양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1)는 가정, 사무실, 건물 내부 또는 외부의 조명이나인테리어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LED소자를 광원(2)으로 사용할 경우 자체의 고휘도 특성 및 간접조명판(3)의 산란현상에 따른 넓은 범위의 밝은 줄무늬(5)로 인하여, 조명효과 및 장식효과가 극대화 되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적용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틱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도광봉을 이용한 LED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평판조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일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상기 일 형태의 조명장치를 점등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조명장치 2: 광원
3: 간접조명판 4: 스크래치
5: 줄무늬 6: 아치형 스테인레스 판

Claims (7)

  1. 표면에 스크래치가 형성되고 빛을 반사시키는 재질로 된 간접조명판과,
    상기 간접조명판의 스크래치된 표면과 대향하여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1 또는 2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조명판은 평면, 접힌면 및 곡면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접조명판은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치는 헤어라인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소자와 같이 직진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호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스크래치의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90134343A 2009-12-30 2009-12-30 조명장치 KR10114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43A KR101140180B1 (ko) 2009-12-30 2009-12-30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343A KR101140180B1 (ko) 2009-12-30 2009-12-30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697A KR20110077697A (ko) 2011-07-07
KR101140180B1 true KR101140180B1 (ko) 2012-05-02

Family

ID=4491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4343A KR101140180B1 (ko) 2009-12-30 2009-12-30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18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847A (ko) * 1995-03-17 1996-10-24 최인효 형광등의 조명튜브 유니트
KR20090019550A (ko) * 2007-08-21 2009-02-25 이정상 카트리지 교환형 조명장치
KR20090011264U (ko) * 2008-04-30 2009-11-04 김성만 진열대용 조명 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4847A (ko) * 1995-03-17 1996-10-24 최인효 형광등의 조명튜브 유니트
KR20090019550A (ko) * 2007-08-21 2009-02-25 이정상 카트리지 교환형 조명장치
KR20090011264U (ko) * 2008-04-30 2009-11-04 김성만 진열대용 조명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7697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9782B2 (en) Semiconductor light source configured as a light tube
WO2009133615A1 (ja) Ledを用いた照明器具
US9557099B2 (en) Optical lens and lighting device
KR102232683B1 (ko) Led 조명을 구비한 거울 구조
JPWO2009133615A6 (ja) Ledを用いた照明器具
KR20170057186A (ko) 보조 조명등이 구비된 엘이디 등기구
KR20150027521A (ko) 천장형 엘이디 조명등
JP2007059163A (ja) 発光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発光物
CN103119354A (zh) 光输出装置
JP3102083U (ja) 発光ダイオードのライトチューブ装置
JP2010097919A (ja) Led照明装置
KR20090112178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평판조명장치
JP2009266678A (ja) Led光源を備えた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100571361B1 (ko) 인테리어 조명판과 천정 매입형 다운 라이트
KR101140180B1 (ko) 조명장치
KR102540461B1 (ko) 가시광 살균 기능을 갖는 조명 장치
KR20080049347A (ko)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등
JP2016143667A (ja) リフレクター構成を有する投射光学用ランプ
JP2009199863A (ja) Ledを用いた照明器具
JP3176787U (ja) 蛍光灯型led照明管
KR20130102852A (ko) 형광등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0993016B1 (ko) 학습용 광제어 led 조명 스탠드
JP3185429U (ja) 光源を組み込んだ美術品展示用フレーム
KR20100083480A (ko) 반사면이 형성된 조명등
KR101783173B1 (ko) 등커버의 윤곽선을 따라 다른 색상의 조명빛이 조사되는 엘이디 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