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957B1 -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957B1
KR101139957B1 KR1020090115441A KR20090115441A KR101139957B1 KR 101139957 B1 KR101139957 B1 KR 101139957B1 KR 1020090115441 A KR1020090115441 A KR 1020090115441A KR 20090115441 A KR20090115441 A KR 20090115441A KR 101139957 B1 KR101139957 B1 KR 10113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charcoal
mixtur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594A (ko
Inventor
김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테크
Priority to KR1020090115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9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95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7Carbonized vegetable substances, e.g. charcoal, o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biom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10L5/10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 C10L5/105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with the aid of binders, e.g. pretreated binders with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4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vegetable substances
    • C10L5/445Agricultural waste, e.g. corn crops, grass clippings, nut shells or oil pressing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30/0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 C10L2230/10Function and purpose of a components of a fuel or the composition as a whole for adding an odor to the fuel or combustion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8Drying or remov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4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 C10L2290/148Injection, e.g. in a reactor or a fuel stream during fuel production of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18Spraying or sprink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열량의 성형숯을 제공함으로써, 초기에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평균온도도 높은 효과와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연소 후 형태유지가 잘되고 재가 날리지 않는 효과 및 방향제로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여 연소시 왕겨 향 또는 볏짚 향이 배어나와 고기에서 향기가 나는 효과를 제공하는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야자팜 성형숯, 야자 숯, 팜 숯, 왕겨탄소가루, 볏짚탄소가루, 착화 숯.

Description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BRIQUETTING CHARCOAL MIXED WITH COCONUT CARBON, PLAM CARBON AND PINE NEEDLES CARBON OR RICE STRAW CARBON.}
본 발명은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열량의 성형숯을 제공함으로써, 초기에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평균온도도 높은 효과와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연소 후 형태유지가 잘되고 재가 날리지 않는 효과 및 방향제로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여 연소시 왕겨 향 또는 볏짚 향이 배어나와 고기에서 향기가 나는 효과를 제공하는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숯은 예전부터 일반 목재숯(참나무, 소나무등)이 사용되었으나 산림훼손의 부작용이 있으며 금액도 고가이며 물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미국, 중국, 인도, 아프리카등 지구상의 거의 모든 나라에서 산림벌채금지 및 숯 수출을 금지하고 있었다.
그래서, 톱밥을 사출한 후 탄화하여 열 탄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불 붙이기가 어렵고 잘라서 사용해야하므로 크기가 불규칙하고 가루가 발생되어 주변이 지저분해 지는 단점이 있었고 이 또한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산림 훼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국내에서 일부 폐목재(문틀, 장롱, 씽크대, 목재 파레트등)을 탄화시켜 만든 연탄착화용 번개탄, 아래로타 등이 있는데 이는 고기구이나 조리에 사용하기에 연소시간이 30분으로 짧아 사용중 꺼지면 다시 교체 투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연소시 분진 발생되어 오염물질 흡입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1999-0007831호에서는 8~30 메시의 야자숯입자 65~75중량%, 전분 5~8중량%, 설탕 2~6중량%, 물 15~25중량%를 혼합한 인조 숯의 제조방법를 개시하였고 효과로서 연소될 때 연기와 유해가스 발생이 억제되고 연소 효율이 상승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접착 강도가 낮고 전분을 해당 비율로 혼합할 경우 태울 때 악취와 연기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365069호에서는 20 메쉬 이하의 야자 숯가루 100중량부에 점결제 6~14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100℃의 증기를 4~6kg/㎠의 압력하에서 분무하여 30~50중량부의 수분을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을 사출성형하는 야자 숯가루를 이용한 성형숯의 제조방법를 제시하였으나 20메쉬 이하 의 미세한 입자만 사용할 경우 접착강도가 약하고 연소시간이 짧아지며 화력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6~14중량부의 점결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냄새가 발생하고 연소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수분을 30%이상 혼합할 경우 너무 질어서 성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열량의 성형숯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려지고 있는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활용하여 초기부터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평균온도도 높은 고체연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연소 후 형태유지가 잘되는 고체 연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여 연소시 왕겨 향 또는 볏짚 향이 발생되어 구이감에서 향기가 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을 제조하는 방법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 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물생성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찌는 수증기처리단계와;
상기 수증기로 쪄진 혼합물을 수직 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 완료 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 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려지고 있는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활용하여 초기부터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평균온도도 참나무 숯 및 열탄에 비하여 1.5배 이상 높은 우수한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연소 후 형태유지가 잘되는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성형숯 연소시 왕겨 향 또는 볏짚 향이 발생되어 구이감에서 향기가 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 예에 따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 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벤토나이트 가루가 6 : 3.5 : 0.5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점화제는,
질산바륨, 질산나트륨, 명반이 8.5 : 1.2 : 0.3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혼합물, 제2혼합물, 제3혼합물, 접착제, 점화제, 방향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순간 혼합기로 투입하여 혼합하고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향제는,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혼합물, 제2혼합물, 제3혼합물을 이루는 팜숯 가루 대신에 왕 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되, 야자숯 가루와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가 9.7 : 0.3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을 제조하는 방법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물생성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찌는 수증기처리단계와;
상기 수증기로 쪄진 혼합물을 수직 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 완료 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벤토나이트 가루가 6 : 3.5 : 0.5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점화제는,
질산바륨, 질산나트륨, 명반이 8.5 : 1.2 : 0.3 비율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향제는,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증기처리단계는,
상기 수증기를 30분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는,
105 ℃의 온도로 5 시간 내지 7 시간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 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물생성단계(S110)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찌는 수증기처리단계(S120)와;
상기 수증기로 쪄진 혼합물을 수직 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S130)와;
상기 성형 완료 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S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초 제1혼합물은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으로 12 중량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2혼합물은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게 되며, 제3혼합물은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3 중량부로 혼합되되,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벤토나이트 가루가 6 : 3.5 : 0.5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화제는 순간 점화를 위하여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질산바륨, 질산나트륨, 명반이 8.5 : 1.2 : 0.3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된 탄소 속에 점화제가 섞여 있어 착화시킬 때 1분 이내 에 순간 점화되어 숯의 내부, 외부가 동시에 착화되므로 즉시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에 미연소 가스나 냄새가 전혀 나지 않는 특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방향제는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3 중량부로 이루어지되, 바람직하게는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혼합물, 제2혼합물, 제3혼합물을 이루는 팜숯 가루 대신에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되, 이때 야자숯 가루와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가 9.7 : 0.3 중량비로 배합되도록 하게 된다.
팜숯 가루 대신에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는 이유는 주변에서 왕겨 혹은 볏짚을 쉽게 획득할 수 있으므로 저렴하게 성형숯 연료로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혼합된 제1혼합물, 제2혼합물, 제3혼합물, 접착제, 점화제, 방향제의 혼합물은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연속식 순간 혼합기로 투입되어 혼합(S110)되고,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된다.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된 혼합물에 회전식 수증기분사기를 통하여 350℃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수증기로 찌는 단계(S120)를 거치게 된다.
이때, 수증기를 30분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고압의 수직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원통형 또는 실린더형으로 성형(S130)한 후 열풍건조기에서 105℃의 온도에서 약 5 시간 내지 7 시간을 건조 하여 성형숯으로 제조(S140)한 후 비닐 박스로 포장하여 출하하게 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
야자 숯가루와 팜숯 가루를 32Kg와 15Kg로 혼합한 후 정량씩 공급하고, 접착제 3Kg(옥수수전분 60%, 타피오카전분 35%, 벤토나이트 가루 5% 배합) 및 점화제 22Kg(질산바륨 85%, 질산나트륨 12%, 명반 3% 배합)을 정량 공급하여 고속 혼합기에서 혼합하였다.
그 후, 회전식 믹서기에 넣고 350℃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으로 수증기 28Kg를 회전식 수증기분사기를 통해 믹서기 내부로 분사해서 30분간 쪘다.
그 후 고압의 수직 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원통(실린더)형상으로 성형하였다.
그리고, 105℃에서 7시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고체연료를 제작하였다.
< 물성측정 >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야자숯과 팜숯을 이용한 고체연료에 대한 고정탄소, 수분, 휘발분, 유황, 발열량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자연산 숯과 열탄에 대한 물성을 함께 나타내었다.
< 표 1 >
항목별/제품별 기준값 실시예 참나무 숯 열탄
고정탄소(중량비) 70% 이상 78.8% 81.2% 86.2%
수 분(중량비) 13% 이하 9.5% 10.4% 8.2%
휘 발 분(중량비) 5% 이하 4.6% 5.8% 2.1%
재 성 분(중량비) 12% 이하 7.1% 2.6% 3.5%
발열량(Kcal/kg) 4,500 이상 6,880 7,400 7,120
< 연소실험 >
또한, 실시예 1에 의해 제작된 고체연료와 참나무 숯, 열탄 각 450g을 10분단위로 연소시켜 연소시 온도변화와 연소시간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 표 2 >
10분 20분 30분 40분 50분 60분 평균온도 최고온도 연속시간
실시예 1(℃) 545 590 610 610 585 510 575 610 60분
참나무 숯(℃) 224 310 488 605 605 560 432 605 58분
열탄(℃) 118 236 526 622 594 568 365 622 65분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인 참나무 숯과 열탄은 서서히 발열하여 10분 연소시 224℃, 118℃이고, 20분 경과시 310℃, 236℃이고, 30분 경과시 488℃, 526℃로서 서서히 연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고체연료는 10분 경과시 545℃, 20분 경과시 590℃, 30분 경과시 610℃의 연소온도를 나타내어 연소 초기부터 높은 온도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체연료는 최고온도 및 연속시간이 비교예인 참나무 숯 및 열탄과 유사하지만, 최고온도가 610℃ 이며, 평균온도도 참나무 숯 및 열탄에 비하여 1.5배 이상 높은 우수한 연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제조 단계를 거친 성형숯을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경우에 초기부터 높은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면서 평균온도도 참나무 숯 및 열탄에 비하여 1.5배 이상 높은 우수한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벤토나이트가 혼합되어 있으므로 연소 후 형태유지가 잘되는 고체 연 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쓰레기 처리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성형숯 연소시 왕겨 향 또는 볏짚 향이 발생되어 구이감에서 향기가 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야자껍질을 태워서 만든 챠콜(숯)과 팜껍질(PALM SHELL)을 탄화시킨 팜숯을 입도별로 혼합하여 고기구이용이나 난방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고체 연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고체 연료 분야에 널리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야자숯과 팜숯에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를 혼합한 성형숯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Claims (12)

  1.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제는,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벤토나이트 가루가 6 : 3.5 : 0.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향제는,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혼합물, 제2혼합물, 제3혼합물, 접착제, 점화제, 방향제를 혼합한 혼합물을 순간 혼합기로 투입하여 혼합하고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0.05~0.1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1혼합물과;
    0.1mm~4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2혼합물과;
    4mm~7mm의 입자크기를 갖는 야자숯 가루와 팜숯 가루가 7 : 3 중량비로 배합되되,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15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제3혼합물과;
    상기 제1혼합물과 제2혼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3 중량부로 혼합되는 접착제와;
    순간 점화를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2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점화제와;
    연소시 향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12 중량부의 제1혼합물 대비 3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방향제;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물생성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로 유입시킨 후 회전식 수증기 분사기를 통해 350 ℃의 온도, 10Kg/cm2 의 압력을 갖는 수증기를 상기 원통형 회전식 믹서기 내부로 분사하여 찌는 수증기처리단계와;
    상기 수증기로 쪄진 혼합물을 수직 왕복형 성형기에 넣어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성형 완료 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착제는,
    옥수수 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벤토나이트 가루가 6 : 3.5 : 0.5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향제는,
    왕겨탄소가루 또는 볏짚탄소가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증기처리단계는,
    상기 수증기를 30분간 공급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105 ℃의 온도로 5 시간 내지 7 시간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을 제조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115441A 2009-11-26 2009-11-26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41A KR101139957B1 (ko) 2009-11-26 2009-11-26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441A KR101139957B1 (ko) 2009-11-26 2009-11-26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594A KR20110058594A (ko) 2011-06-01
KR101139957B1 true KR101139957B1 (ko) 2012-04-30

Family

ID=4439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441A Expired - Fee Related KR101139957B1 (ko) 2009-11-26 2009-11-26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9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89B1 (ko) * 2011-11-28 2013-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고체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762B1 (ko) 2019-05-23 2020-09-16 정채규 환경친화적 고체 연료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595B1 (ko) * 2014-08-22 2016-02-01 (주)대도인터내셔날 친환경 인공숯 제조방법 및 친환경 인공숯
CN107099353A (zh) * 2017-07-12 2017-08-29 石家庄神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型生物质燃料制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83B1 (ko) 2004-10-04 2007-02-23 조현도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100852790B1 (ko) * 2007-07-20 2008-08-19 김상돈 왕겨를 이용한 친환경적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90036262A (ko) * 2007-10-09 2009-04-14 장경봉 발효왕겨를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90099239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엘씨씨 야자숯과 팜숯을 이용한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883B1 (ko) 2004-10-04 2007-02-23 조현도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100852790B1 (ko) * 2007-07-20 2008-08-19 김상돈 왕겨를 이용한 친환경적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90036262A (ko) * 2007-10-09 2009-04-14 장경봉 발효왕겨를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KR20090099239A (ko) * 2008-03-17 2009-09-22 주식회사 엘씨씨 야자숯과 팜숯을 이용한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89B1 (ko) * 2011-11-28 2013-06-1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매스 고체성형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5762B1 (ko) 2019-05-23 2020-09-16 정채규 환경친화적 고체 연료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594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7805A (en) Briquette containing aromatic pellets
KR102155762B1 (ko) 환경친화적 고체 연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39957B1 (ko) 야자숯과 팜숯을 포함한 성형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705612B1 (ko) 커피부산물을 이용한 고형 연료의 제조방법
JP2022542058A (ja) 固体バイオマス燃料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CN101967415B (zh) 一种煤基燃料炭的制作方法
KR100365069B1 (ko) 야자숯가루를 이용한 성형숯의 제조방법
KR102532183B1 (ko) 친환경 차콜 펠릿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9239A (ko) 야자숯과 팜숯을 이용한 고체연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316068A (zh) 一种用于室内取暖的保健型木炭
CN103131442B (zh) 一种高热值木炭的制作方法
KR101713495B1 (ko) 커피 성형 숯 및 그 제조방법
KR101611939B1 (ko) 밤과 황토를 이용한 숯불구이용 성형탄의 제조방법
KR20200009427A (ko) 숯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595B1 (ko) 친환경 인공숯 제조방법 및 친환경 인공숯
US11473027B2 (en) Organic mixture for a fuel source
KR20050031310A (ko) 야자숯가루를 이용한 착화탄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91983A (ko) 고형 혼합 바이오매스 연료
KR100779421B1 (ko)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고형 탄화연료의 제조방법
KR101530348B1 (ko) 착화용 커피탄의 제조방법
KR20240060902A (ko) 커피박을 이용한 친환경 연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6367150A (zh) 一种用木焦油基胶黏剂、气化炭制成的成型炭
KR101247944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숯불구이용 갈탄
RU2841696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ревесно-угольного брикета
KR20240021479A (ko) 향 채소를 포함하는 성형탄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성형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112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12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12